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143A -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143A
KR20200142143A KR1020190068608A KR20190068608A KR20200142143A KR 20200142143 A KR20200142143 A KR 20200142143A KR 1020190068608 A KR1020190068608 A KR 1020190068608A KR 20190068608 A KR20190068608 A KR 20190068608A KR 20200142143 A KR20200142143 A KR 2020014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torque
yaw rate
vehicle speed
angular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244B1 (ko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244B1/ko
Priority to US16/891,839 priority patent/US11603125B2/en
Priority to CN202010518843.6A priority patent/CN112061228B/zh
Publication of KR2020014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42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5Steer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4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는, 차량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부; 운전자의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조향감지부; 차량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측정 요레이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센서; 및 차속감지부 및 조향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속과 조향상태를 기반으로 복원력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고,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별로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며, 요레이트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 컬러토크를 조정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컬럼토크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STIMATING COLUMN TORQUE I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보조토크를 생성할 수 있어 전동식 조향장치의 안전성 및 강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조향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는 전기모터를 이용해 운전자가 조향하는 방향으로 보조토크를 제공하여 핸들링이 가벼워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기존의 유압식 동력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HPS)와 달리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전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타성능과 조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전동식 조향장치는 조향 휠에 입력되는 운전자의 조향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 조향 휠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센서 및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센서 등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 조건을 판단한다.
한편, 전동식 조향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에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적절하지 못한 보조력 제공으로 인해 운전자의 조향을 방해할 염려가 있으므로 전동식 조향장치가 수동모드(Manual Mode)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전동식 조향장치가 갑작스럽게 수동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 이질감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저속 코너링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수동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이 갑자기 무거워져 차량의 주행 안전성이 저해되고, 이에 따라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8428호(2008.08.27 공개, 발명의 명칭 :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중점 보상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운전자의 조향의지에 따라 조타가 가능하려면 토크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전자의 토크량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토크센서가 고장 난 경우에는 전동식 조향장치가 수동모드로 전환되면서 조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차속, 조향각 및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보조토크를 생성할 수 있어 전동식 조향장치의 안전성 및 강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는, 차량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부; 운전자의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조향감지부; 차량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측정 요레이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센서; 및 차속감지부 및 조향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속과 조향상태를 기반으로 복원력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고,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별로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며, 요레이트센서로부터 입력된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 컬러토크를 조정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컬럼토크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향감지부는, 조향각 센서 및 모터각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조향각을 감지하고, 조향각에 기초하여 조향 각속도를 산출하여 조향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컬럼토크 추정부는, 차속과 조향상태에 따른 조향각을 기반으로 복원력을 산출하는 복원력 산출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하는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 추정 요레이트, 차속,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각각 보상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각속도 게인 조절부; 복원별 산출부에서 산출된 복원력에 대해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복원력을 보상하고, 조향 가속도에 대해 각속도 게인 조절부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보상한 조향 각속도를 보상된 복원력에 적용하여 추정 컬럼토크를 산출하는 컬럼토크 산출부; 및 컬럼토크 산출부에서 산출된 추정 컬럼토크에 대해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조절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스핀방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원력 산출부는,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복원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각속도 게인 조절부는, 복원력 산출부로부터 추정 요레이트를 입력받아 요레이트에 따라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요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에 따라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및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조향 각속도에 따라 감쇠시키기 위한 각속도별 출력 디레이팅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은,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복원력을 