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410A -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410A
KR20200139410A KR1020190065893A KR20190065893A KR20200139410A KR 20200139410 A KR20200139410 A KR 20200139410A KR 1020190065893 A KR1020190065893 A KR 1020190065893A KR 20190065893 A KR20190065893 A KR 20190065893A KR 20200139410 A KR20200139410 A KR 2020013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mounting member
viewing window
present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568B1 (ko
Inventor
이기욱
Original Assignee
이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욱 filed Critical 이기욱
Priority to KR102019006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5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을 직접 데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에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현관문 투시창을 통해 외부의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는 점멸 램프;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점멸 램프를 점멸시키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감시 센서와 상기 점멸 램프와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 for front door sight window}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은, 집안으로 출입하기 위한 문이다. 이러한 현관문은,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과, 이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문짝과, 그리고 이 문짝에 구비되며 외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을 포함한다.
나아가, 투시창(sight window)은, "외시경"이라고도 칭하며, 문짝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을 막으면서도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창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문객이 노크를 하거나 외부로 나가기 전에 투시창을 통해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현관문 투시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 때마다 눈을 데고 매번 외부 상황을 확인해야 해서 불편한 문제가 있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 외부 상황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가 현관문 투시창에 눈을 데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낯선 사람이 현관문을 사이에 두고 서 있는 것이 확인될 경우 상당한 불안감과 공포 등이 생길 수 있고, 외부 상황이 확인되지 않는 어두운 밤에는 공포와 불안으로 현관문을 여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현관문 투시창은, 외부에서도 내부를 엿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눈을 직접 데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에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한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현관문 투시창을 통해 외부의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는 알림 부재;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알림 부재를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감시 센서와 상기 알림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는, 상기 현관문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부재; 및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림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 부재는,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장착 부재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 부재 중 상기 현관문 투시창에 상응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제2 장착 부재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장착 부재를 덮을 경우 상기 관통 구멍에 상응하게 놓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는, 상기 제1 장착 부재를 상기 현관문의 내측 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현관문에 자력에 의해 착탈되는 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으로는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는,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장착 부재의 탈거시 탈거를 원활하게 하는 탈거용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수동형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PIR sensor; Pyroelectric IR Sensor)일 수 있다.
상기 알림 부재는, 점멸 램프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일 수 있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2 장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 부재와, 감지 센서와, 알림 부재와, 제어 회로부와, 그리고 전원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현관문의 내측 면에 장착 부재를 통해 구비된 감지 센서가 현관문 투시창을 통해 현관문의 외부에 사람 등이 있음을 감지하면 제어 회로부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점멸 램프 등의 알림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어, 실내에 있는 사람은 알림 부재의 알림(예를 들어, 점멸 램프의 점멸)을 통해 외부에 사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현관문 투시창에 눈을 직접 데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에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자사는 여성이나 자취하는 여상 및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현관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착 부재와 감지 센서에 의해 현관문 투시창이 막히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어, 범죄자가 내부를 응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는 