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226A - 구두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구두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226A
KR20200140226A KR1020200169356A KR20200169356A KR20200140226A KR 20200140226 A KR20200140226 A KR 20200140226A KR 1020200169356 A KR1020200169356 A KR 1020200169356A KR 20200169356 A KR20200169356 A KR 20200169356A KR 20200140226 A KR20200140226 A KR 20200140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attery
sole
sho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삼봄마츠
다모츠 오키
요스케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20014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H01M2/10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전자 기기의 구두에 대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면서, 당해 전자 기기의 전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두(2)는, 전자 기기(30)와, 전자 기기(30)가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형상의 수용 오목부(13)를 갖는 밑창(10)을 구비한다. 전자 기기(30)는, 전지(31)와, 전자 부품(32)과, 전지(31) 및 전자 부품(32)을 격납하는 케이스(33)를 갖고 전지(31)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전자 기기(30)는, 밑창(10)에 대한 수용 상태에 있어서 좌우 비대칭의 윤곽 형상이며, 수용 오목부(13)는, 전자 기기(30)의 윤곽 형상을 따른 좌우 비대칭의 형상이다.

Description

구두 및 전자 기기 {SHOES AND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밑창에 전자 기기를 착탈 가능한 구두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센서와 통신기를 내장한 소형 전자 기기가, 밑창에 마련한 오목부에 수용된 구두가 알려져 있다. 전자 기기는, 센서로 계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동에 관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값(예를 들어, 소비 칼로리의 계산이나 러닝 거리 등)을 산출하고, 센서로 계측한 데이터나 산출한 파라미터값을, 유저의 휴대 장치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저는, 운동에 관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값을 자신의 건강 관리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35157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전자 기기인 전자 모듈이 전지를 구비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만, 그 전지의 교환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즉, 전지가 다 되면 전자 모듈 자체를 교환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구두에 대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면서, 당해 전자 기기의 전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전지와, 전자 부품과,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자 부품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전지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기기와, 상면측에 상기 전자 기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마련된 밑창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면으로 보아, 수용 상태의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형상에 따른 끼워 맞춤 형상을 갖는, 구두이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좌우 비대칭의 윤곽 형상을 갖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면으로 보아, 상기 전자 기기의 윤곽 형상을 따른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쪽에 볼록형 외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면으로 보아,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볼록형 외관 형상을 따른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지와 상기 전자 부품은,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분리 가능한 덮개부를 갖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보아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가짐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좌우 비대칭의 윤곽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나사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부에 마련된 나사 구멍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나사 구멍의 주위에 마련된 환형 돌기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나사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측부에 마련된 나사 구멍을 갖고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지는 버튼형 전지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보아, 상기 전지와 상기 전자 부품에 맞닿아 있지 않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밑창은, 상기 전자 기기의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끼움 부착부를, 상기 수용 오목부 중, 상기 구두의 외측에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전방측이 돌출 형상이고, 후방측이 비돌출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밑창은, 본체 부품과, 상기 수용 오목부를 갖는 상기 본체 부품과는 경도가 상이한 오목부 형성 부품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 형성 부품은, 상기 본체 부품보다 경도가 높은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 상면측에 전자 기기를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형상의 수용 오목부가 마련된 밑창을 구비한 구두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 기기이며, 전지와, 전자 부품과,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자 부품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전지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구두의 좌측면도.
도 2는, 밑창과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구두를 바로 위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1)이 사시도, (2)가 전지를 교환할 때의 분해도.
도 4는, 전자 기기의 A-A 단면(도 2 참조)에 있어서의 XZ 단면도.
도 5는, 전자 기기의 XY 단면도.
도 6은, XY 단면도를 바탕으로 전자 기기의 내부 공간 구성을 목적별로 강조 표시한 도면.
도 7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밑창과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XY 단면도.