산출하는 단계;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하여 산출된 복원력을 조절하는 단계;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산출한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과 각속도에 따라 각각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 컬럼토크 추정부가 조절된 복원력에 보상된 조향 각속도를 적용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는 단계; 및 컬럼토크 추정부가 요레이트 센서를 통해 감지된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인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된 컬럼토크를 보상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원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복원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는, 컬럼토크 추정부가 추정 요레이트를 입력받아 요레이트에 따라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에 따라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및 컬럼토크 추정부가 조향 각속도에 따라 출력을 감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은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차속, 조향각 및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보조토크를 생성할 수 있어 전동식 조향장치의 안전성 및 강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속, 조향각 및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컬럼토크를 이용하는 주변 기능들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조타감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장치는, 차속감지부(10), 조향감지부(20), 요레이트센서(30) 및 컬럼토크 추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속감지부(10)는 차량의 차속을 감지하여 컬럼토크 추정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조향감지부(20)는 운전자의 조향상태를 측정하여 컬럼토크 추정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향감지부(20)는 조향각 센서(미도시)와 모터각 센서(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조향각 센서는 운전자가 조향하는 조향휠이 회전하는 조향각을 측정하고, 모터각 센서는 운전자의 조향에 따라 전동식 조향장치의 구동모터(미도시)가 회전하는 모터각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조향감지부(20)는 운전자의 조향상태를 조향각 센서나 모터각 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기어비를 반영하여 조향각을 감지하고, 조향각에 기초하여 조향 각속도를 산출하여 조향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요레이트센서(30)는 차량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측정 요레이트를 컬럼토크 추정부(40)에 제공할 수 있다.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차속감지부(10)와 조향감지부(20)로부터 입력된 차속과 조향상태를 기반으로 복원력(Self Aligning Torque)과 추정 요레이트(yaw rate)를 산출하고,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별로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며, 요레이트센서(30)로부터 입력된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 컬러토크를 조정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럼토크 추정부(40)는 복원력 산출부(420),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410), 각속도 게인 조절부(430), 컬럼토크 산출부(440) 및 스핀방지 처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력 산출부(420)는 차속과 조향상태에 따른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동력학 모델을 기반으로 복원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력 산출부(420)는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Side Slip Angle)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복원력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차량의 동력학 모델을 기반으로 차량무게, 차속, 횡활각, 전륜과 후륜의 코너링 강성,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전륜과 후륜까지의 거리 및 조향각을 통해 횡활각과 추정 요레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좌우 타이어의 횡활각과 코너링 포스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차량의 복원력을 산출할 수 있다.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410)는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복원력 산출부(420)에서 산출된 복원력은 일반적인 도로 상황에서 실제 운전자가 조타 시 필요한 랙포스(Rack Force)와 패턴 및 크기가 유사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조향할 때 필요한 총 랙포스가 도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운전자가 조타했을 때 필요한 총 랙포스와 유사한 크기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실제 차량의 필요 총 랙포스에서 운전자의 조타력을 감안해 주어야 운전자가 실제로 조타할 때 자연스러운 조향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410)를 통해 차속 별로 복원력을 조절하여 저속일수록 가볍고, 고속일수록 무겁게 게인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조타감과 유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속도 게인 조절부(430)는 추정 요레이트, 차속,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각각 보상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조향 각속도를 추정 컬럼토크를 생성하는데 적용할 경우, 운전자가 조타할 때 빠른 응답출력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복원력을 산출할 경우, 실제 컬럼토크의 위상을 따라가지 못하고 다소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출력을 보상하기 위한 게인을 곱한 후 이를 추정된 컬럼토크에 적용함으로써 초기 조타 응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각속도 게인 조절부(430)는 요(yaw)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432),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434) 및 각속도별 출력 디레이팅(de-rating) 처리부(436)를 포함하여 각속도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요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432)는 복원력 산출부(420)로부터 추정 요레이트를 입력받아 요레이트에 따라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434)는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에 따라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각속도별 출력 디레이팅 처리부(436)는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조향 각속도에 따라 감쇠시킬 수 있다.
조타속도가 빠를 경우 실제로는 구동모터가 약계자 영역으로 들어가 충분한 토크를 생성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는 무거운 조타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434)를 통해 속도가 빠를수록 조향각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보상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향 각속도는 단위를 RPS로 하게 되면 운전자가 조타 가능한 속도는 0 ~ 4RPS 로써, 보상게인을 최대 2.5로 설정할 경우 컬럼토크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되는 최대 컬럼토크를 10Nm라고 할 때 이와 대응하여 출력 스케일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각속도 게인 조절부(430)를 통해 차속과 조향 각속도에 따라 테이블을 통해 조절하여 조향감을 조절할 수 있다.
