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13A -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 Google Patents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13A
KR20200144313A KR1020190072182A KR20190072182A KR20200144313A KR 20200144313 A KR20200144313 A KR 20200144313A KR 1020190072182 A KR1020190072182 A KR 1020190072182A KR 20190072182 A KR20190072182 A KR 20190072182A KR 20200144313 A KR20200144313 A KR 2020014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block
centering
support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5464B1 (en
Inventor
이재환
김성헌
Original Assignee
(주)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코윈테크
Priority to KR102019007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464B1/en
Publication of KR2020014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2201/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an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The apparatus includes: a centering guide unit guiding left and right movements of a loader, which is placed in an upper part of a support body of an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such that a carrying material is placed therein,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loader and the support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loader is installed; a return guide unit guiding th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to its original position if th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gets out of both guides of a loading and unloading part by moving backward in a state in which the loader is corrected in position by being guided by the centering guide unit while being pushed by both guides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part when th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makes an entry. Therefore, the loader centering apparatus is capable of enabling the carrying material to be loaded into or unloaded from an accurate position by minimizing a stop error range of th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by automatically centering the loader where the carrying material is loaded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carrying material.

Description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Loader centering device for unmanned vehicles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본 발명은 스마트팩토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AGV, LGV 등의 무인운반차 진입 시에 로더의 위치를 센터링하고, 후퇴 시에 로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인운반차의 정지오차가 10mm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로더에 적재된 반송물에 대한 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로 반출입 시킬 수 있도록 한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enters the position of the loader when entering unmanned vehicles such as AGV and LGV used in the smart factory process, and allows the load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retreating, so that the stop error of the unmanned vehicle is 10 mm or more. Even if it occurs,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tha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loaded in the loader and allows it to be carried in and out to the correct position.

스마트팩토리 공정에서 무인운반차인 AGV, LGV 등을 적용하여 반송물을 반입 및 반출하게 되는데, 이때 무인운반차의 정지오차가 크게는 10mm 이상 발생하여 반송물을 정확한 위치로 옮겨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smart factory process, unmanned transport vehicles such as AGV and LGV are applied to carry in and carry out the transported goods.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ported goods cannot be moved to the correct position because the stopping error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is largely 10 mm or more.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As a technology to solve thi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92849호 (2001.03.2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무인 운반차의 자동 위치 보정형 이재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292849 (registered on March 27, 2001,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1') 『automatic position correction type transfer device for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s』 is presented.

문헌 1은 소정의 설정위치에 위치되었을 경우, 반송물 적재대 상에 반송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반송물 이송부, 상기 반송물 이송부가 상기 소정의 설정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 장치, 상기 반송물 이송부가 소정의 설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반송물 이송부를 상기 무인운반차의 이동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구동장치 및 상기 반송물 이송부, 센서장치 및 이송부 구동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 구동수단과 반송물 이송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송부 구동장치와 반송물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반송물을 이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인 운반차의 자동 위치 보정형 이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describes a conveyed material conveying unit that automatically conveys a conveyed article on a conveyed article loading table when i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setting position, a sensor device that detects whether the conveyed article conveying unit is located at the predetermined setting position, and the conveyed article conveying unit is It is connected to a transport unit driving device that moves the transport material transport unit in a moving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so that it can be located at a set position, and to the transport object transport unit, a sensor device, and a transport unit driving uni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By provid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veying unit driving means and the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unit to operate the conveying unit driving device and the conveying material conveying unit, since the conveyed material can be transferred to a set precise position, workability for parts requiring precision is improved.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utomatic position correction type transfer device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system becau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device.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5363호 (2008.04.2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무인반송차』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5363 (registered on April 21,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2') 『Unmanned Carriage』 is suggested.

