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168A -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168A
KR20200139168A KR1020207028538A KR20207028538A KR20200139168A KR 20200139168 A KR20200139168 A KR 20200139168A KR 1020207028538 A KR1020207028538 A KR 1020207028538A KR 20207028538 A KR20207028538 A KR 20207028538A KR 20200139168 A KR20200139168 A KR 2020013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hub
cutting
bon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앨런 뮤즈
Original Assignee
파이퍼 액세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퍼 액세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파이퍼 액세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3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7Hollow drills or saws producing a curved cut, e.g.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61B2010/0258Marrow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생검 시스템은 전동식 드릴에 결합된 절단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식 드릴은 절단 캐뉼라를 회전시키고 뼈의 피질층을 절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전동식 드릴은 절단 캐뉼라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연장되는 동안 절단 캐뉼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핸들은 샘플을 코어링하기 위해 뼈 내에서 더욱 깊게 절단 캐뉼라를 수동으로 전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638,433호(발명의 명칭: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출원일: 2018년 3월 5일),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662,678호(발명의 명칭: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출원일: 2018년 4월 25일), 및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795,683호(발명의 명칭: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출원일: 2019년 1월 23일)에 대해 35 U.S.C. § 119(e)하의 유익을 주장하며, 이들 기초 출원의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뼈에 삽입을 위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추가 실시형태는 보다 구체적으로 골생검(bone biopsy)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생검을 위한 공지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결점을 안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이러한 결점 중 하나 이상을 교정하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회피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내용은 비제한적이고 비전면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의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한다:
도 1은 골생검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인 피질 드릴링 조립체(cortical drilling assembly)의 근위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다른 부분인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coring and extraction assembly)의 근위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포함하고, 시스템의 부분들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의 추가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5a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의 원위 단부가 환자 뼈의 피질층(cortical layer)을 통해 드릴링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단계 동안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b는 절단 캐뉼라(cutting cannula)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드릴링되고 뼈에 이식된 채로 남아 있으며, 투관침이 절단 캐뉼라로부터 제거되고,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의 원위 단부가 절단 캐뉼라를 통해 원위로 삽입된,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c는 골수(marrow)의 코어 샘플, 또는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이 뼈의 골수를 절단하기 시작한,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d는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이 코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뼈의 골수를 계속해서 절단하고, 코어가 샘플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 내로 들어간,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도 1의 시스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e는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이 뼈의 골수의 절단을 완료하고, 샘플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이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을 통해 전진되고, 샘플 추출 캐뉼라가 인접한 골수로부터 코어를 떼어내기 위해 회전된,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도 1의 시스템의 부분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f는 코어가 얻어져 샘플 추출 캐뉼라에 의해 홀딩되고, 샘플 추출 캐뉼라가 절단 캐뉼라 및 코어링 캐뉼라로부터 제거된, 방법의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g는 코어가 샘플 추출 캐뉼라로부터 밀려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절단 바늘의 실시형태 및 폐색기(obturator)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시스템을 포함하고, 피질 드릴링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동식 드라이버, 및 그 코어링 및 추출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동식 드라이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수동식 드라이버의 단면도;
도 9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0a는 투관침 조립체 허브의 실시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10b는 추출 조립체 허브의 실시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10c는 절단 조립체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10d는 안전 차폐부(safety shield)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시스템의 일부인 피질 드릴링 조립체의 단면도;
도 12는 투관침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도 10d의 안전 차폐부의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시스템의 다른 부분인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의 단면도;
도 14는 도 9의 시스템을 포함하고 그 일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의 추가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5a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의 원위 단부가 환자의 뼈의 피질의 피질층을 통해 드릴링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단계 동안 도 9의 시스템의 부분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5b는 절단 캐뉼라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드릴링되고 뼈에 이식된 채로 남아 있으며, 투관침이 절단 캐뉼라로부터 제거되었으며, 추출 캐뉼라가 절단 캐뉼라에 결합됨에 따라서 추출 캐뉼라의 원위 단부가 절단 캐뉼라를 통해 원위로 삽입되는.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시스템의 부분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5c는 절단 캐뉼라(코어링 캐뉼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의 원위 팁이 골수의 코어 샘플 또는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골수를 절단하기 시작한,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시스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5d는 절단(또는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이 코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뼈의 골수를 계속 절단하고, 코어가 샘플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으로 들어간,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시스템의 부분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5e는 절단(또는 코어링) 캐뉼라의 원위 팁이 뼈의 골수의 절단을 완료하고, 샘플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이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을 통해 전진되고, 샘플 추출 캐뉼라가 인접한 골수로부터 코어를 떼어내기 위해 회전된, 예시적인 방법의 후속 단계 동안 시스템의 부분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5f는 코어가 얻어져 샘플 추출 캐뉼라에 의해 홀딩되고, 샘플 추출 캐뉼라가 절단 캐뉼라로부터 제거된, 방법의 다른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g는 코어가 추출 캐뉼라로부터 밀려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예를 들어 도 9의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추출 조립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시스템을 포함하는 키트의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8은 도 9에 도시된 시스템을 포함하는 키트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19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0a는 도 19의 골생검 시스템의 투관침 조립체의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투관침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0b는 도 20a의 투관침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21a는 투관침 허브와 호환 가능한 스플라인 요소(spline element)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1b는 스플라인 요소의 저면 사시도;
도 22는 투관침 허브와 호환 가능한 자석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3은 투관침 조립체와 호환 가능한 투관침의 실시형태의 원위 단부의 정면도;
도 24a는 도 19의 골생검 시스템의 절단 조립체의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4b는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25a는 도 24a의 허브와 호환 가능한 스플라인 요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5b는 스플라인 요소의 저면 사시도;
도 26a는 절단 조립체의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정면도;
도 26b는 도 26a의 조망선(view line) 26B-28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27a는 도 24a의 허브와 호환 가능한 핸들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7b는 핸들의 평면도;
도 27c는 핸들의 저면 사시도;
도 27d는 핸들의 저면도;
도 28a는 도 19의 골생검 시스템의 추출 조립체의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8b는 도 28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29a는 도 28a의 허브와 호환 가능한 스플라인 요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29b는 스플라인 요소의 저면 사시도;
도 30은 추출 조립체의 추출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
도 31a는 피질 뼈(cortical bone)를 드릴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결합된 구성으로 있는 도 19의 시스템의 투관침 조립체와 절단 조립체의 사시도;
도 31b는 도 31a의 조망선 31B-31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투관침 조립체의 단면도;
도 31c는 결합된 구성으로 있는 투관침 조립체와 절단 조립체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
도 32는 투관침 조립체가 제거된 후의 절단 조립체의 사시도;
도 33a는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도 27a 내지 도 27d의 핸들의 사시도;
도 33b는 도 33a의 조망선 33B-33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핸들의 단면도;
도 33c는 도 33a의 조망선 33C-33C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핸들의 단면도;
도 34a는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사시도;
도 34b는 도 34a의 조망선 34B-34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단면도;
도 34c는 도 34a의 조망선 34C-34C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단면도;
도 34d는 도 34a의 조망선 34D-34D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35는 코어링된 샘플(cored sample)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 조립체를 통해 삽입된 푸시 로드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36은 전동식 드라이버 및 도 19의 골생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키트의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7은 추출 조립체를 포함하지 않지만 상이하게 구성된 절단 캐뉼라 및 가이드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도 19의 골생검 시스템과 유사한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8은 도 26b의 도면과 유사한, 도 37의 시스템의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39a는 도 37에 도시된 가이드의 사시도;
도 39b는 도 39a의 조망선 39B-39B를 따라서 취한 가이드의 단면도;
도 40a는 코어링된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절단 조립체를 통해 삽입된 푸시 로드의 사시도;
도 40b는 도 40a의 조망선 40B-40B를 따라서 취한 가이드, 푸시 로드, 및 절단 조립체 사이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1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골생검 시스템의 특정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절단 캐뉼라의 다른 실시형태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
도 41b는 절단 캐뉼라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 41a의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부분 절개도;
도 42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43a는 도 42의 골생검 시스템의 투관침 조립체의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투관침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43b는 도 43a의 투관침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44a는 도 42의 골생검 시스템의 절단 조립체의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44b는 도 44a의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44c는 도 44a의 조망선 44C-44C를 따라서 취한 도 44a의 허브의 단면도;
도 45a는 도 44a의 허브와 호환 가능한 스플라인 요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45b는 스플라인 요소의 저면 사시도;
도 46a는 도 44a의 허브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핸들 요소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46b는 도 46a의 핸들 요소의 정면도;
도 47a는 도 42의 시스템의 절단 캐뉼라와 호환 가능한 깊이 게이지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47b는 도 47a의 조망선 47B-47B를 따라서 취한 도 47a의 깊이 게이지의 단면도;
도 48a는 도 42의 시스템의 절단 캐뉼라의 정면도;
도 48b는 도 48a의 조망선 48B-48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캐뉼라의 단면도;
도 49a는 도 42의 시스템의 추출 조립체와 호환 가능한 추출 허브의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49b는 도 49a의 추출 허브의 저면 사시도;
도 50은 추출 조립체와 호환 가능한 스플라인 요소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51은 추출 조립체의 추출 캐뉼라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
도 52a는 피질 뼈를 드릴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결합된 구성으로 있는 도 42의 시스템의 투관침 조립체와 절단 조립체의 사시도;
도 52b는 도 52a의 조망선 52B-52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투관침 조립체의 단면도;
도 53은 투관침 조립체가 제거된 후의 절단 조립체의 사시도;
도 54a는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사시도;
도 54b는 도 54a의 조망선 54B-54B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단면도;
도 54c는 도 54a의 조망선 54C-54C를 따라서 취한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추출 조립체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55는 도 42의 골생검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시스템이 완전 수동식 또는 반 수동식 작동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핸들 커버의 실시형태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56a는 도 55의 핸들 커버의 평면 사시도;
도 56b는 핸들 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57a는 투관침 조립체 및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핸들 커버의 사시도;
도 57b는 도 57a의 조망선 57B-57B를 따라서 취한 투관침 조립체 및 절단 조립체와 결합된 커버의 단면도;
도 58a는 도 55의 골생검 시스템과 같은 골생검 시스템의 특정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핸들 커버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 사시도;
도 58b는 그 저면 사시도; 및
도 59는 골생검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의 원위 단부의 정면도.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골생검을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생검을 위한 공지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결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은 샘플의 완전성을 잘 보존하지 못한다. 샘플을 계층화되고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하여, 공지된 많은 시스템은 샘플을 손상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석하는데 최적이 아니게 만든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은 샘플이 분쇄(및 결과적인 분쇄 인공물(crush artifact))를 겪을 수 있음에 따라서 특정 분석시에 사용하는데 실행 가능한 샘플을 제공하지 못한다. 달리 말하면, 공지된 시스템은 낮은 진단율(diagnostic yield)만을 제공한다.
더욱이, 특정 공지된 시스템은 골생검 처치를 위해 수동식 드릴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동식 드릴만을 이용한다. 수동식 전용 시스템은 일부 예에서 의사가 달성할 수 있는 더욱 느린 드릴링 속도 및/또는 더욱 큰 제어로 인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전동식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다 양호한 골수 샘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전용 시스템은 의사가 골수에 접근하기 위해 딱딱한 피질 뼈를 드릴링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예를 들어, 수술실에서의 연장된 시간으로 인하여)을 넘어서는 이러한 어렵거나 시간 집약적인 처치는 환자 내에서 바늘이 부러지거나 구부러지는 것과 같은 잠재적인 위험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처치와 관련된 통증은 그 기간에 비례할 수 있어서, 보다 긴 처치는 환자에게 더욱 고통스럽다. 일부 예에서, 환자는 이와 관련된 더욱 큰 통증으로 인해 이러한 처치를 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진정 또는 마취를 요구할 수 있다. 다른 또는 추가의 예에서, 환자는 이전 처치와 관련된 어려움 또는 통증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유익한 후속 처치를 포기할 수 있다.
특정 전동식 시스템은 수동식 시스템보다 더욱 용이하게 피질 뼈 층을 관통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수동식 시스템의 일부 결점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가 수동식 시스템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품질의 코어 샘플을 산출할지라도, 다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샘플의 고유 구조의 분쇄 또는 기타 파괴로 인한 것과 같은 열등한 코어 샘플을 산출한다. 따라서, 의사는 일반적으로 수동식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뼈의 골수에 접근하기 위해 딱딱한 피질층을 관통할 필요가 있는 병변 추출의 특정 경우에 전동식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공지된 생검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제한 또는 결점을 교정하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은 상태에서 골수 샘플을 얻을 수 있거나, 샘플의 완전성을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높은 진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골수 샘플의 본래의 구조적 완전성을 추출하고 보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분쇄 인공물과 같은 골수 샘플에 대한 손상의 발생을 감소시켜, 진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는 전동식 드라이버가 빠르고 그리고/또는 간단한 방식으로 뼈의 피질층을 관통하는데 사용되며, 수동 조작이 골수의 코어 샘플을 얻기 위해 뼈 내로의 추가 전진을 달성하는 하이브리드 접근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는 피질을 통한 전동식 드릴링(powered drilling)(예를 들어, 속도, 감소된 통증) 및 골수를 통한 코어 샘플링 디바이스의 수동 전진(예를 들어, 증가된 진단율) 모두와 관련된 이점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달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는 전동식 드릴링 동안 사용되며, 캐뉼라는 피질 내의 적소에 남아 있는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투관침은 절단을 달성하기 위해 절단 캐뉼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폐색기는 절단 캐뉼라와 함께 사용된다. 절단 캐뉼라가 피질을 통해 전진되고 투관침 또는 폐색기가 제거된 후에, 추출 캐뉼라는 절단 캐뉼라 내로 삽입되고, 수동식 드라이버는 코어 샘플을 얻기 위해 추출 캐뉼라와 함께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는 별도의 코어링 캐뉼라와 함께 사용된다. 수동식 드라이버는 절단 캐뉼라가 피질에서 적소에 남아 있는 동안 절단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는 코어링 캐뉼라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수동식 드라이버는 샘플을 얻기 위해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을 지나쳐서 코어링 캐뉼라를 전진시키도록 조작된다. 추출 캐뉼라는 코어링 이벤트 동안 코어링 캐뉼라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링이 발생된 후에 코어링 캐뉼라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추출 캐뉼라는 코어링된 샘플을 포획하고 환자로부터 제거되며, 이어서, 샘플은 추출 캐뉼라로부터 제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별도의 코어링 캐뉼라를 사용하는 대신에, 절단 캐뉼라는 코어링된 샘플을 얻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뼈 내로 더욱 전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수동식 드라이버는 절단 캐뉼라에 결합되고, 절단 캐뉼라를 통해 골수로부터 코어 샘플을 절단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는 피질 뼈를 드릴링하고 피질을 지나쳐서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전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핸드헬드 드릴)와 결합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절단 캐뉼라는 피질을 절단하는 것을 돕는 투관침과 결합된다.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가 피질을 지나쳐서 이동하였으면, 전동식 드라이버와 투관침(적용 가능한 경우에)은 제거되는 동시에, 절단 캐뉼라를 적소에 남긴다.
이어서, 절단 캐뉼라는 코어 샘플을 얻기 위해 수동으로 뼈 내로 더욱 전진된다. 일부 예에서, 별도의 핸들이 절단 캐뉼라의 수동 조작을 달성하기 위해 드릴을 사용한 후에 절단 캐뉼라에 부착된다. 다른 예에서, 절단 캐뉼라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핸들은 드릴링 전에 적소에 있고, 드릴링 동안 적소에 남아 있으며, 이어서 절단 캐뉼라의 수동 조작을 달성하도록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는 코어 샘플을 포획하기 위해 절단 캐뉼라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는 절단 캐뉼라의 수동 전진 이전에 절단 캐뉼라와 결합되어서, 절단 캐뉼라와 추출 캐뉼라가 함께 전진되고, 코어 샘플은 절단 캐뉼라가 뼈를 통해 전진되는 동안 추출 캐뉼라에 들어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는 절단 캐뉼라의 루멘(lumen) 내로 수용되는 샘플을 코어링하고, 추출 캐뉼라는 후속적으로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로, 그리고 샘플과 결합되기 위해 코어링된 샘플 위에서 전진된다. 추출 캐뉼라는 환자로부터 후퇴되고, 이어서, 코어링된 샘플은 추출 캐뉼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는 그 안에 코어링된 샘플을 보유하도록 구성되어서, 절단 캐뉼라 자체는 뼈로부터 코어링된 샘플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별도의 추출 캐뉼라가 사용되지 않는다. 환자로부터 절단 캐뉼라의 후퇴 후에, 코어링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는 전동식 및 수동식 구성 요소 모두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는 신속하고 그리고/또는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코어 샘플의 제어된 생성 및 추출을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또는 다른 이점 중 하나 이상이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및 추가 실시형태 및 그 이점이 또한 개시되고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골생검 시스템(1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 및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를 포함한다. 조립체(102, 104)는 또한 피질 드릴링 시스템으로서, 그리고 코어링 및 추출 시스템으로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실제로,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골생검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상이한 조합 및 사용을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조합은 개별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각각의 이러한 시스템은 별개로 청구될 수 있다.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는 투관침 조립체(110) 및 절단 조립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관침 조립체(110)는 허브(112), 허브(11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투관침(114), 및 투관침(11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116)을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120)는 허브(122), 허브(12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절단 캐뉼라(124), 및 절단 캐뉼라(12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126)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제1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110)는 절단 조립체(120) 내로 삽입되어 이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110)는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120)와 결합될 수 있어서, 투관침 조립체(110) 및 절단 조립체(120)는 전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핸드헬드 전동식 드릴) 또는 수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핸들)에 의해 구동될 때와 같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는 코어링 조립체(130), 추출 조립체(140), 및 보강재 조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링 조립체(130)는 허브(132), 허브(13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코어링 캐뉼라(134), 및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136)을 포함한다. 추출 조립체는 허브(142), 허브(14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추출 캐뉼라(144), 및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추출 팁(146)을 포함한다. 보강재 조립체(150)는 스타일렛(stylet) 또는 로드로도 지칭될 수 있는 보강재(154)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허브(152)를 포함한다.
