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641A - 건축물 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9641A KR20090109641A KR1020080035002A KR20080035002A KR20090109641A KR 20090109641 A KR20090109641 A KR 20090109641A KR 1020080035002 A KR1020080035002 A KR 1020080035002A KR 20080035002 A KR20080035002 A KR 20080035002A KR 20090109641 A KR20090109641 A KR 200901096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xterior
- building
- wall
- fix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보호와 장식을 목적으로 씌워지는 건축물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판재의 4변 중 어느 하나의 변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에 씌워질 때 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유지하여 주는 한 쌍의 간격유지편을 포함하며, 일단부가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그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는 장너트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장너트에 나사 조임과 풀림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타단부에는 앵커볼트가 끼워지도록 장공이 형성된 두께가 얇은 탈착판으로 구성된 판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 벽체를 외장할 때, 건식 또는 습식시공에 따라 탈착판 또는 시멘트몰탈을 사용할 수 있어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또 외장판재에 간격유지편이 있기 때문에 벽체에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동일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신속 편리하게 외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판재고정수단, 탈착판, 외장판재, 장너트, 간격유지편, 나사, 줄눈 틈새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진몰드로부터 탈형되어진 건축물 외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건축물 외장재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건축물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건식시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탈착판 20 : 장너트
20a : 매입세팅부 30 : 나사 40 : 외장복합몰탈 50 : 레진몰드
50a, 50b : 간격유지성형홈 60 : 외장판재
60a, 60b : 간격유지편 60c : 줄눈 틈새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보호와 장식을 목적으로 그 벽체에 씌워지는 건축물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를 건식 또는 습식시공으로 외장처리할 때 작업현장에서 선택적으로 판재고정수단을 외장판재에 결합 또는 그로부터 분리하여 시공하고 또 벽체에 별도의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는 일 없이 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보다 신속·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한 후 건축물의 벽체에 인조석과 같은 외장판재를 씌우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이 널리 이용되어 시공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벽체를 내, 외장 처리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상기 습식방식에 있어서는 시멘트, 황사 등의 무기재료의 골재와 무기안료 및 물을 혼합하여 건조된 외장판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가로 및 세로로 조립·시공하는 것으로, 상기 외장판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할 때의 한 예로서, 건축물의 벽체와 외장판재의 이면에 각각 압착시멘트몰탈을 발라 부착함과 아울러 외장판재들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줄눈을 형성한 후 상기 줄눈에 압착시멘트몰탈 등을 충진하여 마감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건식방식에 있어서는 건축물을 축조한 후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판재를 씌우기 위해서, 먼저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체에 상기 외장판재에 맞게 수 직, 수평줄눈을 구획한다. 이후 건축물의 벽체에 구획된 줄눈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앵커볼트를 매입하기 위해서 드릴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한 후에 상기 앵커볼트를 매입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구획된 줄눈을 따라 상기 외장판재를 상기 앵커볼트와 수직으로 구부려진 클램핑 플레이트로 고정하되, 상기 외장판재들의 간격이 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직과 수평을 맞추고 이후 수직으로 구부려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상기 외장판재들에 끼워 잡아준 상태에서 그 클램핑 플레이트를 벽체에 매입된 앵커볼트에 고정하여 준다. 이후 상기 앵커볼트와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된 외장판재들 사이의 줄눈 틈새에 발포폴리스틸렌 백업재를 채우고 그 위에 방수를 위한 석재용 실리콘으로 코킹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습식방식에 사용되는 상기 외장판재는 시공이 간편한 반면에 단위 판재의 비중이 무거워 그 자중 또는 경미한 외력에 의해서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탈리되어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특히 동절기에 얼었던 시멘트몰탈이 하절기에 해빙되면서 건축물의 벽체와 시멘트몰탈 사이가 벌어져 결국, 외장판재가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건식방식에 사용되는 외장판재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판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수직으로 구부려진 별도의 클램핑 플레이트와 앵커볼트를 가지고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해 주는 것에 의해 안전성이 보장되는 반면에 클램핑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외장판재 간의 사이가 벌어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조립시공이 불편하고, 또 다수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와 앵커볼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시공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조석과 같은 외장판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할 때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고정시켜 주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뿐 아니라 그와 같은 기술들이 제안되어 설치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본인이 선출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73452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인의 등록특허 제734527호에 의하면, 규격단위의 외장재 이면 상단부 양측에 판재고정수단을 매설하여 앵커볼트로 상기 판재고정수단을 건축물 벽체에 고정시켜 외장하는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고정수단은, 일정한 폭을 가지며 그 양 선단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속 절곡되어 양측으로 한 쌍의 수평매입편과 