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24A -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24A
KR20200140524A KR1020190067221A KR20190067221A KR20200140524A KR 20200140524 A KR20200140524 A KR 20200140524A KR 1020190067221 A KR1020190067221 A KR 1020190067221A KR 20190067221 A KR20190067221 A KR 20190067221A KR 20200140524 A KR20200140524 A KR 2020014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ction
toilet
purification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814B1 (ko
Inventor
금영성
금태호
Original Assignee
금영성
금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영성, 금태호 filed Critical 금영성
Priority to KR102019006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8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유닛을 좌변기의 탈취좌대에 설치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 또는 좌변기의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고, 좌변기의 물 배출시에도 물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좌변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취좌대에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장치이고, 중공의 링 형상으로 탈취좌대에 결합되고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흡입링유닛과, 흡입링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흡입라인유닛 및 흡입라인유닛을 통해 흡입되는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정화유닛은 흡입라인유닛과 결합되는 정화바디와,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과,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암모니아 성분의 분해를 위해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유닛 및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정화바디로 흡입하는 흡입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본 발명은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취유닛을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 또는 좌변기의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고, 좌변기의 물 배출시에도 물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의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설치되는데,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사용하는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 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제거는 화장실 내에 있는 환풍기나 창문의 개폐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가 이미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어 그 효과가 극히 미비하다.
이에 화장실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변기의 구조가 연구되고 있으며, 종래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배수관을 설치하고 배수구의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하여 배수구 아래로부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변기의 물내림 조작을 하기 전에 화장실 내부로 냄새가 확산되며, 이미 냄새 분자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 단순히 물을 내리는 것만으로는 냄새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강제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도 연구되고 있으며, 종래 변기 내부에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변기본체(도기)와 별도로 설치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는 흡입관을 통하여 강제로 이동하게 되며, 흡입관은 배수관으로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가 배수관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러한 탈취장치는 흡입구가 용변 위치와 멀어 효과적으로 냄새분자를 흡입할 수 없으며, 또한 흡입구가 상방향을 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용변이 위치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냄새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변기본체와 별도로 외부로 노출되게 흡입구를 설치하면, 미관상 좋지 않아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변기본체 내부의 용변으로 인해 흡입장치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변기본체의 림수로의 림배출공에 연동시켜 흡입구를 배치하는 경우, 변기본체 내부의 용변으로 인해 흡입구가 오염되거나 막힐 수 있고, 물내림 동작시 흡입구로 물이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890호 (발명의 명칭: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2018. 11. 0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취유닛을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 또는 좌변기의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고, 좌변기의 물 배출시에도 물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좌변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취좌대에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장치이고, 중공의 링 형상으로 상기 탈취좌대에 결합되고,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흡입링유닛; 상기 흡입링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흡입라인유닛; 및 상기 흡입라인유닛을 통해 흡입되는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흡입라인유닛과 결합되는 정화바디; 상기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상기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암모니아 성분의 분해를 위해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유닛; 및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정화바디로 흡입하는 흡입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링유닛의 직경은, 상기 흡입라인유닛의 분기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링유닛의 직경은 기설정된 직경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라인유닛은, 상기 흡입링유닛에서 분기되는 분기라인; 상기 분기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버퍼; 및 상기 회동버퍼와 상기 정화유닛을 연결하는 전달라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수장치는 상기 흡입라인유닛과 상기 정화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는 좌변기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상기 회동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본체; 및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좌변기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좌변기본체 쪽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는 흡입지지부가 구비된 흡입턱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흡입링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링탈착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흡입라인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라인탈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따르면, 탈취유닛을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 또는 좌변기의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고, 좌변기의 물 배출시에도 물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링유닛의 직경에 대응하여 다수의 흡입구에서 균일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있어서 냄새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라인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화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흡입라인유닛의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바디를 통해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냄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유닛을 통해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연소될 때, 이물질에 의해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유닛을 통해 암모니아의 분해를 활성화시켜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서 냄새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수분리유닛을 통해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암모니아의 분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턱부를 통해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 흡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물내림 동작시 물이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탈착부를 통해 흡입링유닛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흡입링유닛의 세척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인탈착부를 통해 정화유닛의 위치에 따라 흡입라인유닛의 배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설치된 탈취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서 흡입링유닛의 결합 상태를 위해 A-A'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설치된 탈취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서 좌대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서 흡입링유닛의 결합 상태를 위해 B-B'선에 따른 단면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서 흡입라인유닛이 배치되는 좌대본체를 도시한 확대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서 흡입라인유닛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는 좌대본체(200)와, 탈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좌대본체(200)는 좌변기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좌대본체(200)에는 흡입턱부(201)가 구비된다. 흡입턱부(201)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쪽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흡입턱부(201)에는 탈취유닛에 구비된 흡입구(11)가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는 흡입지지부(202)가 구비된다.
