KR20010098884A -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884A
KR20010098884A KR1020010022511A KR20010022511A KR20010098884A KR 20010098884 A KR20010098884 A KR 20010098884A KR 1020010022511 A KR1020010022511 A KR 1020010022511A KR 20010022511 A KR20010022511 A KR 20010022511A KR 20010098884 A KR20010098884 A KR 20010098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doctor
database
re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664B1 (ko
Inventor
박용남
조한익
Original Assignee
박용남
조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조한익 filed Critical 박용남
Publication of KR2001009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요구시 진료의무기록을 발행해 주어야 하는 의료법상의 의사의 의무를 이용하여 환자별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과거 모든 진료기록을 매 진료기관 방문시마다 제출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진료기관 및 투약기관은 환자의 신상 및 병력, 처방정보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어 의료업무 및 투약업무의 신속 정확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사인증키와 환자인증키를 이용하여 환자과거기록을 열람하는 단계;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단계; 진료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등록기관(의사)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등록기관 인증후 진료환자의 해당 진료환자의 환자데이타베이스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료환자가 미등록환자이면 의사가 등록기관의 역할으로서 해당 환자의 제3자에 의하여 인증된,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간접적인 인식코드인 환자인증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 환자가 진료의무기록을 열람하고 추가할 권한을 가지는 주치의에 대한 단수 혹 복수 선정 및 인증하는 단계; 주치의로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시키는 단계; 주치의가 다른 의사에게 협진을 요청하거나 하는 경우나 약사가 처방기록을 받기 위하여 의료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협진의사나약사가 환자 의료기록열람을 할 수 있도록 환자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환자별 과거의 진료기록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의사 또는 약사에 의한 진료 또는 투약시 해당 환자에 대한 최적의 의료및 투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환자는 매 진료 또는 투약시마다 자신의 과거진료 및 투약기록을 기억하거나 그 정보를 보유해야하는 부담을 덜 수 있으며 제3자에 의하여 공인되어진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환자별 인식코드에 따라 환자의료기록이 전송되어지므로 개인 의료기록 보호에 도움이 되어진다.

Description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internet-based medical record database configuration and system thereof by mutual certification between patient and doctor}
본 발명은 환자의 요구시 진료의무기록을 발행해 주어야 하는 의료법상의 의사의 의무를 이용하여 환자별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과거 모든 진료기록을 매 진료기관 방문시마다 제출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수 있고 진료기관 및 투약기관은 환자의 신상 및 병력, 처방정보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어 의료업무 및 투약업무의 신속 정확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분업 시행과 맞물려서 의사는 의약품에 대해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을 조제 및 투약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의약분업 실행은 처방전 서류의 규격화 문제, 자료보관 문제, 처방전 전달에 따른 지리적 제한 및 시간적 제한 문제, 처방 내용의 정확한 전달 및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시급한 과제이다.
특히, 환자가 진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게 되면 그 진료내용을 의사에 게 요구할 수 있. 의사는 이러한 환자의 요구에 따라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발행해 주어야한다.
