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01U -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01U
KR20210000101U KR2020200001999U KR20200001999U KR20210000101U KR 20210000101 U KR20210000101 U KR 20210000101U KR 2020200001999 U KR2020200001999 U KR 2020200001999U KR 20200001999 U KR20200001999 U KR 20200001999U KR 20210000101 U KR20210000101 U KR 20210000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dimension
inner circumferential
package
standing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요코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0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45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the inserts or accessories being located within a pouch or envelope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packages, e.g. shipping m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을 꺼내기 쉽고, 또한, 부주의하게 수용물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는 포장체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포장체(1)의 스탠딩 주머니(10)는,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11)과, 후면(12)과, 저면(13)과, 전면(11)과 후면(12)이 서로 접합된 외주 시일부(14)와, 외주 시일부(14)와 저면(13)으로 둘러싸인 수용 공간(S)과,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상단부(41)와, 상단부(41)의 하방에 위치하고, 개봉 수단(15)이 위치하는 잘록부(43)와, 잘록부(4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물(20A, 20B)이 수용된 수용부(44)를 갖는다.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 및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중에서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가 가장 작고, 또한,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및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 중에서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가 가장 작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PACKAGE OF RECEPTACLE HAVING ABSORBENT ARTICLE}
본 고안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팬티,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는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흡수성 물품이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거치면에 대하여 자립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스탠딩 주머니를 구비한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1199호 공보(P2011-111199A)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포장체에 의하면, 포장체(스탠딩 주머니) 전체의 폭치수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취출구의 크기를 수용물의 크기에 맞춘 경우에는 꺼내기 쉬워지는 한편, 개봉후 포장체를 자립한 상태로 보관하고 있을 때에 가로로 쓰러졌을 때나 휴대시에 역방향으로 되었을 때 등에 흡수성 물품이 취출구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또한, 취출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한 경우에는, 그것에 맞춰 수용 공간 전체가 작아져, 수용물을 간극없이 무리하게 밀어 넣은 상태가 되어 꺼내기 어려워진다. 특히, 수용물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개별 포장에 접어서 포갠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드형 흡수체의 서로 겹치는 부분이 부피가 커져 스탠딩 주머니의 수용부가 팽창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여 꺼내기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을 꺼내기 쉽고, 또한, 부주의하게 수용물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는 포장체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는, 폭 방향과 상하 방향과 이들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가지며, 스탠딩 주머니와, 상기 스탠딩 주머니 내에 수용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포장체는, 상기 스탠딩 주머니는, 전면과, 후면과, 저면과, 상기 전면과 후면이 서로 접합된 외주 시일부와, 상기 외주 시일부와 상기 저면으로 둘러싸인 수용 공간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잘록부와, 상기 잘록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물이 수용된 수용부를 더 가지며,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상기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중에서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가 가장 작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및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 중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가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및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의 상관관계가 L3>L1≥L2 및 L3>L1≥L4이다.
(2) 상기 수용물의 외주 치수(L5)는,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중 적어도 상기 내주 치수(L2)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다.
(3) 상기 스탠딩 주머니는, 상하단 가장자리와, 양측 가장자리를 더 가지며, 상기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윗모서리부와, 상기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아랫모서리부를 가지며, 상기 윗모서리부와 상기 아랫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가 볼록한 곡선형을 갖는다.
(4) 상기 한쌍의 윗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쪽 및 상기 한쌍의 아랫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쪽이 볼록한 곡선형이다.
(5) 상기 저면은 가젯트형으로 접혀 있다.
(6) 상기 외주 시일부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를 가지며,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은, 각각,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는 하단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전면의 상기 하단 부분과 상기 후면의 상기 하단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용착 부분을 통해 서로 접합된다.
(7) 상기 전면의 상기 하단 부분의 내면과 상기 후면의 상기 하단부의 내면으로 형성된 상기 저면에는, 비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부가 배치된다.
(8) 상기 용착 부분은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다.
(9)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외면에,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외형 윤곽이 여성의 신체를 모방한 것임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식 요소를 갖는 장식부.
(10) 상기 잘록부에는 개봉 수단이 위치한다.
(11)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제1 사이드 시일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릿, 재봉선, 지퍼, 상기 스탠딩 주머니에 용착된 개봉 테이프 중 어느 것이다.
(12) 상기 상단부에는 걸이 수단이 위치한다.
