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95A -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 Google Patents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795A
KR20200142795A KR1020190070117A KR20190070117A KR20200142795A KR 20200142795 A KR20200142795 A KR 20200142795A KR 1020190070117 A KR1020190070117 A KR 1020190070117A KR 20190070117 A KR20190070117 A KR 20190070117A KR 20200142795 A KR20200142795 A KR 2020014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filter
safety pin
indo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784B1 (ko
Inventor
박애자
Original Assignee
박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애자 filed Critical 박애자
Priority to KR102019007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출입구와 창문을 통해 버스 안으로 인입되는 초미세먼지 대책을 위한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안전핀은 버스 실내향 필터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제1면을 횡단하여 지지하는 횡단 지지부와, 이 지지부가 상하 양쪽의 끝단이 필터 하우징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두께 면을 상하 양쪽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절곡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 지지부에서 다시 상하로 절곡되어 상기 횡단 지지부와 평행하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 접하는 한 쌍의 안전핀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버스 실내향 필털를 필터 하우징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버스 창문이나 출입구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SAFTY PIN FOR BUS AIR CLEANER FILTER HOUSING}
본 발명은 버스 내의 공기조화 기술에 관한다..
오늘날 대기 환경은 황사뿐만 아니라 PM 2.5, 초미세먼지로 말미암아 큰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바깥의 초미세먼지는 출입구, 창문, 출입자가 입고 있는 옷 등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도 실외와 마찬가지로 안전하지 않다. 대중교통 안에서도 마찬가지다. 환풍기, 출입문, 창문 등을 통해 버스 안의 공기가 오염된다.
도 7은 버스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기의 흐름과 이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스(1)의 천장에는 공기조화기(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조화기(3)는 환풍뿐만 아니라 냉난방 기능을 가지며,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인입하는 외기를 통제하거나 처리한다. 창문(4, 5, 출입문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이 닫혀 있는 경우라면 천장에서 인입하는 외기를 통제하는 것만으로도 버스 내부(2)의 공기를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b)에 나타난 것처럼, 공기조화기(3)가 작동하든 작동하지 않든 창문(4, 5)이 개방되어 있다면 창문(4, 5)을 통해 좌우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기가 인입하여 버스 내부(2)의 공기를 오염시킨다. 이런 경우 마땅한 대책이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버스(1)에 설치되어 있는 문은 1개 또는 2개가 있으며, 창문은 다수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버스 내부(2)의 공기가 초미세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크고, 이로 말미암아 버스(1) 탑승한 승객을 위협할 위험이 상존하지만, 버스 위쪽 방향에서 인입하는 공기만을 관리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3)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버스 안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고자 오랫동안 궁리하고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버스의 공기청정 시스템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만을 필터링함으로써 출입문이나 창문을 통해 들어온 내부 공기는 정화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버스 승객을 오염된 공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승객들이 더욱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버스 내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에 의해 정화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발명자는 버스 실내향 필터를 적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혔다. 버스 실내향 필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그것에 최적화된 버스를 새롭게 설계하고 제조하기는 어렵다.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버스의 구조를 활용해야만 하는데, 문제는 버스 제조사가 제조하여 판매하는 버스에는 구조가 저마다 다르고 다양한 규격이 적용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버스 실내향 필터를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메이커의 버스 구조를 기술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버스의 가운데 통로 위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버스 천장 에어컨 송풍구에 버스 실내향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 그런데 둘째 버스 실내향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송풍구에서 발생하는 버스 천장 방향의 흡입압력을 견뎌내야 하는데 필터 부재의 특성상 필터 자체에는 지지력이 없어서 송풍구의 흡입압력에 의해 필터가 송풍구 안쪽으로 빨려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과제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송풍구의 흡입압력으로부터 필터를 보호하여 필터의 위치성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 내의 공기 조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은, 버스 출입구와 창문을 통해 버스 안으로 인입되는 초미세먼지 대책 수단으로 버스 송풍기에 설치되는 버스 실내향 필터가 송풍기의 흡입압력으로 송풍기 안쪽 홈 안으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필터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으로서:
버스 실내향 필터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제1면을 횡단하여 지지하는 횡단 지지부와, 이 지지부 상하 양쪽의 끝단이 필터 하우징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두께 면을 상하 양쪽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절곡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 지지부에서 다시 상하로 절곡되어 상기 횡단 지지부와 평행하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 접하는 한 쌍의 안전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안전핀 고정부에는 버스 송풍기에 설치된 송풍기 홀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된 고정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너트 삽입용 안전핀 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홀, 상기 너트 삽입용 안전핀 홀, 상기 송풍기 홀 순서로 너트가 삽입됨으로써 안전핀과 필터 하우징이 동시에 상기 버스 송풍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은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에 대해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하우징은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이 안쪽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가 송풍기의 흡입압력에 의해 송풍기 안쪽으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필터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버스 창문이나 출입문을 통해 외부에서 인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버스용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지 않았던 버스의 송풍기 하우징을 교체하지 않고도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을 이용하여 필터를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버스 실내향 필터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버스 천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버스 실내향 필터와 필터 하우징이 버스 천장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필터 하우징과 필터 안전핀이 버스 천장에 결합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버스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의 구조도이다.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10)은 횡단 지지부(110), 절곡 지지부(120, 122), 안전핀 고정부(130, 132) 및 너트 삽입용 안전핀 홀(140, 142)로 이루어진다.