그러나 환자가 주치의를 바꾸면서 과거의 진료기록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거나 과거의 진료기록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과거 진료기록을 토대로 합리적인 의료행위에 대한 계획 설계가 어려워지며 그 환자를 진료하게 될 새로운 주치의는 그 환자에 대해 다시 처음부터 같은 진료행위를 반복 수행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폐단은 의료행위에 있어 과다진료 및 상호불신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약사에 의한 투약시에도 발생될 수 있으며, 과거의 투약기록 부재에 따른 정확한 투약 실시의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환자에 대한 과거의 진료 및 투약 기록은 그 환자를 진료와 처방을 하게 될 의사나 투약하게 될 약사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관리 주체가 없어 환자관리에 허점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요구시 진료의무기록을 발행해 주어야 하는 의료법상의 의사의 의무를 이용하여 환자별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환자는 자신의 과거 모든 진료기록을 매 진료기관 방문시마다 제출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진료기관 및 투약기관은 환자의 신상 및 병력, 처방정보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어 의료업무 및 투약업무의 신속 정확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의 요구 및 관리가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접근 허가를 주는 인증 부분에 있어서 본인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나 의료행위의 특성상 의사와 환자가 항상 만나야 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의료인이 인증등록기관(RA; Registration Authority) 역할을 함으로써 환자 본인 확인을 하여 주며 인증받은 환자는 차후 인터넷상에서의 자신의 의료기록에 접근성을 허용하는 새로운 주치의사 선임에 대한 인증 부여권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의무기록의 데이터 베이스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의무기록을 이용한 진료 및 진료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에 대한 접근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버 11 : 병원단말기1
12 : 병원단말기2 13 : 약국단말기
14 : 의사협 서버 15 : 약사협 서버
16 : 환자DB 17 : 의사DB
18 : 약사DB 19 : 환자
20,21 : 의사 22 : 약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사인증키와 환자인증키를 이용하여 환자과거기록을 열람하는 단계;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단계; 진료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등록기관(의사)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등록기관 인증후 진료환자의 해당 진료환자의 환자데이타베이스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료환자가 미등록환자이면 의사가 등록기관의 역할로서 해당 환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환자가 진료의무기록을 열람하고 추가할 권한을 가지는 주치의에 대한 환자인증을 통하여 단수 혹 복수 선정 및 인증하는 단계; 주치의로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시키는 단계; 주치의가 다른 의사에게 협진을 요하거나 약사에게 처방전을 전송시 의료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협진의사나 약사가 환자 기록 및 처방기록을 열람을 할 수 있도록 제3자의 의하여 공인된,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환자별 간접인식코드인 환자의 인증을 통하여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과, 이러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해, 병원 및 약국단말기, 상기 병원 및 약국단말기에 등록기관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인증된 각 병원 및 약국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최초 진료의무기록 또는 업데이트 진료기록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처리된 환자별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환자DB,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의사 및 약사 자격을 인증하기 위한 약사DB 및 의사DB를 포함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기반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인터넷상에 전자처방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서버(10)를 포함한다.
이 서버(10)에 의해 운영되는 인터넷 사이트에는 전국의 모든 병원의 단말기(11,12)와 약국단말기(13)들이 접속하여 필요시마다 상기 서버(10)로부터 등록된 환자의 진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환자등록 및 그 진료기록의 갱신정보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서버(10)에는 위의 모든 약국단말기(13)나 병원단말기(11,12)들로부터 전송된 특정환자의 최초의 진료 의무기록 또는 새로운 진료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환자DB(16)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서버(10)에는 의사협회 서버(14)와 약사협회 서버(15)에 접속하여 이들 협회로부터 제공되는 등록의사 및 약사의 정보를 수시로 다운 받을 수 있게 구성하고, 이렇게 다운된 새로운 약사등록번호 및 의사등록번호는 각각 약사DB(18)와 의사DB(17)에 저장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19)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20)의 진료를 요청하게 되면, 의사는 그 환자를 진료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주게 된다.
처방에 따른 투약은 의약분업에 따라 약국으로부터 투약될 것이다.
이때 의사는 환자에게 진료기록을 제공할 의무가 주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요구시 반드시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제공해야 하며, 환자(19)의 직간접적인 환자인증을 통하여 동의를 얻어 자신이 이미 작성한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병원단말기(11)를 통해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에 의한 진료기록의 전송에 앞서, 환자에 대한 인증은 의사가 하나의 등록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환자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증의 생성 및 등록과정은 환자 데이터 베이스의 진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서버(10)는 의사협 서버(14)와 약사협 서버(15)에 접속되어 각각의 협회로부터 등록된 의사의 정보와 등록된 약사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의사DB(17)와 약사DB(18)에 저장해 놓고, 각각의 병원단말기(11,12)의 의사(20,21)나 약국단말기(13)의 약사(22)들로부터의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요구가 있을 때 마다 이를 조회하여 인증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병원단말기(11)로부터 특정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등록하기 위해 해당 진료의사가 등록기관 인증을 요구하면 이를 확인 조회하여 승인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의사가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을 서버(1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10)는 병원단말기(11)측으로부터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이 입력되면 이를환자DB(16)에 저장한다.