(13)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에 의하면,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가, 스탠딩 주머니(10)의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및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보다 작기 때문에, 수용물로 충분한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탠딩 주머니가 가로로 쓰러지거나 역방향이 되는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은, 본 개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고안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의 사시도.
[도 2]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 개봉 수단에 의해 스탠딩 주머니를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a) 스탠딩 주머니의 하단 부분의 측면 확대도. (b) 저면의 평면도.
[도 5] (a) 수용물의 일부 파단 평면도. (b) 수용물의 일부 전개도.
[도 6] (a) 생리용 팬티의 평면도. (b) 절첩된 상태의 생리용 팬티의 평면도.
[도 7] 제조 공정의 일례에서의 포장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a) 전면의 하단 부분과 후면의 하단 부분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도 4의 (a)와 동일한 도면. (b) 도 8의 (a)의 상태에서의 저면의 평면도. (c) 도 8의 (a)의 상태에서의 스탠딩 주머니의 하단 부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a) 제조시에 있어서, 전면의 하단 부분과 후면의 하단 부분을 접합하는 용착 부분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탠딩 주머니의 하단부의 단면도. (b) 용착 부분이 형성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9의 (a)와 동일한 도면.
[도 10] 실시예의 일례에서의 스탠딩 주머니의 평면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20)의 포장체(1)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이며 여성용인 생리용 팬티(30A, 30B)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흡수성 물품에는, 도시예 외에, 어른용 또는 아이용의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남성용 뇨패드 등의 공지의 체액 흡수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 전반을 포함한다. 또, 각 도면에서, 스탠딩 주머니(10)의 전후면(11, 12)의 외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엷게 착색을 하였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생리용 팬티(30A, 30B)를 각각 갖는 수용물(20A, 20B)의 포장체(1)는, 서로 교차하는 폭 방향(X)과 상하 방향(Y), 전후 방향(Z)을 가지며, 단수 또는 복수의 수용물(20A, 20B)을 수용한 스탠딩 주머니(10)를 포함한다. 스탠딩 주머니(10)는, 종이, 부직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공지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제의 필름(열가소성 필름) 등으로 형성된다. 또, 스탠딩 주머니(10)의 원재료로서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형성하는 시트재로서, 종이와 열가소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탠딩 주머니(10)는, 연속하는 1장의 시트재이며, 복수의 동일한 종류 또는 상이한 종류의 열가소성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다. 다만, 열가소성 필름은, 하기의 전면(11)과 후면(12)을 각각 형성하는 별체의 시트재로 형성해도 좋고, 단수의 필름만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스탠딩 주머니(1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비자는, 개봉하기 전에, 예컨대, 포장체(1)가 상품 선반 등의 진열된 상태로,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수용물(20A, 20B)을 시인할 수 있다.
스탠딩 주머니(10)는, 저면을 가젯트형으로 절첩하여 이루어진 1장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상단 가장자리(10a)와, 폭 방향(X)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10b)와, 상하단 가장자리(10a, 10b) 사이에서 상하 방향(Y)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0c, 10d)를 갖는다. 스탠딩 주머니(10)의 양측 가장자리(10c, 10d)는, 상단 가장자리(10a)로부터 하방을 향해 점차 폭 방향(X)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오목 굴곡 부위와, 오목 굴곡 부위와 연속하고 그 하방에서 폭 방향(X)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볼록 굴곡 부위를 갖는다.
스탠딩 주머니(10)는, 중공(튜브)형이며, 전후 방향(Z)에서 서로 대향하는 전후면(11, 12)과, 저면(13)과, 상단부(41)와, 하단부(42)와, 상단부(41)의 하방에 위치하는 잘록부(43)와, 잘록부(43)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44)를 갖는다. 전면(11)과 후면(12)은, 각각, 상단 부분(11a, 12a)과, 하단 부분(11b, 12b)을 갖는다.
스탠딩 주머니(10)는, 전면(11)과 후면(12)을 서로 열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 등의 공지의 용착 수단에 의해 접합하는 외주 시일부(14)를 더 갖는다. 외주 시일부(14)는, 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면(11)의 일부와 후면(12)의 일부를 서로 접합하는 상방 시일부(14a)와, 전면(11)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후면(12)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접합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14c, 14b)를 갖는다.