좌대본체(200)에는 좌대지지부(203)가 구비된다. 좌대지지부(203)는 좌변기본체(100)에 지지되도록 좌대본체(200)에 돌출 형성된다.
좌대본체(200)에는 링탈착부(210)가 구비된다. 링탈착부(210)는 좌대본체(20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링탈착부(210)는 탈착유닛에 구비되는 흡입링유닛(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링탈착부(210)에는 흡입링유닛(10)이 끼움 결합되는 링안착홈부(211)가 함몰 형성된다. 링안착홈부(211)의 입구에는 링안착홈부(211)에 끼움 결합된 흡입링유닛(10)을 지지하는 링지지후크부(212)가 구비된다. 그러면, 흡입링유닛(10)은 링안착홈부(2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탈취유닛은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좌변기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탈취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하거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좌변기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취좌대에 구비되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좌변기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흡입링유닛(10)과, 흡입라인유닛(20)과, 정화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링유닛(10)은 중공의 링 형상으로 탈취좌대의 좌대본체(200)에 결합된다. 흡입링유닛(10)에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구비된다. 흡입구(11)는 흡입링유닛(10)에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과 링탈착부(210)에 구비된 링안착홈부(211)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입링유닛(10)은 링탈착부(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므로, 흡입링유닛(10)의 교체 및 청소를 간편하게 하고, 좌변기용 탈취장치의 위생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흡입링유닛(10)의 직경은 흡입라인유닛(20)의 분기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짐으로써, 다수의 흡입구(11)에서 균일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흡입링유닛(10)의 직경이 기설정된 직경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좌변기본체(100)의 후방 쪽에서 상대적으로 흡입력을 강하게 하므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있어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냄새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입구(11)는 흡입공과 연통된 상태에서 흡입링유닛(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부는 흡입지지부(202)에 끼움 결합되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흡입라인유닛(20)은 흡입링유닛(10)으로부터 분기된다.
정화유닛(40)은 흡입라인유닛(20)을 통해 흡입되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킨다. 정화유닛(40)은 흡입라인유닛(20)과 결합되는 정화바디(41)와,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42)과,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암모니아 성분의 분해를 위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유닛(43)과,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정화바디(41)로 흡입하는 흡입구동유닛(44)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바디(41)에는 흡입라인유닛(20)과 연결되는 정화흡입부(411)와, 정화바디(41)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부(412)가 포함될 수 있다. 정화배출부(41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좌변기본체(100)가 설치되는 화장실의 내부 또는 화장실의 외부 또는 화장실의 환기구 또는 좌변기본체(100)의 배수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출되도록 한다.
필터유닛(42)은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연소유닛(43)에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연소될 때,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소유닛(43)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 또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동유닛(44)은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정화바디(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팬(441)과,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정화바디(41)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팬(441)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4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화바디(41)의 내부에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필터유닛(42)과, 연소유닛(43)이 차례로 배치됨으로써, 정화유닛(40)에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 대한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화유닛(40)은 연소유닛(43)을 거쳐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닛은 정화바디(41)에 내장되어 공기의 냉각을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코일과, 냉매코일의 냉매를 냉각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의 냉각은 좌변기의 저수통에 수용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유수분리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수분리유닛(30)은 흡입라인유닛(20)과 정화유닛(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유수분리유닛(30)은 흡입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한다. 유수분리유닛(3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좌대는 회동브라켓(230)과, 좌대본체(200)와, 탈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브라켓(230)은 좌변기본체(100)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대본체(200)는 좌변기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좌대본체(200)는 회동브라켓(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대본체(200)에는 흡입턱부(201)가 구비된다. 흡입턱부(201)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쪽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흡입턱부(201)에는 탈취유닛에 구비된 흡입구(11)가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는 흡입지지부(202)가 구비된다.
좌대본체(200)에는 좌대지지부(203)가 구비된다. 좌대지지부(203)는 좌변기본체(100)에 지지되도록 좌대본체(200)에 돌출 형성된다.
