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976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976A
KR20200144976A KR1020190073270A KR20190073270A KR20200144976A KR 20200144976 A KR20200144976 A KR 20200144976A KR 1020190073270 A KR1020190073270 A KR 1020190073270A KR 20190073270 A KR20190073270 A KR 20190073270A KR 20200144976 A KR20200144976 A KR 2020014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dule
support
heat exchanger
support piece
tota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812B1 (ko
Inventor
이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07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타입과 우타입의 환기장치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기밀유지를 위한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 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구비한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급기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양측단은 상기 전열교환기의 양측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필터모듈; 및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좌타입과 우타입에 공용으로 조립 가능하며,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좌타입과 우타입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난방장치에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보일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에는, 실외공기의 유입에 따라 실내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급기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모듈이 구비된다. 그리고, 환기장치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장치의 케이스는 단열재로 제작된다.
한편,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실내와 실외의 위치에 따라서 환기장치는 좌타입(Left type)과 우타입(Right type)으로 구분되며,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서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설치되는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케이스를 좌타입과 우타입에 맞추어 별도의 구조로 제작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된 후에는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의 외측면과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막아 밀폐하기 위하여 케이스와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폼(FOAM)을 상기 틈새에 끼워 부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환기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결로 발생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폼을 제작하여 틈새에 부착해야 하므로, 환기장치의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원가가 증가하게 되며, 환기장치의 사용 도중 또는 필터의 교체시에 상기 폼이 틈새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갈 경우에는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결로가 발생되어 환기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결로 방지를 위한 환기장치의 조립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102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좌타입과 우타입의 환기장치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기밀유지를 위한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 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구비한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급기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양측단은 상기 전열교환기의 양측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필터모듈; 및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좌타입과 우타입에 공용으로 조립 가능하며,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개방구의 양측 내측면에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양측단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1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2지지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 상기 제1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은 상기 제1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 상기 제2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은 상기 제2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부터 소정의 유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 중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부분 이외의 공간을 덮어 밀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전단, 또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단 및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에 접촉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단 및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 또는 상기 필터모듈의 전단에 접촉되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부와 제4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는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양측단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3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4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4지지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 상기 제4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은 상기 제4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4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 상기 제3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은 상기 제3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3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좌타입과 우타입의 환기장치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결로방지용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환기장치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가 좌타입 또는 우타입인지 여부에 따라서 제1지지부에 구비된 제1지지편 또는 제2지지부에 구비된 제2지지편 중 어느 하나를 절취하여 절취된 공간에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필터모듈의 돌출된 양측단과 케이스 사이 틈새의 기밀유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 및 부품 관리가 용이하고, 기밀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결로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가 좌타입 또는 우타입인지 여부에 따라서 케이스의 개방구를 덮는 덮개부의 제3지지부에 구비된 제3지지편 또는 제4지지부에 구비된 제4지지편 중 어느 하나를 절취하여 절취된 공간에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기밀유지를 위한 케이스의 마감 처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에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케이스에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에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케이스에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에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을 케이스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에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을 케이스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장치(1)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전열교환기(300) 및 필터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환기장치(1)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인 발포폼(EPS)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을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하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100a)와 하부 케이스(1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a)의 상면에는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삽입되도록 개방구(101)가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양측면에는 전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환풍구(102), 제2환풍구(103), 제3환풍구(104) 및 제4환풍구(10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b)의 바닥면(106)에는 상기 제2환풍구(103)와 제4환풍구(104)의 일측으로 제1송풍기(미도시)가 장착되는 제1송풍기 장착부(107)와 제2송풍기(미도시)가 장착되는 제2송풍기 장착부(10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조립된 조립체의 외측 모서리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가이드부(109a,109b,109c,109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좌타입(Left type)과 우타입(Right type)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400)의 돌출된 일측단(400a) 또는 타측단(400b)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10)에는 절취 가능한 제1지지편(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20)에는 절취 가능한 제2지지편(121)이 구비된다.