상단부(41)는, 상방 시일부(14a)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서로 비접합의 전면(11)의 상단 가장자리부(11a)와 후면(12)의 상단 가장자리부(12a)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14c, 14d)는, 양측 가장자리(10c, 10d)의 하단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 않고,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14c, 14d)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단부(42)에서는, 전면(11)의 하단 부분(11b)과 후면(12)의 하단 부분(12b)이,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14c, 14d)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용착 부분(47)을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스탠딩 주머니(10)의 하단부(42)에서는, 시트재를 가젯트형으로 접음으로써 저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저면(13)이 전후면(11, 12)의 하단 부분(11b, 12b)의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 부분(11b, 12b)은, 각각, 저면(13)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71, 72)를 갖는다. 가장자리부(71, 72)는, 전후 방향(Z)에서 절첩된 시트재가 서로 용착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강성이 높아져 있다. 가젯트형으로 접혀 있는 저면(13)을 전개함으로써, 스탠딩 주머니(10)는 안정된 상태로 자립시킬 수 있다.
스탠딩 주머니(10)의 전면(11)에는 장식부(19)가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19)는, 의장적인 효과를 갖는 디자인이나 캐릭터, 상품으로서의 식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표적인 효과를 갖는 표장, 광고 표시 등으로 이루어진 장식 요소를 갖는다. 장식부(19)는, 도시예에서는, 포장체(1)에 수용된 여성용 팬티를 착용한 여성의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탠딩 주머니(10)의 외면의 일부에, 이러한 특징이 있는 디자인을 갖는 장식부(19)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잘록부(43)를 갖는 포장체(1)의 외형 윤곽이, 여성의 신체 중 허리 둘레 근방을 모방했다는 것을 구입자 등에게 보다 강하게 상기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잘록부(43)에는, 측가장자리(10c)로부터 폭 방향(X)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릿(개봉 수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수용부(44)를 파지(把持)하여 누르고, 다른쪽 손으로 상방 시일부(14a)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단부(41)를 적지(摘持)하여, 슬릿(15)을 기점으로 제1 사이드 시일부(14c)로부터 제2 사이드 시일부(14d)로 인장하는 것에 의해 스탠딩 주머니가 찢어져, 수용물(20A, 20B)을 수용부(44)로부터 꺼낼 수 있는 취출구(4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잘록부(43)에 슬릿(15)을 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취출구(48)를 형성하여 수용물(20A, 20B)을 꺼낼 수 있다. 또, 간편하게 취출구(48)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잘록부(43)에 개봉 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상방 시일부(14a)에서 접합된 전후면(11, 12)을 전후 방향(Z)으로 분리함으로써 개봉해도 좋다. 또한, 개봉 수단으로는, 슬릿(15) 이외에,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스탠딩 주머니(10)의 외면에 열용착된 개봉 테이프로서, 개봉 테이프의 적지부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 개봉하는 것이어도 좋고, 외면에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재봉선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개봉 수단으로서 지퍼를 채용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개봉후에도 수용부(44)를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탠딩 주머니(10)를 사용후의 폐기용 주머니로서도 이용하여, 체액 흡수후의 생리용 팬티(30)의 악취가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단부(41)를 형성하는 전면(11)과 후면(12)에는, 전후 방향(Z)에서 서로 연통하는 개구로 형성된 걸이 수단(18)이 배치된다. 상단부(41)에 걸이 수단(18)이 위치하는 것에 의해, 드럭 스토어 등의 소매점의 상품 선반의 후크에 포장체(1)를 매달아 진열할 수 있다.
