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68A -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968A
KR20200142968A KR1020190070639A KR20190070639A KR20200142968A KR 20200142968 A KR20200142968 A KR 20200142968A KR 1020190070639 A KR1020190070639 A KR 1020190070639A KR 20190070639 A KR20190070639 A KR 20190070639A KR 20200142968 A KR20200142968 A KR 2020014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ase
lower base
refrigeran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422B1 (ko
Inventor
우상운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신우엠테크
Priority to KR102019007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with interposition of special material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parts, e.g. material for absorbing or produc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측 부재는 하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하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하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침지관들을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상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하측 홀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어 하측 베이스와 접합되는 상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상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침지관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각 외벽과 해당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 상측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일부 구획된 분기통로를 형성하는 삽입관들을 구비한다. 파티션은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 사이에 접합되어 분기통로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기 위한 메인통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Icemaker of water purif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도록 정수기에 채용되는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 편의성 등을 위해 얼음을 별도로 공급하는 얼음 정수기도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를 포함하며, 제빙장치는 정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만든다.
제빙장치는 제빙틀에 담긴 물에 잠기는 침지부재를 냉각유닛에 의해 빙점 이하로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침지식, 냉각유닛에 의해 빙점 이하로 냉각된 제빙틀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분사식, 냉각유닛에 의해 빙점 이하로 냉각된 제빙틀에 물을 유동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유수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침지식 제빙장치는 그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36691호(2010. 01. 13. 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과, 제빙틀의 물에 잠긴 상태로 냉매관으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빙점 이하로 냉각됨에 따라 외측에 얼음을 생성하도록 냉매관에 연결되는 복수의 침지관들과, 냉매가 침지관들을 거치도록 침지관의 내부마다 설치되는 격벽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매관과 침지관들과 격벽판들을 별도로 제조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그로 인한 작업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 공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는 하측 부재와, 상측 부재와,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 및 냉매 배출관을 포함한다. 하측 부재는 상하로 각각 관통된 하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하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하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침지관들을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상하로 각각 관통된 상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하측 홀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어 하측 베이스와 접합되는 상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상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침지관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각 외벽과 해당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 상측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일부 구획된 분기통로를 형성하는 삽입관들을 구비한다. 파티션은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 사이에 접합되어 분기통로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기 위한 메인통로를 형성한다. 냉매 공급관은 메인통로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메인통로의 한쪽 주변에 접합된다. 냉매 배출관은 메인통로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도록 메인통로의 다른 쪽 주변에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빙장치의 하측 부재와 상측 부재와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 및 냉매 배출관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와, 하측 베이스에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과 냉매 배출관을 적재하는 단계와, 삽입관들을 파티션을 거쳐 침지관들에 각각 삽입시켜 상측 베이스를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과 냉매 배출관에 적재하는 단계, 및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와 파티션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 부재와 상측 부재가 각각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과 냉매 배출관을 적재한 상태로 한번에 용접되므로, 작업 공정 및 비용 절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빙장치가 2개로 구성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C-C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100)는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130)과, 냉매 공급관(140), 및 냉매 배출관(150)을 포함한다.
하측 부재(110)는 하측 베이스(111)와 침지관(116)들을 구비한다. 하측 베이스(111)는 상하로 각각 관통된 하측 홀(112)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하측 베이스(111)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 예컨대 외곽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베이스(111)는 하측 홀(112)들을 제외한 부위가 일정 두께를 갖는다. 하측 홀(112)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하측 홀(112)은 원형 홀로 이루어져 일정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하측 홀(112)들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침지관(116)들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하측 홀(112)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된다. 침지관(116)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침지관(116)의 상측 개구는 하측 홀(112)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침지관(116)의 상측 개구는 일정 지름의 하측 홀(112)과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침지관(116)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 관으로 이루어져, 하단 부위를 제외한 부위의 내경과 외경이 각각 일정할 수 있다. 침지관(116)들은 제빙틀의 물에 잠긴 상태로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빙점 이하로 냉각되어, 외측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측 부재(110)는 강판 등의 모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됨으로써, 침지관(116)들이 하측 베이스(111)에 일체화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측 부재(110)는 비교 예로서 침지관들이 하측 베이스와 별도로 제조되어 하측 베이스에 조립 및 접합되는 것보다 작업 공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상측 부재(120)는 상측 베이스(121)와 삽입관(126)들을 구비한다. 상측 베이스(121)는 상하로 각각 관통된 상측 홀(122)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하측 홀(112)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어 하측 베이스(111)와 접합된다. 상측 베이스(121)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 예컨대 외곽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측 베이스(121)는 하측 베이스(111)와 동일한 외곽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측 베이스(121)는 상측 홀(122)들을 제외한 부위가 일정 두께를 갖는다.
