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252A -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252A
KR20200141252A KR1020190068024A KR20190068024A KR20200141252A KR 20200141252 A KR20200141252 A KR 20200141252A KR 1020190068024 A KR1020190068024 A KR 1020190068024A KR 20190068024 A KR20190068024 A KR 20190068024A KR 20200141252 A KR20200141252 A KR 2020014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brush guide
comb
open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469B1 (ko
Inventor
임강빈
조이령
강권식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rush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는 작업과 털을 고르게 빗겨주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빗살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털이 건조되므로, 빗살부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는 과정만으로, 물기에 젖은 털을 풀어줌과 동시에 털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Dryer for F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는 작업과 털을 고르게 빗겨주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적, 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핵가족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요인과 맞물리면서 1인 또는 2인 가구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심리적 정서적 요인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의 수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주로 개, 고양이, 새, 파충류, 곤충, 기타 작은 동물 등이 각광 받고 있었으며, 특히 개와 고양이는 압도적으로 높은 사육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로서 가장 흔히 접촉하는 개와 고양에 있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항원은 혈액, 뇨, 타액 등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가장 강력한 것은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 속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동물이 털을 핥을때 타액이 털에 묻어서 털과 함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동물을 목욕시키면 그러한 타액성분 및 비듬은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털이 있는 반려동물이 실내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을 자주 목욕시켜 줌으로써, 털에 포함된 세균이나 진드기, 비듬, 먼지 등을 제거해 주고, 주변이 항상 청결하도록 유지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털이 있는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방법은 욕조에 목욕물을 채우고 비누를 사용하여 목욕을 시키거나 샤워기 등으로 목욕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반려동물을 목욕을 시킨 후에는 반려동물의 털에 상당히 많은 물기 내지 수분이 묻어 있거나 흡수되어 있으므로, 먼저, 수건으로 반려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를 어느 정도 닦아낸 후, 털에 흡수된 수분은 열풍을 발생시키는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또한,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에는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해 브러시를 병행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물기에 젖은 털을 풀어 주어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털 정리(그루밍)를 하기 위하여 애완동물 털의 건조 방법으로 많이 사용한다. 또는, 털을 건조한 후에 털의 정리를 위해 브러시로 빗겨주는 작업을 별도로 해줘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털의 건조와 고르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드라이어와 브러시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톨을 건조시키는 과정과 빗기는 과정을 각각 별도로 진행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9032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는 작업과 털을 고르게 빗겨주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외부의 공기가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몸체의 타측에 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브러쉬가이더; 및 브러쉬가이더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빗살부를 포함하고, 몸체의 내부와 브러쉬가이더의 내부는 상호 연통되고, 브러쉬가이더의 내부와 빗살부의 내부는 상호 연통되며, 팬의 작동에 의하여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브러쉬가이더와 빗살부를 차례로 이동한 후 빗살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손잡이부의 외측은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수직 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나팔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손잡이부의 외측 단면에 복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되고, 팬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흡입홀을 통하여 손잡이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몸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홀은 빗살부의 외주연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몸체, 브러쉬가이더 및 빗살부는 크기 별로 여러 종류가 구비되고, 손잡이부는 복수 개의 몸체 중 선택되는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브러쉬가이더의 단부에 장착되며 일면에 복수 개의 제 1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1 개폐부; 및 제 1 개폐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 1 배출공과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2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이 상호 마주보도록 제 2 개폐부가 회전되면, 몸체 내부의 공기가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이 상호 마주보지 않도록 제 2 개폐부가 회전되면, 제 1 배출공이 제 2 개폐부의 제 2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브러쉬가이더는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의 일측에는 브러쉬가이더가 삽입되도록 삽입부를 구비하되, 삽입부는 브러쉬가이더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빗살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털이 건조되므로, 빗살부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는 과정만으로, 물기에 젖은 털을 풀어줌과 동시에 털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살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므로,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빗살부 사이에 위치되는 털로 직접 전달되어, 반려동물의 털의 건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가이더로 안내되는 열풍이 복수 개의 빗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열풍은 브러쉬가이더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빗살부를 통하여 여러 방향에서 고르게 배출되므로, 반려동물은 여러 방향에서 고르게 열풍을 전달받아 신속하게 건조되며, 반려동물의 특정 위치에 과도하게 열이 집중되지 않게 되고, 브러쉬가이더 및 빗살부가 과도하게 가열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가이더의 외측은 제 2 개폐부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사용자는 제 2 개폐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반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가이더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빗살부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는 과정에서, 털이 빗살부에 걸리는 경우, 브러쉬가이더가 회전되면서 털이 부드럽게 빗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빗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빗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제 1, 2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몸체와 브러쉬가이더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100)는 몸체(110), 팬(미도시), 히팅부(미도시), 손잡이부(120), 브러쉬가이더(130), 빗살부(142), 제 1 개폐부(150) 및 제 2 개폐부(16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내부가 빈 원통형, 원기둥형, 육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부에는 팬과 히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팬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몸체(110) 내부로 강제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구성이고, 히팅부는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풍으로 가열시키는 가열코일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0)는 몸체(1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 후술하는 브러쉬가이더(130) 및 후술하는 빗살부(142)는 크기 별로 여러 종류가 구비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몸체(110), 브러쉬가이더(130) 및 빗살부(142)를 선택한 후, 몸체(110)에 손잡이부(120)를 교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손잡이부(120)의 외측은 몸체(110)에서 멀어질수록 수직 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나팔관 형상으로 흡입부(122)가 연장 형성되고, 이때, 흡입부(122)의 외측 단면에 복수 개의 흡입홀(1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팬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흡입홀(122a)을 통하여 흡입부(122)로 흡입되고, 이어서, 손잡이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몸체(110) 방향으로 이동된다.