원위 추출 팁(146)은 약간 수축된 상태로(예를 들어, 도 5d 및 도 5e와 비교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편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암(147, 14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또는 추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아암(147, 148)은 약간 확장된 상태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아암은 탄력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추출 팁(146)은 그립, 아암, 갈퀴(prong), 타인 핑거(tines finger), 클램프, 플랩, 빔, 그립, 그래스퍼, 결합 요소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2개의 아암(147, 148)을 포함한다. 예시된 아암(147, 148)은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단부 내로 2개의 길이방향 슬롯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단 팁(126)은 임의의 적절한 절단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코어링 팁(136)은 임의의 적절한 절단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26, 136) 중 하나 이상은 톱니, 세레이션(serration), 내장된 절단 요소 및/또는 다른 절단 부재의 임의의 적절한 수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팁(136)의 적어도 내부 표면은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팁(146)을 넘어서는 위치에서 약간 좁아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단부는 내부 수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코어링 팁(136)의 수축부는 추출 캐뉼라(144)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예를 들어, 최소 내경)을 획정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추출 캐뉼라(144)의 추출 팁(146)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코어링 캐뉼라(134)는 또한 절단 캐뉼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2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 조립체(150)는 추출 조립체(140) 및 코어링 조립체(130) 모두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보강재 조립체(150)는 코어링 조립체(1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조립체(140)는 코어링 조립체(1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조립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40)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110)가 제거된 후에 절단 조립체(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푸시 로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160)는 추출 조립체(140)가 코어링 조립체(130)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리고 보강재 조립체(150)가 추출 조립체(140)로부터 제거된 후에, 추출 조립체(1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관침 조립체(110)의 허브(112)는 절단 조립체(120)의 허브(122)를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다. 허브(112, 122)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으며, 허브(112, 122)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킹된 각도 배향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2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외부 표면은 허브(11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상보적 형상의 내부 표면 내에 끼워지도록 키잉될(keyed) 수 있다(도 10d 및 도 10c 및 관련 설명 참조). 키형 표면(keyed surface)은 허브(112, 122)를 고정된 각도 배향으로 로킹할 수 있어서, 허브(112)의 회전은 허브(122)의 동시 회전을 달성할 수 있다. 허브(112)는 예를 들어, 육각형 포스트(115)(도 1 참조)와 같은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해 그 근위 단부에서 드라이버 커넥터 또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손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달리 조작될 수 있는 핸들과 같은 수동식 종류(manual variety)일 수 있거나, 또는 전동식 드릴(power drill)과 같은 전동식 종류(powered variety)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재 조립체(150)의 허브(152)는 추출 조립체(140) 및 코어링 조립체(130)의 허브(142, 132)를 내부에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허브(152, 132)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으며, 허브(152, 132)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킹된 각도 배향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13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외부 표면은 허브(15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상보적 형상의 내부 표면 내에 끼워지도록 키잉될 수 있다. 키형 표면은 고정된 각도 배향으로 허브(152, 132)를 로킹할 수 있어서, 허브(152)의 회전은 허브(132)의 동시 회전을 달성한다. 허브(152)는 예를 들어 육각형 포스트(155)(또한 도 1 참조)와 같은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해 근위 단부에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손으로 회전하거나 달리 조작할 수 있는 핸들과 같은 수동 종류일 수 있거나, 전동식 드릴과 같은 전동식 종류일 수 있다.
허브(152)는 캐비티(156)를 더 획정할 수 있으며, 허브(142)는 캐비티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허브(142)는 허브(15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추출 조립체(140)는 보강재 조립체(150) 및 코어링 조립체(130) 모두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은 추출 조립체(140)가 회전적으로 정지 상태로 남아 있는 반면에, 보강재 조립체(150)와 코어링 조립체(130)가 골수 내로의 수동 또는 전동식 드릴링 동안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허브(142)의 상부 표면은 회전 동안 캐비티(156)의 상부 단부에서 허브(152)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허브(152) 및/또는 허브(142)는 그 위에 배치된 마찰 감소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마찰 감소 코팅 또는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Delrinⓒ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56)는 허브(142)의 접촉 표면(예를 들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이 거리(L1)만큼 허브(132)의 접촉 표면(예를 들어, 상단부) 위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클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팁(146)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가 사용 전 상태에 있을 때 또는 골수 내로 드릴링하기 전에 거리(L2)만큼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팁(136)에 대해 오목화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사용의 추후 단계에서, 허브(142)는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팁(146)이 거리(L3)만큼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팁(138)을 지나쳐서 원위로 연장되게 하도록 허브(132)를 향해 아래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거리(L1)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리(L2 + L3)만큼 클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골생검 시스템(101)은 방금 설명된 시스템(100)뿐만 아니라 드라이버(1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170)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 및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각각과 선택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170)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허브(112, 152)의 근위 단부에 있는 연결 인터페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드라이버(170)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드라이버(170)는 조립체(102, 104)를 뼈 내로 수동으로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예를 들어, 조작)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드라이버(170)는 뼈 내로 조립체(102, 104)의 전동식 삽입을 달성할 수 있는 핸드헬드 전동식 드릴(172)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특정 도면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 도면들이 일반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부 방법에서,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피질 절단 조립체 또는 골수 접근 조립체로도 지칭될 수 있음)는 드릴(172)에 결합되어, 환자의 뼈(51) 내로 드릴링된다. 투관침(114) 및 절단 캐뉼라(124)는 각각 뼈의 피질층(50)을 절단하여, 뼈의 골수(52)에 도달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방법의 단계에서, 투관침(114)의 원위 팁(116)의 일부는 골수(52) 내로 피질층(50)을 통과한데 반하여, 투관침(114)의 원위 팁(116)의 나머지와 절단 캐뉼라(124)의 원위 팁(126)은 피질층(50)을 계속 절단한다.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는 절단 캐뉼라(124)의 원위 팁(126)이 뼈의 피질층(50)(도 5b 참조)을 통과할 때까지 뼈(51) 내로 더욱 깊게 계속 절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단 캐뉼라(124)의 원위 절단 팁(126)은 뼈의 골수(52)(도 5b 참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드릴은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되며, 특히, 투관침 허브(112)로부터 분리된다. 투관침 조립체(110)는 피질 절단 조립체(120)가 뼈(51)에서 적소에 남겨짐에 따라서 피질 절단 조립체(120)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된다.
투관침 조립체(110)가 피질 절단 조립체(1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는 예를 들어 피질 절단 조립체(120)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골수(52)의 샘플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원위 단부는 절단 조립체(120)가 뼈(51) 내에 위치되어 남아 있는 동안 절단 조립체(120)의 허브(120) 및 절단 캐뉼라(124)의 각각을 통해 삽입된다. 드릴(172)은 피질 절단 조립체(120)를 통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삽입 전에, 동안 또는 후에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와 결합된다.
도 5b는 드릴(172)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되기 직전의 시점을 도시한다. 드릴의 작동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를 회전시킨다. 절단 캐뉼라(124)는 정지 상태로 남아 있고, 이러한 회전 동안 뼈(51) 내에 결합된다. 즉, 절단 캐뉼라(124)는 절단 캐뉼라(124)의 회전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마찰 결합을 피하기 위해 코어링 캐뉼라(134)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내경을 획정할 수 있다. 회전하는 동안,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는 골수(52)를 코어링하기 위해 원위로 전진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가 계속 회전하고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코어링 팁(136)은 궁극적으로 골수(52)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부터 샘플(54)을 코어링하기 시작한다. 샘플(54)은 또한 코어, 시료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샘플(54)의 외경은 코어링 팁(136)의 내경과 동일하다.
도 5d를 참조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가 계속 회전하고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코어링 팁(136)은 골수(52)로부터 샘플(54)을 계속 코어링한다. 즉, 샘플(54)은 크기가 성장하고,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 내로 근위로 전진된다. 달리 말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원위 전진은 성장 중인 샘플(54)을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 내에서 더욱 깊게 위치시킨다. 결국, 샘플(54)은 추출 캐뉼라(144) 내로 들어가기에 충분한 양만큼 근위로 전진된다. 다시, 샘플(54)의 외경은, 추출 캐뉼라(144)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코어링 팁(136)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샘플(54)과 추출 캐뉼라(144)의 내벽 사이의 접촉은 추출 캐뉼라(144)가 회전하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출 캐뉼라(144)는 샘플(54)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반면에,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나머지는 추가적인 코어링을 위해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추출 캐뉼라(144)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의 나머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기 때문에, 추출 캐뉼라(144)는 샘플(54)과 결합되고, 이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샘플(54)의 구조적 완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가 원위로 더욱 전진함에 따라서, 샘플(54)은 추출 캐뉼라(144) 내로 더욱 깊이(예를 들어, 더욱 근위로) 전진(예를 들어,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의 근위 전진은 샘플 직경(54)과 추출 캐뉼라(144)의 내경의 대략적인 크기 일치로 인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결국, 원하는 크기의 샘플(54)이 달성되고, 드릴링은 중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드릴(172)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보강재 조립체(150)가 제거된다. 이것은 추출 조립체(140)의 허브(142)를 노출된 상태로 남긴다. 이어서, 허브(142)는 허브(132)의 근위 단부에 근접하거나 또는 이와 접촉하도록 함몰(즉, 원위로 전진)된다.
따라서, 도 5e를 참조하면, 추출 캐뉼라(144)가 코어링 캐뉼라(134)에 대해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변형 가능한 아암(147, 148)을 포함하는)은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팁에 의해 획정된 좁아지거나 또는 수축된 개구를 통해 전진된다. 좁아지거나 또는 수축된 배열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추출 캐뉼라(14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의 특성에 대응한다.
아암(147, 148)은 코어링 캐뉼라(134)의 원위 팁을 지나쳐서 전진함에 따라서 내측으로 약간 편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일부 실시형태에 대해 도 5e에 도시된 묘사에서 과장될 수 있다. 따라서, 아암(147, 148)은 샘플(54)을 내측으로 누르고, 이에 의해 샘플(54)에 대한 파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허브(142)는 허브(132)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코어링 캐뉼라(134)를 둘러싸는 골수(52)의 바디 및 코어링 캐뉼라(134)에 대한 추출 캐뉼라(144)의 회전에 형향을 미친다. 아암(147, 148)은 이러한 회전 동안 내측으로 편향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샘플(54)에 대한 파지를 유지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추출 캐뉼라(144)가 코어링 캐뉼라(134)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서, 코어링 캐뉼라(13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위 팁(136)은 아암(147, 148)이 샘플(54)과 파지 접촉하여 남아 있도록 내측으로 편향된 상태로 아암(147, 148)을 유지할 수 있다. 추출 캐뉼라(144)의 이러한 회전은 골수(52)의 바디로부터 샘플(54)을 떼어내거나 또는 절단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5f를 참조하면, 절단 조립체(120), 코어링 조립체(130), 및 추출 조립체(140)는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함께 또는 연속적으로). 추출 조립체(140)는 코어링 조립체(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푸시 로드(160)는 허브(142)를 통해, 추출 캐뉼라(144)를 통해, 샘플(54)의 근위 단부와 접촉하도록 채널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푸시 로드(160)는 추출 캐뉼라(144)의 원위 단부를 통해 샘플(54)을 밀어내기 위해 원위로 전진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아암(147, 148)이 가요성이거나 또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여서, 아암(147, 148)은 이러한 상태에서 샘플(54)에 대한 느슨한 파지만을 가할 수 있다. 샘플(54)이 아암(147, 148)을 지나쳐서 밀려남에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암(147, 148)은 확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형되어 샘플(54)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아암(147, 148)은 샘플(54)이 아암(147, 148)을 지나쳐서 밀려남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또는 구부러지지 않고 남아 있다. 그러므로, 높은 진단율을 가진 샘플(54)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많은 점에서 위에서 논의된 시스템(100)과 유사할 수 있는 골생검 시스템(2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특정한 점에서 전술한 시스템(100)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특징부는 대체로 반드시 배타적이지 아닐지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정되고 선행 숫자는 "2"로 증가한다. 따라서 유사한 특징부(예를 들어, 유사한 도면 부호에 의해 식별된 특징부)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관련 개시내용은 이후에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200)의 특정 특징부는 도면에서 도면 부호에 의해 도시되거나 또는 식별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다음의 기재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부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묘사되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부와 명백히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부의 관련 설명은 시스템(200)의 특징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시스템(100)에 대해 기술된 특징부 및 그 변형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은 시스템(200)과 함께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개시내용의 이러한 패턴은 후속 도면에서 도시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추가의 실시예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고, 선행 숫자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와 다른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를 포함한다. 특히,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는 폐색기 조립체(211) 및 절단 조립체(220)를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220)는 원위 절단 팁(226)을 포함하는 절단 캐뉼라(224)를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224)는 또한 절단 바늘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팁(226)은 바늘형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 팁(226)은 단순한 편향 그라인드로서 형성된다. 다른 배열이 고려된다.
폐색기 조립체(211)는 폐색기(215), 및 원위 폐색기 팁(21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색기(215)는 재료가 절단 캐뉼라(22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단 캐뉼라(224)의 루멘을 채우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폐색기(215)는 막힘 또는 절단 파편의 다른 원치않는 존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217)은 어떠한 절단 표면도 포함하지 않는다. 팁(217)은 절단 팁(226)의 경사면과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이에 대해 약간 오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는 위에서 설명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10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추가 예시적인 예 및 설명이 이후에 제공된다. 이후에 식별되는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식별된 동일한 부호의 특징부에 대응한다.
피질 드릴링 시스템(102)은 허브(122)에 부착된 날카로운 피질 절단 캐뉼라(124)와, 구동 허브(112)에 부착된 내부 폐색기(114)로 구성될 수 있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은 허브(13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골수 절단 캐뉼라(136), 수동적인 비결합 허브(142)를 구비한 추출 캐뉼라(144), 및 추출 캐뉼라(144)의 길이 아래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보강 로드(154)가 고정적으로 부착된 구동 허브(150)로 구성될 수 있다. 피질 드릴링 시스템(102)은 내부 폐색기(114)가 제거될 수 있고,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은 피질 절단 캐뉼라(124)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골수에 접근하여 추출하기 위한 골수 시스템(100)이 제공될 수 있다. 피질 드릴링 바늘 시스템(102)은 드릴 커플링 및 피질 구동 허브(112)의 정합 특징부(mating feature)에 의해 드릴 커플링과 결합될 수 있는 폐색기(114)에 결합된 피질 절단 캐뉼라(124)로 구성된다. 폐색기(114)는 피질 절단 캐뉼라(124)로부터 제거되고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으로 교체되며, 드릴 커플링으로부터 추가로 분리될 수 있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은 피질 절단 캐뉼라(124)보다 상당히 더 길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은 드릴 및 골수 구동 커플링(152)의 정합 특징부에 의해 드릴 커플링과 결합될 수 있다.
골생검 시스템(100, 200)은 전동식 드릴 또는 수동식 드릴, 피질 드릴링 바늘 또는 캐뉼라 시스템(102, 202), 및 골수 코어링 및 추출 시스템(104, 204)을 포함할 수 있다. 피질 드릴링 시스템(102, 202)은 뼈 외부로부터 뼈 피질을 통해 골수의 가장자리(margin)까지 접근하며, 피질 캐뉼라 허브(122, 222)에 부착된 캐뉼라(124, 224)의 원위 단부에 있는 날카로운 절단 특징부, 및 피질 캐뉼라 허브(122, 222)에 결합된 구동 허브(112, 212)를 가지는 내부 부재로 구성되어서, 구동 허브와 피질 캐뉼라 허브는 함께 회전한다. 피질을 통한 접근이 달성된 후에, 내부 부재(124, 224)는 피질 드릴링 캐뉼라로부터 제거되고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 204)으로 대체된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104, 204)은 허브(132, 23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골수 절단 캐뉼라(134, 234), 수동형 허브(passive hub)(142, 242)를 구비하는 추출 캐뉼라(144, 244), 및 추출 캐뉼라(134, 234)의 길이 아래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보강 로드(154, 254)가 고정적으로 부착된 구동 소켓(152, 252)으로 구성된다. 골수 절단 캐뉼라는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절단 톱니(cutting teeth)를 가진다.
골수 절단 캐뉼라는 골수 코어 직경이 추출 캐뉼라의 직경과 같거나 작도록 감소된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은 수동으로 또는 전동식 드릴에 의해 골수 내로 드릴링되는 것에 의해 골수의 코어 샘플을 채취한다. 추출 캐뉼라는 회전적으로 고정되지 않으며, 그러므로 얇은 절단 캐뉼라 또는 보강 로드를 구비한 구동 소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추출 캐뉼라는 가장 원위의 표면으로부터 근위 표면을 향해 축 방향으로 절단된 하나 또는 몇몇 슬롯으로 구성되어, 2개 이상의 가요성 빔 또는 파지 아암을 생성한다. 골수 코어링 시스템이 코어를 드릴링한 후에, 추출 캐뉼라는 골수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의 좁은 부분 내로 앞으로 밀려나, 파지 아암을 붕괴시킨다. 이어서, 시스템은 비틀려서 원위 팁에서 골수를 분리하고, 추출 캐뉼라는 골수 코어링 캐뉼라로부터 제거되며, 코어 샘플은 추출 캐뉼라 밖으로 밀려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시스템과 유사할 수 있는 골생검 시스템(3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시스템(300)은 전술한 골생검 시스템(200)의 실시형태, 및 한 쌍의 드라이버(370)를 포함한다. 특히, 시스템(300)은 전기 구동 드릴과 같은 전동식 드라이버(372)를 포함하고,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더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골생검 시스템(100)은 골생검 시스템(20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300)이 골생검을 위해 사용될 때, 전동식 드라이버(372)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와 결합되고,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환자의 뼈 내로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절단 조립체(220)가 골수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뼈에 고정되면, 폐색기 조립체(211)는 투관침 조립체(110)에 대해 전술한 방식과 같은 방식에서와 같이 제거된다.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50)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와 결합될 수 있어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수동식 드라이버(374)의 회전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50)의 회전처럼 달성된다.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는 절단 조립체(120)에 대해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220)를 통해 삽입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골수로부터 코어 샘플을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회전시키고, 코어 샘플은 추출 조립체(240)의 원위 단부 내에서 보유된다. 특히, 사용자는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단일 방향으로(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서, 골수를 코어링하기 위해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원위로 누른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반대인 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전후로 회전시키면서, 골수를 코어링하기 위해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원위로 누를 수 있다.