환자DB(16)는 환자가 원할 경우 직간접적인 환자별 인식코드에 따라 관리 저장되며 최초 환자DB를 생성시킨 다음에는 이후의 모든 진료기록 또는 투약기록은 그 환자 회원의 직간접적인 인식코드에 따른 계정에 누적 기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가 다른병원 방문이나 주치의의 변경이나 약사에게 처방전송이 있게 될 경우라도, 환자가 새로운 주치의나 약사에게 직간접적인 환자별 인식코드인 환자인증을 해줌에 따라, 해당 단말기(12)나 약국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환자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과거의 진료기록을 새로운 주치의나 약사 등이 열람해 볼 수 있어, 중복진료및 중복검사를 피하며 환자에 대한 사전의료서비스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도 환자의 진료결과를 서버측에 전송하여 환자의 병력을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약국에서도 내방한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진료결과 등을 약국단말기(13)를 이용하여 조회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투약정보가 등록기관 으로서의 약사에 의해 작성되어 업로드 된다.
약사에 의한 투약정보와 의사에 의한 진료의무기록의 업로드는 법률적으로 의무를 지우게 하거나 일정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상을 실행하여 환자별 데이터 베이스 구축목표의 조기달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시스템 및 진료의료기록은 보험청구시 효력이 발생하도록 환자인증에 따라 기록되어진 진정성을 가진 의료처치 및 투약기록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을 통해 환자가 주치의를 선정하여 예약하고나서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 해당 예약한 주치의에 의해 진료가 이루어지게된다.
내방한 환자를 진료한 주치의는 의무적으로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환자에게 제공해야 하는데, 모든 환자가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그 주치의는 자신이 진료한 환자가 환자DB에 등록된 환자인지 여부를 조회하여,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기록을 서버를 통해 환자DB로 전송하면 되고, 미등록 환자이면 그 환자로부터 환자DB등록 승인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환자가 환자DB 등록거부의사를 표명하면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종료한다.
그와는 반대로 환자에 의해 환자DB의 등록의 허락이 있으면 병원단말기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시켜 의사의 ID를 입력하는 것으로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을 획득한 다음, 해당 환자의 인적사항과 진료기록을 전송하여 환자 회원 DB에 개인 DB를 생성시켜 등록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은 이러한 과정은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단계; 진료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등록기관(의사)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등록기관 인증 후 진료환자의 해당 진료환자의 환자 DB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료환자가 미등록환자이면 의사가 등록기관의 역할으로서 해당 환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환자가 진료의무기록을 열람하고 추가할 권한을 가지는 주치의에 대한 단수 혹 복수 선정 및 인증하는 단계; 주치의로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시키는 단계; 주치의는 다른 의사에게 협진을 요하는 경우 의료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협진의사가 환자 기록열람을 할 수 있도록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의사에 의한 환자 진료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진료과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병원의 의사에게 한자의 진료의뢰가 있게 되면 의사는 병원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다음 환자의 인적사항(신상)정보를 입력하여 환자 회원등록여부를 조회한다.
이때, 환자DB등록 환자이면 해당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과거의 진료기록을 다운로드하여 해당환자의 과거의 진료기록및 투약정보 등을 인지한 후 진료를 수행하고 해당회차의 진료에 따른 기록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진료기록은 환자DB로 업로드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을 추가한다.
만일, 앞의 환자DB 유무 조회결과 미등록 환자이면 환자의 동의를 얻어 등록하고 그렇치 않으면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일련의 진료 및 처방행위를 종료한다.