문헌 2는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웨이퍼를 일시 수납하는 버퍼카세트와, 상기 버퍼 카세트의 개구에 설치한 압압부재를 구비한 무인반송차에 있어서, 무인반송차를 주행시킬 때, 상기 압압부재를 버퍼 카세트 개구의 측단위치로부터 중앙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켜서 웨이퍼의 끝가장자리를 접촉압압하는 구성에서는, 상기 압압부재는 웨이퍼의 외주에 마찰되어 손상되기 쉬워, 그 내구성이 문제가 되기에,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웨이퍼의 끝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압압하는 「압압」위치와, 상기 웨이퍼의 끝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한 「퇴피」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압압부재가 「퇴피」위치로부터 「압압」위치로 이행할 때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끝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순간의 상기 압압부재의 이동방향이, 상기 압압부재에 접촉되는 웨이퍼의 부위의 윤곽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한 무인반송차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is an unmanned transfer vehicle including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wafers, a buffer cassette for temporarily storing wafers, and a pressing member provided in an opening of the buffer cassette,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used when the unmanned transfer vehicle is drive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 edge of the wafer is subjected to contact pressure by sliding it from the side unit value of the buffer cassette opening to the center position, the pressure member is easily damaged by rubbing agains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fer, and its durability becomes a problem. The press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a "press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wafer to pressurize and a "retract" position separated from the edge of the wafer, and the pressing member is "pressurized" from the "retract"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configured such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at the moment of contacting the edge of the wafer when shifting to the position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tour of the portion of the waf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92849호 (2001.03.27.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92849 (registered on March 27, 2001)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5363호 (2008.04.21.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5363 (Registered on April 21, 2008)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에서 반출입 되는 반송물이 적재된 로더의 위치를 센터링하여 정확한 위치로 반송물의 반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무인운반차 운행 시 로더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어 정밀한 반출입이 요구되는 공정에 적합한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enters the position of the loader loaded with the transported goods carried in and out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so that transported goods can be carried in and out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load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is operat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uitable loader centering device for unmanned vehicles.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oader centering device for an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인운반차의 지지체 상부에 배치되어 반송물이 안착되는 로더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로더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로더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링가이드유닛; 및A centering guide unit disposed above the support body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d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loader in a state where a loader on which the conveyed object is seated is provided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loader; And

상기 로더가 상기 무인운반차 진입 시 반출입파트의 양 가이드에 의해 밀림과 동시에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에 의해 안내되어 위치 보정된 상태에서 상기 무인운반차가 후퇴하여 상기 반출입파트의 양 가이드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원위치 되도록 안내하는 리턴가이드유닛;When the loader enters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it is pushed by both guides of the carry-in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guided by the centering guide unit and the position is corrected.Whe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retreats and deviates from both guides of the carry-in part, it is guided to its original position. A return guide unit;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는,The loader centering device for an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인운반차인 AGV, LGV 등의 특성상 발생하는 10mm 이상의 정지오차를 감안하여 반송물에 대한 반출입 시 반송물이 적재된 로더를 자동으로 센터링함으로써, 무인운반차의 정지오차 범위를 1mm 이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로 반송물이 반출입 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By automatically centering the loader loaded with the transported object when carrying in/out the transported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top error of 10mm or more that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AGV, LGV, etc., the range of the stop error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can reach less than 1mm. The greatest effect is that the transported goods can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correct location.