상기 개방구(101)는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삽입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개방구(101) 중 상기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삽입되는 부분 이외의 공간을 덮어 케이스(100)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9a)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덮개부(210)와 제2덮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400)의 돌출된 일측단(400a) 또는 타측단(400b)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덮개부(210)에는 제3지지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덮개부(220)에는 제4지지부(2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지지부(211)에는 절취 가능한 제3지지편(212)이 구비되고, 상기 제4지지부(221)에는 절취 가능한 제4지지편(222)이 구비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열교환기(300)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모듈(400)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전열교환기(30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환기장치(1)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필터모듈(400)은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필터모듈(400)의 상면에는 필터커버(410)가 조립되고, 필터모듈(400)의 내부에는 전기집진필터(420)와 헤파필터(430)가 전후방으로 적층되며, 상기 전기집진필터(420)와 헤파필터(430)의 양측면에는 필터커버(410)와 결합되는 필터커버 고정부(440)와 상기 전기집진필터(420)와 헤파필터(430)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 가이드(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420)와 헤파필터(430) 및 전열교환기(300)를 순차로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통과정압을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전기집진필터(420)와 헤파필터(430)의 폭은 전열교환기(300)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모듈(400)의 양측부에는 상기 필터커버 고정부(440)와 필터 가이드(450)가 구비됨에 따라서 필터모듈(400)의 양측단(400a,400b)은 상기 전열교환기(300)의 양측단(300a,300b)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고, 전열교환기(300)의 전단(300c)과 필터모듈(400)의 후단(400d)이 맞닿는 양측부에는 단차(G)가 형성된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단차(G)가 형성된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의 조립체를 좌타입과 우타입의 환기장치(1)에 공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차(G) 부분의 틈새를 막아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100) 및 덮개부(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좌타입의 환기장치는, 환기장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실내가 위치하고 우측에 실외가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공기는 제1환풍구(102)를 통해 환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모듈(400)과 전열교환기(300)를 통과한 후 제4환풍구(105)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고, 실내공기는 제3환풍구(104)를 통해 환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전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에 제2환풍구(103)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상기 좌타입의 환기장치에서는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케이스(100)에 조립된다. 이 경우, 필터모듈(400)의 일측단(400a)은 제1지지편(111)이 절취된 제1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필터모듈(400)의 타측단(400b)은 제4지지편(222)이 절취된 제4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며, 필터모듈(400)의 전단(400c)은 제1덮개부(210)에 접촉되고, 전열교환기(300)의 타측단(300b)은 제2덮개부(220)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우타입의 환기장치는, 환기장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실내가 위치하고 좌측에 실외가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공기는 제3환풍구(104)를 통해 환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모듈(400)과 전열교환기(300)를 통과한 후 제2환풍구(103)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고, 실내공기는 제1환풍구(102)를 통해 환기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전열교환기(300)를 통과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에 제4환풍구(105)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상기 우타입의 환기장치에서는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케이스(100)에 조립된다. 이 경우, 필터모듈(400)의 일측단(400a)은 제3지지편(212)이 절취된 제3지지부(211)에 의해 지지되고, 필터모듈(400)의 타측단(400b)은 제2지지편(121)이 절취된 제2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며, 전열교환기(300)의 일측단(300a)은 제1덮개부(210)에 접촉되고, 필터모듈(400)의 전단(400c)은 제2덮개부(220)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2지지부(120)는 상기 개방구(101)의 양측 내측면에 상기 필터모듈(400)의 돌출된 양측단(400a,400b)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지지편(111)과 제2지지편(121)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로부터 소정의 유격(111a,111b,111c,121a,121b,121c)을 두고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로부터 손쉽게 절취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지지편(111)과 제2지지편(121)의 절취 작업은 커터 등의 절단 도구를 상기 유격(111a,111b,111c,121a,121b,121c)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에 각각 연결된 제1지지편(111)과 제2지지편(121)의 연결부를 절단하거나, 작업자가 제1지지편(111)과 제2지지편(121)을 손으로 잡고 구부려 부러뜨림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지지부(211)와 제4지지부(221)는 상기 필터모듈(400)의 돌출된 양측단(400a,400b)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지지편(212)과 제4지지편(222)의 절취 작업 또한 커터 등의 절단 도구를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구부려 부러뜨림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장치(1)가 좌타입인 경우, 제1지지부(110)의 제1지지편(111)과 제4지지부(221)의 제4지지편(222)은 절취하여 제거하고, 제2지지부(120)의 제2지지편(121)과 제3지지부(211)의 제3지지편(212)은 연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을 케이스(100)에 삽입하고 케이스(100)의 상면에 개방된 부분을 덮개부(200)로 덮는다.
