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21A - 재활보행기 - Google Patents

재활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921A
KR20200142921A KR1020190070459A KR20190070459A KR20200142921A KR 20200142921 A KR20200142921 A KR 20200142921A KR 1020190070459 A KR1020190070459 A KR 1020190070459A KR 20190070459 A KR20190070459 A KR 20190070459A KR 20200142921 A KR20200142921 A KR 20200142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ehabilitation
rail
rehabilitation walk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170B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9007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7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64Walk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재활보행기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판상형으로 상기 고정부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장방형 발판;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세어지는 복수의 기둥;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재활 환자가 자신의 상체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보행기{Walk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Disclosure)은, 재활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체 뿐만 아니라 상체의 신체 동작이 원활치 못한 다양한 환자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체 근육을 고르게 강화시키고 신체 동작에 관련된 인지 및 감각에 관여하는 뇌기능의 재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재활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재활 보행 연습 장치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들이 보행 연습을 통해서 하체 근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보행 연습 장치는, 환자가 평행봉을 하듯 두 손으로 수평바를 잡고 발걸음을 옮기면서 연습한다.
이때, 물리 치료사를 포함하는 관련 전문인은, 환자의 상체를 부축하여, 근력이 약한 환자의 보행 동작을 도운다. 또한, 환자의 연습 강도에 대한 조언을 함으로써 환자가 적당한 수준의 연습 강도로 보행 연습할 수 있도록 도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재활 보행 연습장치는, 환자의 양팔 근력이 정상인의 수준이거나 때로는 정상인보다 더 우수한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즉, 하체의 근력만 국부적으로 연습할 필요성이 있는 환자가 아니라, 뇌졸증을 비롯한 전신에 병변이 나타나거나, 노인과 같이 전신 근력이 약화된 환자 또는 팔 골절 등의 환자와 같은 경우에는 사실상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재활 보행 연습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환자의 체중을 적당히 실어 연습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 보행 연습 장치는, 물리치료사와 환자의 부정확한 의사 소통만으로 환자의 연습강도를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연습 강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186호
본 발명(Disclosure)은, 전신 부상환자를 비롯하여 자신의 팔로 자신의 체중을 지탱할 수 없는 환자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행에 관여하는 다양한 근육을 고르게 강화시키며, 신체의 운동과 관련된 인지 및 감각 기능에 관여여하는 뇌의 각종 기능도 효과적 강화시킬 수 있는 재활보행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판상형으로 상기 고정부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장방형 발판;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세어지는 복수의 기둥;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재활 환자가 자신의 상체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발판은 전지 볼트로 결합돠어 상기 발판의 상하 높이 조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상기 기둥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의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휠; 그 양측 끝단에 상기 휠이 고정되는 이동거치판; 및 판상형으로 상기 이동거치판의 상측에 거치되어 결합하여, 상기 환자가 자신의 팔 또는 상체의 일부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레일은, 그 폭방향 단면 형상이 C 자 형상이며, 상기 휠은 상기 레일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일의 측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의지판은, 그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의지판은, 상기 이동거치판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상기 의지수단은, 상기 손잡이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거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손잡이와 자신의 상체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상체를 의지하여 체중을 분산시킬수 있는 의지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팔의 근력이 부족한 모든 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자 단면형상을 갖는 레일과 레일의 내측에서 회동하는 휠을 이용함으로써, 레일로부터 휠이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환자의 보행연습이 안전한 상황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지판에 형성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환자가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를 병행함으로써, 신체 근육을 고르게 운동할 수 있으며, 신체 동작에 관여하는 뇌의 인지기관이나 감각기관 및 사고(思考)기관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영역을 확대하고 의지수단 및 레일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영역을 확대하여 의지수단 및 레일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고정부(10)와 발판(20)과 기둥(30)과 한 쌍의 레일(40) 및, 의지수단(50)을 포함한다.
고정부(10)는 지면에 고정된다.
고정부(10)의 하측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마찰 계수를 크게하는 미끄럼 방지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발판(20)은, 판상형으로 고정부(10) 상측에 배치되어 고정부(10)와 결합한다. 발판(20)은, 환자의 발이 그 상면을 딛으며 보행연습을 한다.
기둥(30)은, 발판(20)의 폭 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세워진다.
기둥(30)의 수는, 발판(20)의 길이 또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레일(40)은, 발판(2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기둥(30)에 결합된다.