스탠딩 주머니(10)는, 상방 시일부(14a)와,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14c, 14d)와, 가젯트형으로 접혀 있는 저면(13)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S)을 더 갖는다. 수용 공간(S)은, 잘록부(43)로부터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주 치수가 커지고 있고, 하방에 위치하는 수용부(44)는, 생리용 팬티(30)를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용물(20A, 20B)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공간(S) 내에 복수의 수용물(20A, 20B)이 전후 방향(Z)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전면(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수용물(20A)과, 후면(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수용물(20B)이 수용되어 있다. 또, 도시예와는 달리, 수용물(20A, 20B)은, 전후 방향(Z)이 아니라, 또는 그것에 더해, 상하 방향(Y) 및 폭 방향(X)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11)의 하단 부분(11b)과 후면(12)의 하단 부분(12b)은, 대략 원형의 용착 부분(47)을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저면(13)에는, 생리용 팬티(30)의 사용 방법, 제품의 원재료, 산지, 제조자명이나 제조자의 주소 등의 제조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부(65)가 배치되어 있다. 정보 표시부(65)는, 장식부(19)와 달리, 포장체(1)의 장식 효과 및 상표적 효과에 기여하지 않은 비장식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저면(13)은, 가젯트형으로 절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전체가 시인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지만, 정보 표시부(65)는 비장식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선반에 진열되어 있을 때에, 굳이 소비자에게 시인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정보 표시부(65)를 직접 시인되기 어려운 저면(13)에 배치함으로써, 전후면(11, 12)에 장식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통일적인 디자인을 채용할 수 있어, 비장식 요소가 전후면에 배치된 다른 상품과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의 (a), (b)를 참조하면, 수용물(20A)은, 생리용 팬티(30A)와, 그것을 포장하는 개별 포장 주머니(50)를 갖는다. 개별 포장 주머니(50)는, 섬유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1장의 시트재로 형성된다. 수용물(20A)은, 폭 방향(X)으로 연장되고, 개별 포장 주머니(50)를 형성하는 시트재 중 서로 겹치는 부분을 서로 접합한 접합 라인을 갖는 상하 단부(21, 22)와, 상하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23, 24)와, 시트재의 단부(26, 27)가 서로 겹침으로써 구획된, 수용된 생리용 팬티(30A)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25)를 갖는다. 또, 생리용 팬티(30B)를 갖는 수용물(20B)의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하지만, 수용물(20A)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에 관한 스탠딩 주머니(10)에 수용되는 수용물(20A, 20B)은, 생리용 팬티(30A, 30B)와 그것을 포장하는 옵션으로서의 개별 포장 주머니(50)로 구성되어 있지만, 생리용 팬티(30)가 개별 포장 주머니(50)에 포장되어 있지 않고, 직접 수용부(44)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효과를 발휘하는 한, 수용물(20A, 20B)은 하나이어도 좋고, 걸이 수단(18)으로 걸어서 진열할 수 있을 정도의 3개 이상의 수이어도 좋고, 생리용 팬티(30)가 개별 포장 주머니(50)에 절첩되지 않고 포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 6의 (a), (b)를 참조하면, 생리용 팬티(30A)는, 앞허리 영역(31)과, 뒤허리 영역(32)과, 앞뒤 허리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33)과, 크로치 영역(33)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31, 32)까지 연장되는 흡수체(34)를 갖는다. 생리용 팬티(30)는, 앞뒤 허리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서로 접합된 소위 팬츠형이며, 개별 포장 주머니(50)에 절첩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팬티(30A)는,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에서 그것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한쌍의 종단 절곡 라인(35)과, 생리용 팬티(30)의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도록, 한쌍의 종단 절곡 라인(35)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횡단 절곡 라인(36)을 갖는다. 생리용 팬티(30)는, 한쌍의 종단 절곡 라인(35)을 따라 양측 부분을 생리용 팬티(30)의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한 후에, 횡단 절곡 라인(36)을 따라 크로치 영역(33) 측의 부분이 앞허리 영역(31)을 향해 절곡되는 것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의 컴팩트한 상태로 개별 포장 주머니(50)에 포장되어 있다. 또, 수용물(20B)에 수용된 생리용 팬티(30B)의 구성은 생리용 팬티(30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생리용 팬티(30A, 30B)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나 플랩 펄프 등의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패드형이고 압축 복원성을 갖는 흡수체(34)를 가지며, 수용부(44) 내에서 흡수체(34)가 전후 방향으로 절첩된 상태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물(20A, 20B) 자체가 전후 방향(Z)으로 팽창한 상태가 된다. 특히, 생리용 팬티(30A, 30B)의 흡수체(34)는 경혈을 흡수하기 위해 폭 방향의 중앙에 부피가 큰 중고 부분을 갖기 때문에, 뇨흡수용 흡수체에 비하여 절첩했을 때에 두께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물(20A, 20B)이, 스탠딩 주머니(10)의 수용 공간(S) 내에 전후 방향(Z)으로 나열된 상태로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44)는, 생리용 팬티(30A, 30B)를 절첩하지 않은 상태로 수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후 방향(Z)으로 더 팽창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물(20A, 20B)을 수용 공간(S)에 더 밀어 넣어 수용시키는 것에 의해, 가젯트형으로 접혀 있는 저면(13)이 하방으로 밀려 넓혀지고, 저면(13)에 수용물(20A, 20B)의 하단부가 면형으로 접한 상태가 되어, 수용물(20A, 20B)이 수용 공간(S)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면(11, 12)의 하단부(11b, 12b)의 가장자리부(71, 72)는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스탠딩 주머니(10)는, 거치면(2)에 대하여 전후면(11, 12)의 가장자리부(71, 72)가 접촉한 상태로 자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체(1)는, 소매점의 상품 선반 등에 있어서, 상단부(41)에 위치하는 걸이 수단(18)을 통해 걸려 있는 상태, 또는 저면(13)이 전개되지 않은 자립한 상태 중 어느 한 양태로 진열할 수 있다.