그러므로, 시스템(300)은 뼈의 피질층을 통하여 드릴링하고 골수에 대한 접근을 달성하기 위해 전동식 드라이버(372)와, 골수를 코어링하기 위해 수동식 드라이버(374)를 모두 사용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뼈의 피질층을 통하여 드릴링하기 위해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반하여, 전동식 드라이버(372)는 골수로부터 코어 샘플을 형성하고 추출하기 위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스템(300)은 수동식 드라이버(374)만을 사용한다. 즉,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뼈의 피질층을 절단하기 위해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와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어서 골수로부터 코어 샘플을 형성하고 추출하기 위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204)와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된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바디(375) 및 캡(376)을 포함한다. 바디(375)는 또한 핸들, 그립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캡(376)은 또한 헤드, 크라운, 접합 부재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바디(375) 및/또는 캡(376)은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용이한 파지 및 조작을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바디(375) 및 캡(376)은 상대적인 길이방향 움직임을 거의 또는 전혀 허용하지 않도록 함께 고정되지만,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캡(376)을 (예를 들어, 손바닥으로) 원위로 누를 수 있고, 캡(376)은 사용자가 동일한 손의 손가락으로 바디(375)를 회전시키는 동안 손에 대해(예를 들어, 손바닥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허브(374)를 원위로 누름에 따라서 캡(376)과 바디(375)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의 양은 캡(376)과 바디(375) 사이의 회전 움직임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캡(376)을 원위로 누르고, 핸들(374)을 통한 드릴링 및/또는 코어링을 달성하기 위해 바디(375)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서 바디를 원위로 밀 수 있으며, 캡(376)과 바디(375)는 함께 또는 그 사이의 마찰 결합으로 인해 거의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바디(375) 및 캡(376)은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그러므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디(375)와 캡(376)은 단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식 드라이버(374)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언급하면 수동식 드라이버(374)의 모든 구성 요소 또는 일부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캡(376)을 원위로 누르고 그리고/또는 핸들(374)을 통한 드릴링 및/또는 코어링을 달성하기 위해 바디(375)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서 캡을 원위를 밀어낼 수 있다.
바디(375)는 오목부(377)를 획정할 수 있으며, 피질 드릴링 조립체(204)의 근위 단부는 오목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바디(375)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204)와 결합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종류의 연결 인터페이스(378)를 추가로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378)는 드릴링 조립체(204)의 육각형 스템(255)을 아늑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인 육각형 소켓이다. 상보적인 소켓(378)과 스템(255)은 회전 로킹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바디(375)의 회전은 드릴링 조립체(204)의 동시 또는 동일한 회전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374)는 소켓(378)의 상부 단부에 있는 자성 부재(379)를 포함하며, 자성 부재는 드릴링 조립체(204)의 스템(255)의 상부 단부에 있는 다른 자성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수동식 드라이버(374)와 드릴링 조립체(204)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도울 수 있다.
수동식 드라이버(374)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 또는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374)의 바디(375)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짧다.
도 9는 골생검 시스템(4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골생검 시스템(400)은 많은 점에서 위에서 논의된 골생검 시스템(100, 200, 30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절단 및 코어링 조립체(예를 들어, 절단 조립체(120) 및 코어링 조립체(130))를 포함하는 대신, 시스템(400)은 피질 뼈를 통한 드릴링 및 뼈의 골수의 코어링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단일 절단 조립체(420)를 포함한다. 더욱이, 시스템(400)은 추출 튜브(444)로도 지칭될 수 있는 추출 캐뉼라(444)에 사전 조립된, 수동 핸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허브(442)를 포함하는 추출 조립체(440)를 포함한다. 허브 또는 핸들(442)은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와 결합될 때 절단 조립체(420)의 수동 회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400)은 피질 드릴링 시스템(402), 및 코어링 및 추출 시스템(404)을 포함한다. 피질 드릴링 시스템(402)은 위에서 논의된 투관침 조립체(110) 및 절단 조립체(120)와 유사할 수 있는 투관침 조립체(410) 및 절단 조립체(420)를 각각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피질 드릴링 시스템(402)은 대신에 상기에서 논의된 폐색 조립체(211) 및 절단 조립체(220)와 같은 폐색 조립체 및 절단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424)는 절단 조립체(220)에 대하여 이전에 논의된 바늘(224)과 같은 절단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경우에도, 피질 드릴링 시스템(402)은 피질 뼈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팁(426)을 가지는 절단 캐뉼라(424)를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424)는 또한 절단 튜브로서, 또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이유때문에 코어링 캐뉼라 또는 튜브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투관침 조립체(410)는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 허브(41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투관침(414), 및 투관침(41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41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투관침 조립체(410)는 절단 팁(416) 근처에 있는 오목부(417)를 더 포함한다. 오목부(417)는 예를 들어 환형 그루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종류일 수 있다. 투관침 조립체(410)는 투관침 조립체(410)가 다음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될 때 절단 팁(416)을 차폐하기 위해 투관침(414)의 원위 단부에 자동으로 로킹되기 위해 오목부(417)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안전 차폐부(4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 조립체(420)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 허브(42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절단 캐뉼라(424), 및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426)을 포함한다. 절단 팁(426)은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9에서 제1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410)는 절단 조립체(420) 내로 삽입되고 이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투관침 조립체(410)는 투관침 조립체(410) 및 절단 조립체(420)가 전동식 드릴에 의해 또는 수동 핸들에 의해 구동될 때와 같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420)와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는 코어링 조립체(420)로도 지칭될 수 있는 절단 조립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절단 조립체(420)는 피질 뼈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그 후에 골수 샘플의 내부를 코어링하도록 구성된다.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는 추출 조립체(440)를 더 포함하며, 추출 조립체는 추출 조립체 허브(442), 및 다음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허브에 대해 병진하고 회전하도록 허브(442)와 결합된 추출 캐뉼라(444)를 포함한다. 추출 캐뉼라(444)는 그 원위 단부에 있는 추출 팁(446)을 포함한다. 추출 팁(446)은 이전에 기술된 아암(147, 148)과 같은 복수의 아암(447, 448)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 캐뉼라(444)는 허브(442)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추출 캐뉼라(444)의 근위 단부는 허브(442)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로 연장된다. 추출 캐뉼라(444)의 근위 단부는 임의의 적합한 종류의 액추에이터(449)와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449)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허브(442)에 대해 추출 캐뉼라(444)를 원위로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디스크 형상의 측 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는 추출 캐뉼라(444)를 가압하기(urge) 위해 액추에이터(449)를 원위로 누를 수 있으며, 이는 절단 캐뉼라(424)의 좁아진 원위 팁(426)을 통해 아암(447, 448)의 원위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좁아진 원위 팁(426)을 통한 아암(447, 448)의 이러한 움직임은 샘플을 파지하기 위해 코어 샘플을 누르도록 아암(447, 448)을 내측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444)는 액추에이터(449)를 통해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캐뉼라(444)의 상부 팁은 액추에이터(449)의 상부 표면과 동일 평면일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444)의 상부 팁은 액추에이터(449)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449)는, 그 근위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추출 캐뉼라(444)에 의해 획정된 루멘(445)으로 이어지는 채널 또는 통로를 획정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2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조립체(440)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41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절단 조립체(420)(다시 코어링 조립체로서 지칭될 수 있음)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관침 조립체(410) 및 절단 조립체(420)는 함께 결합될 때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를 형성하며; 유사하게, 추출 조립체(440) 및 절단 조립체(420)는 함께 결합될 때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를 형성한다. 이들 조립체의 작동은 다음에 추가로 논의된다.
계속해서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는 추출 조립체(404)를 절단 조립체(420)에 선택적으로 로킹하도록 구성된 로킹 시스템 또는 로킹 메커니즘(45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의해 획정된 복수의 커플링 아암(443)을 포함한다. 커플링 아암(443)은 탄성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고,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허브(422) 주위로 스냅핑되는(snap) 내향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허브(440)에 대해 선택적으로 병진할 수 있고, 특히 아암(443)에 대해 원위 또는 근위로 병진될 수 있는 로킹 칼라(locking collar)(458)를 더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 칼라(458)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아암(443)이 허브(422)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아암(443)을 허브(422)에 대해 로킹하기 위해 아암(443) 위에서 원위로 전진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고, 도 15b를 추가로 참조하면, 절단 조립체(420)의 절단 팁(426)은 뼈의 피질층의 절단하고 골수로부터의 샘플을 코어링하기 위해 골수의 절단 모두에 적합한 절단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팁(426)은 임의의 적절한 수 또는 구성의 톱니, 세레이션, 내장된 절단 요소 및/또는 다른 절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절단 팁(426)의 적어도 내부 표면은 감소된 직경(D1)을 획정하기 위해 약간 좁아질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코어링 팁(426)은 추출 캐뉼라(444)의 적어도 원위 팁의 내경(D2)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더 큰, 특히 추출 캐뉼라(444)의 추출 팁(446)의 적어도 원위 단부에 의해 획정된 내경(D2)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내경(D1)(팁(426)의 최소 내경일 수 있음)을 획정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직경(D1)은 직경(D2)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감소된 직경(D1)를 획정하는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영역은 수축부, 추출 아암 편향기 및/또는 편향 영역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코어링 캐뉼라(130)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절단 캐뉼라(424)는 골수로부터 코어 샘플을 형성하기 위해 골수를 절단할 수 있으며, 코어 샘플은 추출 캐뉼라의 원위 팁(446)에 의해 획정된 내경과 일치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달리 언급하면, 코어 샘플은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팁(446) 내로 용이하게 수용되고 이와 결합되는 크기로 되어서, 추출 캐뉼라(444)는 코어 샘플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시스템(400)은 허브(462), 및 허브(46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푸시 로드(464)를 포함할 수 있는 푸시 로드 조립체(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타일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464)는 추출 조립체(44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 후에 추출 조립체(4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조립체(440)는 그 근위 단부로부터 그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루멘(445)을 획정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444)는 루멘(445)의 전체를 획정한다. 그러므로, 샘플이 추출 캐뉼라(444)를 통해 뼈로부터 추출된 후에, 푸시 로드(484)는 추출 캐뉼라(444)의 근위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단부를 통해 샘플을 밀어내기 위해 루멘(445)을 통해 원위로 전진되며, 이에 의해,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추출 캐뉼라(444)로부터 샘플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0a는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허브(412)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와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481)를 획정한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의 연결 인터페이스(481)는 소켓(482)이다. 소켓(482)은 절단 조립체 허브(422)가 오직 하나의 고유한 회전 또는 각도 배향으로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에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키형 형상(keyed shape)을 획정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소켓(482)은 세장형 직각 팔각형 프리즘(elongated right octagonal prism)을 획정하며, 프리즘의 5개의 연속된 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5개의 연속된 측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확대된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에 비해 길며, 2개의 확대된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8개의 짧은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보다 짧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키형 구성(keying configuration)이 고려된다.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는 허브(412, 422) 사이의 병진 움직임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조립체 허브(412)를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483)를 추가로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483)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 상으로 스냅핑되도록, 특히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외부 림 위에 스냅핑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탄성 아암(484)을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대한 아암(484)의 스냅핑 결합(snapping engagement)의 강도는 원하는 레벨로 조정될 수 있다. 드릴링 동안, 투관침 조립체(410)에 적용되는 원위 방향 힘은 연결 인터페이스(483)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 강도와 무관하게 절단 조립체(420)에 결합된 투관침 조립체(410)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암(484)은 투관침 조립체(41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약한 결합력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422)가 뼈의 피질 내에 매립된 후와 같이 비교적 적은 힘으로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투관침 조립체(410)를 근위로 빼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절단 캐뉼라(422)가 뼈와 결합되거나 뼈에 고정되어 남아 있는 동안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 상에서 단지 뒤로 또는 근위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투관침 조립체(410)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b는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허브(442)는 많은 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수동식 드라이버(374)와 유사할 수 있다. 실제로, 허브(442)는 또한 수동식 드라이버, 핸들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허브(442)는 각각 위에서 논의된 바디(375) 및 캡(376)과 유사할 수 있는 바디(475) 및 캡(47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디(475) 및 캡(476)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데 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서, 바디(475) 및 캡(476)은 함께 고정적으로 고정된다(예를 들어, 이들은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출 조립체 허브(442)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와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491)를 획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491)는 위에서 논의된 연결 인터페이스(481)와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의 연결 인터페이스(491)는 소켓(492)이다. 소켓(492)은 절단 조립체 허브(422)가 오직 하나의 고유한 회전 또는 각도 배향으로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키형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소켓(492)은 세장형 직각 팔각형 프리즘을 획정하며, 프리즘의 5개의 연속된 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5개의 연속된 측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확대된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에 비해 길며, 2개의 확대된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8개의 짧은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보다 짧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키형 구성이 고려된다.
추출 조립체 허브(442)는 허브(442, 422) 사이의 병진 움직임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추출 조립체 허브(442)를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493)를 추가로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493)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 상으로 스냅핑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탄성 아암(494)을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대한 아암(494)의 스냅핑 결합의 강도는 원하는 레벨로 조정될 수 있다. 수동식 드릴링 동안,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적용되는 원위 방향 힘은 연결 인터페이스(493)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 강도와 무관하게 절단 조립체(420)에 결합된 추출 조립체(440)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아암(494)은 투관침 조립체(410)의 아암(484)보다 절단 조립체(420)와의 더 강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결합력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심지어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아암(494)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결합력의 양에 관계없이, 로킹 칼라(458)(도 9 및 도 13 참조)는 허브(442, 422) 사이의 단단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아암(494)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추출 조립체 허브(442)와 절단 조립체 허브(422)가 함께 결합될 때 (예를 들어, 로킹 메커니즘(456)을 통한) 이들 사이의 연결의 전체 강도는 투관침 조립체 허브(12)와 절단 조립체(422)가 함께 결합될 때 이들 사이의 연결의 강도보다 크다.
일부 예에서, 뼈로부터 절단 조립체(420)를 제거하기 위해 더 강한 연결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투관침 조립체(410)를 제거하는 동안 뼈에 이식된 절단 조립체(420)를 남겨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반하여, 대신 일부 예에서, 뼈로부터 추출 조립체(440)의 제거와 동시에 뼈로부터 절단 조립체(420)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력은 뼈로부터 추출 조립체(440) 및 절단 조립체(420)의 이러한 동시 빼냄을 허용하는데 충분하다.
도 10c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평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절단 조립체 허브(422)는 각각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 및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481, 491)의 각각과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495)를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연결 인터페이스(495)는 위에서 논의된 소켓(482, 492)의 키형 형상에 상보적인 키형 형상을 획정하는 포스트(496)이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포스트(496)는 세장형 직각 팔각형 프리즘을 획정하며, 프리즘의 5개의 연속된 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5개의 연속된 측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확대된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에 비해 길어지며, 2개의 확대된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8개의 짧은 측면은 5개의 연속된 측면보다 짧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키형 구성이 고려된다.
절단 조립체 허브(442)는 커플링 인터페이스(497)를 추가로 획정할 수 있으며, 안전 차폐부(419)는 커플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절단 조립체 허브(44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인터페이스(497)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안전 차폐부(419)의 부분이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498)이다. 특히, 예시된 오목부(498)는 절단 조립체 허브(442)의 내부 표면의 전체 주변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그루브를 포함한다.
절단 조립체 허브(442)는 또한 커플링 인터페이스(499)를 획정할 수 있으며, 투관침 조립체 허브(412) 및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연결 인터페이스(483, 493)의 각각은 커플링 인터페이스에 의해 절단 조립체 허브(44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커플링 인터페이스(499)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탄성 아암(484, 494)은 환형 돌출부 위로 스냅핑될 수 있다. 또 다른 연결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도 10d는 예를 들어 보호대(guard), 클립, 커버 또는 고착 방지 요소로도 지칭될 수 있는 안전 차폐부(419)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안전 차폐부(419)는 칼라(560), 및 한 쌍의 아암(562, 563)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아암(562, 563)은 칼라(560)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로 연장된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아암(562, 563)은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부재일 수 있다. 아암(562, 563)은 도 10d에서 도시된 낮은 프로파일 배향으로 있을 때 자연스럽거나, 휴지하고 있거나, 편향되지 않았거나, 변위되지 않았거나, 변형되지 않았거나, 왜곡되지 않았거나, 구부러지지 않았거나, 또는 이완된 상태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외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이동될 때보다 낮은 에너지 상태에 적어도 근접한다. 예를 들어, 아암(562, 563)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향을 달성하기 위해 차폐부(419)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측 방향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거나, 변위되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편향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적으로 아암(562, 563)을 자연스러운 상태 또는 낮은 에너지 상태를 향해 가압하는 내부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
차폐부(419)는 원위 단부(564) 및 근위 단부(565)를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칼라(560)는 차폐부(419)의 원위 단부(564)에 위치된다. 예시된 칼라(560)는 다른 구성이 고려될지라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획정한다. 칼라(560)는 차폐부(419)의 원위 팁(566) 또는 원위 가장자리를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원위 팁(566)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면을 포함한다.
칼라(560)는 투관침(414)이 통과할 수 있는 원위 개구(567)를 획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원위 개구(567)는 고정적으로 개방된 구성을 획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구(587)는 투관침(414)의 원위 팁(416)이 차폐부(419) 내로 당겨진 후에도 개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용어로, 칼라(560)는 실질적으로 변형 불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차폐부(419)의 전체 작동에 걸쳐서 단일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칼라(560)는 차폐부(419)가 투관침(414) 내로 로킹될 때 원위 개구(567)가 개방되어 있을지라도 투관침(414)의 원위 팁(416)과의 원치않는 접촉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개구(567)는 사용자 또는 다른 개인의 피부가 투관침(414)의 원위 팁(416)과 접촉하기에 충분한 거리까지 차폐부(419)의 캐비티(569)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캐비티(569)는 일반적으로 칼라(560), 아암(562, 563)의 원위 단부, 및 한 쌍의 패널(581, 582)에 의해 획정된다. 달리 말하면, 케이지(580) 또는 리셉터클은 칼라(560), 아암(562, 563), 및 패널(581, 582)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케이지(580)는 투관침(414)의 원위 팁(416)이 그 안으로 당겨져 보유될 때 원위 팁(416)과의 부주의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의 근위 단부(565)에서, 아암(562, 563)은 각각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획정한다. 각각의 측 방향 연장부(572, 573)는 투관침(414)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574, 575)를 획정할 수 있다. 개구(574, 575)는 투관침(414)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는 확대된 영역, 및 차폐부(419)와 투관침(414) 사이에서 축 방향 움직임을 로킹하거나, 범위를 정하거나,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기 위해 투관침(414)의 그루브(417)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좁아진 부분을 가지는 열쇠 구멍 형상일 수 있다(도 12 참조).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개구(574, 575)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지만, 반대인 방향으로 배향된다. 개구(574, 575)의 확대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이고, 개구(574, 575)의 수축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암(562, 563) 중 하나 이상은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바늘 허브(203)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 인터페이스(576, 577)를 각각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576, 577)는 아암이 외측으로 변형되거나 왜곡되고 투관침(414)의 큰 직경 부분에 의해 이러한 외향 배향으로 홀딩될 때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연결 인터페이스(497)와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향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576, 577)는 외향 돌출부(578, 579)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돌출부(578, 579)는 각각 아암(562, 563)에서 외향 굽힘부로서 형성된다.