횡단 지지부(110)는 버스 실내향 필터의 길이방향(F)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버스 실내향 필터의 제1면을 횡단하여 지지한다. 횡단 지지부(110)의 너비(D)는 버스 실내향 필터의 너비와 대응된다.
횡단 지지부(110)의 양쪽 끝단은 안전핀(10)이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되어 버스 실내향 필터의 두께 면을 상하 양쪽에서 지지하는 절곡 지지부(120, 122)를 형성한다.
절곡 지지부(120, 122)의 일단은 다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전핀 고정부(130, 132)를 형성한다. 안전핀 고정부(130, 132)는 횡단 지지부(110)와 평행하면서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안전핀 고정부(130, 132)에는 버스 송풍기에 설치된 송풍기 홀과, 필터 하우징에 설치된 고정 홀에 대응하는 안전핀 홀(140, 142)이 포함되어 있다. 안전핀 홀(140, 142)에는 너트가 삽입되어 안전핀(10)과 필터 하우징을 버스 천장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버스 실내향 필터(20)는 버스 송풍구 방향(S)의 제1면(210)과 필터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2면(220)으로 구성된다. 길이방향(F)에 직각으로 주름진 형상의 필터가 위치하고 있어 공기 접촉면을 늘리면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필터링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도 2의 (b)는 버스 실내향 필터(20)가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10)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버스 실내향 필터 하우징이 장착되는 버스 천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버스 천장(310)에는 버스 송풍기의 공기 흡입을 위한 송풍기 구멍(360)이 설치되어 있다. 버스 천장(310)은 버스 천장 부재(320)으로 덮여 있고, 일부는 마감재(350)가 노출되며 송풍기 구멍(36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구조이다. 송풍기 구멍(360)에 직접 버스 실내향 필터(20)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버스 실내향 필터(20)를 필터 하우징에 설치한 후 이를 다시 버스 천장(310)의 송풍기 구멍(360)을 덮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송풍기 구멍(360)을 덮는 필터 하우징을 버스 천장(310)에 결합하기 위해 버스 천장(310)에는 필터 하우징 고정부(330)와 필터 하우징 고정 홀(3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버스 실내향 필터와 필터 하우징이 버스 천장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필터 하우징(40)에는 버스 실내향 필터(20)가 고정되어 버스 천장(310)의 송풍기 구멍(360)을 덮는 형태로 고정된다. 필터 하우징(40)은 필터 하우징 고정부(430, 432)와 필터 하우징 고정훌(440, 442)를 포함한다.
송풍기 구멍(36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 조화기로 전달되는데 흡입 압력이 강하면 버스 실내향 필터(20)가 그 흡입 압력에 의해 필터 하우징(40)에 고정되지 못하고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그런 상황에서는 벌어진 간격으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걸러지지 못한 채 통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공기조화기를 거쳐 다시 승객들이 있는 버스 내부로 전달되고 말 것이고, 공기청정 효과를 거둘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버스 실내향 필터(20)가 공기 흡입 압력에 의해 송풍기 구멍(360) 방향(S)으로 딸려 올라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위치 유지용 안전핀(10)이 사용된다. 필터 위치 유지용 안전핀(10)에 의해 필터(20)는 필터 하우징(40)에 고정되고 흡입 압력에 의해 송풍기 구멍(360) 방향으로 필터(20)가 들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필터 위치 유지용 안전핀(10)은 필요에 따라 필터 하나에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필터가 여러 개 연결된 상태에서 필터 위치 유지용 안전핀(10) 또한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버스 제조사에 따라 송풍기 구멍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터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필터를 여러 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터 결합용 연결 부재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필터 하우징과 필터 안전핀이 버스 천장에 결합되는 순서를 좀 더 자세히 보여준다.