도 1은 무인운반차의 지지체 및 로더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에 의해 로더가 센터링 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다른 예의 리턴가이드유닛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12는 변위수단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13은 변위수단에 의해 센터링페이스가 위치 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and a loader of an unmanned vehicle,
2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ader centering device of an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2;
Figure 4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Figure 2,
5 to 10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loader is centered by a loader centering device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turn guide unit;
12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isplacement means,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ing face by the displacement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4를 기준으로 프론트레일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리어레일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4를 기준으로 한 쌍의 사이드블록 중 왼쪽에 위치한 사이드블록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오른쪽에 위치한 사이드블록 측을 우부(右部) 또는 우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Based on FIG. 4, the front rail side is designated as front or front, and the rear rail side is designated as rear or rear, and a side block located on the left of a pair of side blocks based on FIG. 4 The direction is specified as the left part or the left side, and the side block side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the right part or the right side.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하게 되는 무인운반차는 산업현장에서 무인으로 운행하면서 반송물을 운반하기 위한 AGV(Automated autonomous guided vehicles, 자율 주행 차량)와 LGV(Laser guided vehicles, 레이저 유도 차량) 등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utomated autonomous guided vehicle (AGV) and a laser guided vehicle (LGV) for transporting a transport while driving unmanned in an industrial site.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는,As shown in Figures 1 to 13,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센터링가이드유닛(100) 및 리턴가이드유닛(200)으로 이루어진다.It is largely composed of a centering guide unit 100 and a return guide unit 20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센터링가이드유닛(100)은The centering guide unit 100 i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1 to 4,

무인운반차(10)의 지지체(11) 상부에 배치되어 반송물(1)이 안착되는 로더(12)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와 상기 로더(12)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로더(1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The loader 12 is disposed on the support 11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and is provided with the loader 12 o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1 is seate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11 and the loader 12 to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loader 12,

상기 지지체(11)의 상부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길이를 갖는 프론트레일(101),Front rail 101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support 11 and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상기 지지체(11)의 상부 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레일(101)과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리어레일(102),A rear rail 102 installed on the upper and rear side of the support 11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front rail 101 and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상기 로더(12)의 하부 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레일(10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프론트슬라이더(103),Two or more front sliders 103 install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loader 12 and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rail 101,

상기 로더(12)의 하부 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어레일(102)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리어슬라이더(104), 그리고Two or more rear sliders 104 install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loader 12 and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rear rail 102, and

상기 로더(12)의 양단에 세워져 상기 무인운반차(10) 진입 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 접촉하게 되는 한 쌍의 센터링페이스(105)A pair of centering faces 105 that are erected at both ends of the loader 12 and come into contact with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s 20 when entering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여기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레일(101, 102)이 전방과 후방 각각에 배치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일예이고 상기 로더(12) 및 이에 적재되는 반송물(1)의 중량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게 그 수량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4, although the rails 101 and 102 ar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this is an example, and the weight or size of the loader 12 and the conveyed material 1 loaded thereto is considered. Therefore, the quantity can be changed accordingly.

그리고 상기 각 레일(101, 102)과 각 슬라이더(103, 104)는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각 레일을 따라 각 슬라이더가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엘엠가이드(LM Guide)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each of the rails 101 and 102 and each of the sliders 103 and 104 are formed of an LM Guide structure that allows each slider to perform linear motion along each rail in a mutually coupled state.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는 전후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구형(球形)의 볼캐스터(22)가 구비되는데, 상기 볼캐스터(22)는 상기 양 가이드(21) 내에 일부가 은닉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서, 은닉된 상태에서 외부 접촉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5, there are two or more spherical ball casters 22 disposed back and forth on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the ball casters 22 include both guides ( 21) It is a form in which part of the inside is concealed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oncealed state, the cloud movement is performed by external contact.

아울러 상기 반출입파트(20)는 무인운반차(10)가 진입하여 반송물을 반입 또는 반출하게 되는 공정이 요구되는 공정 파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로 적재 보관 파트, 검사 파트, 공급 파트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y-in/out part 20 refers to a process part that requires a process for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to enter and carry in or carry out the transported product.For example, a loading and storage part, an inspection part, a supply part, etc. I can.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는 상기 로더(12)의 양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 구조로서, 특히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의 전방 측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프론트가이드(105a)가 형성되며,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의 후방 측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리어가이드(105b)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무인운반차(10)가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로 진입 시 상기 프론트가이드(105a)에 의해 좀 더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무인운반차(10)가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에서 후퇴 시 상기 리어가이드(105b)에 의해 좀 더 용이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로더(12)의 방향이 180도 회전되어 바뀐 상태에서 상기 리어가이드(105b)가 상기 프론트가이드(105a)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as shown in Figure 4, each centering face 105 is a wall structure erected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loader 12, in particular,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the front end of each centering face 105 A front guide 105a is formed, and a rear guide 105b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a rear end of each centering face 105. This allows the unmanned vehicle 10 to enter more easily by the front guide 105a when entering between the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the unmanned vehicle 10 When retreating between the two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the rear guide 105b makes it easier to retreat, or the loader 12 is rotated 180 degrees and the rear This is to allow the guide 105b to perform the role of the front guide 105a.