한 쌍의 수직매입편이, 그리고 중앙으로는 수평돌출편이 형성되는 두께가 얇은 갓단면 형상의 앵글; 및 상기 수평돌출편의 중앙에 회동가능하도록 일단부가 힌지로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끼워지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외장재를 벽체에 고정할 때 상기 수평돌출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두께가 얇은 회동고정판을 포함한 건축물 외장재를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건축물 외장재들은, 갓단면 형상을 갖는 상기 앵글의 수평돌출편에 회동고정판을 수직상향 및 수직하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한 다음 상기 앵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수평매입편과 수직매입편을 규격별로 성형되어진 외장판재의 이면 상단부 양측에 매설하여, 상기 회동고정판의 통공에 앵커볼트를 끼워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씌울 때, 상기 회동고정판의 통공에 앵커볼트만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신속·편리하게 이루어지고, 또 외장판재의 교환 또는 보수 때에는 벽체에 고정된 윗쪽 외장판재의 이면과 벽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해당 외장판재의 회동고정판을 수직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회동고정판이 인접하는, 즉 윗쪽의 외장판재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상기 파손된 외장판재만을 그 벽체로부터 신속하게 들어내어 교환 또는 보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734527호에 의한 건축물 외장재는, 건축물의 벽체를 외장할 때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보다 견고하고 신속·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수평매입편과 수직매입편을 갖는 판재고정수단의 앵글이 외장판재에 매입되어 회동고정판과 힌지로 결합되어 있어, 건축물의 벽체를 습식방식으로 외장 할 때, 필요로 하지 않은 판재고정수단을 그 외장판재로부터 이탈시키지 못하고 그냥 시멘트몰탈과 함께 매입시켜 시공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증가 되고, 또 그 판재고정수단의 하중이 외장판재에 가중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외장판재의 제조 때,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관계없이 판재고정수단을 외장판재에 매입시켜 제조함으로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판재들을 씌우기 전에 그 외장판재의 규격에 맞도록 건축물의 벽체에 수직과 수평줄눈을 구획해야 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증가 될 뿐 아니라 수직, 수평줄눈들을 구획한 후에는 외장판재들 간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 되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줄눈들을 따라 수직과 수평을 맞추어 가면서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판재를 씌울 때, 건식 또는 습식방식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선택적으로 판재고정수단을 외장판재에 결합 또는 그로부터 분리·시공하여, 시공비용의 절감과 함께 외장판재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구조의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하는 건축물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외장재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이탈방지를 위한 매입세팅부가 형성된 장너트를 매입시켜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판을 나사의 조임과 풀림으로 결합 또는 분리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벽체에 외장판재들을 적층하여 씌울 때, 그 벽체에 별도의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가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시공되도록 하는 건축물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외장재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판재의 상단부 변에 그 변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유지편을 돌출되게 형성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제안하는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에 의하면, 규격단위의 외장판재의 이면 상단부에 판재고정수단을 매설하여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상기 외장판재를 시멘트몰탈 또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외장하는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판재의 4변 중 어느 하나의 변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에 씌워질 때 인접하는 상기 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유지하여 주는 한 쌍의 간격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판재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그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는 장너트; 및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상기 장너트에 나사 조임과 풀림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끼워지도록 장공이 형성된 두께가 얇은 탈착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격유지편은 상기 판재의 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너트가 상기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매입되었을 때, 그 판재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장너트의 타단부 외주연에 매입세팅부가 외향 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건축물 외장재에 의하면, 규격단위의 외장판재 이면에 장너트만이 매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장판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하고자 할 때, 건식 또는 습식방식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장너트에 상기 탈착판을 나사 결합 또는 그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시멘트몰탈 또는 상기 탈착판의 통공에 앵커볼트만을 끼워 고정시킬 수가 있어, 제조비용 및 시공비용이 감소되고, 또한 상기 외장판재에 간격유지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체에 미리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상기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벽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외장할 수가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진몰드로부터 탈형되어진 건축물 외장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건축물 외장재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일정한 깊이를 갖는 중공부와 내부의 바닥면이 평탄한 규격화된 사각함체형의 레진몰드(50)를 준비한다. 여기서 규격화된 사각함체형의 레진몰드(50)는 그 함체의 4변 측면 중에서 어느 한 변의 측면 양측에는 레진몰드(50)의 깊이보다 낮게 단차져 상기 중공부와 연이어진 간격유지성형홈(50a)(50b)이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레진몰드(50)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외장판재(60)로부터 보다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 이상적이다.