좌대본체(200)에는 링탈착부(210)가 구비된다. 링탈착부(210)는 좌대본체(20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링탈착부(210)는 탈착유닛에 구비되는 흡입링유닛(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링탈착부(210)에는 흡입링유닛(10)이 끼움 결합되는 링안착홈부(211)가 함몰 형성된다. 링안착홈부(211)의 입구에는 링안착홈부(211)에 끼움 결합된 흡입링유닛(10)을 지지하는 링지지후크부(212)가 구비된다. 그러면, 흡입링유닛(10)은 링안착홈부(2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좌대본체(200)에는 라인탈착부(220)가 구비된다. 라인탈착부(220)는 좌대본체(20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라인탈착부(220)는 탈착유닛에 구비되는 흡입라인유닛(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라인탈착부(220)에는 흡입라인유닛(20)이 끼움 결합되는 라인안착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라인안착홈부의 입구에는 라인안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흡입라인유닛(20)을 지지하는 라인지지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흡입라인유닛(20)은 라인안착홈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라인탈착부(220)에는 흡입라인유닛(20) 중 회동버퍼(2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버퍼안착부(22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인탈착부(220)에는 흡입라인유닛(20) 중 분기라인(21)이 끼움 결합되는 분기안착부(221)와, 흡입라인유닛(20) 중 전달라인(23)이 끼움 결합되는 전달안착부(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달안착부(223)는 한 쌍이 버퍼안착부(222)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분기라인(21)에서 회동버퍼(22)가 회전될 때, 버퍼안착부(222)를 기준으로 전달라인(23)이 끼움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탈취유닛은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좌변기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탈취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하거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좌변기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취좌대에 구비되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좌변기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흡입링유닛(10)과, 흡입라인유닛(20)과, 정화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링유닛(10)은 중공의 링 형상으로 탈취좌대의 좌대본체(200)에 결합된다. 흡입링유닛(10)에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구비된다. 흡입구(11)는 흡입링유닛(10)에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흡입공과 링탈착부(210)에 구비된 링안착홈부(211)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링유닛(10)은 링탈착부(210)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므로, 흡입링유닛(10)의 교체 및 청소를 간편하게 하고, 좌변기용 탈취장치의 위생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흡입링유닛(10)의 직경은 흡입라인유닛(20)의 분기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짐으로써, 다수의 흡입구(11)에서 균일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흡입링유닛(10)의 직경이 기설정된 직경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좌변기본체(100)의 후방 쪽에서 상대적으로 흡입력을 강하게 하므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있어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냄새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구(11)는 흡입공과 연통된 상태에서 흡입링유닛(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부는 흡입지지부(202)에 끼움 결합되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흡입라인유닛(20)은 흡입링유닛(10)으로부터 분기된다.
흡입라인유닛(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링유닛(10)에서 분기되는 분기라인(21)과, 분기라인(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버퍼(22)와, 회동버퍼(22)와 정화유닛(40)의 정화바디(41)를 연결하는 전달라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기라인(21)은 분기안착부(221)와 끼움 결합되고, 회동버퍼(22)는 버퍼안착부(222)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전달라인(23)은 전달안착부(223)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특히, 흡입라인유닛(20)에서 적어도 회동버퍼(22)는 버퍼안착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면 충분하다.
정화유닛(40)은 흡입라인유닛(20)을 통해 흡입되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킨다. 정화유닛(40)은 흡입라인유닛(20)과 결합되는 정화바디(41)와,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42)과,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암모니아 성분의 분해를 위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유닛(43)과,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정화바디(41)로 흡입하는 흡입구동유닛(44)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바디(41)에는 흡입라인유닛(20)의 전달라인(23)과 연결되는 정화흡입부(411)와, 정화바디(41)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부(412)가 포함될 수 있다. 정화배출부(41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좌변기본체(100)가 설치되는 화장실의 내부 또는 화장실의 외부 또는 화장실의 환기구 또는 좌변기본체(100)의 배수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출되도록 한다.