도 7은, 제조 공정의 일례에서의 포장체(1)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탠딩 주머니(10)는,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를 가지며, 흡수성 물품(30A, 30B)(의 집합체)은 외주 치수(L4), 수용물(20A, 20B)(의 집합체)은 외주 치수(L5)를 갖는다.
각 내주 치수(L1-L3)는, 가요성을 갖는 튜브형의 시트재로 형성된 스탠딩 주머니(1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 부(41, 43, 44)의 최대의 내주 치수를 의미한다. 또한, 수용물(20A, 20B)의 외주 치수(L5)는,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수용물 전체의 외주 치수를 의미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겹치는 2개의 수용물(20A, 20B)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외주 치수를 의미한다. 각 내주 치수(L1-L3)는, 비어 있는 스탠딩 주머니(10)의 전후면(11, 12)의 내면끼리 접촉한 상태로 평평하게 놓고, 각 부(41, 43, 44)에서의 제1 사이드 솔기부(14c)의 내측 가장자리와 제2 사이드 솔기부(14d)의 내측 가장자리의 이격 치수를 측정 기구(정규(定規), 줄자)로 측정하여, 측정한 치수를 2배의 크기로 함으로써 구했다. 한편, 수용물(20A, 20B)의 (집합체)의 외주 치수(L5)는, 가능한 한 외주면이 변형되지 않은 평탄한 상태에서의 수용물(20A, 20B)의 전체 둘레에 줄자를 감아서 측정했다.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는, 흡수성 물품(30A, 30B)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W1, 흡수성 물품(30)의 최대의 두께 치수를 W2로 한 경우, L4=W2×2+W2의 계산식으로 구했다.
흡수성 물품(30)의 외주 치수(L4)의 측정 방법으로는, 예컨대, 우선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태에서, 라이트 테이블 위에 수용물(20B)이 하측, 수용물(20A)이 상측이 되도록 수용물(20A, 20B)을 평평하게 놓고, 개별 포장 주머니(50) 내에 위치하는 수용물(20A, 20B)의 양측 가장자리끼리 서로 겹치도록 위치 맞춤을 행했다. 다음으로, 개별 포장 주머니(50)를 통해 투시되는 수용물(20A) 내의 흡수성 물품(30)의 양측 가장자리에 펜으로 표시를 하고, 표시한 양측 가장자리 사이의 이격 치수를 측정 기구(정규, 줄자)로 측정하여, 흡수성 물품(30A, 30B)의 가로 방향의 치수 W1로 했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2개의 흡수성 물품(30)의 두께 치수(전후 방향(Z)의 치수) W2를 측정했다. 흡수성 물품(30)의 두께 치수 W2는, 흡수성 물품(30A, 30B)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 즉, 흡수성 물품(30A, 30B)의 가로 방향의 치수 W1을 측정한 후에, 2개의 흡수성 물품(30A, 30B)의 흡수체가 절첩된 부분에서의 라이트 테이블의 거치면으로부터 수용물(20A)에 수용된 흡수성 물품(30A)의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과의 이격 치수를 측정 기구로 측정했다. 또, 이러한 측정에서는, 흡수성 물품(30A, 30B)을 포장하는 포장 주머니(50)도 포함되게 되지만, 전후 방향(Z)에서 흡수성 물품(30A, 30B)과 포장 주머니(50) 사이에는 간극이 없기 때문에, 측정된 치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는 2개의 흡수성 물품(30A, 30B)이 적층된 양태에 관해 측정한 것이지만, 스탠딩 주머니(10)에 단일 또는 3개 이상의 흡수성 물품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이 수용된 양태를 재현한 상태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체(1)에 있어서,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 및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중에서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가 가장 작고, 또한,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및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 중에서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가 가장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 및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 및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의 상관관계가 L3>L1≥L2 및 L3>L1≥L4이다.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가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치수(L4)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포장체(1)의 제조시에 있어서, 제조 장치의 푸셔로 흡수성 물품(30A, 30B)을 상단부(41)에 걸리지 않게 내부의 개구를 원활하게 통과시켜, 스탠딩 주머니(10) 내의 수용 공간(S)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30A, 30B)을 내부에 밀어 넣을 때의 개구의 내주 치수(L1)보다 수용부(44)의 내주 치수(L3)가 크기 때문에, 푸셔의 압력으로부터 해방되어 압축 복원성을 갖는 흡수체(34)의 작용에 의해 흡수성 물품(30A, 30B)이 전후 방향(Z)으로 팽창한 상태가 되더라도, 스탠딩 주머니(10)가 