브러쉬가이더(130)는 몸체(110)의 타측에 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쉬가이더(130)는 후술하는 빗살부(142)를 지지하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빗살부(142)는 브러쉬가이더(130)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브러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2 개폐부(150, 160)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빗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빗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빗살부(142)는 브러쉬가이더(30)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빗살부(142)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배출홀(142)이 형성된다. 배출홀(142)은 빗살부(142)의 외주연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부와 브러쉬가이더(130)의 내부는 상호 연통되고, 브러쉬가이더(130)의 내부와 빗살부(142)의 내부는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팬의 작동에 의하여 손잡이부(120)를 지나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브러쉬가이더(130)와 빗살부(142)를 차례로 이동한 후 빗살부(14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100)는 먼저, 몸체(110)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팬과 히팅부가 구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가 흡입홀(122a)을 통하여 손잡이부(120)로 흡입된 후 몸체(110)로 유입된다. 그 후, 몸체(110)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히팅부에 의하여 열풍으로 가열된 후, 브러쉬가이더(130) 및 빗살부(142)를 지나 배출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면, 목욕을 마친 반려동물의 털을 빗살부(142)를 이용하여 빗겨주는 과정에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빗살부(142) 사이로 털이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빗살부(142)에 형성된 배출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털이 건조되므로, 본 발명은 빗살부(142)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는 과정만으로, 물기에 젖은 털을 풀어줌과 동시에 털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살부(142)에 배출홀(142)이 형성되므로, 배출홀(142)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빗살부(142) 사이에 위치되는 털로 직접 전달되어, 반려동물의 털의 건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가이더(130)로 안내되는 열풍이 복수 개의 빗살부(14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홀(142)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열풍은 브러쉬가이더(130)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빗살부(142)를 통하여 여러 방향에서 고르게 배출되므로, 반려동물은 여러 방향에서 고르게 열풍을 전달받아 신속하게 건조되며, 반려동물의 특정 위치에 과도하게 열이 집중되지 않게 되고, 브러쉬가이더(130) 및 빗살부(142)가 과도하게 가열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제 1, 2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브러쉬가이더(130)의 단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개폐부(150)는 개방된 브러쉬가이더(13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 1 개폐부(15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 배출공(152)이 형성된다.
제 2 개폐부(160)는 몸체(1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개폐부(15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 2 개폐부(160)의 제 1 배출공(152)과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2 배출공(162)이 형성되고, 제 2 개폐부(160)의 제 2 배출공(162)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차단부(164)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제 1 배출공(152)과 제 2 배출공(162)이 상호 마주보도록 제 2 개폐부(160)가 회전되면, 몸체(110)의 내부는 제 1 배출공(152)과 제 2 배출공(162)에 의하여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어, 몸체(110) 내부의 공기가 제 1 배출공(152)과 제 2 배출공(16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몸체(110) 내부의 공기가 제 1, 2 배출공(152, 162)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일반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와 같이, 제 1 배출공(152)과 제 2 배출공(162)이 상호 마주보지 않도록 제 2 개폐부(160)가 회전되면, 제 1 배출공(152)이 제 2 개폐부(160)의 차단부(164)에 의하여 차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의 몸체와 브러쉬가이더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가이더(130)는 몸체(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110)의 일측에는 브러쉬가이더(130)가 삽입되도록 삽입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브러쉬가이더(130)는 삽입부(112)에 삽입되며, 이때, 삽입부(112)와 브러쉬가이더(130)는 상호 밀착되어, 삽입부(112)와 브러쉬가이더(130)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브러쉬가이더(130)는 삽입부(112)의 마찰력에 의하여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 속도가 제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브러쉬가이더(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빗살부(142)를 이용하여 털을 빗겨주는 과정에서, 털이 빗살부(142)에 걸리는 경우, 브러쉬가이더(130)가 회전되면서 털이 부드럽게 빗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110: 몸체 112: 삽입부
120: 손잡이부 122: 흡입부
122a: 흡입홀 130: 브러쉬가이더
140: 빗살부 142: 배출홀
150: 제 1 개폐부 152: 제 1 배출공
160: 제 2 개폐부 162: 제 2 배출공
164: 차단부

Claims (8)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외부의 공기가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몸체의 타측에 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브러쉬가이더; 및
    브러쉬가이더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빗살부를 포함하고,