도 9는,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XY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형태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방향은, 도면 중에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본 실시 형태의 구두(2)는, 일례로서 오른발용 구두로서 설명하지만, 왼발용 구두여도 된다. 또한, 오른발용과 왼발용의 양쪽 구두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구두(2)의 좌측면도이다. 구두(2)는, 밑창(10)과, 밑창(10)을 전후 방향으로, 전족부, 중족부, 발뒤꿈치부로 3분할한 경우의 중족부에 착탈 가능한 전자 기기(30)를 갖는다.
밑창(10)은, 미드솔(11)과 아우터솔(12)을 갖는다. 구두(2)의 제작 방법에 따라서는, 양자의 구별이 없는 일체품이어도 된다. 또한, 적절하게 이너솔(19)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밑창(10)은, 미드솔(11)의 상면측에, 전자 기기(30)를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형상의 수용 오목부(13)를 갖는다.
도 2는, 밑창(10)과 전자 기기(3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구두(2)를 바로 위에서 본(상면으로 본) 평면도이다. 밑창(10)은, 밑창으로서의 주된 평면을 구성하는 본체 부품(14)과, 수용 오목부(13)를 갖는 오목부 형성 부품(15)을 갖는다.
수용 오목부(13)는, 상면으로 보아, 수용 상태의 전자 기기(30)의 외관 형상에 따른 끼워 맞춤 형상을 갖는다.
본체 부품(14)과 오목부 형성 부품(15)은, 경도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부품(14)은 EVA 수지(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로 작성되고, 오목부 형성 부품(15)은 TPU 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작성되어 있다. 오목부 형성 부품(15)은, 본체 부품(14)보다 경도가 높다.
전자 기기(30)는, 전지(31)와, 전자 부품(32)과, 전지(31) 및 전자 부품(32)을 격납하는 케이스(3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30)는, 전지(31)를 교환 가능하게 격납하는 평판형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기기(3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밑창(10)의 수용 오목부(13)에 수용된 수용 상태에 있어서 대칭축(AX1)에 대해 좌우 비대칭의 윤곽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좌우 비대칭」의 좌우는,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두(2)를 오른발용으로서 예시하고 있으므로, 대칭축(AX1)은, 구두(2)의 전후 방향을 향하고 있고, 좌측이 구두의 내측, 우측이 구두의 외측에 상당한다.
도 3은, 전자 기기(3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의 (1)이 조립 완료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2)가 전지(31)를 교환할 때의 분해도에 상당한다.
도 4는, 전자 기기(30)의 A-A 단면(도 2 참조)에 있어서의 XZ 단면도이다.
도 5는, 전자 기기(30)의 XY 단면도이다.
도 6은, XY 단면도를 바탕으로 전자 기기(30)의 내부 공간의 구성을 목적별로 강조 표시한 도면이다
전지(31)는, 코인형으로 분류되는 버튼형 전지이다.
전자 부품(32)은, 여러 가지 전자 소자를 탑재한 전자 회로 기판(32k)과, 플러스 전극판(32dp)(도 4, 도 5 참조)과, 마이너스 전극판(32dm)(도 4, 도 5 참조)을 포함한다.
전자 회로 기판(32k)은, 3축 가속도 센서(32s)와, 마이크로프로세서(32m)와, IC 메모리(32i)와, 소형 무선 통신기(32t)를 탑재한다. 물론, 그 밖의 전자 부품이나 회로부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지(31)로부터의 회로도 적절하게 탑재되어 있다.
전자 회로 기판(32k)에는, 전지(31)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3축 가속도 센서(32s)는, XYZ의 직교 3축 각각의 방향의 가속도를 계측한다. 계측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32m)에 의한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계측된 값인 채로, 혹은 구두(2)의 이동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값이나 구두(2)의 유저의 운동량에 관한 파라미터값 등으로 변환되어, IC 메모리(32i)에 기억된다. 그리고, 계측값이나 파라미터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32m)의 통신 제어에 의해, 소형 무선 통신기(32t)를 통하여 통신 접속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유저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시계나 스마트 글래스 등의 통신 기능이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등)에 송신된다.
케이스(33)는, 전자 부품(32)을 격납하는 본체부(34)와, 본체부(34)에 분리 가능한 덮개부(35)와, 본체부(34)에 덮개부(3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6)와, 본체부(34)와 덮개부(35)를 수밀 접속하기 위한 O링(37)을 갖는다.