계속해서, 이후 접착력이 우수한 시멘트와 아크릴계 프라이머 및 혼화제가 고르게 혼합되어 이루어진 외장복합몰탈(40)을 도 1과 같이 상기 준비된 사각함체형의 레진몰드(50)의 내부에 충진하게 되는데, 이때 외장복합몰탈(40)이 레진몰드(50)에 형성된 간격유지성형홈(50a)(50b)까지 고르게 분포됨과 아울러 이면이 평탄성을 가지도록 충진하여 준다.
이후 외장판재(60)를 건축물의 벽체에 보다 견고하고 신속 편리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 레진몰드(50)의 간격유지성형홈(50a)(50b)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르게 충진된 외장복합몰탈(40)의 상단부 양측에 장너트(20)와 같은 판재고정수단을 매입한다. 여기서, 장너트(20)는 원통형으로서, 이후의 외장복합몰탈(40)이 양생과정을 통해 양생되었을 때 그 외장복합몰탈(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위해 그 타단부에 매입세팅부(20a)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판재고정수단의 장너트(20)를 외장복합몰탈(40)에 매입할 때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입세팅부(20a)가 외장복합몰탈(40) 내에 충분히 매입되도록 하고 그 일단부는 외장복합몰탈(4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평탄한 상태가 되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판재고정수단의 장너트(20)를 외장복합몰탈(40)에 매입한 상태에서 그 레진몰드(50)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진동테이블에 올려놓고 진동을 수행하게 되면 외장복합몰탈(40)이 레진몰드(50)의 중공부 및 간격유지성형홈(50a)(50b)들에 고르게 분포되어 충진밀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장너트(20)의 매입세팅부(20a) 상으로 고르게 스며들어 외장복합몰탈(40)에 장너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한 전술한 장너트(20)의 일단부가 진동에 기인한 충진밀도에 의해서 외장복합몰탈(40)의 이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하여, 판재고정수단의 장너트(20)가 외장복합몰탈(40)에 매입이 완료되었을 경우, 레진몰드(50)를 양생실에서 열풍으로 충분하게 양생시킨 다음 그 레진몰드(50)로부터 도 2와 같은 외장판재(60)를 탈형시킨다. 즉 레진몰드(5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역각도 탈형이 가능한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장판재(60)의 탈형 때 그 레진몰드(50)를 외향으로 벌린 다음 거꾸로 뒤집어 줌으로써, 도 2 및 도 3과 같이 장너트(20)와 외장복합몰탈(40)이 일체로 경화되어진 일정 두께의 외장판재(60)가 간편하게 탈형된다. 이때 탈형되어진 일정 두께의 외장판재(6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진몰드(50)의 간격유지성형홈(50a)(50b)에 대응하고 또한 외장판재들을 건축물의 벽체에 씌울 때 그 인접하는 외장판재들간의 줄눈 틈새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시 키기 위한 간격유지편(60a)(60b)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그 외장판재(60)로부터 돌출·형성되어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간격유지편(60a)(60b)은 외장판재(60)의 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레진몰드(50)에서 탈형되어지고 또한 4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 즉 도 2를 기준으로 상측 변에 간격유지편(60a)(60b)이 형성된 일정 두께의 외장판재(60)는 다시 자연상태의 상온에서 양생되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외장판재(60)를 건축물의 벽체에 습식방식으로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외장판재(60)가 부착될 부위의 벽체에 상호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벽체와 외장판재(60)의 이면에 압착시멘트몰탈을 고르게 발라준다.