의지수단(50)은, 한 쌍의 레일(40)에 거치되어 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재활 환자가 자신의 상체를 의지함으로써, 레일(40)을 통하여 체중에 일부를 분산시키며 팔의 근력이 부족한 환자도 안전하게 보행 연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종래의 보행 연습 장치와 달리, 환자의 팔 근력 약화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고정부(10)와 발판(20)은 전지 볼트로 결합되어 발판(20)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발판(20)의 높이는 환자의 체형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기둥(30)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 결합공(31)을 구비하여, 레일(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레일(40)의 높이는 환자의 체형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지수단(50)의 상면 높이가 환자의 팔꿈치 높이 보다 낮도록, 레일(40)의 높이가 설정된다.
의지수단(50)의 상면 높이가 팔꿈치 높이보다 높으면, 환자가 넘어지려는 순간 무의식적으로 의지하기 어렵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수단(50)은, 한 쌍의 휠(54)과 이동거치판(53) 및 의지판(52)을 포함한다.
휠(54)은 한 쌍의 레일(40)과 결합하여 회동한다.
이동거치판(53)은, 그 양측 끝단에 휠(54)이 고정된다.
의지판(52)은, 판상형으로 이동거치판(53)의 상측에 거치되어 결합한다. 의지판(52)의 상측에, 환자가 자신의 팔 또는 상체의 일부를 의지한다.
이동거치판(53) 및 의지판(52)은,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의지수단(50)에 자신의 체중을 의지할 때, 레일(40)의 측면 또는 상면과 상호 간섭하거나 접촉하여 마찰하지 않는다.
상술한 상호 간섭과 접촉에 의한 마찰은, 환자가 의지판(52)에 의지한 상태에서 환자로하여금 불필요한 근력을 소모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레일(40)은,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일측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그 폭 방향 단면 형상(40a)이 C자 형상이다.
휠(54)은 레일(4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레일(40)의 측방향으로 탈거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자신의 체중을 안전하게 의지하여 보행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판(52)은, 그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환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1)를 더 포함한다.
환자는 손잡이(51)를 파지함으로써 상체를 의지판(52)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51)는, 바람직하게는 의지판(52)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환자의 체형과 체격 조건에 따라서, 손잡이(51)의 적정 간격이 달라진다. 손잡이(51)를 의지판(52)과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체격과 체형의 환자가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판(52)은, 이동거치판(53)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의지판(52)의 형상은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변경될 수 있다. 여러가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서, 체형의 변화 또는 변형이 발생한 환자는, 해당 환자에게 맞는 의지판(52)을 이동거치판(53)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수단(50)은, 손잡이(51)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거된 밀착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1)와 상체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면, 환자가 의지수단(50)에 안전하게 자신의 상체를 의지하기 어렵다.
밀착부(55)를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상체는 의지수단(50)의 내측, 즉 손잡이(51)에 더 밀착함으로써, 안전한 직립 자세를 유지하며 보행 연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레일(40)은, 그 길이 방향 끝단에 배치되어 휠(54)이 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막음 부재(41)를 더 포함한다.
환자가 의지수단(50)에 의지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레일(40)의 끝단에서 휠이 빠지면, 해당 환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라도 휠(54)은 레일(40)로 부터 탈거되지 않아야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40)의 단면 형상(40a)은 C자 형상으로서, 휠(54)의 직경이 C자 형상의 개방된 높이보다 작아서 측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는다.
그러나 레일(40)의 끝에서는, 휠(54)이 그 슬라이딩 방향으로 빠질 수 있다. 막음 부재(41)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막음 부재(41)는, 레일(40) 내측의 휠(54)의 이동 경로상에서 돌출되는 막음 돌출핀(41a) 또는 레일(40)의 내측 경로를 막는 막음 블럭(4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판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가 겨드랑이에 견착할 수 있는 견착부(56)_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착부(56)에 환자의 겨드랑이를 견착하면, 보다 안전한 직립 자세로 보행 연습이 가능하다. 특히 팔의 어깨 이하 부분이나 손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도 안전하게 의지판(52)에 상체를 의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의지판(52)은, 환자의 의지 동작에 따른 하방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측정수단 및, 압력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측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견착부(56)의 하측에 배치된다.