상측 홀(122)들은 하측 홀(112)들과 일대일 대응된다. 상측 홀(122)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홀(122)은 하측 홀(112)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하측 홀(112)들이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측 홀(122)들도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상측 홀(122)은 제1 홀부(122a)의 양쪽에 한 쌍의 제2 홀부(122b)들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홀부(122a)는 제2 홀부(122b)들과 연결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측 홀(11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제2 홀부(122b)들은 상측 베이스(122)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홀부(122a)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제2 홀부(122b)는 코너가 라운딩된 사각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삽입관(126)들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상측 홀(122)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된다. 여기서, 삽입관(126)들은 침지관(116)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각 외벽과 해당 침지관(116)의 내벽 사이에 상측 베이스(121)의 폭 방향으로 일부 구획된 분기통로(101)를 형성한다. 삽입관(126)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삽입관(126)의 상측 개구는 상측 홀(122)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삽입관(126)은 몸체부(126a)와 한 쌍의 돌출부(126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6a)는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갖도록 제1 홀부(122a)의 주변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126a)는 돌출부(126b)들을 제외한 부위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 관으로 이루어져, 하단 부위를 제외한 부위의 내경과 외경이 각각 일정할 수 있다. 몸체부(126a)는 침지관(116)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침지관(116)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몸체부(126a)는 침지관(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벽과 침지관(116)의 내벽 사이에 분기통로(101)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26b)들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갖도록 제2 홀부(122b)들의 주변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26b)들은 몸체부(126a)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26b)들은 침지관(116)들의 각 내벽에 접촉하도록 몸체부(126a)의 외벽 양쪽으로부터 상측 베이스(121)의 폭 방향을 따라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6b)들은 침지관(116)들의 각 내벽에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분기통로(101)를 상측 베이스(121)의 폭 방향으로 일부 구획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냉매는 침지관(116)들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침지관(116)들을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측 부재(120)는 하측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강판 등의 모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됨으로써, 돌출부(126b)들을 갖는 삽입관(126)들이 상측 베이스(121)에 일체화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측 부재(120)는 비교예로서 돌출부들을 갖는 삽입관들이 상측 베이스와 별도로 제조되어 상측 베이스에 조립 및 접합되는 것보다 작업 공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파티션(130)은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 사이에 접합되어 분기통로(101)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기 위한 메인통로(102)를 형성한다. 예컨대, 파티션(130)은 한 쌍의 파티션 블록(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블록(131)들은 하측 베이스(11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삽입관(126)들을 관통시키도록 형성된다.
파티션 블록(131)들은 하측 베이스(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파티션 블록(131)들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부위에 각 삽입관(126)의 돌출부(126b)들과 그 주변을 일부 끼우는 홈(131a)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파티션 블록(131)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홈(131a)들을 제외한 부위가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파티션 블록(311)은 강판 등을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파티션 블록(131)들은 상호 이격된 공간의 상측과 하측이 상측 베이스(121)와 하측 베이스(111)에 의해 덮임으로써, 분기통로(101)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는 메인통로(10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메인통로(102)의 한쪽 단부로부터 공급되어 분기통로(101)들을 통해 침지관(116)들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메인통로(102)의 다른 쪽 단부로 배출될 수 있다.
파티션 블록(131)들은 삽입관(126)들을 관통시키는 홀들을 갖는 판상 용접재들(161, 162)에 의해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에 용접될 수 있다. 판상 용접재들(161, 162)은 각각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측 판상 용접재(161)는 상측 베이스(121)와 동일한 크기의 외곽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판상 용접재(161)의 홀은 삽입관을 최대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판상 용접재(162)는 하측 베이스(111)와 동일한 크기의 외곽을 가질 수 있다.
판상 용접재들(161, 162)은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이 강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판상 용접재들(161, 162)은 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상 용접재들(161, 162)이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들과 함께 적재된 상태로 가열로에 투입된 후,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의 용융점보다 낮고 판상 용접재들(161, 162)의 용융점보다 높게 가열되면, 판상 용접재들(161, 162)이 용융되면서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을 용접시킬 수 있다.
