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894A -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 Google Patents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894A
KR20200139894A KR1020190066361A KR20190066361A KR20200139894A KR 20200139894 A KR20200139894 A KR 20200139894A KR 1020190066361 A KR1020190066361 A KR 1020190066361A KR 20190066361 A KR20190066361 A KR 20190066361A KR 20200139894 A KR20200139894 A KR 20200139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rubber layer
hos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주
Original Assignee
박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평주 filed Critical 박평주
Priority to KR102019006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894A/ko
Publication of KR2020013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는, 불소고무로 이루어진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터트-부틸퍼옥시)-헥산 및 디-(2-터트.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중간고무층; 상기 중간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된 편조사층; 및 상기 편조사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외부고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는, 외층 표면이 스팀 가류 가마에서의 가교시에 산소와의 가류 저해반응 없이 완전 가류되어 우수한 내열성, 신장율 및 탄성을 나타내며, 불소고무층과 실리콘고무층과의 접착강도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High performance car rubber hose}
본 발명은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소고무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스팀 가류 가마 내에서 산소의 저해 없이 완전 가류될 수 있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고무호스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카 쿨러 호스, 연료호스, 브레이크 호스, 파워 스티어링 호스 등이 있다.
이러한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는 통상 다층의 고무층과 편조사층으로 이루어진 다. 예를 들어, 터보처저 호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내면고무층(11)-중간고무층(12)-편조사층(13)-외면고무층(14)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내면은 대부분 뜨거운 오일과 접촉하게 되므로, 그 재질이 내유성과 내열성 등을 갖추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그 외면은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야 하는데, 자동차 내부의 가혹한 사용환경을 고려하면 우수한 내열성, 내유성, 내후성, 내오존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의 연비특성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체를 유선형으로 설계 함으로서 엔진실 내부가 좁아져 엔진실 내부의 온도가 많이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며 터보처저(turbo-charger)및 슈퍼처저(supercharger)등을 장착함으로써 차량 엔진룸 내부의 온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는 배기 가스의 규제를 강화시키고 이에 따라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배기가스가 높은 엔진 근방으로 위치를 옮기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차량의 보증기간 및 수명기간 동안 자동차가 안정적으로 동작함과 동시에 부품의 교환 및 수리를 최소화하고 싶어하는 소비자와 제조자의 요구는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고무호스가 사용되는 차량 내부의 환경은 매우 가혹해지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맞도록 보다 내구성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내면고무로서 주로 니트릴계 고무(NBR)가 사용되어 왔으며, 외면고무로서는 네오프렌계 고무(CR)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고무호스에 대해 요구되는 내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래의 니트릴계 고무나 네오프렌계 고무를 대신하여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에틸렌(CPE),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CSM) 등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폴리에틸렌과 수소화-니트릴 고무(H-NBR), 실리콘 고무 등도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불소고무와 실리콘 고무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불소 고무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 호스의 경우, 주로 불소 고무는 내층 재료로, 실리콘 고무는 외층 재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불소 고무와 실리콘 고무 사이의 접착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호스는 약 160℃의 스팀 가류 가마에 넣어 가교를 진행하게 되는데, 실리콘 고무가 스팀 가류 가마내에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가류 저해 반응을 일으켜 호스 외층 표면이 미가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미가류된 호스 표면은 끈적끈적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긁히고 손상이 되며, 호스 성능 시험을 위한 금구 체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에 있어서 호스외층 표면이 완전 가류되어 우수한 내열성, 신장율 및 탄성을 나타내며 불소 고무층과 실리콘 고무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재료로서 제조된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는 외층 표면이 스팀 가류 가마에서의 가교시에 산소와의 가류저해반응 없이 완전 가류되어 우수한 내열성, 신장율 및 탄성을 나타내며, 불소고무층과 실리콘고무층과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보처저 호스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는, 불소고무로 이루어진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터트-부틸퍼옥시)-헥산 및 디-(2-터트.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중간고무층; 상기 중간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된 편조사층; 및 상기 편조사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외부고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실리콘 베이스의 실리콘 생고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폴리메틸실록산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FeO, Fe2O3 및 Fe3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내열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퍼니스블랙 및 더말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착색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를 구성하는 중간고무층 및 외부고무층은, 실리콘 베이스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된다.
