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908A -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908A
KR20200143908A KR1020190071578A KR20190071578A KR20200143908A KR 20200143908 A KR20200143908 A KR 20200143908A KR 1020190071578 A KR1020190071578 A KR 1020190071578A KR 20190071578 A KR20190071578 A KR 20190071578A KR 20200143908 A KR20200143908 A KR 20200143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tone
mold
stone molding
manufactur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056B1 (ko
Inventor
류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씨엔텍
Priority to KR102019007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0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81Embedding aggregates to obtain particular properties
    • B28B23/0087Lightweight aggregates for making lightweigh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성형작업이 간편하므로 인조석 몰딩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작 가능하도록,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내부에 인조석 몰딩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되, 캐비티의 위쪽 끝면 및 양쪽 끝면이 개구되는 금형본체와,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캐비티의 개구되는 양쪽 끝면을 폐쇄하는 한 쌍의 측면덮개와,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측면덮개를 지지하고 금형본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 해제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재와, 캐비티 내부를 양쪽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인조석 몰딩에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Manufacture Mold for Artificial Stone Molding}
본 발명은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일정 부분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원료와 무게를 줄인 인조석 몰딩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주택 등의 건물에 있어서 내벽이나 외벽을 평면으로만 처리하게 되면 전체적인 미감이 밋밋하게 되므로, 기단이나 문설주, 내벽의 천정, 외벽의 층간 사이 등에 다양한 모양의 몰딩을 설치하여 내벽 및 외벽을 장식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된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건축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건물의 내벽뿐만아니라 외벽도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몰딩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몰딩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벽과 천정 사이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공간을 메워주는 코니스(cornice)와 건축물의 벽이나 천정뿐만아니라 둘레에도 설치되는 트림(trim) 등이 있다.
종래 몰딩의 재료로는 나무나 석회, 합성수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일부에서는 대리석, 철재, FRP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나무나 석회로 만든 몰딩은 강도가 약하고 습기에 취약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합성수지 몰딩은 열과 햇빛에 약하여 여름에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또 대리석이나 철재, FRP 등으로 만든 몰딩은 대량생산이 어렵고, 시공도 전문 기능공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높고, 대리석이나 철재의 경우 재료비도 고가여서 널리 보급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리석 몰딩의 경우에는 중량이 무거워 설치 작업이 힘들고,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나아가 우레탄이나 FRP 등으로 만든 몰딩의 경우에는 중량의 감소 및 재료의 절감을 위하여 내부가 빈 중공형상으로 제작되어 설치되는데, 내부가 비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떨어질 때에 소리가 울려서 소음이 심하고, 작업자가 발을 디디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880662호에는 내부에 경량재를 채우고 외부를 인조석으로 마감하는 인조석 몰딩을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이 공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880662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은 캐비티에 충진되는 경량충진재의 부력에 의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판 및 보강부재가 설치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인조석 몰딩 성형시마다 매번 누름판을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경량재의 설치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인조석 몰딩 제조시 작업시간이 감소하고 인조석 몰딩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내부에 인조석 몰딩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되, 상기 캐비티의 위쪽 끝면 및 양쪽 끝면이 개구되는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개구되는 양쪽 끝면을 폐쇄하는 한 쌍의 측면덮개와,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덮개를 지지하고 상기 금형본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 해제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재와, 상기 캐비티 내부를 양쪽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인조석 몰딩에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에는 상기 측면덮개가 지지되는 받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덮개에는 상기 공간형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결합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측면덮개의 일측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측면덮개가 금형본체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고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죔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금형본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풀림방지와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는 막대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이 한 쌍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본체와 결합되게 설치된다.
상기 너트의 일측에는 풀림방지와셔가 설치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양쪽이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인조석 몰딩에 복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인조석 몰딩의 내부에 용이하게 빈 공간을 형성하여 중공 구조의 인조석 몰딩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운 제품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종래 인조석 몰딩 제조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조석 몰딩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경량충진재을 채우고 누름판을 설치 및 분해하는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부품이 감소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에 의하면, 측면덮개의 밀착 및 밀착 해제가 용이하므로 금형 조립 및 탈형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인조석 몰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금형본체(20)와, 측면덮개(30)와, 클램핑부재(40)와, 중공형성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금형본체(20)가 변형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형본체(20)를 지지하도록 금형본체(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제1프레임부재(12)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재(12)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제2프레임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금형본체(20) 및 인조석 몰탈의 중량을 충분하게 지지하고 작업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형본체(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인조석 몰딩(2)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2)를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22)는 인조석 몰딩(2)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위쪽 끝면 및 양쪽 끝면이 개구된다.