압력 측정수단은 환자가 의지판(52)에 의지할 때, 그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측정수단의 측정값은, 환자의 체중과 의지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하체 근력이 매우 약한 환자가, 의지판(52)에 자신 체중의 상당 부분을 의지하면, 보행 연습시 하체의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즉, 하체에 인가되는 하중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 의지판(52)에 의지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가 과도하게 의지판(52)에 자신의 상체를 의지하면, 하체에 인가되는 하중이 감소하고 결국 하체 운동에 필요한 운동량보다 적은 운동량으로 연습할 수 있다. 결국 동일한 시간을 연습한다고 하더라도 연습량이 부족하게 된다.
압력 측정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환자의 하체에 얼마나 큰 하중이 인가된 상태로 운동하는 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측정값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반복되는 보행 연습의 강도를 정확한 수치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과부족한 운동량으로 연습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의지수단(50)은 휠(54)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손잡이(51)는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동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동부 및 제동제어부는, 하체 근력이 부족한 환자들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의지수단(50)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의지수단(50)은 휠(54)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이때 손잡이(51)는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환자는 구동제어부를 작동함으로써, 의지수단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수 있다. 환자 스스로 의지수단(50)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써, 보행 연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의지판(52)에 형성되며, 재활 환자의 상체가 의지판(52)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재활 환자의 상체 또는 허리를 감싸는 안전 벨트(57)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활보행기는, 여러가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보행이 어려운 재활 환자의 보행훈련을 돕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보행 훈련은, 보행에 관여하는 근육 조직의 재생이나 근력 회복을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하체 근육을 고르게 운동시킴으로써, 하체의 전반적인 운동기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뒤로 걷기는 앞으로 걷기 운동보다, 하체 근육들이 더 다양하게 기능한다.
예를 들어 햄스트링은 뒤로 걷기 운동에서 앞으로 걷기 운동때 보다 힘이 많이 들어간다. 햄스트링은 우리 몸의 브레이크 역할로서, 뒤로 걷기가 신체의 우수한 제동장치를 단련하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뒤로 걷기를 할 경우 발목 관절의 움직임이 커지기 때문에 자세 안정성이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뿐만아니라, 뒤로 걷기는, 일상적으로 반복해온 신체적 동작이 아니기 때문에, 뇌의 운동 지능향상에 효과적이다. 즉, 매우 생소하며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뇌의 통제 능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으로 걷기와 차별화 되는 뒤로 걷기 훈련은, 신체 근육을 고르게 운동할 수 있으며, 신체 동작에 관여하는 뇌의 인지기관이나 감각기관 및 사고(思考)기관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신체를 제어하는 뇌기능이 활성화되고 강화됨으로써, 일반적인 신체 제어 기능이 회복됨은 물론이고, 언어능력 재활에도 효과적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보행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의 재활보행기는, 의지판(52)에 형성되는 안전벨트(57)을 이용함으로써, 재활환자의 안전한 뒤로 걷기 운동이 가능하다.
의지판(52)은 레일(40)에 고정되어있으며, 재활환자는 의지판(52)에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안심하고 뒤로 걷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활보행기는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운동을 병행함으로써, 걷기 운동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 재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57)는, 2점식 또는 4점식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엉덩이 받침보가 구비된 4점식 벨트 구조를 이용할 경우에, 재활환자가 의지판(52)에 온전히 매달릴 수도 있어, 사고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Claims (10)

  1.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판상형으로 상기 고정부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발판;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상기 발판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거치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재활 환자가 자신의 상체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수단;을 포함하는 재활보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발판은 전지 볼트로 결합돠어 상기 발판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활보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하여 회동하는 휠;
    그 양측 끝단에 상기 휠이 고정되는 이동거치판; 및
    판상형으로 상기 이동거치판의 상측에 거치되어 결합하여, 상기 환자가 자신의 팔 또는 상체의 일부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폭방향 단면 형상이 C 자 형상이며,
    상기 휠은 상기 레일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일의 측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지판은,
    그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지판은,
    상기 이동거치판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의지수단은,
    상기 손잡이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거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환자가 상기 손잡이와 자신의 상체를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지판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 환자의 상체가 상기 의지판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재활 환자의 상체 또는 허리를 감싸는 안전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길이 방향 끝단에 배치되어 휠이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막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보행기.