이 경우 상기 필터모듈(400)의 일측단(400a)은 상기 제1지지편(111)이 절취된 공간(111')에 수용되어 상기 제1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필터모듈(400)의 타측단(400b)은 상기 제4지지편(222)이 절취된 공간(222')에 수용되어 상기 제4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300)의 후단(300d)과 케이스(100)의 개방구(101) 사이는 제2지지부(120)의 제2지지편(12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필터모듈(400)의 전단(400c)과 제1덮개부(210) 사이는 제3지지부(211)의 제3지지편(21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환기장치(1)가 우타입인 경우, 제2지지부(120)의 제2지지편(121)과 제3지지부(211)의 제3지지편(212)은 절취하여 제거하고, 제1지지부(110)의 제1지지편(111)과 제4지지부(221)의 제4지지편(222)은 연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을 케이스(100)에 삽입하고 케이스(100)의 상면에 개방된 부분을 덮개부(200)로 덮는다.
이 경우 상기 필터모듈(400)의 일측단(400a)은 상기 제3지지편(212)이 절취된 공간(212')에 수용되어 상기 제3지지부(21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필터모듈(400)의 타측단(400b)은 상기 제2지지편(121)이 절취된 공간(121')에 수용되어 상기 제2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300)의 후단(300d)과 케이스(100)의 개방구(101) 사이는 제1지지부(110)의 제2지지편(11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필터모듈(400)의 전단(400c)과 제2덮개부(220) 사이는 제4지지부(221)의 제4지지편(22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환기장치(1)가 좌타입 또는 우타입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케이스(100)와 덮개부(2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차(G)가 형성된 전열교환기(300)와 필터모듈(400)의 조립체를 케이스(100)의 개방구(101)에 삽입하여 조립함에 있어서, 좌타입의 환기장치의 설치시에는 제1지지편(111)과 제4지지편(222)을 절취하고, 우타입의 환기장치의 설치시에는 제2지지편(121)과 제3지지편(212)을 절취함으로써, 케이스(100) 및 덮개부(200)의 기밀이 유지되어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과 달리 기밀유지를 위해 별도로 제작된 부품을 틈새에 추가로 부착할 필요 없이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결로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환기장치 100 : 케이스
100a : 상부 케이스 100b : 하부 케이스
101 : 개방구 102 : 제1환풍구
103 : 제2환풍구 104 : 제3환풍구
105 : 제4환풍구 106 : 바닥면
107 : 제1송풍기 장착부 108 : 제2송풍기 장착부
109a,109b,109c,109d : 가이드부 110 : 제1지지부
111 : 제1지지편 111' : 제1지지편이 절취된 공간
111a,111b,111c : 유격 120 : 제2지지부
121 : 제2지지편 121' : 제2지지편이 절취된 공간
121a,121b,121c : 유격 200 : 덮개부
210 : 제1덮개부 211 : 제3지지부
212 : 제3지지편 212' : 제3지지편이 절취된 공간
220 : 제2덮개부 221 : 제4지지부
222 : 제4지지편 222' : 제4지지편이 절취된 공간
300 : 전열교환기 300a : 전열교환기의 일측단
300b : 전열교환기의 타측단 300c : 전열교환기의 전단
300d : 전열교환기의 후단 400 : 필터모듈
400a : 필터모듈의 일측단 400b : 필터모듈의 타측단
400c : 필터모듈의 전단 400d : 필터모듈의 후단
410 : 필터커버 420 : 전기집진필터
430 : 헤파필터 440 : 필터커버 고정부
450 : 필터 가이드

Claims (11)

  1.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급기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고, 양측단은 상기 전열교환기의 양측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필터모듈; 및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좌타입과 우타입에 공용으로 조립 가능하며,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한 결로방지용 케이스;
    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개방구의 양측 내측면에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양측단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1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2지지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 상기 제1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은 상기 제1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 상기 제2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은 상기 제2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은, 각각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부터 소정의 유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 중 상기 전열교환기와 필터모듈이 삽입되는 부분 이외의 공간을 덮어 밀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전단, 또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단 및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에 접촉되는 제1덮개부와,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단 