이후 압착시멘트몰탈이 발라진 외장판재(60)들을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서로 맞대어 부착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차례대로 적층시켜 부착해 줌으로써, 도 4와 같이, 상하좌우의 인접하는 외장판재(60)들 간에 수직, 수평이 맞춰져 고정될 뿐 아니라 외장판재(60)에 형성된 간격유지편(60a)(60b)에 의해서 아래쪽 라인의 외장판재들과 위쪽 라인의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60c)가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된 외장판재(60) 사이의 줄눈 틈새(60c)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폴리스틸렌 백업재를 채우고 그 위에 다시 방수를 위한 석재용 실리콘으로 코킹하여 마감처리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외장판재(60)들을 건축물의 벽체에 건 식방식으로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습식시공과는 달리, 도 1 및 도 2와 같은 판재고정수단의 탈착판(10)과 너트(30)를 준비해야 한다. 여기서, 탈착판(10)은 장너트(20)와 함께 외장판재(60)들을 건축물의 벽체에 건식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탈착판(10)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에는 두 개의 결합공(14a)(14b)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앵커볼트(70)가 끼워지도록 장공(12)이 형성된 두께가 얇은 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재고정수단의 탈착판(10)과 장너트(20)를 가지고 외장판재(60)를 건축물의 벽체에 건식방식으로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작업자가 탈착판(10)의 결합공(14a)(14b)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합공을 외장판재(60)에 매입된 장너트(20)에 일치시킨 다음 나사(30)를 상기 선택된 결합공 및 장너트(20)에 끼워 조여줌으로써 탈착판(10)이 도 2와 같이 외장판재(60)의 장너트(20)에 결합된다. 이때 탈착판(10)은 도 2와 같이, 외장판재(60)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된 외장판재(60)들을 건축물의 벽체(8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맞대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차례대로 적층시키면서 탈착판(10)들의 통공(12)에 앵커볼트(70)들을 차례대로 끼워 고정해 줌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좌우의 인접하는 외장판재(60)들 간에 수직, 수평이 맞춰져 고정될 뿐 아니라 특히 외장판재(60)에 형성된 간격유지편(60a)(60b)에 의해서 아래쪽 라인의 외장판재들과 위쪽 라인의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60c)가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 즉 간격유지편(60a)(60b)의 높이만큼 유지되면서 벽체(80)에 고정됨으로써, 결국 기존과 같 이 외장판재들을 건축물의 벽체에 씌우기 전에 그 벽체에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해야 하는 작업공정이 배제되고, 또 외장판재들을 벽체(80)에 씌울 때 상기 구획된 줄눈을 따라 수직과 수평을 맞추어 가면서 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외장판재(60)를 고정한 후 그 외장판재들간에 형성된 줄눈 틈새(60c)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발포폴리스틸렌 백업재를 채우고 그 위에 다시 방수를 위한 석재용 실리콘으로 코킹하여 마감처리해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장판재(60)들이 건축물의 벽체에 마감처리된 상태에서 파손된 외장판재(60)를 교환 또는 보수하고자 할 경우, 해당 외장판재의 앵커볼트(70)를 풀어서 이탈시킨 다음 나사(30)를 느슨하게 풀고 탈착판(10)을 그 나사(30)를 중심으로 수직하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탈착판(10)이 위쪽 라인의 외장판재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파손된 외장판재를 신속하게 벽체로부터 들어내어 교환 또는 보수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습식방식으로 외장판재를 시공할 때 앵글과 회동고정판을 압착시멘트몰탈과 함께 매입시켜 시공함으로 인하여 시공비용이 증가 되고, 또 건축물의 벽체에 수직과 수평줄눈을 구획한 후에 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건식 또는 습식방식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외장판재에 탈착판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그로부터 분리하여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건축물의 벽체에 별도의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벽체를 외장할 수가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벽체에 외장판재를 씌울 때, 건식 또는 습식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판 또는 압착시멘트몰탈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외장판재에 간격유지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체에 별도의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상기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가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면서 외장되는 건축물 외장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외장재에 의하면, 건축물 벽체를 건식 또는 습식방식으로 외장할 때, 작업현장에서 선택적으로 탈착판 또는 압착시멘트몰탈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건축물의 벽체에 미리 수직, 수평줄눈을 구획하지 않고도 상기 외장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벽체를 신속 편리하게 외장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규격단위의 외장판재의 이면 상단부에 판재고정수단을 매설하여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상기 외장판재를 시멘트몰탈 