상기 캐비티(22)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조석 몰딩(2)의 외면 형상을 미려한 장식성을 갖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조석 몰딩(2)의 성형원료가 되는 인조석 몰탈은 골재 대략 30~90중량%, 시멘트 10~70중량%를 혼합한 원료에 물을 첨가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조석 몰탈의 원료에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감수제, 고강도혼화제 등의 첨가제를 원료 전체에 대하여 1∼30중량%의 범위에서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형본체(20)의 상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된 위쪽 끝면을 덮는 상부덮개(2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28)는 상기 금형본체(20)의 개구된 위쪽 끝면보다 넓은 면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과 금형본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상부덮개(28)가 설치되면 상기 캐비티(22)에 인조석 몰탈을 주입 후 캐비티(22)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고 상부덮개(28)와 접하는 인조석 몰딩(2)의 표면이 평활해질 수 있다.
상기 금형본체(20)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측면덮개(30)가 지지되는 받침턱(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덮개(3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본체(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22)의 개구되는 양쪽 측면을 폐쇄하는 것에 의하여 캐비티(22)에 주입되는 인조석 몰탈의 유출을 차단한다.
상기 금형본체(20)와 측면덮개(30) 사이에는 틈새의 기밀을 위해 실링부재(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1)는 수지, 고무, 우레탄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1)는 일측면이 상기 금형본체(2) 양쪽 끝면 또는 측면덮개(3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덮개(30)는 상기 금형본체(20)의 길이방향 양쪽 측면 쪽에 인조석 몰딩(2)의 측면을 수직면으로 형성하여 인조석 몰딩을 건물 등에 연이어서 설치시 이웃하는 인조석 몰딩 사이에 틈새가 없애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 탈형을 위한 빼기 기울기를 각 측면에 설정하게 되는 데, 인조석 몰딩의 경우에 길이방향 측면에 빼기 기울기가 형성되면 인조석 몰딩을 건물 등에 연이어서 길게 설치할 때에 이웃하는 인조석 몰딩의 측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틈새에 실리콘 등을 채우는 작업을 행하여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 측면덮개(30)는 상기 클램핑부재(40)에 의해 금형본체(20)의 양쪽에 밀착되거나 밀착이 해제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클램핑부재(40)는 상기 측면덮개(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와 나사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측면덮개(30)가 금형본체(20)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는 죔볼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41)는 상기 측면덮개(30)의 금형본체(30) 반대편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대(41)는 상기 금형본체(30)와 지지대(41) 사이에 측면덮개(30)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41)는 상기 금형본체(20)의 양쪽에 각각 한 쌍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덮개(30)의 금형본체(30) 반대편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1)는 상기 측면덮개(30)와 금형본체(20) 간에 밀착 해제시 측면덮개(30)와 금형본체(20) 사이가 일정 간격 벌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죔볼트(42)는 상기 지지대(41)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죔볼트(42)는 한쪽으로 회전시 측면덮개(30)를 금형본체(20)와 밀착시켜 상기 캐비티(22) 내부에 주입되는 인조석 몰탈의 유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죔볼트(42)는 반대쪽으로 회전시 상기 금형본체(20)로부터 측면덮개(30)을 밀착을 해제하여 측면덮개(30)가 인조석 몰딩(2)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죔볼트(42)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손잡이(43)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부재(40)는 상기 금형본체(20)의 양쪽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1)는 대략 막대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이 한 쌍의 볼트(44)와 너트(45)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본체(20)와 결합된다.