너트는 필터 하우징의 고정홀(440)을 통과하고, 다시 안전핀 홀(140)을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필터 하우징 고정 홀(340)에 체결된다. 너트에 의해 필터 하우징은 버스 천장에 고정되고 동시에 필터 위치 유지용 안전핀은 필터 하우징과 버스 천장에 고정된다. 필터 위치 유지용 안전핀이 버스 실내향 필터를 필터 하우징에 밀착하도록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인 버스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제거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했으나,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면은 참고적으로 첨부되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치수, 형상, 비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되었으므로, 그 물리적인 치수, 형상, 비례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3)

  1. 버스 출입구와 창문을 통해 버스 안으로 인입되는 초미세먼지 대책 수단으로 버스 송풍기에 설치되는 버스 실내향 필터가 송풍기의 흡입압력으로 송풍기 안쪽 홈 안으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필터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으로서:
    버스 실내향 필터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제1면을 횡단하여 지지하는 횡단 지지부와, 이 지지부 상하 양쪽의 끝단이 필터 하우징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두께 면을 상하 양쪽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절곡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절곡 지지부에서 다시 상하로 절곡되어 상기 횡단 지지부와 평행하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 접하는 한 쌍의 안전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안전핀 고정부에는 버스 송풍기에 설치된 송풍기 홀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된 고정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너트 삽입용 안전핀 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홀, 상기 너트 삽입용 안전핀 홀, 상기 송풍기 홀 순서로 너트가 삽입됨으로써 안전핀과 필터 하우징이 동시에 상기 버스 송풍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은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에 대해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인,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
  3. 제1항의 버스 실내향 필터의 위치 유지용 안전핀이 안쪽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버스 실내향 필터가 송풍기의 흡입압력에 의해 송풍기 안쪽으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필터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하우징.
KR1020190070117A 2019-06-13 2019-06-13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KR10226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117A KR102260784B1 (ko) 2019-06-13 2019-06-13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117A KR102260784B1 (ko) 2019-06-13 2019-06-13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95A true KR20200142795A (ko) 2020-12-23
KR102260784B1 KR102260784B1 (ko) 2021-06-03

Family

ID=7408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117A KR102260784B1 (ko) 2019-06-13 2019-06-13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7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30A (ja) * 1991-11-29 1993-06-15 Iseki & Co Ltd 移動車輌におけるキヤビン室空気取込装置
KR20090130590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1092016B1 (ko) * 2011-02-25 2011-12-08 주식회사 네패스 상용차량용 착탈식 공기 청정기
CN205905933U (zh) * 2016-08-04 2017-01-25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防尘格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30A (ja) * 1991-11-29 1993-06-15 Iseki & Co Ltd 移動車輌におけるキヤビン室空気取込装置
KR20090130590A (ko) * 2008-06-16 2009-1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1092016B1 (ko) * 2011-02-25 2011-12-08 주식회사 네패스 상용차량용 착탈식 공기 청정기
CN205905933U (zh) * 2016-08-04 2017-01-25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防尘格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784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130B1 (en) Wash down filtered fan apparatus
CN1936439B (zh) 空调设备
RU78074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м излучением
KR20190039793A (ko)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WO2015161228A1 (en) Air treatment systems for transportation enclosures and related methods
WO2019196435A1 (zh) 一种室内外换气装置
ES2828477T3 (es) Sistema de filtración de contaminantes del aire para una cabina
JPH0682055A (ja) エアーフィルターシステム
KR101351455B1 (ko) 에어커튼의 결합구조
KR102260784B1 (ko)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KR200397497Y1 (ko) 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자외선 램프가장착된 공기 챔버
KR20200116396A (ko)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EP2829682A1 (en) Ventilation device
KR102346433B1 (ko)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
US749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esired air pressure in a home
CN204987299U (zh) 能装配在集成设备带中的空气净化装置以及集成设备带
KR101892873B1 (ko) 특수필터 유닛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CS203110B2 (en) Frash air pass for room aerotion
KR20150143014A (ko) 날개없는 터널용 환기장치
JP2004150717A (ja) 空調装置およびフロントパネル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US7094142B1 (en) Portabl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air cleaning modules for cleaning the air outside of an existing enclosed space and delivering the cleaned air into the existing enclosed space
JPH01163534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DE202020005291U1 (de) Luftreiniger zur Desinfektion von Innenräumen und Beseitigung von Viren, Schimmel und Bakterien mittels eingebauten UV-C-Leuchtmittel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