본체부(34)는, 전방(밑창(10)에 수용된 수용 상태에 있어서 구두(2)의 전방과 동일함: Y축 플러스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박스체이다. 본체부(34)는, 상부 부품(34a)과 하부 부품(34r)의 2개의 합성 수지 부품을 상하로 합침으로써, 전자 부품(32)의 격납 스페이스(S2)(도 6 참조)를 확보하고 있다.
덮개부(35)는, 후방(Y축 마이너스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합성 수지성 박스체이다. 덮개부(35)는, 본체부(34)의 개구부에 덮어 씌워져, 전지(31)의 격납 스페이스(S1)(도 6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전자 기기(30)는, 가능한 한 콤팩트해지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므로, 전지(31)의 격납 스페이스(S1)와, 전자 부품(32)의 격납 스페이스(S2)를 접근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격납 스페이스(S1)는, 격납하는 전지(31)의 윤곽을 따른 높이가 낮은 저원기둥 형상 공간으로 되고, 격납 스페이스(S2)는, 전자 회로 기판(32k) 등의 전자 부품(32)을 격납하기 위해 높이가 낮은 박스형 공간으로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30)는, 밑창(10)에 수용된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보아, 전방측(Y축 플러스 방향)이 돌출 형상이고, 후방측(Y축 마이너스 방향)이 비돌출 형상이다.
고정부(36)는, 나사(361)와, 케이스(33)의 측부(구체적으로는, 본체부(34)의 상부 부품(34a)의 우측면(외측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362)과, 케이스(33)의 나사 구멍(362)의 주위에 마련된 환형 돌기부(363)를 갖는다.
환형 돌기부(363)는, 설치된 나사(361)의 헤드부를 둘러싸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나사(361)는, 환형 돌기부(363)의 중앙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나사 삽입된다.
고정부(36)는,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보아, 전지(31)의 격납 스페이스(S1)와 전자 부품(32)의 격납 스페이스(S2)의 사이, 케이스(33)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36)는,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보아, 전지(31) 및 전자 부품(32)과의 비간섭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고 바꾸어 말해도 된다.
그리고, 고정부(36)의 일부는, 케이스(33)의 좌측부(구두의 외측 측부)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전자 기기(30)가 좌우 비대칭의 윤곽 형상을 이루는 요소로 되어 있다. 즉, 전자 기기(30)는,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우측(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측)에 볼록형 외관 형상을 가지며 전지(31)와 전자 부품(32)이 나란히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기기(30)는,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전지(31)와 전자 회로 기판(32k)이 나란히 배치되는 위치에 전지(31) 및 전자 회로 기판(32k)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기기(30)가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형상을 갖기 위해, 수용 오목부(13)는, 전자 기기(30)의 윤곽 형상을 따른 좌우 비대칭(대칭축(AX2))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2 참조). 시점을 밑창(10)으로 돌리면, 밑창(10)은, 전자 기기(30)의 고정부(36)에 대응하는 끼움 부착부(16)를, 수용 오목부(13) 중 구두의 외측에 갖는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부(34)와 덮개부(35)의 맞춤면에는 O링(37)이 배치되어 있다(도 3, 도 5 참조). 본체부(34)와 덮개부(35)를 맞추어 고정부(36)로 양자를 고정하면, O링(37)이 적절하게 압축되어 본체부(34)와 덮개부(35)의 맞춤면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수밀 밀봉된 상태로 된다. 또한, 나사(361)에는, 소(小) O링(364)(도 4, 도 5 참조)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 삽입되면 환형 돌기부(39)의 중앙 오목부의 저부와의 간극을 메워, 고정부(36)로부터 케이스(33) 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수밀 밀봉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전자 기기(30)의 전지 교환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구두(2)의 밑창(10)으로부터 전자 기기(30)를 떼어낸다(도 1 참조). 오목부 형성 부품(15)에는, 적절하게, 전자 기기(30)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손가락 걸이 스페이스(15a)를 마련해 두면 적합하다. 또한, 손가락 걸이 스페이스(15a)를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구두(2)에 이너솔(19)이 있는 구성에서는, 이너솔(19)을 구두(2)로부터 빼고 나서 전자 기기(30)를 떼어낸다.