제1 장착 부재와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장착 부재를 통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장착 부재를 통해 감지 센서와 알림 부재와 제어 회로부 등이 장착될 수 있어, 제1 장착 부재를 통한 현관문 설치 파트와 제2 장착 부재를 통한 센싱 및 구동 파트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장착 부재는 제1 장착 부재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현관문에서 탈거한 후, 내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2 장착 부재를 회전시켜 제2 장착 부재의 내면에 구비된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장착 부재 중 현관문 투시창에 상응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 등 필요시에 제2 장착 부재를 회전시켜 제1 장착 부재의 관통 구멍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관통 구멍과 현관문 투시창을 통해 육안으로 직접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힌지부가 제1 및 제2 장착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 장착 부재를 손에서 그대로 놓으면 제2 장착 부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 위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의 이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장착 부재를 현관문의 내측 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이사 등을 할 경우, 이전 집의 현관문으로부터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고, 이사 간 집의 현관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탈부는 현관문에 자력에 의해 착탈되는 자석인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양면 테이프나 볼트 체결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의 탈거시 현관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장착 부재의 탈거시 탈거를 원활하게 하는 탈거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탈거용 손잡이를 통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현관문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는 수동형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인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적외선을 복사하는 사람이나 사물에 수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센서에 비해 저렴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현관문 투시창이 이용되고 있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의 제2 장착 부재가 제1 장착 부재에 대해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를 "A"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의 제2 장착 부재가 제1 장착 부재에 대해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110)와, 감지 센서(120)와, 알림 부재(130)와, 제어 회로부(140)와, 그리고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현관문(10)의 내측 면에 장착 부재(110)를 통해 구비된 감지 센서(120)가 현관문 투시창(11)을 통해 현관문(10)의 외부에 사람 등이 있음을 감지하면 제어 회로부(140)가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점멸 램프 등의 알림 부재(13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실내에 있는 사람은 알림 부재(130)의 알림(예를 들어, 점멸 램프의 점멸)을 통해 외부에 사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 투시창에 눈을 직접 데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외부가 어두울 경우에도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자사는 여성이나 자취하는 여상 및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현관문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 부재(110)는, 감지 센서(120)와 알림 부재(130) 등을 현관문(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장착 부재(1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부재(111)와 제2 장착 부재(112)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장착 부재(111)는 현관문(10)의 내측 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장착 부재(112)는 제1 장착 부재(11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장착 부재(112)에는 감지 센서(120), 알림 부재(130), 제어 회로부(140), 그리고 전원부(15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착 부재(111)를 통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가 현관문(10)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장착 부재(112)를 통해 감지 센서(120)와 알림 부재(130)와 제어 회로부(140) 등이 장착될 수 있어, 제1 장착 부재(111)를 통한 현관문 설치 파트와 제2 장착 부재(112)를 통한 센싱 및 구동 파트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장착 부재(11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부재(111)에 힌지부(H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를 현관문(10)에서 탈거한 후, 제2 장착 부재(112)의 내면[제1 장착 부재(111)를 향하는 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2 장착 부재(112)를 회전시켜 제2 장착 부재(112)의 내면에 구비된 배터리 등의 전원부(1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부재(111) 중 현관문 투시창(11)에 상응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의 고장이나 오작동 등 필요시에 제2 장착 부재(112)를 회전시켜 제1 장착 부재(111)의 관통 구멍(111a)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관통 구멍(111a)과 현관문 투시창(11)을 통해 육안으로 직접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H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장착 부재(111)(1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 장착 부재(112)를 손에서 그대로 놓으면 제2 장착 부재(112)의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 위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의 이용이 편리할 수 있다.