도 4는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에 대한 접근도이며, 이 경우는 환자가 본인의 건강관리 등의 목적으로 언제든지 개별적으로 본인 의무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즉, 서버에 접근하여 본인 확인 인증을 발급받은 후 본인DB 검색을 할 수 있으며, 본인 의무기록에 대한 열람 및 추가할 수 있는 주치의를 선정하거나 투약을 담당할 약사를 선정하여 업데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진료환자의 진료정보를 업로드하게 되므로 의약분업의 시행시 의사에 의한 환자진료 처방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며, 또한 진료와 투약에 관련된 모든 개인별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국민보건 통계자료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결국 현재 이루어지는 의료보험청구와 관련하여 전산화하는 자료를 복사 및 추가하여 환자에게 다시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오기에 의료인에게는 편익비용 절감의 효과와 환자에게는 통합된 의료정보 제공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자신의 과거 모든 진료기록을 매 진료기관 방문시마다 제출해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진료기관 및 투약기관은 환자의 신상 및 병력, 처방정보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어 의료업무 및 투약업무의 신속 정확화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의사인증키와 환자인증키를 이용하여 환자과거기록을 열람하는 단계;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단계; 진료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등록기관(의사)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등록기관 인증 후 진료환자의 해당 진료환자의 환자데이타베이스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료환자가 미등록환자이면 의사가 등록기관의 역할로서 해당 환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3자에 의해 공인된,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간접적인 인식코드인 환자인증을 등록하는 단계; 환자가 진료 의무기록(검사기록 및 영상데이터포함)을 열람하고 추가할 권한을 가지는 주치의에 대한 단수 혹은 복수 선정 및 인증하는 단계; 주치의로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시키는 단계; 주치의가 다른 의사에게 협진을 요하거나 약사에게 전자처방을 전송할 경우 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협진의사나 약사가 환자 의료기록열람을 할수 있도록 의사인증과 환자의료기록 보호를 위하여 제3자에 의하여 공인되어진,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간접적인 환자별 인식코드인의 환자 인증을 통하여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및 인증시스템과 그 구축과정.
  2. 제1항에 있어서, 병원 및 약국에 설치되는 단말기(11-13), 상기 병원 및 약국의 단말기에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인증된 각 병원 및 약국의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최초 진료의무기록 또는 업데이트 진료기록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서버(10), 상기 서버에 의해 처리된 환자의료기록 보호를 위하여 제3자에 의해서 공인되어진, 환자의 직접 또는 임의로 발생하는 간접적인 환자별 인식코드에 따라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16),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의사 및 약사 자격을 인증하기 위한 약사데이타베이스(18) 및 의사데이타베이스(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시스템과 그 구축 과정.
KR10-2001-0022511A 2000-04-25 2001-04-25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49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847 2000-04-25
KR20000021847 200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884A true KR20010098884A (ko) 2001-11-08
KR100449664B1 KR100449664B1 (ko) 2004-09-21

Family

ID=3629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511A KR100449664B1 (ko) 2000-04-25 2001-04-25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30177033A1 (ko)
EP (1) EP1303823A4 (ko)
JP (1) JP2004511049A (ko)
KR (1) KR100449664B1 (ko)
CN (1) CN1426565A (ko)
AU (1) AU2001256799A1 (ko)
BR (1) BR0110325A (ko)
CA (1) CA2407319A1 (ko)
MX (1) MXPA02010504A (ko)
RU (1) RU2002131454A (ko)
TR (1) TR200202504T2 (ko)
WO (1) WO200202966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987A (ko) * 2001-11-01 2003-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KR100760955B1 (ko) *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KR101007521B1 (ko) * 2008-07-23 2011-01-18 (주)에스알파트너즈 전문가의 전자서명을 이용한 문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0032B8 (en) * 2000-06-26 2006-05-03 Epic Systems Corp Patient health record access system
US7337123B2 (en) 2000-06-26 2008-02-26 Epic Systems Corporation Rules based ticketing for self-scheduling of appointments
US7275220B2 (en) 2000-12-22 2007-09-25 Epic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seamless user interface for an integrated electronic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
DE10219098A1 (de) 2002-04-29 2003-11-13 Siemens Ag Medizinisches Patientendatenverwaltungssystem
JP2004038821A (ja) * 2002-07-08 2004-02-05 Mitsuhiko Tsuruta ライフタイム・メディカルデータ・バンク