    몸체의 내부와 브러쉬가이더의 내부는 상호 연통되고, 브러쉬가이더의 내부와 빗살부의 내부는 상호 연통되며, 팬의 작동에 의하여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브러쉬가이더와 빗살부를 차례로 이동한 후 빗살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손잡이부의 외측은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수직 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나팔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손잡이부의 외측 단면에 복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되고,
    팬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흡입홀을 통하여 손잡이부의 내부로 유입된 후 몸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홀은 빗살부의 외주연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 브러쉬가이더 및 빗살부는 크기 별로 여러 종류가 구비되고,
    손잡이부는 복수 개의 몸체 중 선택되는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브러쉬가이더의 단부에 장착되며 일면에 복수 개의 제 1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1 개폐부; 및
    제 1 개폐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 1 배출공과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2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 2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이 상호 마주보도록 제 2 개폐부가 회전되면, 몸체 내부의 공기가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제 1 배출공과 제 2 배출공이 상호 마주보지 않도록 제 2 개폐부가 회전되면, 제 1 배출공이 제 2 개폐부의 제 2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브러쉬가이더는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몸체의 일측에는 브러쉬가이더가 삽입되도록 삽입부를 구비하되, 삽입부는 브러쉬가이더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KR1020190068024A 2019-06-10 2019-06-10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KR10229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24A KR102295469B1 (ko) 2019-06-10 2019-06-10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24A KR102295469B1 (ko) 2019-06-10 2019-06-10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52A true KR20200141252A (ko) 2020-12-18
KR102295469B1 KR102295469B1 (ko) 2021-08-30

Family

ID=7404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24A KR102295469B1 (ko) 2019-06-10 2019-06-10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196Y1 (ko) * 2003-02-15 2003-05-23 박선우 헤어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내장한헤어드라이기
KR200333849Y1 (ko) * 2003-09-06 2003-11-19 성낙영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빗
KR20050108798A (ko) * 2004-05-13 2005-11-17 (주) 케이.아이.씨.에이 공기의 확산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빗살을 구비한헤어드라이어
KR100998166B1 (ko) *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JP2017074029A (ja) * 2015-10-13 2017-04-20 宏美 井上 ペット用ラクラクドライヤー
KR101790322B1 (ko) 2016-02-29 2017-10-25 박성민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809163B1 (ko) * 2015-10-28 2017-12-14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KR101871122B1 (ko) * 2017-12-28 2018-06-25 한우선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196Y1 (ko) * 2003-02-15 2003-05-23 박선우 헤어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내장한헤어드라이기
KR200333849Y1 (ko) * 2003-09-06 2003-11-19 성낙영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빗
KR20050108798A (ko) * 2004-05-13 2005-11-17 (주) 케이.아이.씨.에이 공기의 확산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빗살을 구비한헤어드라이어
KR100998166B1 (ko) *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JP2017074029A (ja) * 2015-10-13 2017-04-20 宏美 井上 ペット用ラクラクドライヤー
KR101809163B1 (ko) * 2015-10-28 2017-12-14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KR101790322B1 (ko) 2016-02-29 2017-10-25 박성민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871122B1 (ko) * 2017-12-28 2018-06-25 한우선 브러쉬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469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0805A1 (ko)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US7926492B2 (en) Direct application horse and livestock brush having flow regulator assembly
US3850180A (en) Hair detangler
US8082886B2 (en) Direct application brush with sponge
US20080314330A1 (en) Disposable pet cleaning bag
KR101616062B1 (ko) 긴머리용 헤어드라이기
KR20200141252A (ko) 반려동물용 건조 장치
KR102410419B1 (ko)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US3965527A (en) Vacuum grooming brush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US20170215378A1 (en) Animal drying attachment
KR100563399B1 (ko) 애완 동물용 미용기구
CN209449445U (zh) 吹干装置
JP3164896U (ja) 動物用タオル
JP2017074029A (ja) ペット用ラクラクドライヤー
CN105104229A (zh) 一种家庭式宠物专用吹风拉毛装置
KR20200122799A (ko)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JPH0356204Y2 (ko)
CN210470652U (zh) 一种兽医用具有折叠功能的宠物毛梳
KR102247912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KR102448331B1 (ko) 애완동물용 그루밍 브러쉬
KR102561523B1 (ko) 반려동물 목욕용 장갑
KR20230064423A (ko) 반려동물용 드라이어 및 헬스케어 시스템
KR102085860B1 (ko) 헤어드라이 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