찢어지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30A, 30B)을 갖는 수용물(20A, 20B)이 간극이 있는 상태로 수용부(44)에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 수용부(44)에 손을 삽입하여 복수의 수용물(20A, 20B)을 파지하고 인장하여 꺼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물의 외주 치수(L5)는,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 및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중 적어도 잘록부(43)의 내주 치수(L2)과 동일한 크기 또는 그것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스탠딩 주머니(10)의 개봉후에, 거치면(2)에 자립시킨 스탠딩 주머니(10)를 가로로 쓰러뜨렸을 때나, 휴대할 때에 잘못하여 거꾸로 들었을 때 등에는, 수용물(20A, 20B)이 취출구(48)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물(20A, 20B)의 외주 치수(L5)는, 상단부(41)의 내주 치수(L1) 및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중 적어도 내주 치수(L2)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이 포장체(1)를 가로로 쓰러뜨리거나 거꾸로 갖고 다녔을 때에도, 수용물(20A, 20B)이 잘록부(43)에 걸려 수용 공간(S)으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올 우려는 없다. 또, 도 7에 나타낸 제조 공정 및 수용물(20A, 20B)을 취출구(48)로부터 꺼낼 때에는, 수용물(20A, 20B) 전체를 변형시켜, 특히, 개별 포장 주머니(50) 중 흡수성 물품(30A, 30B)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부분을 변형시켜, 그 외주 치수(L5)를 작게 함으로써 잘록부(43) 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스탠딩 주머니(10)는, 상단 가장자리(10a)와 양측 가장자리(10c, 10d)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윗모서리부(61)와, 하단 가장자리(10b)와 양측 가장자리(10c, 10d)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아랫모서리부(62)를 가지며, 윗모서리부(61)와 아랫모서리부(62)는, 끝이 예리하지 않고,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완만하게 구부러진 볼록한 곡선형을 갖는다. 따라서, 예컨대 포장체(1)가 상품 선반에 걸려 있는 상태나 사용자가 휴대했을 때에, 상하 모서리부(61, 62)가 사용자 등의 손끝 등에 닿았다 하더라도 자극을 줄 우려는 없다. 또,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하 모서리부(61, 62) 전부가 볼록한 곡선형일 필요는 없고, 손끝 등에 닿기 쉬운 상하 모서리부(61, 62) 중 적어도 하나가 볼록한 곡선형이면 되며, 또한, 한쌍의 윗모서리부(61) 중 적어도 한쪽 및 한쌍의 아랫모서리부(62) 중 적어도 한쪽이 볼록한 곡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a)는, 전면(11)의 하단 부분(11b)을 후면(12)의 하단 부분(12b)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용착 부분(47)이 하단 부분(12b) 측에 위치하고, 하단 부분(11b)에는, 용착 부분(47)에 대응한 대략 반원형의 절결(76)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는, 제조시에 있어서, 전면(11)의 하단 부분(11b)과 후면(12)의 하단 부분(12b)을 접합하는 용착 부분(47)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탠딩 주머니(10)의 하단부(42)의 단면도, 도 9의 (b)는, 용착 부분(47)이 형성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9의 (a)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여 용착 부분(47)의 형성 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스탠딩 주머니(10)의 전후면(11, 12)은, 복수의 열가소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외면 및 내면측에 위치하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77a, 78a)과, PET 필름(77a, 78a)의 사이에 위치하는 2장의 PE(폴리에틸렌) 필름(77b, 78b)의 4장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시트 중 전면(11)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PET 필름(77a)의 일부와, 그것에 대향하는 후면(12)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PET 필름(78a)의 일부에는, 개구(81)가 형성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전후면(11, 12)의 개구(81)에 대응하는 부분이, 대략 원형의 엠보스핀에 의해 열압축되고, 전면(11)의 엠보스핀의 외형을 따르는 부분이 하프컷되어 연속 또는 비연속의 대략 원형의 절입(79)이 형성되고, 용착 부분(4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착 부분(47)을 전후 방향(Z)으로 박리했을 때에는, 대략 원형의 외형을 이루는 절입(79)에 의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11)의 일부에 절결(76)이 형성되고, 후면(11)의 대응하는 부분에는 용착 부분(47)이 남는다.