차폐부(419)는 그것의 분리된 반대로 향한 측면들에 있는 한 쌍의 패널(581, 582)을 더 포함한다. 특히, 패널(581, 582)은 차폐부(419)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90°만큼 아암(562, 563)으로부터 오프셋된다. 패널(581, 582)은 또한 지지부, 스트럿(strut), 빔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패널(581, 582)은 지지부(예를 들어, 보충 지지부)를 제공하거나,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받치거나, 강화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581, 582)은 측 방향 연장부(573)의 원위 표면에 인접하여, 원위 표면 아래에, 또는 원위 표면과 접촉하여 위치된 근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측 방향 연장부(572)에서의 원위로 향한 큰 힘의 경우에, 측 방향 연장부(572)는 측 방향 연장부(573)와 접촉하기 위해 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패널(581, 582)의 근위 단부와 접촉하도록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패널(581, 582)은 측 방향 연장부(572, 573)의 어떠한 추가 원위 움직임 또는 변위도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은 측 방향 연장부(572, 573)에 의해 획정된 개구를 재배향하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은, 투관침(414)(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419)가 로킹된 구성으로 있을 때)으로부터, 투관침(414)이 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분리할 수 있는, 측 방향 연장부(572, 57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변형 또는 재배향은 투관침(414)의 오목부(417)로부터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일부 경우에, 측 방향 연장부(572, 573)는 근위 측벽을 포함할 수 있는 투관침 오목부(417) 내에 단단히 로킹될 수 있다. 차폐부(419)의 원위 단부에 부주의한 압력(예를 들어, 차폐부(419)의 부재시에 날카로운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투관침 조립체의 원위 단부에 대한 의사의 부주의한 충돌)을 가하는 경우에, 투관침 오목부의 근위 측벽으로부터의 반응력은 상부 측 방향 연장부(572) 상에 작용하여 이를 원위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패널(581, 582)은 이러한 부주의한 힘이 투관침의 원위 팁을 노출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투관침으로부터 차폐부(419)를 분리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지지 패널(581, 582)은 그 근위 단부가 측 방향 연장부(573) 아래에 위치되도록 내측으로 각이 진다. 특히, 각각의 지지 패널(581, 582)은 지지 구조를 내측으로 지향시키는 굽힘부(59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굽힘부(595)는 시스템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굽힘부(595)는 힘을 내측으로 재지향시켜 지지 패널(581, 582)의 상부 단부를 투관침에 대해 밀어내고, 상부 단부가 측 방향 연장부(573, 572) 아래에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지지 패널(581, 582)의 상부 단부는 둥근 투관침과의 보다 양호한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곡선(597)을 획정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는 단일의 일체형 모놀리식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달리 말하면, 단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는 도 10d에 도시된 구성으로 접힌 및/또는 구부러진 단일 시트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는 칼라(560)의 각각의 모서리에 하나씩, 4개의 주요 굽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접혀진다. 추가의 굽힘부(일부 경우에, 각각 2개의 굽힘부)는 각각의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가 굽힘부(일부 경우에 각각 3개의 굽힘부)는 외향 돌출부(578, 579)를 생성한다. 단일 시트의 금속 시트를 접거나 구부릴 때, 시트의 양쪽 가장자리는 이음매(585)를 따라서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음매(585)는 아암(581)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음매(585)는 대신 칼라(560)의 굽힘부 중 하나에 위치되어, 아암(562, 563, 581, 582) 중 임의의 것을 따라서 또는 이를 통해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는 사출 성형되거나, 3D 인쇄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또는 추가 실시형태에서, 차폐부(419)는 함께 합쳐진 다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차폐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차폐 구성은, 미국 특허 출원 제15/914,964호(발명의 명칭: SAFETY SHIELDS FOR ELONGATED INSTRUMEN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출원일: 2018년 3월 7일)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2018년 9월 13일에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256209호로 공개되었으며, 이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관침(414)은 절단 캐뉼라(42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투관침 조립체(410)의 허브(412)는 그 내부에 절단 조립체(420)의 허브(422)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조립체(402)의 조립 동안, 투관침(414)은 절단 캐뉼라(424)에 의해 획정된 루멘(425)을 통해 원위로 전진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허브(412, 422)는 임의의 적절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으며, 허브(412, 422)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킹된 각도 배향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허브(42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외부 표면은 허브(412)의 일부에 의해 획정된 상보적 형상의 내부 표면 내에 끼워지도록 키잉된다. 키형 표면은 고정된 각도 배향으로 허브(412, 422)를 로킹하여서, 허브(412)의 회전은 허브(422)의 동시 회전을 달성한다. 허브(412)는 예를 들어 육각형 포스트(415)와 같은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해 그 근위 단부에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손으로 회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작될 수 있는 핸들과 같은 수동식 종류(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수동식 드라이버(374))일 수 있거나, 또는 전동식 드릴와 같은 전동식 종류(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전동식 드라이버(172))일 수 있다. 도 14에 대해 논의된 시스템에서, 포스트(415)는 전동식 드릴(472)에 의해 획정된 상보적 인터페이스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안전 차폐부(419)의 작동이 도 10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의 사용 전, 조립 또는 드릴링 구성에서, 안전 차폐부(419)는 편향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로도 지칭될 수 있는 로킹 해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암(582, 563)은 각각 측 방향 연장부(572, 573)를 통한 개구와 투관침(414)의 큰 직경의 근위 영역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오목부(417)의 근위에 있는 투관침(414)의 부분은 오목부(41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획정한다. 투관침(414)의 이러한 부분은 큰 개구(574) 내에 끼워지지만, 너무 커서 작은 개구(575) 내에 수용될 수 없다.
안전 차폐부(419)가 이러한 개방 또는 로킹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아암(582, 563)의 외측으로 편향된 구성 때문에, 안전 차폐부(419)의 연결 인터페이스(578, 577)(즉, 각각의 아암의 외향 돌출부(578, 579))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의 연결 인터페이스(497) 내에서(즉, 그루부(498) 내에서) 유지된다. 연결 인터페이스(576, 577)와 연결 인터페이스(497) 사이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안전 차폐부(419)를 절단 조립체 허브(422)와의 결합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특히, 안전 차폐부(419)는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길이방향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안전 차폐부(419)가 투관침(414)에 대해 로킹 해제 상태에 있을지라도, 안전 차폐부(419)는 동시에 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대해 결합되거나, 고정되거나, 로킹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구성으로 있다.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가 다음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뼈의 피질을 통한 접근 채널을 드릴링하도록 사용된 후에, 투관침 조립체(410)는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이로부터 멀어지게 근위로 빼내지거나, 또는 당겨질 수 있지만, 절단 조립체(420)는 환자의 뼈에 박힌 채로 남아 있다. 투관침 조립체(410)가 절단 조립체(420)에 대해 근위로 이동됨에 따라서, 투관침(414)의 큰 직경의 근위 부분은 안전 차폐부(419)를 로킹 해제 상태(투관침(414)에 대해) 및 결합된 상태(절단 조립체 허브(422)에 대해)에서 유지한다.
결국, 투관침(414)은 측 방향 연장부(572, 573)의 영역 내로 오목부(417)를 가져오기에 충분한 양만큼 근위로 빼내진다. 도 10d 및 도 12를 참조하면, 투관침(414)은 오목부(417)의 영역에서 감소된 직경을 획정한다. 따라서, 투관침(414)의 감소된 직경 영역은 각각의 측 방향 연장부(572, 573)에 의해 획정된 작은 개구(575)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특히, 투관침(414)의 감소된 직경 영역이 측 방향 연장부(572, 573)의 개구 내에 위치됨에 따라서, 아암(562, 563)은 작은 개구(575)를 오목부(417) 내로 가압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편향 하에서 내측으로 뛰어오를 수 있다. 작은 개구(575)를 획정하는 측 방향 연장부(572, 573)의 좁아지는 영역은 각각 투관침(414)에 대한 차폐부(419)의 근위 및 원위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부(417)의 근위 면(proximal face) 및 원위 면(distal face)을 간섭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폐부(419)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관침(414)의 원위 팁(416)과의 부주의한 접촉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41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추출 조립체(440)는 절단 조립체(4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추출 캐뉼라(444)는 절단 캐뉼라(424) 내로 원위로 전진될 수 있고, 추출 조립체 허브(442)는 절단 조립체 허브(420)와 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추출 조립체(440)는 추출 캐뉼라(444)에 결합된 정지부 또는 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스토퍼(600)는 임의의 적합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외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스토퍼(600)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을 포함한다. 스토퍼(600)는, 바디(475)에 의해 획정된 채널(602)의 외경을 초과하여 채널(602)을 통과하지 못하는 외경을 획정한다. 달리 말하면, 스토퍼(600)는 바디(475)에 대한 추출 캐뉼라(444)의 근위 이동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소켓(492)을 획정하는 바디(475)의 내부 표면과 접속(예를 들어, 간섭)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추에이터(449)는 바디(475)에 대한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이동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특히, 액추에이터(449)는 추출 캐뉼라(444)가 원위 방향으로 바디(475)에 대해 얼마나 멀리 이동할 수 있는지를 제한하도록 캡(476)의 외부 표면과 접속(예를 들어,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 캐뉼라(444)는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결합되어, 이에 대한 회전 자유도 및 이에 대해 제한된 병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444)는 추출 캐뉼라(444)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도(예를 들어, 제한되지 않은 회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는데 반하여, 길이방향으로의 추출 캐뉼라(444)의 병진 자유도는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길이방향 축은 추출 캐뉼라(444)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축은 추출 캐뉼라(444) 전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추출 캐뉼라(444)가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대해 가장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449)의 접촉 표면 또는 접촉 표면들은 거리(L4)만큼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움직임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캡(476)의 하나 이상의 접촉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액추에이터(449) 및 정지부(600)는 최대 길이방향 거리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추출 조립체 허브(442)와 협력할 수 있으며, 추출 캐뉼라(444)는 최대 길이방향 거리를 통해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대해 거리(L4)까지 이동할 수 있다.
코어링 이벤트 동안, 추출 캐뉼라(444)는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골수 내로 윈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뼈의 골수로부터 근위로 향하는 힘으로 인하여 도 13에 도시된 근위로 이동되거나 후퇴된 배향을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다. 도 16과 관련하여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449)의 원위 작동 전에 근위로 이동되거나 후퇴된 배향으로 추출 캐뉼라(444)를 유지하기 위해 편향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팁(446)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사용 전 상태에 있을 때 또는 골수 내로 드릴링하기 전에 거리(L5)만큼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에 대해 오목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면, 그리고 추가로 도 15e를 참조하면, 사용의 추후 단계에서, 액추에이터(419)는 허브(422)를 향해, 그리고 허브와의 접촉으로(특히, 캡(476)과 접촉으로) 아래로 눌려질 수 있어, 거리(L6)만큼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을 지나쳐서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팁(446)이 원위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L4)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거리(L5 + L6)만큼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거리(L6)는 약 0.3, 0.4, 0.5, 0.6, 0.7 또는 0.8㎜ 이하일 수 있다.
추출 캐뉼라(444)는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추출 캐뉼라(144)의 회전 자유도와 유사하게, 추출 캐뉼라(444)의 회전 자유도는 추출 캐뉼라(444)가 뼈의 골수에 대해 회전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반면에, 추출 조립체 허브(442) 및 절단 조립체(420)는 골수의 수동 코어링 동안 함께 함께 회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지부(600)의 상부 푠면은 회전 동안 소켓(492)의 상부 단부에서 허브(442)의 내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허브(442) 및/또는 정지부(600)는 적어도 접촉 영역에서 그 위에 배치된 마찰 감소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마찰 감소 코팅 또는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Delrin®은 마찰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허브(422, 442)를 함께 로킹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로킹 칼라(458)를 포함한다. 로킹 칼라(458)는 로킹 해제된 또는 후퇴 위치와 로킹된 또는 전개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 해제된 위치는 허브(442)의 부착 아암(443)의 근위 단부에 있거나 그 위에 있으며, 그러므로, 로킹 칼라(458)는 아암(443)의 굴곡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아암(443)이 허브(422) 위에서 스냅핑하는 것을 허용하여, 허브(422, 442)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아암(443)이 허브(422)에서 스냅핑 분리(snap off)되는 것을 허용하여 허브(422, 442)를 서로 분리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로킹된 위치는 아암(443) 위에 있는, 또는 달리 말하면, 아암(443)을 둘러싸는 위치에 있다. 특히, 로킹 칼라(458)는 로킹된 위치로 원위로 이동됨에 따라서 아암(443) 위에서 전진된다. 로킹 칼라는 허브(422)를 향해 내측으로 아암을 압축하고, 그러므로 아암(443)의 외향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로킹 칼라(458)의 형상은 로킹된 배향으로부터 로킹 해제된 배향으로 전환하는 동안 변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로킹 칼라(458)는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획정하고, 전개된 위치로 전진될 때 보다 타원화된 배향(ovalized orientation)(타원의 각각의 정점에 아암(443)이 있는)으로 변형된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이 고려된다. 변형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탄성 또는 소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형은 칼라(458) 내에서 복원 편향을 발생시키고, 이는 아암(443)에 내향 힘을 제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골생검 시스템(401)은 방금 설명한 시스템(400)뿐만 아니라 드라이버(470)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470)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4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허브(412)의 근위 단부에 있는 드라이버 커넥터 또는 연결 인터페이스(415)(도 9)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드라이버(470)가 고려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드라이버(470)는 뼈 내로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의 전동식 삽입을 달성할 수 있는 전동식 드릴(472)을 포함한다.
이제 시스템(400, 401)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예가 설명된다. 특정 도면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 도면들이 포괄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일부 방법에서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가 제공된다. 이것은 피질 절단 조립체 또는 골수 접근 조립체로도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투관침 조립체(410)는 이전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4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400)의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투관침 조립체(410) 및 절단 조립체(420)는 이러한 구성으로 사전 포장되고 배송되는 것과 같이 이러한 형태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결합된 상태 또는 전동식 드릴링 구성에서 절단 조립체(420) 및 투관침 조립체(410)와의 패키징으로부터 시스템(400)을 제거할 수 있다. 투관침 허브(412)는 이전에 개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드릴(472)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절단 조립체(420)/투관침 조립체(410) 조합은 드릴(472)이 작동됨에 따라서 환자의 뼈(51) 내로 드릴링될 수 있다.
다시 도 15a를 참조하면, 투관침(414) 및 절단 캐뉼라(424)는 함께 회전할 수 있고, 각각 뼈의 골수(52)에 도달하도록 뼈의 피질층(50)을 절단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방법의 단계에서, 투관침(414)의 원위 팁(418)의 일부는 피질층(50)을 통해 골수(52) 내로 통과하는데 반하여, 투관침(414)의 원위 팁(418)의 나머지 및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8)은 피질층(50)을 계속 절단한다.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는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이 뼈의 피질층(50)을 통과할 때까지 뼈(51) 내로 더 깊게 계속 절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절단 팁(426)은 뼈의 골수(52)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15b 참조). 드릴(472)은 피질 드릴링 조립체(402)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되며, 특히, 투관침 허브(412)로부터 분리된다. 투관침 조립체(410)는 피질 절단 조립체(420)가 뼈(51)에서 적소에 남겨짐에 따라서 피질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된다. 다양한 예에서, 드릴(472)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투관침 조립체(410)를 제거하기 전 또는 후에 투관침 허브(4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투관침 조립체(41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추출 조립체(440)는 절단 조립체(420)에 결합되며, 이것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를 형성한다. 이어서,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는 골수(52)의 샘플을 얻기 우해 사용된다.
도 15b는 추출 조립체(440)가 절단 조립체(420)에 결합된 후 및 추출 조립체 허브(442)가 골수(52)를 코어링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직전의 시점을 도시한다. 허브(442)(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들(442)로도 지칭될 수 있는)가 수동 코어링의 목적을 위해 절단 조립체(420)에 결합된 시스템(400)의 이러한 구성은 시스템(400)의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코어링은 추출 조립체 허브(44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골수(52) 내로 원위로 추출 조립체 허브(442)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캡(476) 및/또는 바디(475)(도 13 참조)를 원위로 누르면서, 바디(475) 및/또는 캡(476)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은 일부 예에서 단일 방향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또는 추가의 예에서 양쪽 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방금 설명한 바와 같은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조작은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이 골수(52)를 절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회전되고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절단 팁(426)은 골수(52)를 절단하여 이로부터 샘플(54)을 코어링한다. 샘플(54)은 또한 코어, 시료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샘플(54)의 외경은 절단 팁(426)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5d를 참조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계속해서 회전하고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코어링 팁(436)은 골수(52)로부터 샘플(54)을 계속 코어링한다. 즉, 샘플(54)의 크기가 성장하고,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 내로 근위로 전진된다. 달리 말하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의 원위 전진은 성장하는 샘플(54)을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 내에서 더욱 깊게 위치시킨다. 결국, 샘플(54)은 추출 캐뉼라(444)로 들어가기에 충분한 양만큼 근접하게 전진된다. 특히, 샘플(54)은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단부에서 아암(447, 448) 사이에서 근위로 전진된다. 다시, 샘플(54)의 외경은 추출 캐뉼라(444)의 적어도 원위 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더 큰 절단 팁(426)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샘플(54)과 추출 캐뉼라(444)의 내벽 사이의 접촉은 골수(52)에 대해 추출 캐뉼라(444)를 회전적으로 고정하기에 충분한 결합 또는 마찰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추출 캐뉼라(444)가 코어링 캐뉼라(424)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중지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추출 캐뉼라(444)는 샘플(54)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반면에,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의 나머지는 추가 코어링을 위해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추출 캐뉼라(444)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의 나머지에 대해(예를 들어, 절단 캐뉼라(424) 및 추출 조립체 허브(442)에 대해) 회전 자유도를 가지기 때문에, 추출 캐뉼라(444)는 샘플(54)과 결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은 샘플(54)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더욱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샘플(54)은 추출 캐뉼라(444) 내로 더욱 깊이(예를 들어, 더욱 근위로) 전진(예를 들어,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의 근위 전진은 샘플 직경(54)과 추출 캐뉼라(444)의 내경의 대략적인 크기 일치로 인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결국, 원하는 크기의 샘플(54)이 달성되고, 드릴링이 중단된다.