냉매 공급관(140)은 메인통로(102)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메인통로(102)의 한쪽 주변에 접합된다. 냉매 공급관은(140) 외부의 냉매 공급원으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메인통로(102)로 공급한다. 냉매 공급관(140)은 원형 관(141)과 사각형 관(142)이 동일 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공급관(140)은 원형 관(141)이 파티션 블록(131)들의 한쪽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각형 관(142)이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사각형 관(142)은 둘레가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의 공간 둘레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파티션 블록(131)들에 밀착될 수 있다.
사각형 관(142)은 판상 용접재들(161, 162)에 의해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에 용접됨으로써, 냉매 공급관(140)이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냉매 배출관(150)은 메인통로(102)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도록 메인통로(120)의 다른 쪽 주변에 접합된다. 냉매 배출관(150)은 메인통로(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전달받아 외부의 냉매 공급원으로 복귀시킨다. 냉매 배출관(150)은 원형 관(151)과 사각형 관(152)이 동일 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배출관(150)은 원형 관(151)이 파티션 블록(131)들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각형 관(152)이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사각형 관(152)은 둘레가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의 공간 둘레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파티션 블록(131)들에 밀착될 수 있다. 사각형 관(152)은 판상 용접재들(161, 162)에 의해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에 용접됨으로써, 냉매 배출관(150)이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빙장치(100)는 히터(17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70)들은 상측 부재(120)의 상측 홀(122)들을 통해 삽입관(126)들에 각각 끼워져 장착된다. 히터(170)는 침지관(116)의 외측에 얼음이 생성된 상태에서 삽입관(126)을 통해 침지관(116)에 열을 가함으로써, 침지관(116)으로부터 탈빙을 용이하게 한다.
히터(170)는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권취된 전열선, 및 전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리드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드선들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열선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열선은 관체 내에서 공급받은 전류에 의해 발열작용을 하여 관체로 열을 전달한다. 이러한 히터(170)는 삽입관(126)에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탈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장치(100)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장치(100)는 냉매 배출관(150)을 다른 인접한 제빙장치(100)의 냉매 공급관(140)과 연결하는 연결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80)은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180)은 한쪽 단이 어느 하나의 제빙장치(100)의 냉매 배출관(150)에 연결되고, 다른 쪽 단이 다른 하나의 제빙장치(100)의 냉매 공급관(140)에 연결된다. 냉매는 어느 하나의 제빙장치(100)의 냉매 공급관(140)으로 공급되어 제빙장치(100)들의 침지관(116)들을 모두 거친 후, 다른 하나의 제빙장치(100)의 냉매 배출관(1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130)과 냉매 공급관(140) 및 냉매 배출관(150)을 각각 마련한다. 파티션(130)을 마련할 때, 하측 베이스(11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삽입관(126)들을 관통시키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파티션 블록(131)들을 마련할 수 있다.
그 다음, 하측 베이스(111)에 파티션(130)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을 적재한다. 이때, 하측 베이스(111)에 파티션 블록(131)들을 설정 위치에 맞춰 적재한다. 냉매 공급관(140)의 원형 관(141)을 파티션 블록(131)들의 한쪽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사각형 관(142)을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냉매 배출관(150)의 원형 관(151)을 파티션 블록(131)들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사각형 관(152)을 파티션 블록(131)들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하측 베이스(111)에 파티션 블록(131)들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을 적재하기 전, 어느 하나의 판상 용접재(162)를 하측 베이스(111)에 적재할 수 있다. 하측 베이스(111)에 파티션 블록(131)들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을 적재한 후 상측 베이스(121)를 적재하기 전, 다른 하나의 판상 용접재(161)를 파티션 블록(131)들에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판상 용접재(162)를 파티션 블록(131)들과 하측 베이스(111) 사이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판상 용접재(161)를 파티션 블록(131)들과 상측 베이스(121)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삽입관(126)들을 파티션(130)을 거쳐 침지관(116)들에 각각 삽입시켜 상측 베이스(121)를 파티션(130)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에 적재한다. 이때, 상측 베이스(121)는 판상 용접재(161)를 사이에 두고 파티션 블록(131)들에 적재될 수 있다.