이와 같이, 하단 부분(11b)에는, 복수의 적층된 필름의 절단 단부면이 노출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손끝 등에 닿으면 자극을 줄 우려가 있지만, 용착 부분(47)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이러한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착 부분(47)이, 하단 가장자리(10b)로부터 상방을 향해 폭 방향(X)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하단 가장자리(10b) 측으로부터 용착 부분(47)을 박리하고자 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기 쉬워, 부주의하게 용착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전후면(11, 12)의 하단 부분(11b, 12b)끼리를 접합하는 용착 부분(47)을 분리함으로써, 저면(13)에 배치된 비장식 요소를 갖는 정보 표시부(65)의 전체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기 전에, 정보 표시부(65)에 표시된 생리용 팬티(30)의 사용 방법이나 제조자 정보 등의 내용을 충분히 읽고 이해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용착 부분(47)을 분리하여 저면(13)이 완전히 외부에 노출한 상태로 포장체(1)를 자립시키는 경우에는, 수용물(20A, 20B)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만곡된 저면(13)이 거치면(2)에 접촉하고, 전면(11)의 하단 부분(11b)의 가장자리부(71)와 후면(12)의 하단 부분(12b)의 가장자리부(72)가 상방으로 부상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스탠딩 주머니(10)에 그것을 전방으로 쓰러뜨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했다 하더라도, 저면(13)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가장자리부(71)가 거치면(2)에 접하여 지지하여, 포장체(1)가 쓰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의 일례에서의 포장체(1)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딩 주머니(10)의 전면(11)에, 여성의 속옷 디자인을 갖는 장식 요소를 갖는 장식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부(80)를 배치함으로써, 포장체(1)가 여성용의 생리용 팬티(30)을 수용했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1)의 외형 윤곽과 장식부(80)가 조합됨으로써, 포장체(1)가 여성의 신체를 모방한 것이라는 것을 강하게 상기시킬 수 있고, 다른 상품에는 없는 참신한 디자인에 의한 임팩트를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구매 의욕을 야기시킬 수 있다.
10 : 스탠딩 주머니
11 : 전면
11b : 전면의 하단 부분
12 : 후면
12b : 후면의 하단 부분
13 : 저면
14 : 외주 시일부
14c, 14d :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
15 : 개봉 수단
18 : 걸이 수단
19 : 장식부
20A, 20B : 수용물
30A, 30B : 흡수성 물품
41 : 상단부
42 : 하단부
43 : 잘록부
44 : 수용부
47 : 용착 부분
61 : 윗모서리부
62 : 아랫모서리부
65 : 정보 표시부
L1 : 상단부의 내주 치수
L2 : 잘록부의 내주 치수
L3 : 상기 수용부의 내주 치수
L4 :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
L5 : 수용물의 외주 치수
S : 수용 공간
X : 폭 방향
Y : 상하 방향
Z : 전후 방향

Claims (14)

  1. 폭 방향과 상하 방향과 이들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가지며, 스탠딩 주머니와, 상기 스탠딩 주머니 내에 수용된,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주머니는, 전면과, 후면과, 저면과, 상기 전면과 후면이 서로 접합된 외주 시일부와, 상기 외주 시일부와 상기 저면으로 둘러싸인 수용 공간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잘록부와, 상기 잘록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물이 수용된 수용부를 더 가지며,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상기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중에서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가 가장 작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및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 중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가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수용부의 내주 치수(L3) 및 흡수성 물품의 외주 치수(L4)의 상관관계가 L3>L1≥L2 및 L3>L1≥L4인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의 외주 치수(L5)는, 상기 잘록부의 내주 치수(L2) 및 상기 상단부의 내주 치수(L1) 중 적어도 상기 내주 치수(L2)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포장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주머니는, 상하단 가장자리와, 양측 가장자리를 더 가지며, 상기 상단 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윗모서리부와, 상기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아랫모서리부를 가지며, 상기 윗모서리부와 상기 아랫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가 볼록한 곡선형을 갖는 포장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윗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쪽 및 상기 한쌍의 아랫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쪽이 볼록한 곡선형인 포장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가젯트형으로 접혀 있는 포장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시일부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를 가지며,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은, 각각,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되는 하단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전면의 상기 하단 부분과 상기 후면의 상기 하단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시일부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용착 부분을 통해 서로 접합되는 포장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상기 하단 부분의 내면과 상기 후면의 상기 하단 부분의 내면으로 형성된 상기 저면에는, 비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는 포장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부분은 반원 형상을 갖는 포장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외면에,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외형 윤곽이 여성의 신체를 모방한 것임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식 요소를 갖는 장식부가 배치되는 포장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잘록부에는 개봉 수단이 위치하는 포장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릿, 재봉선, 지퍼, 상기 스탠딩 주머니에 용착된 개봉 테이프 중 어느 것인 포장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에는 걸이 수단이 위치하는 포장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주머니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포장체.