감지 센서(120)는, 현관문 투시창(11)을 통해 외부의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감지 센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112)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감지 센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112)가 힌지부(H1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제1 장착 부재(111)를 덮을 경우 관통 구멍(111a)에 상응하게 놓일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센서(12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 센서(120)는 수동형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PIR sensor; Pyroelectric IR Sensor)일 수 있다. 특히, 수동형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의 경우, 적외선을 복사하는 사람이나 사물에 수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센서에 비해 저렴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120)에 의해 현관문 투시창(11)이 막히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어, 범죄자가 내부를 응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알림 부재(130)는, 외부의 사람이 있을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알림 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112)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부재(130)는 점멸을 통해 알리는 점멸 램프일 수 있고, 점멸 램프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40)는, 감지 센서(120)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면 알림 부재(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4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릴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감시 센서와 알림 부재(130)와 그리고 제어 회로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전원부(150)는 배터리일 수 있고, 배터리는 제2 장착 부재(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160)는 제1 장착 부재(111)를 현관문(10)의 내측 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사 등을 할 경우, 이전 집의 현관문(10)으로부터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고, 이사 간 집의 현관문(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나아가, 착탈부(160)는, 제1 장착 부재(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현관문(10)에 자력에 의해 착탈되는 자석(16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161)으로는 네오디듐 자석(Neodymium Magne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나 볼트 체결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의 탈거시 현관문(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용 손잡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거용 손잡이(170)는 제1 장착 부재(111)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탈거용 손잡이(170)를 통해 본 발명의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100)를 현관문(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나아가, 탈거용 손잡이(170)는 현관문(10)의 내측 면과 떨어지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탈거용 손잡이(17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현관문 11: 현관문 투시창
100: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110: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
111: 제1 장착 부재 111a: 관통 구멍
112: 제2 장착 부재 H10: 힌지부
120: 감지 센서 130: 알림 부재
140: 제어 회로부 150: 전원부
160: 착탈부 161: 자석
170: 탈거용 손잡이

Claims (3)

  1.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로,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현관문 투시창을 통해 외부의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장착 부재에 구비되는 알림 부재;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이 감지되면 상기 알림 부재를 구동시키는 제어 회로부; 및
    상기 감시 센서와 상기 알림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는,
    상기 현관문의 내측 면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부재; 및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알림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2 장착 부재;
    를 포함하는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장착 부재는,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KR1020190065893A 2019-06-04 2019-06-04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KR10227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3A KR102276568B1 (ko) 2019-06-04 2019-06-04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3A KR102276568B1 (ko) 2019-06-04 2019-06-04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410A true KR20200139410A (ko) 2020-12-14
KR102276568B1 KR102276568B1 (ko) 2021-07-13

Family

ID=7377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93A KR102276568B1 (ko) 2019-06-04 2019-06-04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5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867A (ja) * 1996-10-25 1998-05-12 Citizen Watch Co Ltd モニタ付きドア
JP3145332U (ja) * 2008-04-17 2008-10-09 秀樹 飯野 ドア防犯装置
KR20120091793A (ko) * 2011-02-10 2012-08-20 김한식 실외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현관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332B2 (ja) * 1997-04-23 2001-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メッキ鋼板のレーザ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867A (ja) * 1996-10-25 1998-05-12 Citizen Watch Co Ltd モニタ付きドア
JP3145332U (ja) * 2008-04-17 2008-10-09 秀樹 飯野 ドア防犯装置
KR20120091793A (ko) * 2011-02-10 2012-08-20 김한식 실외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현관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568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9842B2 (en) Smart-home security system with keypad device resistant to anomalous treatment
US5349330A (en) Touch programmable illumination means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EP2570723B1 (en) Bulb with Sensing Function and Camera
EP3262263B1 (en) Illuminated threshold barrier
KR20090115784A (ko) 도어용 시건장치
CN116997046B (zh) 一种可改变照射角度的卫浴镜led控制系统
CN215298315U (zh) 多媒体装置及智能安全设备
KR20200139410A (ko) 현관문 투시창용 안전 장치
KR20060098496A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JP4925257B2 (ja) 留守モード機能付感熱自動スイッチ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2016201347A (ja) 夜間照明灯
TWI642020B (zh) 人流管制保全系統
JP2002100484A (ja) 照明及び/又は防災制御装置
CN211448377U (zh) 安防系统智能门
KR101545535B1 (ko) 사용중 표시장치
JP2013062096A (ja) 照明装置
CN207879228U (zh) 一种带语音提示功能的卷帘门控制器
JP6680821B2 (ja) 扉装置
CN214471018U (zh) 一种存在式传感器及电器设备控制系统
ITTO20130977A1 (it) Sistema di telecontrollo per un apparecchio elettromedicale, in particolare un defibrillatore automatico esterno
CN210895776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老年人起夜监护装置
KR200220883Y1 (ko) 적외선 엘이디부착구를 장착한 감시카메라
CN215643018U (zh) 一种防虫网安装可靠的烟感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