및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 또는 상기 필터모듈의 전단에 접촉되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좌타입과 우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부와 제4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는 상기 필터모듈의 돌출된 양측단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3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4지지부에는 절취 가능한 제4지지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가 좌타입인 경우, 상기 제4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타측단은 상기 제4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4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환기장치가 우타입인 경우, 상기 제3지지편이 절취되어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단은 상기 제3지지편이 절취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3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190073270A 2019-06-20 2019-06-20 환기장치 KR10263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0A KR102636812B1 (ko) 2019-06-20 2019-06-20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0A KR102636812B1 (ko) 2019-06-20 2019-06-20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76A true KR20200144976A (ko) 2020-12-30
KR102636812B1 KR102636812B1 (ko) 2024-02-15

Family

ID=7408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70A KR102636812B1 (ko) 2019-06-20 2019-06-20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239A (ja) * 1995-12-27 1997-07-11 Showa Alum Corp 換気兼熱交換装置
KR20070019277A (ko) * 2005-08-1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101554013B1 (ko) * 2014-05-21 2015-09-17 홍현성 조립성과 작업성이 개선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20180027110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티아이씨 결로방지용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20180123367A (ko) * 2017-05-08 2018-11-16 (주)유원기술 전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239A (ja) * 1995-12-27 1997-07-11 Showa Alum Corp 換気兼熱交換装置
KR20070019277A (ko) * 2005-08-1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101554013B1 (ko) * 2014-05-21 2015-09-17 홍현성 조립성과 작업성이 개선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20180027110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티아이씨 결로방지용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20180123367A (ko) * 2017-05-08 2018-11-16 (주)유원기술 전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812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3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 air to animal enclosures
KR101340835B1 (ko) 열교환 환기 장치
EP2120524B1 (en) Cooling device
KR101289373B1 (ko)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1973530B1 (ko) 환기장치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JP4049054B2 (ja) 遠心送風機のスクロールケーシング、それを備えた遠心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2656775B1 (ko) 창호형 환기장치
KR20200144976A (ko) 환기장치
JPH09137984A (ja) 換気装置
KR1001961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JP694851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618026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7374747B2 (ja) Hvacユニット
JPH06313694A (ja) 熱交換器および空調換気扇
JPH07293960A (ja) 熱交換エレメントおよびそれを含む熱交換換気装置
JP200131153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115339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116356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109603A (ja) 天井吊り形空気調和機
KR101560787B1 (ko) 환기 유니트의 열교환 소자용 고정장치
KR20210125306A (ko) 전열 교환기 및 이를 갖는 환기 시스템
JP3368707B2 (ja) 空気調和装置
JPH05223305A (ja) 熱交換装置
CN220205936U (zh) 新风除湿系统
JPH10232036A (ja) 加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