리턴가이드유닛(200)은Return guide unit 200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to 13,

상기 로더(12)가 상기 무인운반차(10) 진입 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 의해 밀림과 동시에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100)에 의해 안내되어 위치 보정된 상태에서 상기 무인운반차(10)가 후퇴하여 상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원위치 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When the loader 12 enters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it is pushed by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at the same time, it is guided by the centering guide unit 100 to correct the position. When the car 10 retreats and deviates from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상기 지지체(11)의 상부 중앙 영역에 좌우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01),A pair of side blocks 201 installed to be left and right spaced apart in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11,

상기 로더(12)의 하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센터블록(202), 그리고A center block 202 installed in the lower central area of the loader 12 and interposed between each side block 201, and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 중 좌측 사이드블록(201)과 센터블록(202), 그리고 센터블록(202)과 우측 사이드블록(201)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리턴스프링(203)Two or more return springs 203 disposed between the left side block 201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right side block 201 among the side blocks 20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여기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리턴스프링(203)은 좌측 사이드블록(201)과 센터블록(202), 그리고 센터블록(202)과 우측 사이드블록(201) 사이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로더(12) 및 이에 적재되는 반송물(1)의 중량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게 각 블록(201, 2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더 많은 수량의 리턴스프링(203)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4, the return spring 203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side block 201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right side block 201, This is an exampl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r size of the loader 12 and the conveyed material 1 loaded thereto, a larger number of return springs 203 will be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block 201 and 202 accordingly. It can be.

그리고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과 센터블록(202)에서 상기 리턴스프링(203)의 양단이 접하게 되는 영역에 홈을 형성시킨 후 이 홈에 상기 리턴스프링(203)의 양단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리턴스프링(203) 압축 시 또는 압축 해제에 따른 복원 시에 상기 리턴스프링(203)이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과 센터블록(202) 사이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nd after forming a groove in the area where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 203 ar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side blocks 201 and the center block 202,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 203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When the return spring 203 is compressed or decompressed, the return spring 203 may be implemented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side blocks 201 and the center block 202.

다른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리턴가이드유닛(200)은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유통홀(204)과, 상기 센터블록(202)의 양 외벽에 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유통홀(204)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리턴스프링(203)이 끼워지게 되는 둘 이상의 리턴로드(205)를 더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return guide unit 200 has a distribution hole 204 formed to pass through each side block 201 left and right, and is connected to both outer walls of the center block 202 and ends. It further includes two or more return rods 205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204 and into which the return spring 203 is fitted.

결국 상기 리턴스프링(203) 압축 시 또는 압축 해제에 따른 복원 시에 상기 리턴로드(20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압축 및 복원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로더(12)가 안정적으로 원위치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As a result, the loader 12 is stably in its original position as compression and restoration are performed in a state stably supported by the return rod 205 when the return spring 203 is compressed or restored due to decompression. Help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는 변위(變位)수단(30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placement (變位) means 300,

상기 변위수단(300)은The displacement means 300 is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12 and 13,

상기 로더(12)의 상부 양측에 전후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우 길이를 갖는 지지블록(301),Support blocks 301 installed to be disposed back and forth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ader 12 and having left and right lengths,

상기 지지블록(30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수직형 변위블록(302),A vertical displacement block 302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301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301,