또는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외장하는 외장재에 있어서;상기 외장판재는,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의 판재로서, 그 판재의 4변 중 어느 하나의 변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에 씌워질 때 인접하는 상기 판재들 간의 줄눈 틈새를 유지하여 주는 한 쌍의 간격유지편을 포함하며,상기 판재고정수단은,일단부가 상기 판재의 이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그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일정한 깊이로 매입되는 장너트; 및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습식 또는 건식방식에 따라 상기 장너트에 나사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끼워지도록 장공이 형성된 두께가 얇은 탈착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간격유지편은 상기 판재의 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축물 외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장너트가 상기 판재의 상단부 양측에 매입되었을 때, 그 판재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장너트의 타단부 외주연에 매입세팅부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002A KR20090109641A (ko) | 2008-04-16 | 2008-04-16 | 건축물 외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5002A KR20090109641A (ko) | 2008-04-16 | 2008-04-16 | 건축물 외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9641A true KR20090109641A (ko) | 2009-10-21 |
Family
ID=4153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5002A KR20090109641A (ko) | 2008-04-16 | 2008-04-16 | 건축물 외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964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60293A (zh) * | 2016-11-14 | 2017-05-31 | 黄国钊 | 壁挂饰面砖及安装方法 |
CN111622440A (zh) * | 2020-05-23 | 2020-09-04 | 深圳市东华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绿色建筑的装配式复合墙板 |
US20210277666A1 (en) * | 2012-10-24 | 2021-09-09 | Certainteed Llc | Manufactured building panel assembly |
-
2008
- 2008-04-16 KR KR1020080035002A patent/KR2009010964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277666A1 (en) * | 2012-10-24 | 2021-09-09 | Certainteed Llc | Manufactured building panel assembly |
US11828071B2 (en) * | 2012-10-24 | 2023-11-28 | Certainteed Llc | Manufactured building panel assembly |
CN106760293A (zh) * | 2016-11-14 | 2017-05-31 | 黄国钊 | 壁挂饰面砖及安装方法 |
CN111622440A (zh) * | 2020-05-23 | 2020-09-04 | 深圳市东华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绿色建筑的装配式复合墙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4488A (en) | Method for installation of building tiles without adhesive materials and standardized tiles for implementing the same | |
KR101649969B1 (ko) |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 |
KR20170132846A (ko) | 장착-분해가 자유롭고 크기 조합이 유연한 건축 장식 패널 드라이-행 구조물 | |
KR101239383B1 (ko) |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 |
KR20200035815A (ko)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 |
CN112352084B (zh) | 型框单元及混凝土结构物施工方法 | |
KR101393616B1 (ko) |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 |
KR20090109641A (ko) | 건축물 외장재 | |
KR20060093365A (ko) |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 |
US10415236B2 (en) |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100832039B1 (ko) |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 |
WO2008122194A1 (fr) | Panneau de construction | |
KR20130013332A (ko) | 복합단열패널 | |
KR102136755B1 (ko)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 |
KR20170142250A (ko) | 콘크리트벽체와 복합단열 마감재를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벽체 시공 방법 | |
KR101646527B1 (ko) |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KR101684437B1 (ko) |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60107480A (ko) |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 |
KR20060062088A (ko) |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 |
KR200384125Y1 (ko) | 건축물 외장재 | |
JP4546979B2 (ja) |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 |
KR200391687Y1 (ko) | 건축물 외장재 | |
KR100609309B1 (ko) |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 |
KR20050033136A (ko) |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 |
KR200347584Y1 (ko) |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