도 15e를 참조하면, 샘플(54)이 원하는 크기에 도달되면, 사용자는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팁(446)을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 너머로 전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449)(도 9 및 13 참조)를 원위로 누를 수 있다. 즉, 추출 캐뉼라(444)가 절단 캐뉼라(424)에 대해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추출 캐뉼라(변형 가능한 아암(447, 448)을 포함하는)의 원위 팁은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에 의해 획정된 좁아지거나 수축된 개구를 통해 전진된다. 좁아지거나 수축된 배열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추출 캐뉼라(44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의 특성에 대응한다.
아암(447, 448)은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을 지나쳐서 전진함에 따라서 내측으로 약간 편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아암(447, 448)의 내향 편향은 일부 실시형태에 대해 도 15e에 도시된 묘사에서 과장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든, 아암(447, 448)은 샘플(54)을 내측으로 누르고, 이에 의해 샘플(54)에 대한 파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원위 팁(426)의 후프 강도(hoop strength)로부터 기인할 수 있는, 아암(447, 448) 상에서의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팁(426)의 내향 반응성 압축력은 절단 캐뉼라(424)에 대해 원위로 전진된 위치에서 추출 캐뉼라(444)를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다른 또는 추가의 예에서,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내향 힘은 절단 캐뉼라(444)에 대한 추출 캐뉼라(444)의 회전 동안과 같이 샘플(54)에 대한 아암(447, 448)의 파지 구성을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아암(447, 448)이 원위로 전진된 상태에 있고 샘플(54)에 대한 향상된 파지를 달성하였으면,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또는 전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절단 캐뉼라(424) 및 절단 캐뉼라(424)를 둘러싸는 골수(52)의 바디에 대한 추출 캐뉼라(444)의 회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암(447, 448)은 이러한 회전 동안 내측으로 편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러므로 샘플(54)에 대한 그 파지를 유지할 수 있다. 추출 캐뉼라(444)의 이러한 회전은 골수(52)의 바디로부터 샘플(54)을 떼어내거나 그렇지 않으면 절단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추출 조립체 허브(442)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회전 동안 액추에이터(449)를 계속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액추에이터(449)와 캡(476) 사이의 마찰 결합을 달성하도록 충분한 힘으로 캡(476)에 액추에이터(449)를 접촉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449)를 아래로 누를 수 있으며, 이는 액추에이터(449),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추출 튜브(444), 및 캡(476)이 함께 회전되게 한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449)를 계속 아래로 누르면서 바디(475)에 대해 캡(47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449)를 계속 아래로 누르면서 캡(476)과 바디(475) 모두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도 15e에 도시된 연장된 또는 전개된 배향으로 추출 튜브(444)를 유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449)를 계속 아래로 누를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원위 팁(426)과 샘플(54) 사이에서 아암(447, 448)의 원위 부분의 샌드위치로 인해, 절단 튜브(424)의 원위 팁(426)으로부터 내향 반응력 및 샘플(54)로부터의 외향 힘은 추출 튜브(444)의 원위 후퇴를 방지하도록 충분히 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사용자는 골수(52)의 이웃하는 영역으로부터 샘플(54)을 떼어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절단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예를 들어 캡(476)의 회전 및/또는 바디(475)의 회전 동안 액추에이터(449)를 계속 누를 필요가 없다.
다른 배열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449)는 연장된 또는 전개된 배향으로 추출 튜브(444)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449)는 캡(476)에 매우 근접하게 눌려질 때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한 래치를 통해) 캡(476)과 결합될 수 있고, 그 눌려진 배향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로킹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다른 또는 추가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449)는 후퇴된 위치에서 로킹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449)와 캡(476) 사이에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고 캡(476)에 대해 스페이서(449)와 추출 튜브(4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와 같은, 추출 튜브(444)의 근위 단부에 있는 로킹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f를 참조하면, 절단 조립체(420) 및 추출 조립체(440)는 환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로킹 칼라(458)를 그 근위 후퇴 위치로 당기는 것에 의해 로킹 해제되고, 따라서 추출 조립체(440)가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예에서, 로킹 메커니즘(456)은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가 여전히 환자의 뼈 내에 위치된 동안 로킹 해제되며, 추출 조립체(440)는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되고, 그런 다음, 절단 조립체(420)는 환자로부터 제거된다. 다른 예에서, 전체 코어링 및 추출 조립체(404)는 환자로부터 제거되고, 이어서, 로킹 메커니즘(456)이 로킹 해제되고, 추출 조립체(440)는 그런 다음 절단 조립체(420)로부터 제거된다.
추출 조립체(440)가 제거되면, 푸시 로드(460)는 추출 조립체(440)의 근위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원위로 전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 로드(460)는 루멘 또는 채널(445)의 근위 단부 내로 삽입되고, 추출 캐뉼라(444)를 통해 전진되며, 샘플(54)의 근위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푸시 로드(460)는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단부를 통해 또는 그 외부로 샘플(54)을 밀어내도록 추가적인 양만큼 전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에는 푸시 로드(460)가 없을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투관침(414)은 대신 추출 캐뉼라(444)를 통해 삽입되어 추출 캐뉼라(444)의 원위 단부를 통해 샘플(54)을 가압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아암(447, 448)은 가요성이거나 또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여서, 아암(447, 448)은 이러한 단계에서 샘플(54)에 느슨한 파지만을 가할 수 있다. 샘플(54)이 아암(447, 448)을 지나쳐서 밀려남에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암(447, 448)은 이에 의해 샘플(54)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확장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아암(447, 448)은 샘플(54)이 아암(447, 448)을 지나쳐서 밀려남에 따라서 자연스럽거나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다. 그러므로, 샘플(54)은 높은 진단율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샘플(54)은 길이가 약 0.5, 1, 1.5 또는 2 cm 이상일 수 있다.
도 16은 예를 들어 추출 조립체(44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조립체(74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추출 조립체(440, 740)는 추출 조립체(740)가 후퇴된 배향으로 추출 튜브(744)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705)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달리 말하면, 편향 부재(705)는 편향이 추출 튜브(740)를 원위로 전진시키기 위해 극복되어야만 하도록 추출 튜브(740)를 후퇴된 배향을 향해 편향시킨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편향 부재(705)는, 그 근위 단부에서 액추에이터(749)와 접속하고 그 원위 단부에서 추출 허브(742)와, 특히 추출 허브(742)의 캡(776)과 접속하는 압축 스프링(707)을 포함한다. 편향 부재(705)는 정지부(700)를 추출 허브(742)의 바디(775)와의 접촉으로 유지한다.
도 17은 골생검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8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골생검 키트(8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키트(8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골생검 시스템(예를 들어, 골생검 시스템(100, 101, 200, 300, 400, 401) 및/또는 그 구성 요소, 또는 그 대안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키트(800)는 골생검 시스템(400)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470)를 포함하는 전술한 골생검 시스템(401)을 포함한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드라이버(470)는 전동식 핸드헬드 드릴(472)이다.
키트(8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지침(direction)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 설명서(8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임의의 골생검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방법 또는 방법 단계는 사용 설명서(802)에서의 지침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키트(800), 특히 그 사용 설명서(802)는 특정 관할권의 규제 기관에 의해 동의받거나 승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800) 및 그 사용 설명서(802)는 미국 식품 의약국의 동의 또는 승인을 받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럽 연합의 CE 마킹의 자격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관할권의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키트(800)는 시스템(401)을 수용하는 패키징(8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용 설명서(802)는 패키징(804) 내에 물리적으로 수용된다. 다른 또는 추가 실시형태에서, 사용 설명서(802)는 패키징(804)에 인쇄된다.
도 18은 많은 점에서 키트(800)와 유사할 수 있는 골생검 키트(9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키트(900)는 키트(800)와 유사한 사용 설명서(902) 및 패키징(904)을 포함한다. 그러나, 키트(900)는 드릴을 포함하는 대신 일회용 골생검 시스템(400)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트는 이미 재사용 가능한 드릴을 소유한 의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투관침 조립체(110, 410) 및 폐색기 조립체(211)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드릴링 인서트 조립체(drilling insert assembly)로서, 또는 인서트 조립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투관침 조립체(110, 410)의 특정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드릴링 인서트 조립체, 구체적으로 그 원위 팁은 드릴링 단계 동안 뼈의 피질층의 절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폐색기 조립체(211)의 특정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드릴링 인서트 조립체의 원위 팁은 드릴링 단계 동안 뼈의 피질층을 절단하지 않는다. 어느 경우에서든, 드릴링 인서트 조립체는 드릴링 단계 동안, 또는 달리 말하면 골생검 시스템이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절단 조립체(120, 4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투관침(114, 414) 및 폐색기(215)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세장형 부재로서 또는 세장형 인서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투관침(114, 414)의 특정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세장형 인서트는 피질 드릴링 조립체(예를 들어, 피질 드릴링 조립체(102, 402))가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절단 튜브(124, 424)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폐색기(215)의 특정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세장형 인서트의 원위 팁은 피질 드릴링 조립체(예를 들어, 피질 드릴링 조립체(202))가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절단 튜브(224)의 원위 팁에 대해 오목화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징부의 임의의 적절한 배열 또는 조합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절단 조립체 또는 그 특징부는 교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시스템은 투관침 및 절단 튜브를 포함하는 절단 조립체에 대해 설명될 수 있지만, 다른 시스템은 대신 폐색기 및 절단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추가 변형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절단 캐뉼라(424)의 절단 팁(426)은 투관침(414)의 절단 표면들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오목화될 수 있어서, 투관침(414)만이 뼈의 피질층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관침(414)의 절단 팁(416)은, 전개 가능하고 후퇴 가능한 절단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 표면은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단부의 통과를 위해 충분히 큰 개구를 절단하도록 높은 프로파일 배열을 취할 수 있다. 절단 캐뉼라(424)가 골수 내로 도입된 후에, 절단 표면은 낮은 프로파일 배향으로 후퇴될 수 있으며, 투관침(414)은 제거될 수 있다. 그 후, 절단 캐뉼라(424)는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골수를 코어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예에서, 절단 캐뉼라(424)는 골수를 절단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140, 440)의 원위 단부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의 파지 아암(147, 148, 447, 448)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추출 캐뉼라(140, 440)는 3, 4, 5, 6, 7 또는 8개 이상의 파지 아암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출 튜브(444)의 원위 팁(446)(예를 들어, 파지 아암(447, 448)의 원위 단부)은 추출 캐뉼라(444)가 원위로 전진될 때 절단 조립체(420) 외부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원위 팁(446)은 절단 캐뉼라(424)의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절단 캐뉼라(424)의 원위 단부는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파지 아암(447, 448)이 내측으로 압축되게 하도록 여전히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예를 들어, 제한부, 수축부, 경사로(ramp) 또는 모따기면에서).
도 19는 다양한 점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골생검 시스템과 유사한 골생검 시스템(1000)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1000)의 다양한 특징부는 다른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시스템(1000)은 비교적 빠른 방식으로 뼈의 피질을 통해 절단 캐뉼라를 전진시키기 위해 전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전동식 드릴)가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후, 절단 캐뉼라는 뼈의 보다 연질 부분으로부터, 또는 달리 말하면 해면 영역(cancellous region)(예를 들어, 골수 샘플을 위한)으로부터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수동으로 뼈 내로 더욱 전진될 수 있다.
골생검 시스템(1000)은 많은 점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유사하게 명명되고 도면 부호가 매겨진 구성 요소와 유사할 수 있는 투관침 조립체(1010)(보다 일반적으로 세장형 인서트 조립체로서 지칭될 수 있음), 절단 조립체(1020), 핸들(1074), 추출 조립체(1040) 및 푸시 로드(106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관침 조립체(1010)는 투관침 허브(1012), 투관침(1014), 및 투관침(1014)의 원위 단부에 있는 날카로운 절단 팁(1016)을 포함한다. 다른 투관침 조립체와 같이, 투관침 허브(1012)는 전동식 드릴과 같은 전동식 드라이버에 투관침 조립체(1010)를 결합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연결 인터페이스(10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1015)는 이전에 개시된 임의의 드릴(172, 372, 472)과 같은 드릴의 상보적 형상의 소켓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돌출 육각형 포스트를 포함한다. 포스트/소켓 배열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연결 인터페이스가 고려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별도의 수동식 드라이버, 도시되지 않음)는 피질을 통과하는데 약간의 노력이 필요한 예에서와 같이 전동식 드라이버 대신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전동식 드릴의 소켓과 유사한 소켓을 포함하는 별도의 수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핸들(1074))는 수동식 드릴링을 달성하기 위해 커플링 인터페이스(1015)에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절단 조립체는 절단 캐뉼라 허브(1022), 절단 캐뉼라(1024), 및 절단 캐뉼라(102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원위 절단 팁(1026)을 포함한다. 추출 조립체(1040)는 추출 허브(1042), 추출 캐뉼라(1044), 및 추출 캐뉼라(104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추출 팁(1046)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추출 팁(1046)은 코어링된 샘플을 파지할 수 있는 복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파지 아암(1047, 10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추출 허브(1042)는 가로로 연장되거나 또는 T-자 형상인 핸들(1043)을 더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시스템(10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투관침 허브(1012)는 허브(1012, 1022) 사이의 병진 움직임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절단 캐뉼라 허브(1022)에 투관침 허브(101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108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1083)는 한 쌍의 탄성 아암(1084)을 포함하며, 탄성 아암의 각각은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절단 조립체 허브(1022)에 스냅핑되도록 구성된다.
도 20b는 투관침 허브(1012)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투관침 허브(1012)는 절단 캐뉼라 허브(1022)의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와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1081)를 획정한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의 연결 인터페이스(1081)는 소켓(1082)이다. 소켓(1082)은 절단 캐뉼라 허브(1022)가 오직 하나의 고유한 회전 또는 각도 배향으로 투관침 허브(1012)에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키형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소켓(1082)은 한쪽 측부로부터 돌출된 오목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영역을 획정한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키형 구성이 고려된다.
투관침 허브(1012)는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스플라인 인서트 또는 스플라인 요소(1087)를 수용하기 위한 스플라인 캐비티(1085)를 추가로 획정한다. 스플라인 요소(1087)는 투관침(1014)의 근위 단부가 그 안에 수용되는 투관침 캐비티(1088)를 획정한다. 스플라인 요소(1087)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접착제를 통해) 투관침(1014)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스플라인 요소(1087)는 투관침 허브(1012)의 스플라인 캐비티(1085) 내로 수용되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스플라인 캐비티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플라인 요소(1087)는 전동식 드릴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운동을 투관침 허브(1012)로부터 투관침(1014)로 전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플라인 요소(1087)는 투관침 허브(1012)와 투관침(1014) 사이의 고정된 회전 배향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스플라인 배열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플라인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2는 전동식 드라이버와의 투관침 허브(101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성 부재(1099)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자성 부재(1099)는 커플링 인터페이스(1015)의 상부 단부에 있는 상보적인 오목부 내에 수용되고 이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도 20a 참조). 자성 부재(1099)는 전동식 드라이버 내의 다른 자성 부재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자성 부재(1099)는 강자성 강(예를 들어, 400 시리즈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강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전동식 드라이버의 소켓은 그 자체가 자화되거나, 또는 자성 부재(1099)를 끌어당기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자성 부재(1099)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소켓은 자석을 끌어당기는 강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투관침(1014)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절단 팁(1016)의 정면도이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 팁(1016)은 한 지점에 도달하는 3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싯(facet)을 포함한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절단 배열이 고려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투관침(1014)은 보다 일반적으로 세장형 인서트 또는 연장된 요소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많은 점에서 위에서 논의된 절단 캐뉼라 허브(422)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투관침 허브(1012)의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1081)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1095)를 포함한다. 특히, 연결 인터페이스(1095)는 투관침 허브(1012)의 소켓(1082)에 상보적인 키형 포스트(1096)를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회전 연결 인터페이스(1081)의 베이스에서 측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절두 원추형 칼라 또는 돌출부(1104)를 포함하는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1102)를 더 포함한다. 투관침 허브(1012)의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1083)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절단 캐뉼라 허브(1022)의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1102)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투관침 허브(1012)의 탄성 아암(1084)은 돌출부(1104) 위에서 스냅핑되고 그 원위 표면과 결합된다. 스냅핑 배열이 탄성 아암(1084)과 돌출부(1104) 사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유사한 세트의 탄성 아암과 연결 인터페이스(1102) 사이의 유사한 상호 작용이 도 34c에 도시되어 있다.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연결 인터페이스(1083)의 베이스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측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손가락 받침대(finger rest) 또는 날개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날개부(1110)는 샘플이 수집된 후에 뼈로부터 절단 캐뉼라 허브(1022)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날개부(1110)는 의사의 적어도 한 손가락이 그 밑면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양만큼 절단 캐뉼라(102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사는 각각의 날개부(1110)의 밑면, 즉 절단 캐뉼라(1024)의 양쪽 측면에 적어도 한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뼈로부터 절단 캐뉼라(1024)를 제거하도록 근위로 당겨질 수 있다.
예시된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스플라인 요소(1116)를 수용할 수 있는 스플라인 캐비티(1114)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다른 스플라인 배열과 같이, 스플라인 요소(1116)는 절단 캐뉼라 허브(1022)와 절단 캐뉼라(1024) 사이에서 고정된 회전 배향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4a를 추가로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절단 캐뉼라 허브(1022)는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루어 피팅(Luer fitting)(1122)을 포함하는 의료용 커넥터(1120)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의료 디바이스는 절단 캐뉼라(1024)가 그 내부 내로 도입된 후에 뼈 내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도록 의료용 커넥터(1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루어 피팅(1122)은 키형 포스트(1096)로부터 근위로 연장된다.