그 다음,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와 파티션(130)을 접합한다. 이때, 판상 용접재들(161, 162)을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131)들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과 함께 적재한 상태로 가열로에 투입한 후 가열할 수 있다. 가열 과정에서, 판상 용접재들(161, 162)을 용융시켜 파티션 블록(131)들을 하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21)에 용접할 수 있다. 그 다음, 추가적으로, 히터(170)들을 상측 부재(120)의 상측 홀(122)들을 통해 삽입관(126)들에 각각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부재(110)와 상측 부재(120)가 각각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티션(130)과 냉매 공급관(140)과 냉매 배출관(150)과 판상 용접재들(161, 162)을 적재한 상태로 한번에 용접되므로, 작업 공정 및 비용 절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C-C 선을 따라 절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측 부재(210)의 하측 베이스(211)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용접재에 의해 상측 베이스(121)에 용접되는 절곡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213)는 하측 베이스(211)를 절곡 가공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213)는 하측 베이스(211)의 가장자리로부터 90도 절곡되어 직육면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213)는 하측 베이스(211)의 외곽을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베이스(211)의 상측 공간은 상측 베이스(121)가 끼워져 완전히 덮일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티션(230)은 파티션 블록(2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블록(231)들은 절곡부(2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하측 베이스(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해당 삽입관(126)을 관통시킨 상태로 분기통로(101)와 통하는 연결 홈(231a)을 갖도록 형성된다. 파티션 블록(231)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티션 블록(231)은 절곡부(213)와 마주하는 면들이 평면들로 이루어져 절곡부(213)에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다. 파티션 블록(231)은 상하로 관통되어 해당 삽입관(126)을 끼우는 관통 홀(231b)을 갖는다. 관통 홀(231b)은 삽입관(126)을 최대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홈(231a)은 파티션 블록(231)의 하면에 하측 베이스(2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양쪽이 트이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홈(231a)은 사각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베이스(211)의 상측 공간은 파티션 블록(231)들의 배치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 상측 베이스(121)에 의해 덮임으로써, 연결 홈(231a)들과 함께 분기통로(101)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는 메인통로(202)를 형성할 수 있다.
냉매 공급관(240)은 원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공급관(240)은 하측 베이스(211)의 한쪽 단부 외측에서 절곡부(213)의 한쪽 홀에 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냉매 공급관(240)은 절곡부(213)의 해당 홀에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냉매 배출관(250)은 원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배출관(250)은 하측 베이스(211)의 다른 쪽 단부 외측에서 절곡부(213)의 다른 쪽 홀에 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냉매 배출관(250)은 절곡부(213)의 해당 홀에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2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하측 부재(2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230)과 냉매 공급관(240) 및 냉매 배출관(250)을 각각 마련한다. 하측 부재(210)를 마련할 때, 하측 베이스(2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절곡부(213)를 마련할 수 있다. 파티션(230)을 마련할 때, 절곡부(2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하측 베이스(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해당 삽입관(126)을 관통시킨 상태로 분기통로(101)와 통하는 연결 홈(231a)을 갖도록 형성된 파티션 블록(231)들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공급관(240)과 냉매 배출관(250)을 하측 베이스(211)의 양쪽 단부 외측에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절곡부(213)의 홀들에 각각 용접할 수 있다.
그 다음, 하측 베이스(211)에 파티션(230)을 적재한다. 이때, 하측 베이스(211)에 파티션 블록(231)들을 설정 위치에 맞춰 적재한다. 그 다음, 삽입관(126)들을 파티션 블록(231)들을 거쳐 침지관(116)들에 각각 삽입시켜 상측 베이스(121)를 파티션 블록(231)들에 적재한다.