(2) 전자 기기(30)의 케이스(33)를 연다. 구체적으로는, 나사(361)를 풀어, 덮개부(35)를 본체부(34)로부터 뺀다(도 3 참조).
(3) 전지(31)를 빼고, 신품 전지(31)로 교환한다.
(4) 전자 기기(30)의 케이스(33)를 닫는다.
(5) 전자 기기(30)를 밑창(10)의 수용 오목부(13)에 끼운다(도 2 참조). 이때, 전자 기기(30)는, 케이스(33)의 덮개부(35)의 볼록 형상이 구두(2)의 전방을 향하며, 또한 고정부(36)가 구두의 외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다. 만일, 이 올바른 수용 자세를 취하지 않고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끼우려고 해도, 고정부(36)의 볼록 형상이 끼움 부착부(16)의 위치에 맞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30)는 수용 오목부(13)에 잘 들어가지 않아, 유저는 전자 기기(30)의 방향이 틀렸음을 즉시 알아차릴 수 있다.
(6) 이너솔(19)이 있는 구성에서는, 이너솔(19)을 구두(2)에 삽입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30)는 전지 교환 가능한 구성이며, 그 형상은 평판형으로 된다. 그리고, 밑창(10)에는, 전자 기기(30)를 착탈 가능한 수용 오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31)를 탑재한 전자 기기(30)를 수용 가능한 부위를 갖는 구두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전지 교환과, 그에 부수되는 구두에 대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하는 상대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한정함으로써, 수용 오목부(13)로부터 뺀 전자 기기(30)를 다시 오목부에 수용할 때, 유저는, 올바른 수용 자세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하는 상대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한정하는 것은, 계측한 데이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부차적 효과를 초래한다. 즉,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하면, 반드시, 전자 기기(30)의 3축 가속도 센서(32s)로 계측되는 가속도의 축 방향과, 구두의 방향이 규정의 대응 관계로 된다. 만약, 계측 축 방향과 구두의 방향이 전자 기기(30)의 착탈 시마다 바뀌는 것에서는, 계측한 데이터의 안정적인 이용이 뜻대로 되지 않지만,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하는 상대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한정함으로써, 계측한 데이터의 이용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36)의 설치 위치를 고안함으로써, 몇몇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전지(31)를 교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덮개부(35)를 마련하는 경우, 어떻게 해도 고정부(36)를 마련해야만 한다. 전자 기기(30)는 밑창(10)에 수용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36)를 어떻게 배치하는지가 중요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6)를, 좌우 비대칭의 외관 형상에 있어서의 요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고정부(36)의 배치와, 전자 기기(30) 전체의 소형화와, 좌우 비대칭의 형상 실현의 세 가지를 해결할 수 있다.