도 26a 및 도 26b는 절단 캐뉼라(1024)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원위 단부는 절단 캐뉼라(1024)의 내경을 감소시키는 수축부(1025)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수축부(1025)는 1차 외부 캐뉼라(1128)의 내부 표면에 스폿 용접된 짧은 길이의 내부 캐뉼라(1126)를 포함한다. 내부 캐뉼라(1126)는 그 상부 단부에 있는 각진 표면, 편향 표면, 경사로 또는 모따기면(1130)울 포함한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따기면(1130)은 추출 조립체(1040)의 원위 단부에 있는 탄성 아암(1047, 1048)과 상호 작용하여, 코어링된 샘플을 파지하도록 아암(1047, 1048)을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절단 캐뉼라(1024)가 뼈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결과적인 코어링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1024)의 루멘(1132) 내에서 근위로 전진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추출 조립체(1040)는 샘플을 둘러싸기 위해 절단 캐뉼라(1024)를 통해 원위로 전진될 수 있고, 모따기면(1130)의 각진 표면은 탄성 아암(1047, 1048)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코어링된 샘플을 파지하고 보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따기면(1130)은 유리하게 추출 조립체(1040)와 협력하여, 코어링된 샘플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코어링된 샘플을 자유롭게 떼어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코어링된 샘플은 샘플이 내부 캐뉼라(1126)의 상부 단부를 지나쳐서 근위로 루멘(1132) 내로 전진함에 따라서 적어도 어느 정도 측 방향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확장된다. 확장은 추가의 예에서 모따기면(1130)이 루멘 내에 샘플을 독립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캐뉼라(1024)는 샘플을 떼어내기 위해 회전될 수 있으며, 그 후 샘플은 샘플의 원위 단부와 모따기면(113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절단 캐뉼라(1024)에서 보유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샘플은 추출 조립체(1040)를 사용하지 않고 절단 캐뉼라(1024) 내에서 보유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예에서, 코어링된 샘플은 도 37에 도시된 시스템(1300)에 대해 다음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절단 캐뉼라(102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원위 절단 팁(1026)은 뼈 내로의 드릴링을 용이하게 하는 날카로운 가장자리 및 포인트를 생성하는 패싯(1027)들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는 다른 수 및 배열이 고려될지라도 6개의 패싯(1027)을 포함한다. 패싯(1027)은 내부 및 외부 캐뉼라(1126, 1128) 모두의 원위 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핸들(1074)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핸들(1074)은 절단 캐뉼라 허브(1022)에 결합되고 절단 캐뉼라 허브에 대한 병진(즉, 원위 방향으로) 및 회전 움직임 모두를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움직임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모두일 수 있다.
핸들(1074)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구성을 획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한 손으로 용이한 조작을 위해 인체 공학적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핸들(1074)은 그 회전축에 대해 측 방향으로 상당히 길게 된다. 핸들(1074)은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을 획정한다. 핸들(1074)은 함께 합쳐진 2개의 개별 성형 부품으로 형성된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 및 제조 방법이 고려된다.
핸들(1074)은 투관침 허브(1012)의 유사한 명칭의 커플링 인터페이스(1081, 1083)와 유사한 회전 커플링 인터페이스(1140) 및 병진 커플링 인터페이스(1142)를 포함한다. 특히, 회전 커플링 인터페이스(1140)는 키형 소켓(1141)을 포함하고, 병진 커플링 인터페이스(1142)는 한 쌍의 탄성 아암(1143)을 포함한다.
핸들(1074)은 추출 허브(1042)와 선택적으로 단단히 부착되기 위한 임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커플링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핸들(1074)은 한 쌍의 디봇(divot)(1145) 및 한 쌍의 내향 돌출부(1147)를 포함한다. 디봇(1145)은 핸들(1174)의 상부 표면에 대해 오목화된다. 돌출부(1147)는 핸들(1174)의 상부 단부에 있는 캐비티의 양쪽 측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추출 허브(1042)는 추출 허브(1042)의 임시 부착 메커니즘과 상보적인 임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특히, 추출 허브(1042)의 핸들(1043)은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회전 및 길이방향 정렬을 달성할 때 핸들(1074)의 디봇(1145)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그 밑면에 있는 한 쌍의 멈춤쇠(1161)를 포함한다. 추출 허브(1042)는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정반대인 돌출부(1165)를 가지는 핸들의 상부 캐비티 내에 끼워지는 크기의 원위로 연장되는 포스트(1163)를 더 포함한다. 외향 돌출부(1165)는 추출 허브(1042)의 핸들(1043) 부분이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74)과 정렬되도록 회전될 때 핸들(1074)의 내향 돌출부(1147) 아래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추출 허브(1042)는 스플라인 요소(1170)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스플라인 캐비티(116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인 요소(1170)는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0은 추출 캐뉼라(1044)의 원위 단부(1046)를 도시한다. 탄성 아암(1047, 1048)은 예를 들어 아암(147, 148)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제 골생검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예가 도 31a 내지 도 35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31a 내지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골생검 처치는 조립된 상태에 있는 투관침 조립체(1010) 및 절단 조립체(1020)로 시작된다. 조립체(1010, 1020)는 사전 조립된 상태(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에서 사전 패키징될 수 있음)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처치에 있어서 초기 단계에서 조립체들을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관침 조립체(1010)와 절단 조립체(1020)를 결합시키는 것은 골생검 시스템(1000)을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배치하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어서, 투관침 허브(1012)는 드라이버에 결합된다. 많은 예에서, 드라이버는 전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드릴)이다. 전동식 드라이버는 작동되거나 동력이 공급되고, 사용자는 뼈 내로 원위로 시스템을 가압한다. 투관침 및 절단 캐뉼라의 원위 단부는 뼈의 피질층을 통해 드릴링한다.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이 피질층을 통과하였으면, 작업자는 전동식 드라이버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드릴링이 용이하게 될 때 뼈의 내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절단 캐뉼라(1022)가 뼈에 박힌 채로 절단 조립체(1020)를 적소에 두는 동안, 투관침 조립체(1010)는 절단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업자가 절단 조립체로부터 근위로 투관침 조립체를 당기는 동안 적절한 방식으로 절단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다. 투관침 허브(1012)(도 20a 참조)의 탄성 아암 또는 포획부(1084)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절단 캐뉼라 허브(1022)로부터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는 투관침 조립체(1010)가 빼내진 후의 절단 조립체(1020)를 도시한다. 의료용 커넥터(1120)(예를 들어, 루어 피팅(1122))는 이러한 구성에서 접근 가능하다. 원하는 경우, 임의의 적절한 의료 디바이스는 절단 캐뉼라(1024)를 통한 흡입을 위하여 의료용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흡입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장 튜브가 커넥터(1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를 참조하면, 핸들(1074)은 절단 조립체(10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1000)의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074)을 누르면서 절단 캐뉼라(1024)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핸들(1074)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회전은 양쪽 방향(즉,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뼈 내로 원하는 깊이까지 절단 캐뉼라(1024)를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절단 캐뉼라(1024)는 절단 캐뉼라(1024)가 전진된 깊이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깊이 마킹을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1024)의 절단 작용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뼈의 내부로부터 샘플을 코어링한다. 코어링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1024)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절단 캐뉼라(1024)의 루멘 내로 근위로 전진한다. 일부 예에서, 코어링된 샘플은 모따기면(1130)을 지나쳐서 근위로 보내짐에 따라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도 26b 참조).
도 34a 내지 도 34d를 참조하면, 추출 조립체(1040)는 코어링된 샘플을 회수하기 위해 절단 조립체(10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캐뉼라(1024)의 내부 모따기면(1130)은 탄성 아암(1047, 1048)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샘플을 파지할 수 있다(또한 도 5e 참조).
일부 실시형태에서, 추출기 허브(1042)의 핸들 부분(1043)은 핸들(1074)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아래로 밀려나, 도 34d에 도시된 양만큼 아암(1047, 1048)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배향에서, 아암(1047, 1048)은 샘플에 대한 양호한 파지를 가질 수 있다. 초기에 핸들(1074)의 상부 캐비티 내로 추출기 조립체(1040)의 포스트(1163)를 완전히 안착시키기 위해, 포스트로부터의 외향 돌출부(1165)는 핸들(1074)의 내향 돌출부(1147)에 대해 오정렬되어야만 한다. 일부 예에서, 포스트(1163)가 이러한 방식으로 바닥을 벗어났으면, 추출기 허브(1042)의 핸들 부분(1043)은 멈춤쇠(1161)와 디봇(1145)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요소를 함께 고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핸들(1074)에 대해 회전된다. 일부 예에서, 핸들(1043, 1074) 사이의 고정된 연결이 바람직할 수 있거나, 또는 추출기 조립체와 절단 조립체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아암(1047, 1048)이 도 34d에 도시된 수축된 배향으로 있는 동안 절단 조립체(1020)에 대해 로킹된 배향으로 추출기 조립체(1040)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아암에 의해 파지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102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아암(1047, 1048)은 추출기 조립체(1040)가 로킹된 배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샘플이 이로부터 코어링되는 해면 뼈 구조에 대해 포획된 샘플을 회전시킨다. 일부 예에서, 이것은 나머지 뼈 구조로부터 코어 샘플을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핸들(1043, 1074)의 로킹 배열은 사용자가 파지된 코어링된 샘플을 비틀고 이것이 부착된 나머지 뼈 구조로부터 이를 떼어내게 하도록 조장할 수 있다. 이것은 코어링된 샘플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1043, 1074)이 함께 로킹되면, 사용자는 핸들(1043)(예를 들어, 핸들(1043)에 손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는), 핸들(1074)(예를 들어, 핸들(1074) 주위를 손가락이 감쌀 수 있음), 및 날개부(1110)(예를 들어, 날개부(1110)의 밑면 주위를 손가락으로 감쌀 수 있음)파지하고, 위로 당겨서 환자로부터 시스템을 빼낼 수 있다. 사용자는 시스템의 길이방향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시스템을 비틀면서 근위로 당겨 제거를 도울 수 있다. 절단 조립체(1020) 및 추출 조립체(1040)는 이러한 방식으로 함께 제거된 후 로킹된 배향으로부터 핸들(1043, 1074)을 다시 비틀고 절단 조립체(1020)로부터 추출 조립체(1040)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절단 조립체(1020)를 환자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절단 조립체(1020)로부터 추출 조립체(1040)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핸들(1043)을 비트는 것에 의해 핸들(1074)로부터 핸들(1043)을 로킹 해제할 수 있고, 이어서, 절단 조립체(1020)로부터 추출 조립체(1040)를 빼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손바닥으로) 핸들(1074) 및 (예를 들어, 날개부(1110) 아래에 2개 이상의 손가락을 감싸는 것에 의해) 날개부(1110)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환자로부터 절단 조립체(102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5는 추출 조립체(1040)가 절단 조립체(10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예시적인 방법의 추후 단계를 도시한다. 추출 캐뉼라(1044)로부터 코어링된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푸시 로드(1060)는 추출 캐뉼라(1044)의 원위 단부 밖으로 샘플을 밀어내기 위해 핸들(1043)에 의해 획정된 채널 및 추출 캐뉼라(1044)에 의해 획정된 루멘을 통해 원위로 전진된다.
도 36은 전동식 드라이버(172) 및 골생검 시스템(1000)을 포함하는 키트(1200)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키트(12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 설명서(1202)를 더 포함한다. 사용 설명서(1202)는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는 것에 대한 것과 같은 사용 설명서(802, 902)와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동식 드라이버(172)는 키트로부터 생략된다. 더 많거나 적은 물품이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시스템(100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고, 사용 설명서(1202)는 그 시스템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후에 개시된 임의의 시스템은 마찬가지로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명서는 그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프로세스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도 37은 많은 점에서 골생검 시스템(1000)과 유사한 골생검 시스템(1300)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그러나, 골생검 시스템(1300)은 시스템(1300)이 추출 조립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골생검 시스템(1000)과 다르다. 대신,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는 절단 캐뉼라(1324) 내에 코어링된 샘플을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코어링된 샘플은 푸시 로드(1360)를 경유하여 절단 캐뉼라(1324)를 통해 근위로 샘플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300)은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를 통해 푸시 로드(1360)의 팁을 전진시키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가이드(1307)를 포함한다.
도 38은 도 26b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다. 내부 캐뉼라(1426)의 근위 단부, 근위 표면 또는 상부 표면(1431)은 모따기보다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다. 예를 들어, 내부 캐뉼라(1426)의 상부 표면(1431)은 약 70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에 있는, 절단 캐뉼라(1324)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각도를 획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각도는 실질적으로 90°이다.
코어링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1324) 내로 근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내부 캐뉼라(1426)의 상부 표면(1431)을 지나쳐서 이동할 때 약간 확장될 수 있다. 절단 캐뉼라(1324)가 뼈로부터 제거됨에 따라서, 샘플은 상부 표면(1431)에서 포획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절단 캐뉼라(1324)에 잔류한다.
가이드(1307)는 양쪽 단부에 있는 깔때기, 및 그 중앙에서 좁아지는 내부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 내로 푸시 로드(1360)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배열이 고려된다. 가이드는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로부터의 부주의한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1307)의 작동은 전술한 설명 및 도 40a 및 도 40b로부터 명백하다.
시스템(1300)의 사용은 작동의 많은 단계에 대하여 시스템(1000)에 대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코어링된 샘플을 회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추출 조립체를 절단 캐뉼라(1324) 내로 삽입하는 대신, 절단 캐뉼라(1324)는 대신 남아 있는 뼈 물질로부터 코어링된 샘플을 분리하도록 조작(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또는 뼈 내로의 진입 구멍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그 안에 코어링된 샘플이 있는 절단 캐뉼라(1324)는 환자로부터 제거되고, 가이드(1307)는 절단 캐뉼라(1324)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고, 이어서, 푸시 로드(1360)는 절단 캐뉼라(1324)의 밖으로 샘플을 가압하기 위해 가이드(1307)를 통해, 그리고 절단 캐뉼라(1324)를 통해 근위 방향으로 전진된다.
도 41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골생검 시스템의 특정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절단 캐뉼라(1524)의 다른 실시형태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절단 캐뉼라(1524)는 더욱 근위 영역에서보다 원위 단부에서 더 좁다. 달리 말하면, 외경이 원위 방향으로 감소하는 원위 단부에 각진 단차부(1601)가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을 돕기 위해, 세레이션 또는 절단 세로 홈(1603)이 절단 캐뉼라(1603) 주위에 위치된다.
도 41b를 참조하면, 절단 캐뉼라(1524)의 내부는 절단 캐뉼라(1324)의 내부와 유사하고, 내경이 근위 방향으로 확장되는 내부 단차부 또는 융기부(1632)를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1524)는 절단 캐뉼라(1324)와 거의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다. 코어링된 샘플은 절단 캐뉼라(1524)와 함께 확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푸시 로드를 통해 근위 방향으로 밀릴 때까지 그 안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42는 많은 점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골생검 시스템과 유사한 골생검 시스템(1700)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예를 들어, 골생검 시스템(1700)은 시스템(1000)과 유사하다. 시스템(1000)과 마찬가지로, 시스템(1700)은 투관침 조립체(1710), 절단 조립체(1720), 핸들(1774), 추출 조립체(1740), 및 푸시 로드(1760)를 포함한다. 이들 다양한 구성 요소는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 또는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투관침 조립체(1010)와 달리, 투관침 조립체(1710)는 캐뉼라 허브(1722)의 칼라 또는 다른 별도의 특징부 대신에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의료용 커넥터(1820) 부분(도 44c)에 직접 부착되는 투관침 허브(1712)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000)의 제거 가능한 핸들(1074)과는 달리, 도시된 핸들(1774)은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다. 다른 차이점은 또한 다음의 논의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시스템의 특징부와 다른 본 실시형태의 임의의 적절한 특징부는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도 43a 및 도 43b를 참조하면, 투관침 허브(1712)는 전동식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한(및/또는 일부 예에서 다음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수동식 드라이버와 개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1715) 또는 드라이버 커넥터를 포함한다. 연결 인터페이스(1715)는 투관침 허브(1712)의 상부 또는 근위 단부에 있다. 다시,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용어 "투관침"은 예시된 실시형태와 일치하는 편의를 위해 사용되지만, 세장형 인서트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투관침 허브(1712)의 하부 또는 원위 단부는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길이방향으로 및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구성된 연결 인터페이스(1835)를 포함한다. 예시된 연결 인터페이스(1835)는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절단 조립체(1720)의 의료용 커넥터(18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넥터(1830)를 포함한다. 의료용 커넥터(1820)에 대한 상보성으로 인해, 커넥터(1830)는 또한 의료용 커넥터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예시된 의료용 커넥터(1830)는 루어 피팅(1831)을 포함한다.
연결 인터페이스(1835)는 투관침 허브(1712)의 원위 면(18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위 면(1837)은 허브(1712, 1722)의 회전 및 병진 로킹을 돕기 위해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4a 내지 도 44c를 참조하면, 절단 캐뉼라 허브(1722)는 루어 피팅(1821)과 같은 이전에 언급된 의료용 커넥터(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용 커넥터(1820)는 도 45a 및 도 45b에 도시된 스플라인 요소(1842)를 수용할 수 있는 스플라인 캐비티(184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스플라인 요소(1842)는 절단 캐뉼라(1824)가 스플라인 요소(1842) 내에 수용되어 이에 부착될 때 의료용 커넥터(1820)와 절단 캐뉼라(1824) 사이의 유체 연통을 확립하기 위해 그 근위 단부에서 개구를 획정할 수 있다(도 52b 참조). 도 44c를 참조하면, 커플링 인터페이스(1825)는 의료용 커넥터(1820)를 포함할 수 있고,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근위로 향하는 접합 표면(18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4a 내지 도 44c를 참조하면,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외부 표면은 절단 캐뉼라 허브(1722)와 핸들(1774) 사이에 고정된 각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핸들(1774)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회전 로킹 특징부(18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회전 로킹 특징부(1845)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디스크 형상의 측 방향 돌출부 사이에 위치된 오목부(1847)를 포함한다. 오목부(1847)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인 베이스 표면을 포함한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전 로킹 특징부가 고려된다.
절단 캐뉼라 허브(1722)는 핸들(1774)과의 결합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특징부, 예를 들어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 허브(1722)는 핸들(1774)의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그 안으로 돌출될 수 있는 또 다른 오목부(1852)를 획정하는 원위 쌍의 평행한 디스크(1850)를 포함한다.
다시 도 42를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은 복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특히, 핸들(1774)은 도 42에 도시된 수직 이음매에서 합쳐진 2개의 동일한 절반부를 포함한다. 조립된 핸들(1774)은 실질적으로 구근 형상(bulbous)이고, 사용자의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고, 쥐어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조작 가능하거나, 달리 말하면 수동식 드릴링 또는 코어링을 위하여 용이한 조작을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형상화된다.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은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핸들(1774)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실질적으로 구근 형상의 핸들(1774)은 절단 조립체(1720)가 드릴링을 위하여 전동식 드라이버에 결합될 때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에 잘 적합할 수 있다.