상기 변위블록(302)에 외측으로 개구된 T자형 단면 공간을 갖는 승강홈(303),An elevating groove 303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pace opened outwar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상기 센터링페이스(105)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홈(303)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 되는 T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승강돌기(304),The lifting protrusion 304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entering face 105 and fitted in the lifting groove 303 to slide up and down,

상기 변위블록(302)에 체결되어 조임 시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301)을 가압하게 되는 제1조임볼트(305), 그리고A first tightening bolt 305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so that an end presses the support block 301 when tightened, and

상기 변위블록(302)에 체결되어 조임 시 단부가 상기 승강돌기(304)를 가압하게 되는 제2조임볼트(306)A second tightening bolt 306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so that the end presses the lifting protrusion 304 when tighten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제1조임볼트(305)는 핀으로도 대체할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변위블록(302)에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301)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대응 핀 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변위블록(302)에 대한 위치 조정 후 각 구멍에 핀을 박아 고정함으로써, 상기 변위블록(302), 즉 상기 센터링페이스(105)에 대한 좌우 위치 조정 및 고정이 가능하다.(도 13의 [가] 및 [나] 참조)At this time, the first tightening bolt 305 may be replaced with a pin. For example, a pin hole is formed in the displacement block 302 a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in holes are formed in the support block 301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In the formed state, by driving and fixing a pin in each hole after positioning the displacement block 302,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fix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displacement block 302, that is, the centering face 105 (Fig. See [A] and [B] of 13)

또한 상기 제2조임볼트(306)는 상기 제1조임볼트(305)와 마찬가지로, 핀으로도 대체할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변위블록(302)에 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돌기(304)에 대응 핀 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링페이스(105)에 대한 상하 위치 조정 후 각 구멍에 핀을 박아 고정함으로써, 상기 센터링페이스(105)에 대한 상하 위치 조정 및 고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ightening bolt 306, like the first tightening bolt 305, can also be replaced with a pin, for example, a plurality of pin holes are formed in the displacement block 30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of. In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pin hole is formed in the lifting protrusion 304, afte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ing face 105, by driving and fixing a pin in each hole,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fix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entering face 105 It is possible.

따라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 폭이나 상하 위치에 맞게 상기 변위수단(300)을 통해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의 좌우 및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each of the centering faces 105 through the displacement means 300 according to the width or vertical position between the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변위수단(300)은 상기 변위블록(302)에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지지블록(301)의 상면 안착용 롤러(307a)를 갖는 서브블록(307)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지지블록(301)을 따라 상기 변위블록(302)이 좌우 이동한 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록(301)과 상기 변위블록(302) 간의 결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센터링페이스(105)가 상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와의 접촉 시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And as shown in Figure 12, the displacement means 300 is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and further comprises a sub-block 307 having a roller (307a) for se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1 at the end. , This is the centering face while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lock 301 and the displacement block 302 in a fixed state after the displacement block 302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support block 301 This is to prevent as much as possible from being deformed when 105 contacts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도 5에서와 같이,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무인운반차(10)의 로더(12) 중심선이 좌측으로 벗어나게 무인운반차(10)가 진입하게 되는 경우,5, when the unmanned vehicle 10 enters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loader 12 of the unmanned vehicle 10 deviates to the left based on the center line between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도 6에서와 같이, 그대로 무인운반차(10)가 진입하면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중 좌측 가이드(21)에 좌측에 위치한 센터링페이스(105)가 최초 접촉하게 됨으로써, 점차 상기 로더(12)가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10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As shown in FIG. 6, as the unmanned vehicle 10 enters as it is, the centering face 105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guide 21 among the guides 21 of the carry-in part 20 first contacts the The loader 12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centering guide unit 100,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리턴가이드유닛(200)의 센터블록(202)이 상기 로더(12)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센터블록(202)과 우측에 위치한 사이드블록(201) 사이에 배치된 리턴스프링(203)이 압축되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 중심선과 무인운반차(10)의 로더(12) 중심선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 로더(12)에 대한 센터링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더(12)에 반송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된 반송물을 검사 또는 반출하는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center block 202 of the return guide unit 200 moves to the right with the loader 1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side block 201 located on the right. The returned spring 203 is compressed, and the center line between the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the center line of the loader 12 of the unmanned vehicle 10 coincide with each other. Eventually, centering for the loader 12 is established. In the state set in this way, the loader 12 is loaded with a conveyed material or a process of inspecting or carrying out the loaded conveyed material is performed.