고정부(36)를 나사 고정 구조로 하고, 나사(361)의 헤드부를 둘러싸는 환형 돌기부(363)를 마련함으로써, 나사(361)의 헤드부가 밑창(10)의 수용 오목부(13)의 내면에 직접 닿음으로써, 밑창(10)측의 마모를 촉진시키지 않도록 수용 오목부(1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6)의 설치 위치의 고안은, 전자 기기(30)의 콤팩트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우선,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할 때 소정의 밑창의 두께 내에 있어서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지(31)와 전자 부품(32)이,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같이 함으로써, 전지(31)와 전자 부품(32)이,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겹치도록 배치되는 경우보다 전자 기기(30)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면으로 보면, 전지(31)의 격납 스페이스(S1)는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이며, 전자 부품(32)의 격납 스페이스(S2)는, 전자 기기(30)를 가능한 한 콤팩트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하려고 하면 사각형으로 되기 쉽다. 이 두 격납 스페이스를 가능한 한 접근시켜 평판형으로 배치하면, 양자간에 대략 삼각 형상의 여지가 생겨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6)를, 이 여지, 즉 전지(31)와 전자 부품(32)에 맞닿지 않은 위치에 수용함으로써, 전자 기기(30)의 콤팩트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움 부착부(16)(도 2 참조)를 구두(2)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전자 기기(30) 전체의 좌우 비대칭의 형상의 방향과, 구두(2)를 신는 발의 발자국 형상이 맞게 된다. 또한, 구두(2)는 일반적으로 전방측이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두(2)의 전방측ㆍ후방측의 인상과, 전자 기기(30)의 전방측ㆍ후방측의 외관 형상의 인상이 맞게 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전자 기기(30)를 밑창(10)에 수용할 때의, 전자 기기(30)의 수용 자세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발목을 비트는 것과 같은 특이한 운동 행위를 행한 경우, 구두(2)의 밑창(10)에 수용된 전자 기기(30)에는, 밑창(10)에 대하여 연직축 주위의 토크가 작용한다. 이 토크는, 전자 기기(30)의 외주부와 수용 오목부(13)의 내주면의 사이에 비틀림(트위스트)에 의한 어긋남을 발생시킬지도 모른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끼움 부착부(16)를 구두(2)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구두(2)의 내측에 배치한 경우보다, 상술한 토크에 저항하는 효과가 높아져, 전자 기기(30)의 격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밑창(10)에 있어서, 본체 부품(14)보다 오목부 형성 부품(15)을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함으로써, 전자 기기(30)의 확실한 고정 및 보호와, 수용 오목부(13)의 형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적절하게 구성 요소의 추가ㆍ생략ㆍ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밑창(10)을 전후 방향으로 전족부, 중족부, 발뒤꿈치부로 3분할한 경우의 중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부(17)를, 오목부 형성 부품(15B)으로부터 발끝 방향 및 발뒤꿈치 방향으로 각각 연장 설치하고, 오목부 형성 부품(15B)이 밑창의 중족부에 내장되는 수지 플레이트인 섕크의 역할을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30)의 전방측의 돌출 형상의 예로서, 원호 형상을 예시하였지만(도 2 참조), 돌출 형상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의 전자 기기(30B)와 같이, 전방측을 다각 형상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2]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361)의 헤드부를 환형 돌기부(363)로 둘러싸 보호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30C)의 고정부(36C)와 같이, 환형 돌기부(363)를 생략하고, 나사(361)의 헤드부를 노출시킴으로써,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고정부(36C)가, 나사(361)와, 케이스(33)의 측부에 마련된 나사 구멍(362)을 갖고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3]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6)가, 전자 기기(30)의 좌우 비대칭형의 요소를 겸하는 구성으로서 예시하였지만, 고정부(36)와 좌우 비대칭형의 요소를 나눈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의 전자 기기(30D)의 고정부(36D)와 같이, 환형 돌기부(363)를 생략하는 한편, 덮개부(35D)의 X축 플러스측(구두(2)의 외측)의 외주측면에 별도로 돌기부(351)를 마련하여, 이것을 전자 기기(30D)의 좌우 비대칭형의 요소로 할 수도 있다.
기타, 전자 기기(30)의 외관 형상 및 고정부(36)에 관련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6)로서 나사 고정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요철 끼워 맞춤, 갈고리에 의한 걸림 등의 고정법(본체부(34)와 덮개부(35)를 연결시키는 방법)은, 그 밖의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30)가,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우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에 볼록형의 외관 형상(고정부(36))을 갖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수용 상태의 상면으로 보아, 좌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에 볼록형의 외관 형상을 갖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요소의 예로서, 밑창(10)을 구두(2)의 안창으로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 부품(14) 및 오목부 형성 부품(15)의 재료의 조합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2: 구두
10: 밑창
13: 수용 오목부
14: 본체 부품
15, 15B: 오목부 형성 부품
16: 끼움 부착부
30, 30B, 30C, 30D: 전자 기기
31: 전지
32: 전자 부품
32k: 전자 회로 기판
32s: 3축 가속도 센서
32t: 소형 무선 통신기
33: 케이스
34: 본체부
35, 35D: 덮개부
36, 36C, 36D: 고정부
37: O링
39: 환형 돌기부
361: 나사
362: 나사 구멍
363: 환형 돌기부
AX1: 대칭축
AX2: 대칭축
S1: 전지의 격납 스페이스
S2: 전자 부품의 격납 스페이스

Claims (1)

  1. 전지와, 전자 부품과, 상기 전지 및 상기 전자 부품을 격납하는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전지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기기와,
    상면측에 상기 전자 기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마련된 밑창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면으로 보아, 수용 상태의 상기 전자 기기의 외관 형상에 따른 끼워 맞춤 형상을 갖는, 구두.