KR1020190070459A 2019-06-14 2019-06-14 재활보행기 KR10220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59A KR102203170B1 (ko) 2019-06-14 2019-06-14 재활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59A KR102203170B1 (ko) 2019-06-14 2019-06-14 재활보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21A true KR20200142921A (ko) 2020-12-23
KR102203170B1 KR102203170B1 (ko) 2021-01-13

Family

ID=7408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59A KR102203170B1 (ko) 2019-06-14 2019-06-14 재활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369A (ko) 2021-04-12 2022-10-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감각 보행훈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3674A (ja) * 1994-07-14 1998-04-07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平行棒に用いる患者支持具
US6168548B1 (en) * 1998-11-30 2001-01-02 Derek D. Fleming Portable ambulatory therapy device
KR200394977Y1 (ko) * 2005-06-28 2005-09-06 정부환 보행운동용 평행봉
JP2006288795A (ja) * 2005-04-12 2006-10-26 Matsuroku Kk 歩行補助装置
KR200446186Y1 (ko) 2008-04-16 2009-10-05 장진화 재활치료용 자가현수보행장치
KR20100000113U (ko) * 2008-06-26 2010-01-06 오진석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00026580A (ko) * 2008-09-01 2010-03-10 오진석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00101714A (ko) *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20097783A (ko) * 2011-02-25 2012-09-0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보조장치
KR20120105085A (ko) * 2011-03-15 2012-09-25 박성기 교정 트레드밀
JP2015535704A (ja) * 2012-09-26 2015-12-17 ウッドウェイ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統合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を有するトレッドミル
KR101688016B1 (ko) * 2015-12-11 2016-12-20 강신현 보행 분석기능을 갖춘 보행 재활기구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3674A (ja) * 1994-07-14 1998-04-07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平行棒に用いる患者支持具
US6168548B1 (en) * 1998-11-30 2001-01-02 Derek D. Fleming Portable ambulatory therapy device
JP2006288795A (ja) * 2005-04-12 2006-10-26 Matsuroku Kk 歩行補助装置
KR200394977Y1 (ko) * 2005-06-28 2005-09-06 정부환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0446186Y1 (ko) 2008-04-16 2009-10-05 장진화 재활치료용 자가현수보행장치
KR20100000113U (ko) * 2008-06-26 2010-01-06 오진석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00026580A (ko) * 2008-09-01 2010-03-10 오진석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00101714A (ko) * 2009-03-10 2010-09-20 정부환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KR20120097783A (ko) * 2011-02-25 2012-09-0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보행보조장치
KR20120105085A (ko) * 2011-03-15 2012-09-25 박성기 교정 트레드밀
JP2015535704A (ja) * 2012-09-26 2015-12-17 ウッドウェイ 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統合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を有するトレッドミル
KR101688016B1 (ko) * 2015-12-11 2016-12-20 강신현 보행 분석기능을 갖춘 보행 재활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369A (ko) 2021-04-12 2022-10-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감각 보행훈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70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ombo et al. Driven gait orthosis for improvement of locomotor training in paraplegic patients
Han et al. Comparison of effects of a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n water and on land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Rodriguez et al. The effect of shoe wedges and lifts on symmetry of stance and weight bearing in hemiparetic individuals
US8968163B1 (en)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Stephenson et al. The effect of arm movements on the lower limb during gait after a stroke
US6551219B1 (en) Cyclic ergometer
US7740566B2 (en) Hip assist walker
US20060293156A1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JP2008500083A (ja) 患者の運動障害,特に歩行時の障害を再教育するための装置
WO2014001853A1 (en) Rehabilitative walker
Novak et al. Strength and aerobic requirements during stair ambulation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nd healthy adults
KR20110060486A (ko) 사용자 맞춤형 보행 재활 장치
KR20180010838A (ko) 계단 보행 기능을 갖는 분리형 트레드밀을 구비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10060487A (ko) 반수동적 보행 재활 장치
KR102203170B1 (ko) 재활보행기
RU2626912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а с нарушением постурального баланса
Hsu et al. Use of pelvic corrective force with visual feedback improves paretic leg muscle activities and gait performance after stroke
Olama et al. Role of three side support ankle–foot orthosis in improving the bal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JPH04174666A (ja) 運動機能回復用訓練装置
US20080039297A1 (en) Method and device to enable and assist the elderly and females to exercise their thigh and gluteus muscles
CN213285538U (zh) 一种老年人心脏康复训练器械
Ikeuchi et al. The development of gait training system for computer-aided rehabilitation
CN209033655U (zh) 一种康复科用膝盖关节康复训练装置
RU130499U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Yang et al. Effects of underwater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bal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