이러한 공정이 완료된 후,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를 따라 무인운반차(10)가 빠져나오게 되면, 압축되었던 상기 리턴스프링(203)이 복원되면서 상기 센터블록(202)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센터블록(202)이 설치된 상기 로더(12) 또한 원위치로 복귀된다.After this process is completed, whe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exits along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the compressed return spring 203 is restored and the center block 20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eturning, the loader 12 on which the center block 202 is installed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무인운반차(10)의 로더(12) 중심선이 우측으로 치우치게 벗어난 경우,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center line of the loader 12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is skew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etween the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도 9에서와 같이, 그대로 무인운반차(10)가 진입하면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중 우측 가이드(21)에 우측에 위치한 센터링페이스(105)가 최초 접촉하게 됨으로써, 점차 상기 로더(12)가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10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As shown in FIG. 9, as the unmanned vehicle 10 enters as it is, the centering face 105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ght guide 21 among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 part 20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e loader 12 is moved to the left by the centering guide unit 100,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리턴가이드유닛(200)의 센터블록(202)이 상기 로더(12)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센터블록(202)과 좌측에 위치한 사이드블록(201) 사이에 배치된 리턴스프링(203)이 압축되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 사이 중심선과 무인운반차(10)의 로더(12) 중심선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 로더(12)에 대한 센터링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더(12)에 반송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된 반송물을 검사 또는 반출하는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center block 202 of the return guide unit 200 moves to the left together with the loader 1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side block 201 located on the left. The returned spring 203 is compressed, and the center line between the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the center line of the loader 12 of the unmanned vehicle 10 coincide with each other. Eventually, centering for the loader 12 is established. In the state set in this way, the loader 12 is loaded with a conveyed material or a process of inspecting or carrying out the loaded conveyed material is performed.

이러한 공정이 완료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를 따라 무인운반차(10)가 빠져나오게 되면, 압축되었던 상기 리턴스프링(203)이 복원되면서 상기 센터블록(202)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센터블록(202)이 설치된 상기 로더(12) 또한 원위치로 복귀된다.After this proces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exits along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the compressed return spring 203 is restored and the center block 202 )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loader 12 in which the center block 202 is installed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무인운반차
11 : 지지체
12 : 로더
20 : 반출입파트
21 : 가이드
22 : 볼캐스터
100 : 센터링가이드유닛
101 : 프론트레일
102 : 리어레일
103 : 프론트슬라이더
104 : 리어슬라이더
105 : 센터링페이스
105a : 프론트가이드
105b : 리어가이드
200 : 리턴가이드유닛
201 : 사이드블록
202 : 센터블록
203 : 리턴스프링
204 : 유통홀
205 : 리턴로드
300 : 변위수단
301 : 지지블록
302 : 변위블록
303 : 승강홈
304 : 승강돌기
305 : 제1조임볼트
306 : 제2조임볼트
307 : 서브블록
307a : 롤러
10: Unmanned vehicle
11: support
12: loader
20: carry-in/out part
21: guide
22: ball caster
100: centering guide unit
101: front rail
102: rear rail
103: front slider
104: rear slider
105: centering face
105a: Front guide
105b: rear guide
200: return guide unit
201: side block
202: center block
203: return spring
204: distribution hall
205: return rod
300: displacement means
301: support block
302: displacement block
303: elevating groove
304: lifting protrusion
305: Article 1 tightening bolt
306: Article 2 tightening bolt
307: subblock
307a: roller

Claims (7)