그 다음, 상측 베이스(121)와 하측 베이스(211)를 접합한다. 이때, 절곡부(213)의 상단을 따라 용접재를 도포한 후, 하측 부재(210)와 상측 부재(120)와 파티션 블록(231)들을 적재한 상태로 가열로로 투입해서 가열한다. 가열 과정에서 용접재를 용융시켜 상측 베이스(121)를 하측 베이스(211)에 브레이징(brazing) 등에 의해 용접할 수 있다. 용접재는 브레이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보다도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 및 비용 절감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분기통로 102, 202..메인통로
110, 210..하측 부재 111, 211..하측 베이스
116..침지관 120..상측 부재
121..상측 베이스 126..삽입관
126a..몸체부 126b..돌출부
130, 230..파티션 131, 231..파티션 블록
140, 240..냉매 공급관 150, 250..냉매 배출관
161, 162..판상 용접재 170..히터
180..연결관 213..절곡부

Claims (8)

  1. 상하로 각각 관통된 하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하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상기 하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침지관들을 구비하는 하측 부재;
    상하로 각각 관통된 상측 홀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측 홀들과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어 상기 하측 베이스와 접합되는 상측 베이스와, 하단이 막힌 내부공간을 각각 갖도록 상기 상측 홀들의 주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침지관들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각 외벽과 해당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 상기 상측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일부 구획된 분기통로를 형성하는 삽입관들을 구비하는 상측 부재;
    상기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 사이에 접합되어 상기 분기통로들을 모두 통하게 연결하기 위한 메인통로를 형성하는 파티션;
    상기 메인통로로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통로의 한쪽 주변에 접합되는 냉매 공급관; 및
    상기 메인통로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도록 상기 메인통로의 다른 쪽 주변에 접합되는 냉매 배출관;
    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하측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삽입관들을 관통시키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파티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블록들은 상기 삽입관들을 관통시키는 홀들을 갖는 판상 용접재들에 의해 상기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베이스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용접재에 의해 상기 상측 베이스에 용접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절곡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하측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해당 삽입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분기통로와 통하는 연결 홈을 갖도록 형성된 파티션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부재의 상측 홀들을 통해 상기 삽입관들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는 히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출관을 다른 인접한 제빙장치의 냉매 공급관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제빙장치의 하측 부재와 상측 부재와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 및 냉매 배출관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하측 베이스에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과 냉매 배출관을 적재하는 단계;
    삽입관들을 파티션을 거쳐 침지관들에 각각 삽입시켜 상측 베이스를 파티션과 냉매 공급관과 냉매 배출관에 적재하는 단계; 및
    하측 베이스와 상측 베이스와 파티션을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을 마련하는 단계는,
    하측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삽입관들을 관통시키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파티션 블록들을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 단계는,
    삽입관들을 관통시키는 홀들을 갖는 판상 용접재들 중 어느 하나를 파티션 블록들과 하측 베이스 사이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파티션 블록들과 상측 베이스 사이에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 단계는,
    판상 용접재들을 용융시켜 파티션 블록들을 상측 베이스와 하측 베이스에 용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는,
    하측 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을 마련하는 단계는,
    절곡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하측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해당 삽입관을 관통시킨 상태로 분기통로와 통하는 연결 홈을 갖도록 형성된 파티션 블록들을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 단계는,
    절곡부의 상단을 따라 용접재를 도포한 후 용융시켜 상측 베이스를 하측 베이스에 용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빙장치 제조방법.
KR1020190070639A 2019-06-14 2019-06-14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39A KR102265422B1 (ko) 2019-06-14 2019-06-14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39A KR102265422B1 (ko) 2019-06-14 2019-06-14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68A true KR20200142968A (ko) 2020-12-23
KR102265422B1 KR102265422B1 (ko) 2021-06-15

Family

ID=7408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39A KR102265422B1 (ko) 2019-06-14 2019-06-14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014B1 (ko) 2023-09-20 2023-12-28 (주)신우엠테크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05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KR20180127725A (ko) * 2017-05-22 2018-11-3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05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20180127725A (ko) * 2017-05-22 2018-11-3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422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597403B1 (ko) 배터리
JP6828767B2 (ja) 冷却器の製造方法
JP6661476B2 (ja) 液冷式冷却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34587A1 (en) Refrigerant evaporator
EP3851765A1 (en) Evaporator for ice maker
KR102265422B1 (ko)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030403A (ja) 電池モジュールの冷却装置
KR20100086568A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1453507B1 (ko) 자동차 응축기의 드라이어 탱크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354052B1 (ko) 제빙기
CN103650260A (zh) 具有热交换器的气体激光器
JP2019086183A (ja) 伝熱装置
CN105817791B (zh) 空调用冷凝器的制造方法
KR102113390B1 (ko) 냉동기용 열교환기
ES2698415T3 (es) Dispositivo de conductores eléctricos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disposición de conductores eléctricos
KR20130016999A (ko) 튜브의 내부에 설치된 제상히터를 구비한 증발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25421B1 (ko) 열교환기용 냉매 분배기와 그 제조방법
KR20210140986A (ko) 제빙용 증발기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JP2002243388A (ja) 冷却塔用などの熱交換体の組立方法
JP2002147987A (ja) 冷却塔用熱交換体の組立方法
EP4339538A1 (en) Ice maker
KR102501805B1 (ko) 제빙용 증발기
CN104422199A (zh) 微通道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