US20040019794A1 (en) * 2002-07-29 2004-01-29 Ahmad Moradi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rescription medicine
US20040102998A1 (en) * 2002-11-26 2004-05-27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patient identifiers for imaging and information systems in health care enterprise
US20040172284A1 (en) * 2003-02-13 2004-09-02 Roche Diagnostics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7949545B1 (en) 2004-05-03 2011-05-24 The Medical RecordBan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entralized medical record system
US20060095298A1 (en) * 2004-10-29 2006-05-04 Bina Robert B Method for horizontal integration and research of information of medical records utilizing HIPPA compliant internet protocols, workflow management and static/dynamic processing of information
US20060106646A1 (en) * 2004-11-18 2006-05-18 Eastman Kodak Company Medical kiosk with multiple input sources
US20060149594A1 (en) * 2004-12-30 2006-07-06 Healthcard Network Health care facility admission control system
US20070003115A1 (en) * 2005-06-30 2007-01-04 Eastman Kodak Company Remote diagnostic device for medical testing
US8126921B2 (en) * 2005-09-23 2012-02-28 Regions Asset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information
FR2894699B1 (fr) * 2005-12-08 2013-02-01 Olivier Slama Procede de mise a disposition en ligne d'informations medicales,et systeme de mise en oeuvre correspondant.
US8930206B2 (en) * 2006-04-21 2015-01-06 Remedi Technology Holdings, Llc Medical care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282632A1 (en) * 2006-05-30 2007-12-06 Eric Sachs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advertisements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9798861B2 (en) 2009-08-12 2017-10-24 Deborah Adler,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anagement and storage
US9643771B2 (en) 2009-08-12 2017-05-09 Deborah Adler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anagement and storage
US20110046976A1 (en) * 2009-08-20 2011-02-24 William Theodore Peruzzi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US20110166883A1 (en) * 2009-09-01 2011-07-07 Palmer Robert D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Healthcare Costs, Predicting Same, and Targeting Improved Healthcare Quality and Profitability
US20130246082A1 (en) 2012-03-16 2013-09-19 Brandon Anthony Brylawski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ementing Patient and Provider Interactions to Increase Patient Adherence Specifically Using Combined Educational Coupons and Tailored Educational Documents and Services
US10346938B2 (en) 2011-08-09 2019-07-09 Drfirst.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pplemental materials to increase patient adherence to prescribed medication
US10832364B2 (en) 2012-03-16 2020-11-10 Drfirst.Com, Inc. Information system for physicians
CN102708415A (zh) * 2012-04-17 2012-10-03 苏州风采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医院预约挂号系统
US20130304510A1 (en) 2012-05-08 2013-11-14 Drfirst.Com, Inc.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20150261920A1 (en) * 2014-03-12 2015-09-17 Kenneth BLICK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umulative reporting of medical information
CN103854141A (zh) * 2014-03-21 2014-06-11 广西海之康安防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网络远程审方系统
CN105373994B (zh) * 2014-08-29 2021-11-05 杨建纲 电子病历管理方法及系统
US10629296B2 (en) * 2014-08-29 2020-04-21 Nanthealth, Inc. Mobile carrier-centric data record custodian systems and methods
CA3004139A1 (en) * 2015-11-10 2017-05-18 Walmart Apollo, Llc Prescription home delivery
CN106530166B (zh) * 2016-08-31 2019-12-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附属医院 医院医保费用防拒付辅助管理信息系统及防拒付方法
CN107785060A (zh) * 2017-03-03 2018-03-09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医疗处方审核方法及装置
US11389575B2 (en) * 2017-07-14 2022-07-19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rescription compatibility checking for a medical device
CN108682448B (zh) * 2018-03-23 2023-05-12 顾泰来 一种处方审核管理平台
CN108959873B (zh) * 2018-07-27 2020-05-15 石家庄铁道大学 远程医疗系统认证方法
CN109545349A (zh) * 2018-11-20 2019-03-29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医疗支付方法及装置
CN110047585A (zh) * 2019-05-09 2019-07-23 广州宸量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在线医院管理平台