컬럼토크 산출부(440)는 복원별 산출부(420)에서 산출된 복원력에 대해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410)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복원력을 보상하고, 조향 가속도에 대해 각속도 게인 조절부(430)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보상된 조향 각속도를 보상된 복원력에 적용하여 추정 컬럼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스핀방지 처리부(450)는 컬럼토크 산출부(440)에서 산출된 추정 컬럼토크에 대해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조절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에 스핀(spin)이 발생하여 큰 요(yaw)가 발생할 경우 차속과 조향각에 따른 차량의 지오메트리와 동력학 특성과는 다른 동작을 하게 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큰 보상출력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요레이트센서(30)를 통해 측정한 측정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할 경우, 위와 같이 스핀이 발생하게 되면 큰 보상출력이 출력되어 의도치 않은 셀프 스티어(self steer)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성 및 조타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력을 산출할 때 요레이트센서(30)를 통해 측정된 측정 요레이트에 기초하여 복원력을 산출하지 않고,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산출한 추정 요레이트를 적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는 다른 상태일 경우 보상출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방지 처리부(450)는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차이값에 따라 추정 컬럼토크를 저감시켜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전동식 조향장치의 공진점을 회피 할 수 있는 안정화 필터, 조향감을 조절할 수 있는 부스터 커브 및 응답성을 높여주기 위한 고주파 제어기, 그리고 복원로직, 댐핑 등 전동식 조향장치의 다른 로직들에서 추정된 컬럼토크를 적용할 수 있어 외부 외란에 따른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보다 더 자연스런 조타감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에 따르면,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차속, 조향각 및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보조토크를 생성할 수 있어 전동식 조향장치의 안전성 및 강건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컬럼토크를 이용하는 주변 기능들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조타감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방법은 먼저, 컬럼토크 추정부(40)가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동력학 모델을 기반으로 복원력을 산출한다(S10).
S10 단계에서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Side Slip Angle)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복원력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차량의 동력학 모델을 기반으로 차량무게, 차속, 횡활각, 전륜과 후륜의 코너링 강성,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전륜과 후륜까지의 거리 및 조향각을 통해 횡활각과 추정 요레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좌우 타이어의 횡활각과 코너링 포스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차량의 복원력을 산출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복원력을 산출한 후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하여 산출된 복원력을 조절한다(S20).
S10 단계에서 산출된 복원력은 일반적인 도로 상황에서 실제 운전자가 조타 시 필요한 랙포스(Rack Force)와 패턴 및 크기가 유사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조향할 때 필요한 총 랙포스가 도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운전자가 조타했을 때 필요한 총 랙포스와 유사한 크기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실제 차량의 필요 총 랙포스에서 운전자의 조타력을 감안해 주어야 운전자가 실제로 조타할 때 자연스러운 조향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S20 단계에서 차속 별로 복원력을 조절하여 저속일수록 가볍고, 고속일수록 무겁게 게인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조타감과 유사하게 되도록 복원력을 보상한다.
한편,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산출한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과 각속도에 따라 각각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한다(S30).
위와 같이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복원력을 산출할 경우, 실제 컬럼토크의 위상을 따라가지 못하고 다소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출력을 보상하기 위한 게인을 곱한 후 이를 추정된 컬럼토크에 적용함으로써 초기 조타 응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S30 단계에서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추정 요레이트에 따라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고, 차속에 따라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며, 조향 각속도에 따라 출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한 후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차속별로 보상된 복원력에 보상된 조향 각속도를 적용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한다(S40).
S40 단계에서 컬럼토크를 추정한 후 컬럼토크 추정부(40)는 요레이트센서(30)를 통해 감지된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인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된 컬럼토크를 보상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한다(S50).