도 46a 및 도 46b는 핸들 요소(186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다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2개의 이러한 핸들 요소(1860)는 핸들(1774)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합쳐질 수 있다. 합쳐진 핸들 요소(1860)는 절단 캐뉼라 허브(1722)를 수용하거나 둘러쌀 수 있다. 핸들 요소(1860)는 서로 영구적으로 결합(예를 들어, 접착, 본딩, 용접)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은 모놀리식 단일 구성 요소로서 절단 캐뉼라 허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6a를 참조하면, 핸들 요소(1860)는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회전 로킹 특징부(1845)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회전 로킹 특징부(18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회전 로킹 특징부(1862)는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정사각형 오목부(1847)의 하나의 절반에 상보적인 직사각형 오목부(1864)를 포함한다. 2개의 핸들 요소(1860)가 함께 합쳐질 때, 직사각형 오목부(1864)를 획정하는 표면은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대해 고정된 각도 배향으로 핸들(1774)을 로킹하기 위해 정사각형 오목부(1845)의 정사각형 베이스와 접한다.
핸들 요소(1860)는 허브(1722)와 핸들(1774) 사이의 정렬 및/또는 병진력 전달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요소(1860)는 허브(1722)에 의해 획정되는 근위 및 원위 쌍의 평행한 디스크 사이에 끼워지는 근위 플랫폼(1866) 및 원위 플랫폼(1868)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핸들 요소(1860)는 다른 핸들 요소(1860)의 소켓(1872) 및 포스트(1870)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포스트(1870) 및 한 쌍의 소켓(1872)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핸들 요소(1860)는 각각 다른 핸들 요소(1860)의 주변 오목부(1876) 및 주변 돌출부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한쪽 가장자리를 따르는 주변 돌출부(1874) 및 반대쪽 가장자리를 따르는 주변 오목부(1876)를 포함한다.
도 46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핸들 요소(1860)의 외부 표면은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홈 또는 오목부(188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880)는 오목하게 둥글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오목부(1880)는 핸들(1774)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다음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1880)는 또한 완전 수동 모드에서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핸들 연장부, 핸들 커버, 또는 수동식 드라이버와 결합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1880)는 수동식 드라이버를 핸들(1774)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 요소(1860)는 수동식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노치(188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정 노치(1882)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7a 및 도 47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깊이 게이지(189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는 그 외부 표면에 임의의 적합한 종류의 깊이 마커를 포함한다. 깊이 게이지(1890) 및/또는 깊이 마커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8a 및 도 48b를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형태는 위에서 개시된 유사한 특징부와 일치하는 제한부, 수축부, 편향 영역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테이퍼진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절단 캐뉼라(1724)를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1724)의 측벽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외부 및 내부 표면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내부 표면은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 조립체(1740)의 탄성 포획 아암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테이퍼진 내부 표면은 추출 캐뉼라가 절단 캐뉼라(1724) 내에서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파지 아암을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표면 또는 수축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 및 도 34d와 도 54c를 비교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캐뉼라(1724)의 원위 팁은 3개의 패싯을 포함하여, 3개의 뾰족한 팁을 생성한다. 다른 배열이 또한 고려된다(예를 들어, 도 58 참조).
도 49a 및 도 49b는 도 50에 도시된 스플라인 요소(1892)를 수용할 수 있는 추출 허브(1742)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앞서 논의된 추출 캐뉼라(10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추출 캐뉼라(1744)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2a 내지 도 54c는 시스템(170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다양한 작동 구성을 도시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이들 작동 구성, 및 그 사용과 관련된 방법은 도 31a 내지 도 35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작동 구성 및 방법을 밀접하게 추적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두 세트의 작동 구성 및 관련 방법 스테이지 또는 단계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고정적으로 고정된 핸들(1774)로부터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일부 방법은 이러한 구성 요소가 고정되거나 영구적인 부착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됨에 따라서 핸들을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일부 방법은 절단 캐뉼라 허브(1722)로부터 핸들(1774)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생략한다.
더욱이, 핸들(1774)은 피질 뼈의 초기 드릴링 동안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존재한다. 즉, 도 52a 및 도 52b를 참조하면, 투관침 조립체(1710) 및 절단 조립체(1720)는 사전 조립될 수 있거나 결합된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결합된 상태에서, 투관침 조립체(1710) 및 절단 조립체(1720)는 전동식 드라이버와 같은 드라이버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구성 요소는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뼈의 피질을 통해 드릴링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774)은 전동식 드릴링 동안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인 구성은 비교적 고속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전동식 드릴링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과 같은 다른 특징부가 또한 이러한 목적에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은 상당한 양만큼 절단 조립체(1720)의 중심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측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단 캐뉼라(1724)의 비교적 작은 외경과 비교하여 핸들(1774)의 비교적 큰 외경은 일부 예에서 핸들(1774)을 통해 절단 캐뉼라(1724)에 토크를 부여하기 위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위해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핸들(1774)은 절단 캐뉼라(1724)의 외경의 8, 9, 10, 11 또는 12배 이상 큰 최외측 직경을 획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핸들(1774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평면을 따라서).
도 52b를 참조하면, 투관침 허브(1712)는 커플링 인터페이스(1825, 1835)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절단 캐뉼라 허브(1722)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52b, 도 43b 및 도 44c를 동시에 참조하면, 2개의 루어 피팅(1821, 1831)의 상보적인 나사는 맞물려,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근위로 향하는 접합 표면(1827)과의 접합으로 투관침 허브(1712)의 원위 면(1837)을 전진시키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향하는 접합 표면(1827, 1837)의 간섭은 투관침 허브(1712)로부터 절단 캐뉼라 허브(1722)로의 회전 운동의 전달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더욱이, 루어 피팅(1821, 1831)의 결합 및 접합 표면(1827, 1837)의 맞물림은 투관침 허브(1712)와 절단 캐뉼라 허브(1722)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방향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허브(1712, 1722) 사이의 고정된 각도 관계 및 고정된 길이방향 관계는 절단 캐뉼라 허브(1722)의 회전이 반대될 때 단일 회전 방향(예를 들어,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에서만 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뼈 물질은 절단에 저항하는 반응력을 제공하며, 이는 투관침 허브(1712)가 회전함에 따라서 허브(1712)의 회전을 늦추거나 중지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허브(1712, 1722)가 드릴링 동안 서로에 대해 회전적으로 및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나사형 그립을 조이고 접합 표면(1827, 1837)의 접합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시스템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질을 통한 드릴링이 완료되면, 절단 조립체(17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뼈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투관침 조립체(1710)는 예를 들어 투관침 조립체(17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뼈에 대해 고정된 회전 관계로 절단 조립체(1720)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53은 투관침 조립체(1710)가 절단 조립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절단 조립체(1720)의 사시도이다. 흡입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단계에서 가능하다. 실제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 캐뉼라의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의료용 커넥터(1820)는 노출되어 임의의 적절한 의료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구성은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핸들(1774)은 골수의 샘플을 코어링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 예를 들어 근위로 회전되고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절단 조립체(1720) 및 핸들(1774)은 추출 조립체(1740)를 절단 조립체(1720)에 결합하기 전에 샘플을 코어링하도록 전진된다. 다른 예에서, 추출 조립체(1740)는 수동 코어링 이벤트 전에 절단 조립체(1720)와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추출 캐뉼라의 편향 아암이 절단 캐뉼라의 수축부에 의해 내측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도 54a 내지 도 54c는 추출 조립체(1740)가 절단 조립체(1720)와 결합되는 특정 예시적인 방법에서, 도 53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는 단계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5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캐뉼라(1744)의 원위 전진은 파지 아암(1747, 1748)이 절단 캐뉼라(1724)의 구조(1727)(예를 들어, 원위 테이퍼)의 영향 하에서 내측으로 압축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이전에 논의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코어링된 샘플의 제거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추출 조립체(1740)가 절단 조립체(1720)로부터 제거된 후에, 샘플은 추출 캐뉼라(1744)를 통해 원위로 푸시 로드(1760)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추출 캐뉼라(1744)로부터 가압될 수 있다.
도 55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골생검 시스템(1700)을 포함하지만, 시스템(1900)이 완전 수동 또는 반 수동(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자동화되거나 또는 전동식이고/부분적으로 수동인)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핸들 커버(1902)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1900)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핸들 커버(1902)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핸들 연장부, 연장기, 핸들 부착물, 핸들 구성 요소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커버(1902)는 보다 일반적으로 핸들 또는 드라이버(예를 들어, 수동식 드라이버)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수동식 드라이버(1902)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도 56a 및 도 56b를 참조하면, 수동식 드라이버(1902)는 투관침 조립체(1710)에 적어도 회전 움직임을 부여하기 위한 커플링 특징부 또는 연결 인터페이스(19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커플링 특징부(1904)는, 투관침 조립체(1710)의 결합 포스트(예를 들어, 드라이버 커넥터)에 상보적이며, 그러므로 수동식 드라이버(1902) 및 투관침 조립체(1710)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하도록 구성된 소켓(1906)을 포함한다. 도 56b 및 도 5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906)은 투관침 허브(1712)의 근위 표면(예를 들어, 근위 어깨부)과 접촉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원위로 연장될 수 있어서, 수동식 드라이버(1902)는 투관침 조립체(1710)에 병진(예를 들어, 원위) 운동을 추가로 직접 부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6a 및 도 56b를 참조하면, 수동식 드라이버(1902)는 핸들(1774)의 오목부, 즉, 길이방향 세로 홈(1880) 내에 안착되기 위해 그 내부 표면에서 볼록하게 둥글게 될 수 있는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또는 핑거(1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6b, 도 57a, 도 57b 참조). 핑거(1910)는 또한 내향 돌출부(1910)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수동식 드라이버(1702)를 핸들(1774)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동식 드라이버(1902)는 예를 들어, 핸들(1774)로부터의 수동식 드라이버(1902)의 부주의한 근위 제거를 방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와 같이, 수동식 드라이버(1902)를 핸들(1774)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19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은 수동식 드라이버(1902)를 선택적으로 핸들(1774)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연결은 수동식 드라이버(1902)를 핸들(1774)에 회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1920)는 핸들(1774)의 고정 노치(1882) 내에 안착되는 2개의 대향하는 내향 돌출 포획부(1922)를 포함한다(도 57b 참조). 수동식 드라이버(1902)는 핸들(1774)에 선택적으로 클립핑된다고 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연결 시스템(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시스템)이 고려된다.
도 57a 및 도 57b는 이전에 개시된 방식으로 투관침 조립체(1710) 및 절단 조립체(1720)와 결합된 수동식 드라이버(1902)를 도시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투관침 조립체(1710) 및 절단 조립체(1720)가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때, 이들은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수동식 드라이버(1902)의 존재로 인해, 시스템은 대신 완전 수동식 드릴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7a 및 도 57b에 도시된 구성은 수동식 드릴링 구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1900)은 도 57a 및 도 5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구성 요소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전동식 드릴링이 피질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정도까지, 수동식 드라이버(1902)가 먼저 제거되고, 이에 의해 전동식 드라이버(예를 들어, 전동식 드릴)와의 결합을 위해 투관침 허브의 결합 포스트를 노출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임의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키트(1200)(도 36)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1700) 또는 시스템(1900)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사용 설명서는 각각의 시스템(1700, 1900)에 적용 가능한 임의의 방법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전동식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키트는 전동식 드라이버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58a 및 도 58b는 골생검 시스템(1700)과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골생검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수동식 드라이버(2002)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수동식 드라이버(2002)는 소켓(2006)과 같은 커플링 인터페이스(20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소켓(2006)은 수동식 드라이버(2002)와 투관침 조립체(1710) 사이의 고정된 각도 및/또는 길이방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다른 연결 인터페이스(2020)를 포함한다. 특히,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2020)는 투관침 허브(1722)에 연결된 다른 자성 부재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자성 부재(2021)를 포함한다.
수동식 드라이버(2002)는 이전에 논의된 내향 돌출부(1910)와 유사한 복수의 내향 돌출부(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식 드라이버(2002)는 핸들(1774)의 큰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도 59는 시스템(1700)과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형태와 호환 가능한 절단 조립체에 결합된 투관침 조립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절단 조립체는 절단 캐뉼라(2024)의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 절단 캐뉼라(2024)는 위의 유사한 도면 부호의 특징부와 같은 테이퍼진 영역 또는 수축부(2025)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위 팁은 복수의 얕은 패싯(2027)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6개의 이러한 패싯이 있다. 다른 배열이 고려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 특징부는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부는 다른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2에 대해 개시된 안전 차폐부 특징부는 적어도 시스템(1000, 1300, 1700 및 1900)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상세한 설명이 예시의 목적을 위해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할지라도, 당업자는 다음의 세부 사항에 대한 많은 변형 및 대안이 만들어지고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제시된 임의의 청구항에 제한을 부과함이 없이, 그리고 일반성의 어떠한 상실도 없이 제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은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동작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 및/또는 동작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실시형태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특정 단계 또는 동작의 순서가 요구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 및/또는 동작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표현은 문맥 상 명백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층"에 대한 언급은 복수의 이러한 층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함유하는" 및 "가진다" 등은 미국 특허법에서 이것에 부여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구비한다, "구비하는"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개방형 용어로 해석된다. "이루어지는" 또는 "이루어진다"라는 용어는 폐쇄형 용어이며, 이러한 용어와 함께 구체적으로 나열된 성분 구조, 단계 등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법에 따른 것만을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법에 의해 한정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이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폐쇄된 용어이며, 이와 함께 사용되는 물품(들)의 기본적이고 새로운 특성 또는 기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 물품, 재료, 성분, 단계 또는 요소의 포함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성물에 존재하지만 조성물 특성이나 특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미량 원소는 해당 용어를 따르는 물품의 목록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표현에 따라서 존재하는 경우 허용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또는 "구비하는"과 같은 개방형 용어를 사용할 때, 명시적으로 또는 그 반대로 언급된 것처럼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이라는 표현뿐만 아니라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지지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존재하는 경우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유사한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의 순서 또는 연대순을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될 수 있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달리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으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이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이러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유일한 순서는 아니며, 명시된 단계 중 특정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은 특정의 다른 단계가 방법에 추가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단",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반드시 영구적인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여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다른 배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한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 "인접한" 것으로서 설명된 객체는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적절한 것으로서,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또는 서로 동일한 일반적인 영역 또는 영역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형태에서" 또는 "하나의 양태에서"라는 문구의 발생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형태 또는 양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는 작용, 특성, 속성, 상태, 구조, 물품 또는 결과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범위 또는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객체는 객체가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대 완전성으로부터 정확한 허용 편차 정도는 일부 경우에 특정 상황에 의존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완료의 근접성은 마치 절대적이고 완전한 완료를 얻은 것과 동일한 전체 결과를 가지도록 할 것이다. "실질적으로"의 사용은 작용, 특성, 속성, 상태, 구조, 물품 또는 결과의 완전하거나 또는 거의 완전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입자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은 입자가 완전히 결여되거나 또는 입자가 거의 완전히 결여되어, 마치 입자가 완전히 결여된 것과 같이 효과가 동일하다. 즉, 조성물 또는 원소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은 그 측정 가능한 효과가 없는 한 실제로 이러한 물품을 여전히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은 주어진 값이 종점 "조금 위" 또는 "조금 아래"일 수 있다는 것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수치 범위 종점에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더욱이,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 또는 다른 용어의 사용과 같은 근사치(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만들어진)에 대한 참조를 위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값, 특징, 또는 특성은 근사치없이 지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약", "실질적으로" 및 "일반적으로"와 같은 한정사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용어는 한정사가 없는 제한된 단어를 그 범위 내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실질적으로 직각"이라는 용어가 특징부에 대해 인용되는 경우에, 추가 실시형태에서 특징부는 정확하게 직각인 배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물품, 구조적 요소, 성분 원소 및/또는 재료는 편의를 위해 공통 목록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록은 목록의 각각의 부재가 별개이고 고유한 부재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것처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목록의 개별 부재는 반대의 표시없이 공통 그룹에서의 그 제시만을 기반으로 동일한 목록의 임의의 다른 부재와 사실상 동등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농도, 양 및 기타 수치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범위 형식으로 표현되거나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형식은 단지 편의성과 간결성을 위해 사용되고, 그러므로 범위의 한계로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수치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치값과 하위 범위가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해당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개별 수치값 또는 하위 범위를 포함하도록 유연하게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로서, "약 1 내지 약 5"의 수치 범위는 약 1 내지 약 5의 명시적으로 인용된 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표시된 범위 내의 개별 값 및 하위 범위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치 범위에는 2, 3, 및 4와 같은 개별 값과 1 내지 3, 2 내지 4, 3 내지 5 등과 같은 하위 범위 등뿐만 아니라 1, 2, 3, 4 및 5가 개별적으로 포함된다.
이와 동일한 원리는 하나의 수치값만을 최소 또는 최대로 인용하는 범위에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설명된 범위 또는 특성의 폭에 관계없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예"에 대한 언급은 있는 경우에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여러 곳에서 "예에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실시형태" 또는 "이 실시형태"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인용된 인용구 또는 그 변형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실시형태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때때로 개시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단일 실시형태, 도면 또는 그 상세한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내용의 방법은 어떤 청구항이 그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보다 많은 특징을 요구하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는 임의의 전술한 개시된 실시형태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수의 조합에 있다.
이러한 기술된 개시내용 이후의 청구범위는 본 개시내용에 명시적으로 통합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그 자체로 별개의 실시형태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개시내용은 독립항과 종속항의 모든 순열을 포함한다. 더욱이, 다음의 독립항 및 종속항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추가 실시형태는 또한 본 기술된 설명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이러한 추가 실시형태는 주어진 종속항의 종속성을 "청구항[x]까지 포함하는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라는 문구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서 괄호로 묶인 용어 "[x]"는 가장 최근에 인용된 독립항의 번호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독립항 1로 시작하는 첫번째 청구항 세트의 경우에, 청구항 3은 청구항 1과 2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별개의 종속성은 2개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생성하며; 청구항 4는 청구항 1, 2 또는 3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될 수 있으며, 이들 별개의 종속성은 3개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생성하고; 청구항 5는 청구항 1, 2, 3 또는 4 중 어느 하나에 종속될 수 있으며, 이들 별개의 종속성은 4개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생성하는 것 등이다.