CN110335661A (zh) * 2019-07-09 2019-10-15 佛山市为博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药事服务系统及其应用方法
CN115242831A (zh) * 2022-06-17 2022-10-25 上海速仁电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物联网智能查房监护仪及智能查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255A (en) * 1994-10-28 1998-12-01 Advanced Health Med-E-Systems Corporation Prescription management system
US6032155A (en) * 1997-04-14 2000-02-29 De La Huerga; Carlos System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prescribed medication to a patient
JPH10312430A (ja) * 1997-05-12 1998-11-24 Silicon Wave:Kk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US6024699A (en) * 1998-03-13 2000-02-15 Healthware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nitoring, diagnosing and treating medical conditions of remotely located patients
US6014631A (en) * 1998-04-02 2000-01-11 Merck-Medco Managed Care, Llc Computer implemented patient medication review system and process for the managed care, health care and/or pharmacy industry
TW537880B (en) * 1999-03-11 2003-06-21 Remote Medical Corp Method for improv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medical program
KR20010096755A (ko) * 2000-04-14 2001-11-08 김주한 컴퓨터 통신망과 보안장치를 이용한 건강 기록 정보 전달시스템 및 방법
US6850889B1 (en) * 2000-06-09 2005-02-01 Internet Treatment Consulting, N.V.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hysician-patient consult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987A (ko) * 2001-11-01 2003-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KR100760955B1 (ko) *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KR101007521B1 (ko) * 2008-07-23 2011-01-18 (주)에스알파트너즈 전문가의 전자서명을 이용한 문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2010504A (es) 2003-10-14
TR200202504T2 (tr) 2003-03-21
WO2002029664A1 (en) 2002-04-11
US20030177033A1 (en) 2003-09-18
EP1303823A1 (en) 2003-04-23
RU2002131454A (ru) 2004-03-10
AU2001256799A1 (en) 2002-04-15
JP2004511049A (ja) 2004-04-08
CA2407319A1 (en) 2002-04-11
KR100449664B1 (ko) 2004-09-21
EP1303823A4 (en) 2003-08-20
CN1426565A (zh) 2003-06-25
BR0110325A (pt) 200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664B1 (ko)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818385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US20050125258A1 (en) Web-hosted healthcar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426475B1 (en) Secure electronic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and system
US20060293925A1 (en) System for storing medical records accessed using patient biometrics
US200502228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or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80071577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US20120209624A1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KR20010044394A (ko) 전자카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달 방법 및 그 장치
US2009010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data security and integrity
US10902382B2 (en) Methods for remotely acces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without having prior authorization
CN107004048B (zh) 记录访问和管理
JP2002245162A (ja) 医療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医療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60026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 of secure medical information to remote locations
KR20000071940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달 시스템
US20020069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KR20010087920A (ko) 의사의 처방전을 보안을 유지하여 약국으로 전달하는 방법
KR100600863B1 (ko) 전자의무기록 제공방법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8060758A1 (es) Método de control de prescripciones médicas, emisión de recetas médicas, validación de identidad y capacidad de partes involucradas y aseguramiento de surtido correcto de las prescripciones
KR100425070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7586A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의료서비스 운영방법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JP4460231B2 (ja) 保険療養支援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保険療養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