무인운반차(10)의 지지체(11) 상부에 배치되어 반송물(1)이 안착되는 로더(12)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와 상기 로더(12)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로더(1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링가이드유닛(100); 및
상기 로더(12)가 상기 무인운반차(10) 진입 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 의해 밀림과 동시에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100)에 의해 안내되어 위치 보정된 상태에서 상기 무인운반차(10)가 후퇴하여 상기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원위치 되도록 안내하는 리턴가이드유닛(2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loader 12 is disposed on the support 11 of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and is provided with the loader 12 o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1 is seate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11 and the loader 12 to Centering guide unit 100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loader 12; And
When the loader 12 enters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it is pushed by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nd at the same time, it is guided by the centering guide unit 100 to correct the position. A return guide unit 200 for guiding the vehicle 10 to be retracted and deviated from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so as to be in an original position;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the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가이드유닛(100)은
상기 지지체(11) 상부 전방 측에 설치되고 좌우 길이를 갖는 프론트레일(101)과,
상기 지지체(11) 상부 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레일(101)과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리어레일(102)과,
상기 로더(12)의 하부 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레일(10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프론트슬라이더(103)와,
상기 로더(12)의 하부 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어레일(102)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리어슬라이더(104)와,
상기 로더(12)의 양단에 세워져 상기 무인운반차(10) 진입 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 접촉하게 되는 한 쌍의 센터링페이스(10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ing guide unit 100 is
A front rail 101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support 11 and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 rear rail 102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support 11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rail 101 and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Two or more front sliders 103 install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loader 12 and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rail 101,
Two or more rear sliders 104 install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loader 12 and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rear rail 102,
A pair of centering faces 105 that are erected at both ends of the loader 12 and come into contact with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s 20 when entering 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10
A loader centering device for an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 항에 있어서,
반출입파트(20)의 양 가이드(21)에는 전후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구형(球形)의 볼캐스터(22)가 구비되고,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의 전방 측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프론트가이드(105a)가 형성되며,
상기 각 센터링페이스(105)의 후방 측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리어가이드(105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wo or more spherical ball casters 22 disposed back and forth are provided on both guides 21 of the carry-in/out part 20,
A front guide 105a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each centering face 105,
A loader centering device for an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rear guide (105b)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a rear end of each of the centering faces (10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가이드유닛(200)은
상기 지지체(11)의 상부 중앙 영역에 좌우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01)과,
상기 로더(12)의 하부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센터블록(202)과,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 중 좌측 사이드블록(201)과 센터블록(202), 그리고 센터블록(202)과 우측 사이드블록(201)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리턴스프링(20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turn guide unit 200 is
A pair of side blocks 201 installed to be left and right spaced apart in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11,
A center block 202 installed in the lower central area of the loader 12 and interposed between the side blocks 201,
Two or more return springs 203 disposed between the left side block 201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center block 202 and the right side block 201 among the side blocks 201
The loader centering device of the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가이드유닛(200)은
상기 각 사이드블록(201)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유통홀(204)과,
상기 센터블록(202)의 양 외벽에 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유통홀(204)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리턴스프링(203)이 끼워지게 되는 둘 이상의 리턴로드(2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eturn guide unit 200 is
A distribution hole 204 formed to penetrate left and right through each side block 201,
Two or more return rods 205 which are connected to both outer walls of the center block 202, the ends of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204 and into which the return spring 203 is fitted
A loader centering device of an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12)의 상부 양측에 전후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우 길이를 갖는 지지블록(301)과,
상기 지지블록(30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블록(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수직형 변위블록(302)과,
상기 변위블록(302)에 외측으로 개구된 T자형 단면 공간을 갖는 승강홈(303)과,
상기 센터링페이스(105)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홈(303)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 되는 T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승강돌기(304)와,
상기 변위블록(302)에 체결되어 조임 시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301)을 가압하게 되는 제1조임볼트(305)와,
상기 변위블록(302)에 체결되어 조임 시 단부가 상기 승강돌기(304)를 가압하게 되는 제2조임볼트(306)
로 이루어진 센터링페이스용 변위(變位)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Support blocks 301 installed to be disposed back and forth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ader 12 and having a left and right length,
A vertical displacement block 302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301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301,
An elevating groove 303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pace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cement block 302,
An elevating protrusion 304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entering face 105 and fitted in the elevating groove 303 to slide up and down,
A first tightening bolt 305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and pressurizes the support block 301 at an end thereof when tightened,
A second tightening bolt 306 that is fasten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so that the end presses the lifting protrusion 304 when tightened.
A loader centering device for an unmann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cement means (300) for a centering face made 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300)은 상기 변위블록(302)에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지지블록(301)의 상면 안착용 롤러(307a)를 갖는 서브블록(3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의 로더 센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cement means 300 further comprises a sub-block 307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block 302 and having a roller 307a for moun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1 at an end thereof. Loader centering device.
KR1020190072182A 2019-06-18 2019-06-18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KR102225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82A KR102225464B1 (en) 2019-06-18 2019-06-18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82A KR102225464B1 (en) 2019-06-18 2019-06-18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13A true KR20200144313A (en) 2020-12-29
KR102225464B1 KR102225464B1 (en) 2021-03-09