차량에 스핀(spin)이 발생하여 큰 요(yaw)가 발생할 경우, 차속과 조향각에 따른 차량의 지오메트리와 동력학 특성과는 다른 동작을 하게 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큰 보상출력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요레이트센서(30)를 통해 측정한 측정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할 경우, 위와 같이 스핀이 발생하게 되면 큰 보상출력이 출력되어 의도치 않은 셀프 스티어(self steer)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성 및 조타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력을 산출할 때 요레이트센서(30)를 통해 측정된 측정 요레이트에 기초하여 복원력을 산출하지 않고, 차속과 조향각을 기반으로 산출한 추정 요레이트를 적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는 다른 상태일 경우 보상출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측정 요레이트와 추정 요레이트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차이값에 따라 추정 컬럼토크를 저감시켜 보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에 따르면,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토크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차속, 조향각 및 요레이트를 기반으로 컬럼토크를 추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필요한 보조토크를 생성할 수 있어 전동식 조향장치의 안전성 및 강건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식 조향장치에서 컬럼토크를 이용하는 주변 기능들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조타감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속감지부
20 : 조향감지부
30 : 요레이트센서
40 : 컬럼토크 추정부
410 :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
420 : 복원력 산출부
430 : 각속도 게인 조절부
432 : 요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434 :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436 : 각속도별 출력저감 처리부
440 : 컬럼토크 산출부
450 : 스핀방지 처리부

Claims (8)

  1. 차량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부;
    운전자의 조향상태를 감지하는 조향감지부;
    상기 차량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측정 요레이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센서; 및
    상기 차속감지부 및 상기 조향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차속과 상기 조향상태를 기반으로 복원력과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고, 조향 각속도에 대해 추정 요레이트와 차속별로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며, 상기 요레이트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측정 요레이트와 상기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 컬러토크를 조정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컬럼토크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감지부는, 조향각 센서 및 모터각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향각을 감지하고, 상기 조향각에 기초하여 상기 조향 각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향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는,
    상기 차속과 상기 조향상태에 따른 조향각을 기반으로 상기 복원력을 산출하는 복원력 산출부;
    상기 차속을 입력받아 상기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하는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
    상기 추정 요레이트, 상기 차속, 상기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각각 보상하기 위한 게인을 조절하는 각속도 게인 조절부;
    상기 복원별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복원력에 대해 상기 차속별 복원력 게인 조절부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상기 복원력을 보상하고, 상기 조향 가속도에 대해 상기 각속도 게인 조절부에서 조절된 게인을 적용하여 보상한 조향 각속도를 보상된 복원력에 적용하여 상기 추정 컬럼토크를 산출하는 컬럼토크 산출부; 및
    상기 컬럼토크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추정 컬럼토크에 대해 상기 측정 요레이트와 상기 추정 요레이트의 차이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스핀방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산출부는, 상기 차속과 상기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과 상기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상기 복원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도 게인 조절부는,
    상기 복원력 산출부로부터 상기 추정 요레이트를 입력받아 요레이트에 따라 상기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요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상기 차속을 입력받아 상기 차속에 따라 상기 조향 각속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차속별 각속도 보상게인 조절부; 및
    상기 조향 각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조향 각속도에 따라 감쇠시키기 위한 각속도별 출력 디레이팅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6. 컬럼토크 추정부가 차속과 조향각을 입력받아 복원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차속에 따른 복원력 게인을 조절하여 산출된 상기 복원력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차속과 상기 조향각을 기반으로 산출한 추정 요레이트와 상기 차속과 상기 각속도에 따라 각각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조절된 복원력에 보상된 조향 각속도를 적용하여 컬럼토크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요레이트센서를 통해 감지된 측정 요레이트와 상기 추정 요레인트의 차이에 따라 추정된 컬럼토크를 보상하여 최종 컬럼토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차속과 상기 조향각을 입력받아 차량의 횡활각과 상기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하여 상기 복원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각속도의 출력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추정 요레이트를 입력받아 요레이트에 따라 상기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차속을 입력받아 상기 차속에 따라 상기 조향 각속도의 보상게인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럼토크 추정부가 상기 조향 각속도에 따라 출력을 감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방법.