KR1020200169356A 2018-10-12 2020-12-07 구두 및 전자 기기 KR20200140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3143 2018-10-12
JP2018193143A JP6572360B1 (ja) 2018-10-12 2018-10-12 靴および電子機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776A Division KR102190212B1 (ko) 2018-10-12 2019-10-04 구두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226A true KR20200140226A (ko) 2020-12-15

Family

ID=679094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776A KR102190212B1 (ko) 2018-10-12 2019-10-04 구두 및 전자 기기
KR1020200169356A KR20200140226A (ko) 2018-10-12 2020-12-07 구두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776A KR102190212B1 (ko) 2018-10-12 2019-10-04 구두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72360B1 (ko)
KR (2) KR102190212B1 (ko)
CN (1) CN110742348B (ko)
TW (2) TWI714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22166B2 (ja) * 2022-10-04 2024-07-24 株式会社バンダイ センサ装置、履物、及び履物セ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5157A (ja) 2006-05-03 2009-10-01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競技または他の運動能力感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010A (ja) * 1997-01-13 1998-07-28 Sanpo Denshi Kiki Kk 照明付き履物
DE102005014709C5 (de) * 2005-03-31 2011-03-24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TWM408261U (en) * 2011-01-28 2011-08-01 Zheng-Zhong Xu Light-emitting shoe capable of changing battery
KR102022224B1 (ko) * 2012-02-22 2019-09-17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센서 시스템을 갖는 신발
TWM463519U (zh) * 2013-06-03 2013-10-21 Cheng-Chung Hsu 可替換電池之發光鞋
ITUB20153316A1 (it) * 2015-09-01 2017-03-01 Carlos S R L Calzatura elettronic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5157A (ja) 2006-05-03 2009-10-01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競技または他の運動能力感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2360B1 (ja) 2019-09-11
CN110742348A (zh) 2020-02-04
TW202014120A (zh) 2020-04-16
TWI714260B (zh) 2020-12-21
TW202119963A (zh) 2021-06-01
JP2020058691A (ja) 2020-04-16
KR102190212B1 (ko) 2020-12-11
KR20200041787A (ko) 2020-04-22
CN110742348B (zh)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759B1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배터리 컴파트먼트들
EP3057504B1 (en) Fitness monitor
JP2005522300A (ja) 錠剤の放出装置
EP3616551B1 (en) Insole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KR102190212B1 (ko) 구두 및 전자 기기
JP2014096220A (ja) 電子機器
CN210777860U (zh) 矫正装置的佩戴监测设备
US2020006194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sole
JP2020058781A (ja) 靴および電子機器
CN111683552B (zh) 具有电子灯光系统的鞋类结构
JP7522166B2 (ja) センサ装置、履物、及び履物セット
JP2022103660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21137562A (ja) 電子機器および見守りシステム
CN108321319B (zh) 可穿戴的电池包
JP2017010712A (ja) 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217904617U (zh) 蓝牙耳机套装
CN213188427U (zh) 智能手环
US20230065028A1 (en) Operating device
KR102398480B1 (ko) 앱과 연동하는 신발
CN216449899U (zh) 可穿戴设备
JP4522076B2 (ja) 電池パックシステム
KR20240033664A (ko) 부착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JP5405165B2 (ja) パック電池
PT108248B (pt) Calçado com sistema de aquecimento autónomo integrado, sensorização e sistema de localização
JP2016049163A (ja) 運動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