상기 너트(45)의 일측에는 풀림방지와셔(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와셔(46)는 상기 캐비티(22) 내부에 인조석 몰탈 주입 후 다짐작업을 위해 상기 프레임(10)에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해 너트(45)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상기 캐비티(22) 내부를 양쪽으로 가로질로 설치되고 캐비티(22) 내부에 주입되는 인조석 몰탈이 양생되면 길이방향으로 빼내어 분리시킴에 따라 인조석 몰딩(2)에 중공(4)을 형성한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인조석 몰탈과 분리시키지 않고 일체가 되어 인조석 몰딩(2)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의 외면에는 인조석 몰탈과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이형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인조석 몰탈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쪽이 상기 캐비티(22)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덮개(30)에는 상기 중공형성부재(50)의 양쪽이 상기 캐비티(22)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결합구멍(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35)은 상기 중공형성부재(5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끼움결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간형성부재(50)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중공형성부재(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고, 단면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형성부재(5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캐비티(2) 내부에 빈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여 원재료비가 절감되고 무게가 감소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2 : 인조석 몰딩 4 : 중공
10 : 프레임 12 : 제1프레임부재
14 : 제2프레임부재 20 : 금형본체
22 : 캐비티 24 : 받침턱
28 : 덮개판 30 : 측면덮개
35 : 결합구멍 40 : 클램핑부재
41 : 지지대 42 : 죔볼트
44 : 볼트 45 : 너트
46 : 풀림방지와셔 50 : 중공형성부재

Claims (7)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내부에 인조석 몰딩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되, 상기 캐비티의 위쪽 끝면 및 양쪽 끝면이 개구되는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개구되는 양쪽 끝면을 폐쇄하는 한 쌍의 측면덮개와,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덮개를 지지하고 상기 금형본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 해제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재와,
    상기 캐비티 내부를 양쪽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인조석 몰딩에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본체의 양쪽에는 상기 측면덮개가 지지되는 받침턱을 더 형성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측면덮개의 일측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측면덮개가 금형본체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되고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복수의 죔볼트를 포함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막대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이 한 쌍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본체와 결합되게 설치하고,
    상기 너트의 일측에는 풀림방지와셔를 설치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성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설치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성부재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성부재는 양쪽이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측면덮개에는 상기 공간형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결합구멍을 관통 형성하는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KR1020190071578A 2019-06-17 2019-06-17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KR10238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78A KR102384056B1 (ko) 2019-06-17 2019-06-17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78A KR102384056B1 (ko) 2019-06-17 2019-06-17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08A true KR20200143908A (ko) 2020-12-28
KR102384056B1 KR102384056B1 (ko) 2022-04-07

Family

ID=7408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78A KR102384056B1 (ko) 2019-06-17 2019-06-17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0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345A (ko) * 2007-06-28 2009-01-09 주식회사 류림스톤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JP2012071547A (ja) * 2010-09-29 2012-04-12 Taiheiyo Cement Corp セラミックス製品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ス成形用鋳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345A (ko) * 2007-06-28 2009-01-09 주식회사 류림스톤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JP2012071547A (ja) * 2010-09-29 2012-04-12 Taiheiyo Cement Corp セラミックス製品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ス成形用鋳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056B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825B2 (en) Prefabricated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columns
US20050242468A1 (en) Composite capping block
KR10081264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10075573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 제조방법
CN113500690B (zh) 一种uhpc外墙装饰板的制作工艺
KR101060401B1 (ko) 건물 내 외벽 장식용 경량 ds몰딩 제조방법
KR20200143908A (ko)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US7931248B2 (en) Flat mold for corner-shaped simulated stone products
KR200404410Y1 (ko)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RU126730U1 (ru) Тепло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KR100880662B1 (ko)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KR101646527B1 (ko)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0362356B1 (ko)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KR20090132155A (ko) 건물 장식용 조립식 복합 몰딩
GB2431329A (en) Polystyrene structure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0720953B1 (ko) 에이엘씨 스톤패널
KR20090109641A (ko) 건축물 외장재
JP6179495B2 (ja) 成形用型枠装置
KR100734527B1 (ko) 건축물 외장재
KR102190967B1 (ko)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KR200391687Y1 (ko) 건축물 외장재
JPH0363342A (ja) 建物構造体の壁体装置
KR20170121494A (ko) 나뭇결무늬 연출용 고무금형 제조방법
JP4471774B2 (ja) 塀付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