KR1020190068608A 2019-06-11 2019-06-11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63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08A KR102634244B1 (ko) 2019-06-11 2019-06-11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US16/891,839 US11603125B2 (en) 2019-06-11 2020-06-03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column torque i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CN202010518843.6A CN112061228B (zh) 2019-06-11 2020-06-09 用于估算电机驱动的动力转向系统的柱扭矩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08A KR102634244B1 (ko) 2019-06-11 2019-06-11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143A true KR20200142143A (ko) 2020-12-22
KR102634244B1 KR102634244B1 (ko) 2024-02-07

Family

ID=7365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08A KR102634244B1 (ko) 2019-06-11 2019-06-11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03125B2 (ko)
KR (1) KR102634244B1 (ko)
CN (1) CN1120612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00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전자식 동력조향장치의 토오크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4956B2 (en) * 2019-12-23 2023-05-23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system for steering intervention by electronic power steering unit to prevent vehicle rollover or loss of control
KR20210135738A (ko) * 2020-05-06 2021-1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80B1 (ko) * 2007-11-27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 복원토크 추정 시스템
KR20180003655A (ko) * 2016-06-30 201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세 제어방법
KR20180080401A (ko) * 2017-01-02 2018-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0826A (ko) * 2017-04-27 2018-1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750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350B1 (en) * 1998-07-24 2001-05-29 Nsk Ltd.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20080078428A (ko) 2007-02-23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센서 중점 보상 방법
JP5085510B2 (ja) * 2008-11-04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15981B2 (ja) * 2009-03-11 2012-09-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操舵制御装置
KR102124521B1 (ko) 2014-05-16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컬럼 토크를 추정하는 전자 제어 장치 및 컬럼 토크 추정 방법
KR102172089B1 (ko) * 2014-10-07 2020-10-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일세이프 기능을 갖는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52956B2 (ja) * 2016-01-26 2018-07-04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102286847B1 (ko) * 2017-04-12 202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토크 추정 장치 및 방법
CN108340967B (zh) * 2018-02-24 2023-08-04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多轮独立驱动电动车辆转向时的横摆稳定性的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80B1 (ko) * 2007-11-27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 복원토크 추정 시스템
KR20180003655A (ko) * 2016-06-30 201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세 제어방법
KR20180080401A (ko) * 2017-01-02 2018-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0826A (ko) * 2017-04-27 2018-1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7507A (ko) * 2017-10-27 2019-05-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00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전자식 동력조향장치의 토오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1788A1 (en) 2020-12-17
CN112061228A (zh) 2020-12-11
CN112061228B (zh) 2022-10-14
KR102634244B1 (ko) 2024-02-07
US11603125B2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016B2 (en) Assist compensation for active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s
EP2492168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or vehicle
KR102307258B1 (ko)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31372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634244B1 (ko) 전동식 조향장치에서의 컬럼토크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373870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노면상태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36255B2 (ja) 車輪横力推定装置及び操舵反力制御装置
KR102503307B1 (ko)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방법
US8073593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102494676B1 (ko) 조향 제어 장치
JP200811468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20026642A (ko) 자율주행차량의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14346B1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73226A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KR20160045322A (ko) 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48185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비상 조향장치 및 방법
KR20150057530A (ko) 차량의 쏠림 현상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33963B1 (ko) 전동식 조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075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210080659A (ko) 후륜 조향 제어 장치 및 후륜 조향 제어 방법
CN111791947B (zh) 通过cvr增益标量减轻牵引转向
KR20150142123A (ko) Mdps의 조향 복원력 보상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95032B1 (ko) 차량용 능동조향장치
KR20220037223A (ko)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오버스티어 보상 장치 및 방법
US11858574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