Family

ID=7409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82A KR102225464B1 (en) 2019-06-18 2019-06-18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4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3361A (en) * 2022-11-30 2023-03-07 烟台中孚冷链设备有限公司 AGV automatic guidance dolly is carried to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149B1 (en) 2021-05-17 2021-12-01 주식회사 칼만텍 Movable platform
KR102534823B1 (en) 2021-11-11 2023-05-26 주식회사 칼만텍 Movable platform with independent suspen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49B1 (en) 1998-08-24 2001-06-15 황해웅 Automatic Position Correction Transfer Device of Unmanned Carrier
JP2003063638A (en) * 2001-08-29 2003-03-05 Nippon Yusoki Co Ltd Carriage
KR100825363B1 (en) 2001-09-18 2008-04-28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Automatic guided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849B1 (en) 1998-08-24 2001-06-15 황해웅 Automatic Position Correction Transfer Device of Unmanned Carrier
JP2003063638A (en) * 2001-08-29 2003-03-05 Nippon Yusoki Co Ltd Carriage
KR100825363B1 (en) 2001-09-18 2008-04-28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Automatic guided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3361A (en) * 2022-11-30 2023-03-07 烟台中孚冷链设备有限公司 AGV automatic guidance dolly is carried to material
CN115743361B (en) * 2022-11-30 2023-09-15 烟台中孚冷链设备有限公司 Automatic guided vehicle of AGV for convey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464B1 (en)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464B1 (en) Loader centering apparatus for unmanned vehicle
CN106477217B (en) Article carrying apparatus
US6604984B2 (en) Grinding machine for machining sheets of glass
CN105083978A (en) Transport device
JP2009298223A (en) Unmanned conveying vehicle
KR20210000708U (en) An automated warehouse
JP2005515136A (en) Equipment,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braking
CN110560378A (en) Test line
US20190382213A1 (en) Stocker
US10525867B2 (en) Transport vehicle
KR20010053460A (en) Device for the automated tooling of works
KR202100413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JP5372422B2 (en) Work transfer equipment for transport cart
KR20200100982A (en) Stockr unit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having the same
CN115502795A (en) Feeding device, feed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grinding machine, equipment and medium
KR10229741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oading or unroding bobbin
CN115709400A (en) Lifting assembly, grinding machine and lifting control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thereof
CN211330305U (en) Test line
KR102180636B1 (en) Modular in-line system to manufacture camera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ystem
US10611578B2 (en) Conveying operation equipment
KR101936876B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motor casing fault
KR102316979B1 (en) Docking guide apparatus for transporting robot
JPS6247656B2 (en)
KR20210000475A (en)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alignment and pickup improvement system
JPH0748573Y2 (en) Positioning transfer mechanism of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