상기 외부고무층 제조용 조성물(조성물 A) 및 중간고무층 제조용 조성물(조성물 B)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는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리콘 베이스는 상용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생고무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폴리메틸실록산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실리콘 생고무의 분자량은 수 십만 g/mol 이상이며, 점도는 수 백만 cP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 충진제로는 공지된 통상의 실리카 충진제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조제는, 대표적으로 실리콘 폴리머로 족쇄에 메탈기나 페닐기가 있으며 양말단에 하이드록실기, 알콕시기, 아민기가 있어 실리카와의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실리카들이 생고무에 직접 결합하여 생기는 표면이 거칠게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가공조제의 목적은 실리카 충진제의 분산력을 높임으로써 균일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고 갈라짐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외부고무층 제조용 조성물(조성물 A)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량에 대한 상기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가교속도가 낮은 문제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가교속도가 빨라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는 가교반응을 저해하는 산소에 덜 민감하여,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는 스팀 가류 가마내에서 완전가류되므로 자동차용 고무 호스의 외부고무층 재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고무층 제조용 조성물(조성물 B)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량에 대한 상기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가교속도가 낮은 문제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가교속도가 빨라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2-터트.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 또는 2,5-디메틸-2,5-디-(터트-부틸퍼옥시)-헥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불소고무와 가교속도가 비슷하여,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B는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내부고무층과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어, 중간고무층 재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조성물 A 및 조성물 B)에는 물성 향상을 위해, 상기 실리콘 베이스 및 가교제 외에 내열제 또는 착색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내열제는 내열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제의 함량에 대한 상기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제 첨가에 의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내열제로는 FeO, Fe2O3 및 Fe3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는 상기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함량에 대한 상기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착색제 첨가에 의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착색제로는 퍼니스블랙 및 더말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고무 스트립의 제조 삼중합체 불소고무 100 중량부, MgO 8 중량부, MT카본 25 중량부, TAIC 3 중량부 및 DCP 2 중량부를 혼련설비로서 오픈롤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5분간 혼련하여 불소고무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불소고무 조성물을 폭 10 내지 20 cm, 두께 1 내지 2cm 정도의 스트립 상으로 만들어 이형제로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여 처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숙성하여 불소고무 스트립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혼련설비로서 오픈롤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5분간 혼련하여 실리콘고무 조성물을 제조한 후, 불소고무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트립을 제조하였다.
고무호스의 제조
아래 표 2과 같은 구성으로 내부고무층-중간고무층-편조사층-외부고무층으로 이루어진 고무호스를 제조하였다.
내부고무층은 앞서 제조된 불소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편조사층은 보강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2에 기재된 숫자는 상기 표 1의 실리콘고무 조성물의 번호이다.
먼저, 고무호스 전용 압출기를 사용하여 불소고무 조성물을 내층고무로 하고,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중간층고무로 하여 내층 및 중간층을 이중 압출 한다. 이때 내층고무는 압출기 헤드 온도 80~110℃, 스크류 온도 50~80℃, 스크류 회전수 5~40 RPM을 기본 압출 조건으로 설정하고, 중간층고무는 압출기 헤드 온도 30~60℃, 스크류 온도 20~50℃, 스크류 회전수 5~40 RPM을 기본 압출 조건으로 설정한다. 이중 압출시에는 중간층고무 밖에 보강사를 편조층으로 구성하여 보강사 간의 미끄러짐을 막아주고 내압성을 향상시킨다. 외층 압출 역시 미리 배합해둔 실리콘 고무 스트립을 중간층 고무와 동일한 압출 조건으로 하여 압출을 한다.
내외층 압출이 모두 끝나면 가교 작업에 앞서 원형의 호스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한후 외경 40mm의 원통형 금속 만드렐에 삽입하여 형상을 유지시킨다. 다음 공정으로 2~10기압, 가교온도 120~180℃, 가교시간 10분~5시간의 조건으로 스팀가교를 실시한 후 가교된 고무호스를 금속 만드렐로부터 발취하여 호스를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에 따라 제조된 호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특성을 평가하였다.
접착 시험
ISO 36에 준하여 불소고무 조성물로 된 호스 내층과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된 호스 중간층간의 접착력을 평가했다. 시편 크기는 길이 150mm × 폭 25mm × 두께 2mm (내층 불소고무 1mm, 중간층 실리콘고무 1mm)로 하여 50mm/min 의 속도로 180도 박리시험을 하였다. 터보차저 호스 용도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불소고무 조성물과 실리콘고무 조성물간의 접착 강도는 20N/cm 이상이어야 한다.