필터유닛(42)은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연소유닛(43)에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연소될 때,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소유닛(43)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 또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동유닛(44)은 정화바디(41)에 내장되고 정화바디(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팬(441)과,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정화바디(41)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팬(441)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4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화바디(41)의 내부에는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필터유닛(42)과, 연소유닛(43)이 차례로 배치됨으로써, 정화유닛(40)에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 대한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화유닛(40)은 연소유닛(43)을 거쳐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닛은 정화바디(41)에 내장되어 공기의 냉각을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코일과, 냉매코일의 냉매를 냉각 순환시키는 냉매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의 냉각은 좌변기의 저수통에 수용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장치는 유수분리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수분리유닛(30)은 흡입라인유닛(20)과 정화유닛(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유수분리유닛(30)은 흡입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한다. 유수분리유닛(3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에 따르면, 탈취유닛을 좌변기의 탈취좌대에 설치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 또는 좌변기의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고, 좌변기의 물 배출시에도 물의 흡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흡입링유닛(10)의 직경에 대응하여 다수의 흡입구(11)에서 균일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에 있어서 냄새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흡입라인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화유닛(40)의 위치에 대응하여 흡입라인유닛(20)의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정화바디(41)를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냄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42)을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연소될 때, 이물질에 의해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소유닛(43)을 통해 암모니아의 분해를 활성화시켜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냄새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유수분리유닛(30)을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암모니아의 분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턱부(201)를 통해 좌변기본체(100)의 내부 공기 흡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물내림 동작시 물이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탈착부(210)를 통해 흡입링유닛(1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흡입링유닛(10)의 세척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라인탈착부(220)를 통해 정화유닛(40)의 위치에 따라 흡입라인유닛(20)의 배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좌변기본체 200: 좌대본체 201: 흡입턱부
202: 흡입지지부 203: 좌대지지부 210: 링탈착부
211: 링안착홈부 212: 링지지후크부 220: 라인탈착부
221: 분기안착부 222: 버퍼안착부 223: 전달안착부
230: 회동브라켓 10: 흡입링유닛 11: 흡입구
20: 흡입라인유닛 21: 분기라인 22: 회동버퍼
23: 전달라인 30: 유수분리유닛 40: 정화유닛
41: 정화바디 411: 정화흡입부 412: 정화배출부
42: 필터유닛 43: 연소유닛 44: 흡입구동유닛
441: 흡입팬 442: 흡입모터

Claims (6)

  1. 좌변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취좌대에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장치이고,
    중공의 링 형상으로 상기 탈취좌대에 결합되고,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흡입링유닛;
    상기 흡입링유닛으로부터 분기되는 흡입라인유닛; 및
    상기 흡입라인유닛을 통해 흡입되는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흡입라인유닛과 결합되는 정화바디;
    상기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상기 정화바디에 내장되고, 암모니아 성분의 분해를 위해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유닛; 및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정화바디로 흡입하는 흡입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유닛은,
    상기 흡입링유닛에서 분기되는 분기라인;
    상기 분기라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버퍼; 및
    상기 회동버퍼와 상기 정화유닛을 연결하는 전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유닛과 상기 정화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장치.
  4. 좌변기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
    상기 회동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본체; 및
    상기 좌변기본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좌변기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유닛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좌변기용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좌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좌변기본체 쪽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는 흡입지지부가 구비된 흡입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좌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흡입링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링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대본체에는,
    상기 흡입라인유닛이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라인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좌대.
KR1020190067221A 2019-06-07 2019-06-07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KR10229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21A KR102294814B1 (ko) 2019-06-07 2019-06-07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21A KR102294814B1 (ko) 2019-06-07 2019-06-07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24A true KR20200140524A (ko) 2020-12-16
KR102294814B1 KR102294814B1 (ko) 2021-08-27

Family

ID=7404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21A KR102294814B1 (ko) 2019-06-07 2019-06-07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645A (ja) * 1996-09-26 1998-04-21 Toyoda Gosei Co Ltd 脱臭装置
KR20110054379A (ko) * 2009-11-17 2011-05-25 유상동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KR20130133454A (ko) * 2012-05-29 2013-12-09 코웨이 주식회사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170087057A (ko) * 2017-04-13 2017-07-27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645A (ja) * 1996-09-26 1998-04-21 Toyoda Gosei Co Ltd 脱臭装置
KR20110054379A (ko) * 2009-11-17 2011-05-25 유상동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KR20130133454A (ko) * 2012-05-29 2013-12-09 코웨이 주식회사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101916890B1 (ko) 2012-05-29 2018-11-08 코웨이 주식회사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170087057A (ko) * 2017-04-13 2017-07-27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814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009A (en)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US6678900B2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with proximity sensor
KR101841104B1 (ko) 악취제거 변기
US5231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oilet odors
JP2009541621A (ja) 換気トイレ装置及び二重機能性便座
US6795980B1 (en) Toilet bowl odor removal system
US6550072B1 (en) Bowl ventilation apparatus
US20060021120A1 (en) Odorless toilet
KR101058923B1 (ko) 좌변기용 탈취 장치
KR101916890B1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US20130276220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and the like
KR20200140524A (ko) 좌변기용 탈취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좌변기용 탈취좌대
JPH0216225A (ja) 不快臭除去装置付便器
JPH11501372A (ja) 便器からの臭気の除去装置
JP2008138423A (ja) 照明器具付き便器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ES2288257T3 (es) Aparato extractor especifico para baños.
KR20090009037A (ko) 흡입수단을 갖는 변기시트
BR112021004151A2 (pt) conjunto de filtração para reduzir mau odores no ar e rejeitos aerossolizados de banheiros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US10563389B2 (en) Odor removal systems for toilets
EP2947214B1 (en) Odor extraction system for a sanitary appliance having a flushing tank, and flushing tank comprising such an odor extraction system
KR102272300B1 (ko) 좌변기 냄새 배출장치
US20190093327A1 (en) Removable 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413881B1 (ko) 변기용 냄새제거 변기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