특징 또는 요소에 대하여 "제1"이라는 용어의 청구항에서 인용하는 것은 반드시 제2 또는 추가의 이러한 특징 또는 요소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존재하는 경우에, 수단 플러스 기능 형식으로 구체적으로 인용된 요소는 35 U.S.C. § 112(f)에 따라서 해석되도록 의도되었다. 필수적인 수단 플러스 기능 형식으로 표시되지 않은 요소는 35 USC § 112(f)에 따라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배타적 재산 또는 특권이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Claims (75)

  1. 골생검 시스템(bone biopsy system)으로서,
    절단 조립체(cutting assembly)로서,
    루멘(lumen)을 획정하는 절단 캐뉼라; 및
    상기 절단 캐뉼라에 부착되고,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허브를 포함하는, 상기 절단 조립체;
    인서트 조립체(insert assembly)로서,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세장형 인서트(elongated insert); 및
    상기 세장형 인서트에 부착되는 제2 허브로서, 드라이버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제2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2 허브를 포함하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한 수동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골생검 시스템은 전동식 드릴링 구성(power drilling configuration)으로부터 수동식 코어링 구성(manual coring configuration)으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세장형 인서트가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절단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제2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하도록 협력하며, 상기 드라이버 커넥터는 전동식 드라이버가 상기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절단 조립체를 함께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절단 조립체의 수동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는, 골생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허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허브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허브 사이의 고정된 길이방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병진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허브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3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보적인 키형 표면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인, 골생검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구근 형상(bulbous)인, 골생검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 끼워지는 크기의 세장형 요소의 디봇인, 골생검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추출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 조립체는 핸들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부착된 추출 캐뉼라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캐뉼라는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캐뉼라는 골수의 코어링된 샘플을 홀딩하기 위해 뼈의 내부에 있는 상기 절단 캐뉼라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탄성 파지 아암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허브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골생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한 흡입을 위해 의료 디바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의료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커넥터는 루어 피팅(Luer fitting)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허브를 둘러싸도록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핸들 부재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제1 허브와 상기 핸들 사이의 고정된 각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핸들 부재에 의해 획정된 하나 이상의 회전 로킹 특징부와 결합되는 회전 로킹 특징부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허브는 단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의 제1 및 제2 표면은 상기 세장형 인서트에 대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협력하는, 골생검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원위 팁에 있는 복수의 절단 톱니를 가지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인서트는 투관침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원위 팁에 있는 복수의 절단 톱니를 가지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바늘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인서트는 폐색기(obturator)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바늘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인서트의 원위 단부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을 지나쳐서 연장되는, 골생검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인서트의 원위 단부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절단 캐뉼라의 원위 팁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서 오목화되는, 골생검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뼈의 피질층을 통해 드릴링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부터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상기 절단 캐뉼라가 그 안으로 도입되는 환자의 뼈 내에 남아 있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있을 때 골수의 샘플을 코어링하고 상기 루멘 내로 상기 샘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있을 때 골수의 샘플을 코어링하고 상기 루멘 내로 상기 샘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전동식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는 핸드헬드 드릴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의 수동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인, 골생검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구근 형상인, 골생검 시스템.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절단 캐뉼라의 외경보다 10배 이상 큰 최외측 직경을 획정하는, 골생검 시스템.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한 흡입을 위해 의료 디바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의료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커넥터는 루어 피팅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로부터 독립적인 의료용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커넥터는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한 흡입을 위해 의료 디바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커넥터는 루어 피팅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절단 캐뉼라의 더욱 근위 영역에 대해 상기 절단 캐뉼라의 내경을 감소시키는 수축부를 원위 단부에서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는 골수의 코어링된 섹션을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는 골수의 코어링된 섹션이 상기 수축부의 근위 단부를 지나쳐서 상기 절단 캐뉼라 내로 근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상기 섹션이 약간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의 근위 단부는 약 70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절단 캐뉼라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각도를 획정하는 근위 표면을 획정하는, 골생검 시스템.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는 상기 수축부를 지나쳐서 원위로 골수의 코어링된 섹션을 전진시키는 대신에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해 골수의 코어링된 섹션을 근위로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코어링된 섹션이 상기 루멘으로부터 가장 잘 제거되도록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서 골수의 코어링된 섹션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46. 제41항에 있어서, 그 원위 단부에 있는 복수의 탄성 파지 아암을 포함하는 추출 캐뉼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축부의 근위 단부는 상기 추출 캐뉼라가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해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상기 파지 아암을 내측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모따기 표면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에 수용되는 크기의 추출 캐뉼라를 포함하는 추출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캐뉼라는 원위 단부에 있는 복수의 탄성 파지 아암을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캐뉼라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푸시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 아암은 상기 추출 캐뉼라의 원위 단부에서 골수의 코어링된 샘플을 홀딩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추출 캐뉼라를 통해 원위로 전진함에 따라서 코어링된 샘플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골생검 시스템은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부터 상기 추출 캐뉼라가 상기 절단 캐뉼라 내로 전진되는 추출 구성으로 전환 가능한, 골생검 시스템.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채널을 획정하며, 상기 추출 캐뉼라는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로 보내지는, 골생검 시스템.
  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동식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가 상기 절단 조립체에 결합된 동안 상기 인서트 조립체 위에서 상기 수동 핸들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는 상기 수동 핸들과 결합될 때, 상기 골생검 시스템은 피질 뼈를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드릴링하도록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 및 수동 핸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수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는, 골생검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수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절단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절단 조립체 모두에 결합되는, 골생검 시스템.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는 상기 수동 핸들에 클립핑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5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는 상기 제2 허브에 대해 상기 수동식 드라이버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2 허브의 드라이버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5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인서트가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빼내질 때 상기 세장형 인서트의 원위 단부에 자동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안전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5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는 상기 절단 캐뉼라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절단 캐뉼라가 뼈 내로 드릴링된 후에 환자의 뼈로부터 상기 절단 캐뉼라를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골생검 시스템.
  60. 키트로서,
    제1항의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instruction)를 포함하되, 상기 설명서는,
    절단 조립체와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결합시키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에 전동식 드라이버를 결합하고;
    뼈의 피질층을 통해 상기 절단 조립체를 드릴링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작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절단 조립체가 뼈의 피질층을 통하여 연장되는 동안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분리시키는
    지침(direction)을 포함하는, 키트.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분리한 후에,
    상기 제1 허브에 의료 디바이스를 결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해 뼈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의료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절단 조립체로부터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분리한 후에, 골수의 코어링된 샘플을 얻기 위해 뼈의 골수를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전진시키도록 상기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제1 허브에 상기 핸들을 결합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4. 골생검 시스템으로서,
    절단 캐뉼라;
    상기 절단 캐뉼라에 부착되고,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허브;
    드라이버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허브로서,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제2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2 허브; 및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한 수동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골생검 시스템은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부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전동식 드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제2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하도록 협력하며, 상기 드라이버 커넥터는 전동식 드라이버가 상기 제1 허브 및 상기 제2 허브를 함께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골생검 시스템이 상기 수동식 코어링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제2 허브는 상기 제1 허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수동 핸들은 상기 수동 핸들의 수동 회전이 상기 제1 허브 및 상기 절단 캐뉼라의 동시 회전을 달성하도록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는, 골생검 시스템.
  65. 키트로서,
    골생검 시스템으로서,
    절단 캐뉼라;
    상기 절단 캐뉼라에 부착되고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허브;
    드라이버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허브로서,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상기 제2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2 허브; 및
    상기 제1 허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제1 허브와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한 수동 핸들을 포함하는, 상기 골생검 시스템; 및
    상기 골생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되;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제1 허브와 상기 제2 허브를 결합하고;
    상기 제2 허브에 전동식 드라이버를 결합하고;
    뼈의 피질층을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드릴링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작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절단 조립체가 벼의 피질층을 통해 연장되는 동안 상기 제1 허브로부터 상기 제2 허브를 분리시키는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제1 허브로부터 상기 제2 허브를 분리한 후에,
    상기 제1 허브에 의료 디바이스를 결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절단 캐뉼라를 통해 뼈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의료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제1 허브로부터 상기 제2 허브를 분리한 후에, 골수의 코어링된 샘플을 얻기 위해 뼈를 골수를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8. 제67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는 상기 제1 허브에 상기 핸들을 결합하는 지침을 더 포함하는, 키트.
  69. 방법으로서,
    전동식 드라이버에, 절단 팁을 포함하는 절단 캐뉼라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 캐뉼라를 회전시키고, 상기 절단 캐뉼라의 절단 팁을 통해 뼈의 피질층을 절단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 캐뉼라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연장되는 동안 상기 절단 캐뉼라로부터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단 캐뉼라로부터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분리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절단 캐뉼라 내에서 골수의 코어링된 샘플을 얻기 위해 뼈의 골수를 통해 상기 절단 캐뉼라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에 핸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 캐뉼라를 수동으로 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절단 캐뉼라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핸들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1. 제69항에 있어서, 핸들이 상기 절단 캐뉼라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절단 캐뉼라를 수동으로 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절단 캐뉼라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에 상기 절단 캐뉼라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에 인서트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절단 캐뉼라는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에 상기 절단 캐뉼라를 결합시키는 단계 전에 결합된 구성으로 있는, 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캐뉼라는 제1 허브에 부착되며,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제2 허브에 부착된 세장형 인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허브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와 상기 절단 캐뉼라가 결합된 구성으로 있을 때 서로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는, 방법.
  74. 골생검 시스템으로서,
    절단 조립체로서,
    절단 팁을 포함하고 루멘을 획정하는 절단 캐뉼라; 및
    상기 절단 캐뉼라에 결합되고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허브를 포함하는, 상기 절단 조립체;
    인서트 조립체로서,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로 삽입되는 크기의 세장형 부재; 및
    상기 세장형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허브로서,
    전동식 드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드릴링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동식 드릴을 통한 상기 제2 허브의 회전이 상기 절단 조립체의 회전을 달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허브를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허브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허브를 포함하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 및
    상기 절단 캐뉼라의 루멘 내로 삽입되는 크기의 추출 캐뉼라로서, 상기 절단 캐뉼라의 절단 팁을 통한 뼈로부터의 골수 샘플의 절단 동안 골수 샘플을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원위 팁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 캐뉼라의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획정하는, 상기 추출 캐뉼라; 및
    상기 추출 캐뉼라가 상기 추출 캐뉼라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허브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추출 캐뉼라에 결합되는 제3 허브로서, 상기 제3 허브의 회전이 상기 절단 조립체의 회전을 달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3 허브를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허브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3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3 허브를 포함하는 추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골생검 시스템.
  75. 방법으로서,
    전동식 드라이버에, 절단 팁을 포함하는 절단 캐뉼라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 캐뉼라를 회전시키고, 상기 절단 캐뉼라의 절단 팁을 통해 뼈의 피질층을 절단하기 위해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 캐뉼라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연장되는 동안 상기 절단 캐뉼라로부터 상기 전동식 드라이버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절단 캐뉼라가 뼈의 피질층을 통해 연장되는 동안 상기 절단 캐뉼라에 추출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단 캐뉼라의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출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절단 캐뉼라의 절단 팁을 통해 뼈로부터 골수의 샘플을 코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28538A 2018-03-05 2019-03-05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9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38433P 2018-03-05 2018-03-05
US62/638,433 2018-03-05
US201862662678P 2018-04-25 2018-04-25
US62/662,678 2018-04-25
US201962795683P 2019-01-23 2019-01-23
US62/795,683 2019-01-23
PCT/US2019/020847 WO2019173411A1 (en) 2018-03-05 2019-03-05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168A true KR20200139168A (ko) 2020-12-11

Family

ID=6784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538A KR20200139168A (ko) 2018-03-05 2019-03-05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31015B2 (ko)
EP (1) EP3761884A4 (ko)
JP (1) JP7307085B2 (ko)
KR (1) KR20200139168A (ko)
CN (1) CN112118793A (ko)
BR (1) BR112020018122A2 (ko)
MX (1) MX2020009220A (ko)
WO (1) WO2019173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3887B2 (en) 2016-10-27 2021-01-19 C. R. Bard, Inc. Intraosseous access device
KR20200139168A (ko) 2018-03-05 2020-12-11 파이퍼 액세스 엘엘씨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77386A1 (en) * 2019-12-11 2021-06-17 Merit Medical Systems, Inc. Bone biopsy device and related methods
EP4093294A2 (en) * 2020-01-24 2022-11-30 Pure Marrow Inc.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device
US20210275154A1 (en) * 2020-03-03 2021-09-09 Merit Medical Systems, Inc. Bone biopsy device and related methods
WO2022032242A1 (en) * 2020-08-07 2022-02-10 Avia Vascular, Llc Bloo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4251047A1 (en) 2020-11-26 2023-10-04 Avia Vascular, LLC Bloo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2603499B (zh) * 2020-12-29 2022-09-27 南京佗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穿刺置入装置
CN112603498A (zh) * 2020-12-29 2021-04-06 南京佗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穿刺置针系统
WO2022261632A1 (en) * 2021-06-10 2022-12-15 Merit Medical Systems, Inc. Bone biopsy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13244517A (zh) * 2021-07-05 2021-08-13 真实维度科技控股(珠海)有限公司 一种用于粒子植入的骨性组织穿刺针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8282A (en) 1987-02-26 1989-06-13 Manan Manufacturing Co., Inc. Bone biopsy needle assembly
ATE107152T1 (de) 1987-11-18 1994-07-15 Straumann Inst Ag Vorrichtung mit einem zum herausschneiden eines knorpel- oder knochenzapfens dienenden, mit einer antriebswelle drehfest verbundenen hohlfräser.
US5595186A (en) 1992-04-06 1997-01-21 Alan I. Rubinstein Bone marrow biopsy needle
US5257632A (en) 1992-09-09 1993-11-02 Symbiosis Corporation Coaxial bone marrow biopsy coring and aspirating need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357974A (en) 1993-03-04 1994-10-25 Thomas F. Robinson Bone marrow biopsy instrument
US5522398A (en) 1994-01-07 1996-06-04 Medsol Corp. Bone marrow biopsy needle
US6022324A (en) * 1998-01-02 2000-02-08 Skinner; Bruce A. J. Biopsy instrument
US6110128A (en) 1998-12-11 2000-08-29 Andelin; John B. Bone marrow biopsy needl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U3306500A (en) 1999-03-19 2000-10-09 Paul Cervi Biopsy needle
DE60124990T2 (de) 2000-07-29 2007-09-20 Worldwide Medical Technologies, Woodbury Werkzeug zum Herausziehen von Knochenmark
US20070049945A1 (en) 2002-05-31 2007-03-01 Miller Larry J Apparatus and methods to install, support and/or monitor performance of intraosseous devices
US8690791B2 (en) 2002-05-31 2014-04-08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access the bone marrow
US8668698B2 (en) 2002-05-31 2014-03-11 Vidacare Corporation Assembly for coupling powered driver with intraosseous device
WO2008033872A2 (en) 2006-09-12 2008-03-20 Vidacare Corporation Biops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811260B2 (en) 2002-05-31 2010-10-12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inject fluids into bone marrow and other target sites
DE60328386D1 (de) 2002-05-31 2009-08-27 Vidacare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reichen von knochenmark
US7850620B2 (en) 2002-05-31 2010-12-14 Vidacare Corporation Biops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298202B2 (en) 2002-05-31 2022-04-12 Teleflex Life Sciences Limited Biops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8656929B2 (en) 2002-05-31 2014-02-25 Vidacare Corporation Medical procedures trays and related methods
US7951089B2 (en) 2002-05-31 2011-05-31 Vidaca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o harvest bone and bone marrow
US20070276352A1 (en) 2002-06-04 2007-11-29 Stemcor Systems, Inc. Removable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disruption
US9504477B2 (en) 2003-05-30 2016-11-29 Vidacare LLC Powered driver
US8998848B2 (en) 2004-11-12 2015-04-07 Vidacare LLC Intraosseous device and methods for accessing bone marrow in the sternum and other target areas
EP2066389B8 (en) 2006-09-12 2017-01-25 Vidacare LLC Bone marrow aspiration devices
US8944069B2 (en) 2006-09-12 2015-02-03 Vidacare Corporation Assemblies for coupling intraosseous (IO) devices to powered drivers
WO2008124463A2 (en) 2007-04-04 2008-10-16 Vidacare Corporation Powered drivers, intraosseous devices and methods to access bone marrow
WO2012015770A2 (en) * 2010-07-30 2012-02-0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axial incisional full-core biopsy needle
US20130204160A1 (en) 2011-02-23 2013-08-08 Biologic Therap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bone marrow
CN102247174B (zh) 2011-08-18 2013-06-12 南京大学医学院附属鼓楼医院 组合式骨肿瘤微创切开活检器
CN111870285A (zh) 2014-02-07 2020-11-03 泰利福医疗工具有限公司 辅助操纵骨内设备的装置
ES2915076T3 (es) * 2016-10-18 2022-06-20 Piper Access Llc Dispositivos y sistemas de acceso intraóseo
JP7169982B2 (ja) 2017-03-07 2022-11-11 パイパー・アクセス、エルエルシー 細長い器具のための安全シールド並びに関連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714137A (zh) 2017-10-26 2018-02-23 谢安迪 一种骨科钻骨自动注水装置
KR20200139168A (ko) 2018-03-05 2020-12-11 파이퍼 액세스 엘엘씨 골생검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18793A (zh) 2020-12-22
US11931015B2 (en) 2024-03-19
JP2021514779A (ja) 2021-06-17
MX2020009220A (es) 2020-10-16
BR112020018122A2 (pt) 2020-12-22
WO2019173411A1 (en) 2019-09-12
EP3761884A1 (en) 2021-01-13
EP3761884A4 (en) 2021-11-24
JP7307085B2 (ja) 2023-07-11
US20190328370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7085B2 (ja) 骨生検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430820B (zh) 用于细长器械的安全护罩及相关系统和方法
US11382607B2 (en) Rotating full-core biopsy needle
EP1187554B1 (en) Bone marrow aspiration needle
US5257632A (en) Coaxial bone marrow biopsy coring and aspirating need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911590B1 (en) Apparatus for aspirating tissue
US20210093358A1 (en) Step Needle for Intraosseous Access Device
JP2019535457A (ja) 骨内アクセス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EP1772104A2 (en) Contamination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WO2000010465A1 (en) Bone marrow biopsy needle
EP3624697B1 (en) Biopsy 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11839403B2 (en) Tissue piercing assemblies
EP2670311A1 (en) Distal tip configurations for biopsy with eus fna
US20090216260A1 (en) Interlocking handle
JP2020507392A (ja) 組織穿孔用組立体
EP3076877B1 (en) Removable bone penetrating device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