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539A -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 Google Patents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539A
KR20200139539A KR1020190066161A KR20190066161A KR20200139539A KR 20200139539 A KR20200139539 A KR 20200139539A KR 1020190066161 A KR1020190066161 A KR 1020190066161A KR 20190066161 A KR20190066161 A KR 20190066161A KR 20200139539 A KR20200139539 A KR 2020013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hub bearing
noise
steering knuckle
assemb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539A/ko
Publication of KR2020013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94Hubs one or more of the bearing races are formed by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0Positive connections with threaded parts, e.g. bolt and nu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가인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이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허브 베어링에 대한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조용한 주행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에 탭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안쪽에 장착되며 중앙에 액슬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과 허브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허브 베어링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탭홀에 관통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허브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볼트와, 상기한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Hub assembly for vehicle}
이 발명은 차량용 주행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상대적으로 저가인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이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허브 베어링에 대한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조용한 주행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주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용 액슬의 끝부분에는 스티어링 너클, 허브, 허브 베어링, 휠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진 허브 어셈블리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스냅링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는,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11)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11)의 안쪽에 장착되며 중앙에 액슬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허브(12)와,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11)과 허브(12)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허브 베어링(13)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11)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한 허브 베어링(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14)과, 상기한 허브(13)의 외주면에 허브볼트(15)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시에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허브(12)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액슬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허브(12)에 전달되면, 상기한 허브(12)에 허브볼트(15)를 이용하여 고정결합되어 있는 휠디스크(16)와 함께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차량이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리고, 조향장치로부터 스티어링 너클(11)로 전달되는 조향력은 스티어링 너클(11)과 허브(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허브 베어링(13)을 통하여 허브(12)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휠디스크(16)와 함께 바퀴(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스냅링(14)은 허브 베어링(13)이 이탈되지 않도록 허브 베어링(13)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는, 차량의 주행시 허브 베어링(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14)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허브 베어링(13)과 스냅링(14)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허브 베어링(13)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중에 차량으로부터 이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피로도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게 함으로써 사고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냅링 대신에 록스크류를 설치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허브 베어링과 허브의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43049호(등록일: 2004년 2월 13일)의 "차량의 주행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43049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록스크류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43049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저가인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이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브 베어링에 대한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조용한 주행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측면에 탭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안쪽에 장착되며 중앙에 액슬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과 허브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허브 베어링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탭홀에 관통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허브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볼트와, 상기한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고정 볼트는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고정볼트가 2개의 설치되는 경우에는 서로 180도의 사이각을 가짐으로써 마주 보는 위치에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고정 볼트의 끝부분의 단면은 허브 베어링(23)의 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가인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이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허브 베어링에 대한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조용한 주행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운전자의 피로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하게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스냅링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스티어링 너클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고정 볼트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5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고정 볼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스티어링 너클의 구성도이고, 도 5a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고정볼트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5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고정 볼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 구성은, 측면에 탭홀(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21)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21)의 안쪽에 장착되며 중앙에 액슬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허브(22)와,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21)과 허브(22)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허브 베어링(23)과,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21)의 탭홀(21a)에 관통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허브 베어링(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볼트(24a, 24b)와, 상기한 허브(23)의 외주면에 허브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정 볼트(24a, 24b)는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며, 2개의 고정 볼트(24a, 24b)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서로 180도의 사이각을 가짐으로써 마주 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고정 볼트(24)의 끝부분의 단면은 허브 베어링(23)의 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곡면(R)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액슬 샤프트에 허브(22)와 허브 베어링(23)과 스티어링 너클(21)을 장착하고, 허브볼트(25)를 이용하여 허브(22)에 휠디스크(26)를 장착한다.
다음에, 스티어링 너클(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탭홀(21a)에 고정 볼트(24a, 24b)를 관통 삽입 결합하여 상기한 허브 베어링(23)의 축방향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허브 어셈블리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고 난 후, 차량의 주행시에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허브(22)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액슬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허브(22)에 전달되면, 상기한 허브(22)에 허브볼트(25)를 이용하여 고정결합되어 있는 휠디스크(26)와 함께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차량이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리고, 조향장치로부터 스티어링 너클(21)로 전달되는 조향력은 스티어링 너클(21)과 허브(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허브 베어링(23)을 통하여 허브(22)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휠디스크(16)와 함께 바퀴(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에, 고정볼트(24a, 24b)은 허브 베어링(23)이 이탈되지 않도록 허브 베어링(23)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한 고정 볼트(24a, 24b)는 2개만 설치되어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고정 볼트(24a, 24b)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서로 180도의 사이각을 가짐으로써 마주 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 볼트(24a, 24b)의 끝부분의 단면은 허브 베어링(23)의 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곡면(R)이 형성됨으로써 허브 베어링(23)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마찰력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금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볼트(24a, 24b)가 허브 베어링(23)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21 : 스티어링 너클 22 : 허브
23 : 허브 베어링 24a, 24b : 고정 볼트
25 : 허브 볼트 26 : 휠디스크

Claims (3)

  1. 측면에 탭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안쪽에 장착되며 중앙에 액슬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되는 허브;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과 허브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허브 베어링;
    상기한 스티어링 너클의 탭홀에 관통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허브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고, 끝부분의 단면은 허브 베어링의 반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오목한 곡면이 형성 고정 볼트; 및
    상기한 허브의 외주면에 허브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볼트는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볼트가 2개의 설치되는 경우에 서로 180도의 사이각을 가짐으로써 마주 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장치.
KR1020190066161A 2019-06-04 2019-06-04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KR20200139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61A KR20200139539A (ko) 2019-06-04 2019-06-04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61A KR20200139539A (ko) 2019-06-04 2019-06-04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39A true KR20200139539A (ko) 2020-12-14

Family

ID=7377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161A KR20200139539A (ko) 2019-06-04 2019-06-04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5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49Y1 (ko) 2003-11-18 2004-03-02 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49Y1 (ko) 2003-11-18 2004-03-02 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203B2 (en) Wheel rotating apparatus and in-wheel motor vehicle
US886387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in-wheel motor system
WO2011058844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US20090166112A1 (en) Wheel Rotating Device for In-Wheel Motor Vehicle
JP2006199107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100083521A (ko) 인휠 모터 장착용 휠 구조체
EP2050985B1 (en) Differential gear
CN105691103A (zh) 轮毂驱动总成
JP2010221934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
JP4251314B2 (ja) 車輪用軸受装置
KR20060095124A (ko) 종동륜의 차축 조립체
JP2007145060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200139539A (ko) 허브베어링 노이즈 감소로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에셈블리
JP5087901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100729040B1 (ko) 차량용 허브 어셈블리 장치
JP5509713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
JPH11321206A (ja) 自動二輪車の後輪用ホイール
KR102199528B1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JP2006096264A (ja) 転がり軸受装置
KR20140055751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KR101885141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200139502A (ko) 원가절감과 노이즈 제거로 운전피로도를 감소시킨 허브베어링 고정장치
KR200343049Y1 (ko) 차량의 주행장치
JP2014159272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KR20080010488A (ko) 차량 전륜의 드라이트 샤프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