KR2020200001999U 2019-07-03 2020-06-09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 KR2021000010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2433U JP3223065U (ja) 2019-07-03 2019-07-03 吸収性物品を有する収容物の包装体
JPJP-U-2019-002433 2019-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01U true KR20210000101U (ko) 2021-01-13

Family

ID=6790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999U KR20210000101U (ko) 2019-07-03 2020-06-09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3065U (ko)
KR (1) KR20210000101U (ko)
CN (1) CN214180801U (ko)
MY (1) MY1964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7160A (zh) * 2019-11-18 2021-05-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包装体和吸收性物品的收纳体
JP7275080B2 (ja) * 2020-06-30 2023-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2022167215A (ja) * 2021-04-22 2022-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1199A (ja) 2009-11-27 2011-06-09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1199A (ja) 2009-11-27 2011-06-09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또한, 취출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한 경우에는, 그것에 맞춰 수용 공간 전체가 작아져, 수용물을 간극없이 무리하게 밀어 넣은 상태가 되어 꺼내기 어려워진다. 특히, 수용물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개별 포장에 접어서 포갠 상태로 포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드형 흡수체의 서로 겹치는 부분이 부피가 커져 스탠딩 주머니의 수용부가 팽창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여 꺼내기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포장체에 의하면, 포장체(스탠딩 주머니) 전체의 폭치수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취출구의 크기를 수용물의 크기에 맞춘 경우에는 꺼내기 쉬워지는 한편, 개봉후 포장체를 자립한 상태로 보관하고 있을 때에 가로로 쓰러졌을 때나 휴대시에 역방향으로 되었을 때 등에 흡수성 물품이 취출구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6452A (en) 2023-04-12
CN214180801U (zh) 2021-09-14
JP3223065U (ja)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5036B1 (en) Compressed package with opening mechanism and expansion member
KR20210000101U (ko) 흡수성 물품을 갖는 수용물의 포장체
CN103635400B (zh) 用于内部装有吸收性物品的包装件的打开机构
US5967665A (en) Flexible polymer packaging bag with easy-open end seal feature
AU2006333484B2 (en) 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AU2005278110B2 (en) A flexible package having an easy opening feature
US7198154B2 (en) Compressed package having an expansion mechanism
US20040092901A1 (en) Diaper changing kit
WO2005070772A1 (en) Package for compressible products
ES2606315T3 (es) Una unidad de envase con propiedades de sellado mejoradas
JP2008522918A (ja) 取り出し容易な開口形態を備えた形状保持可撓性包装
US20130220860A1 (en) Attention-Directing Packaging Window
CN109803903A (zh) 可重新闭合的包装件及其制备方法
JP5340632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袋
WO2002094678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ontained in successively connected bags
KR20160096190A (ko) 거짓 측면 거셋을 구비한 부피가 큰 물품용 포장재
JP5551405B2 (ja) 包装体及び包装袋
JP2008239196A (ja) 包装体
US7168563B2 (en) Dispensing aid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dividual products from a compressed package
AU2011290499B2 (en) Package of folded disposable absorbent pants
JP2021004051A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を収納する袋
CN101253105A (zh) 一次性吸收制品的悬挂式次级包装
CN212879833U (zh) 吸收性物品的包装体
CN109982671A (zh) 吸收性物品
MXPA06004915A (en) Compressed package with opening mechanism and expa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