표면 미가류층 두께 측정
압출 완료된 호스를 스팀 가류 가마에서 가류하여 표면미가류층의 두께를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가류 온도 및 시간은 160℃에서 80분으로 하였다.
상기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서 내층/중간층 접착력의 단위는 N/cm이고, 표면미가류층 두께의 단위는 mm이다.
상기 실시예 1~4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해, 실리콘 고무 조성물 2~5를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외층으로 하는 호스의 경우 28~38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를 상회하였다. 또한 제조된 호스를 스팀 가류 가마에서 가류한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0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저해 없이 완전 가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서 4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0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저해 없이 완전 가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2를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
서 4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13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가류 저해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3을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서 4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18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가류 저해가 발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1을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4를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서 4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11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가류 저해가 발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2를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2를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서 36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를 상회하였다.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13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가류 저해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의 경우, 실리콘 고무 조성물 2를 중간층, 실리콘 고무 조성물 3을 외층으로 하는 호스에 대한 것으로서 36 N/cm의 내층/중간층간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터보차저 호스가 요구하는 강도인 20N/cm를 상회하였고, 가류 후 표면 미가류층의 두께는 18mm를 나타내어 산소에 의한 가류 저해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가교제로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실리콘고무 조성물 1은 스팀 가류 가마 내에서 산소에 의한 저해 없이 완전 가류되므로 외부고무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가교제로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터트-부틸퍼옥시)-헥산 또는 디-(2-터트.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을 포함하는 실리콘고무 조성물 2~5는 불소고무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중간고무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에 있어서,
    불소고무로 이루어진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터트-부틸퍼옥시)-헥산 및 디-(2-터트.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중간고무층;
    상기 중간고무층을 감싸며 형성된 편조사층; 및
    상기 편조사층을 감싸며 형성되되, 실리콘 생고무, 실리카 충진제 및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100 중량부 및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인 가교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외부고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실리콘 베이스의 실리콘 생고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폴리메틸실록산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FeO, Fe2O3 및 Fe3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내열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무층 또는 상기 외부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퍼니스블랙 및 더말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착색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KR1020190066361A 2019-06-05 2019-06-05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KR20200139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61A KR20200139894A (ko) 2019-06-05 2019-06-05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61A KR20200139894A (ko) 2019-06-05 2019-06-05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94A true KR20200139894A (ko) 2020-12-15

Family

ID=7378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61A KR20200139894A (ko) 2019-06-05 2019-06-05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5049A (zh) * 2022-12-13 2023-06-23 江苏多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橡胶软管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5049A (zh) * 2022-12-13 2023-06-23 江苏多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橡胶软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285049B (zh) * 2022-12-13 2023-10-13 江苏多肯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橡胶软管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7626B2 (ja) シリコーンゴム層と異種ゴム層からなるゴム積層体用加熱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ゴム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16239B2 (ja) 伝動ベルト
CN102802941B (zh) 层积体
KR20200139894A (ko)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고무호스
KR100770070B1 (ko) 차량용 고무 호스
CN104245308A (zh) 层积体
JP4183227B2 (ja) ゴムホース
KR101912108B1 (ko) 차량용 고무호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고무호스
KR100804359B1 (ko) 자동차용 고무호스
JP4801850B2 (ja) 耐熱ホース
CN105670146A (zh) 一种传动带用高性能硫化胶套
JP7391821B2 (ja) 成形用部材およびその用途
KR100756748B1 (ko) 고무 호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3214566A (ja) ゴム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53181B1 (ko) 내열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부시용 고무
KR101263575B1 (ko) 고무호스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무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561B1 (ko) 차량용 연료호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연료호스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20200139899A (ko)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 가능한 내열성 고무호스
JP7408527B2 (ja) 成形用部材およびその用途
KR20200139895A (ko) 내열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자동차 고무호스
JP2023001654A (ja) 軸受用シール部材
KR20200139898A (ko) 성능을 개선시킨 차량용 배관 고무호스
KR100646480B1 (ko)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자동차의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호스
KR100693273B1 (ko) 고내구성 파워스티어링 호스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