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715A -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715A
KR20200137715A KR1020190064499A KR20190064499A KR20200137715A KR 20200137715 A KR20200137715 A KR 20200137715A KR 1020190064499 A KR1020190064499 A KR 1020190064499A KR 20190064499 A KR20190064499 A KR 20190064499A KR 20200137715 A KR20200137715 A KR 2020013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orting
waste display
unit
disman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기
김세열
윤진호
홍명환
강이승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9006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715A/ko
Publication of KR2020013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재활용 재료를 선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는 이송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에 올리는 로딩부; 작업자가 이송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폐디스플레이를 해체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작업자에 의해서 해체 선별되고 남은 CCFL 백라이트를 처리하는 CCFL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부에서는 CCFL이 설치된 CCFL 백라이트를 제외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이송부와 분리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상기 작업대로 옮겨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한 뒤에 남은 CCFL 백라이트를 다시 이송부로 옮겨서 다음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가 수행되는 작업대 또는 상기 CCFL처리부로 이송되며, 적어도 상기 작업대 주변의 이송부는 2개 층으로 구성된 버퍼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이송부의 각 층은, 복수의 작업대 별로 버퍼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폐디스플레이가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 또는 해체 및 선별작업이 수행된 폐디스플레이가 다시 버퍼이송부로 배출되는 배출층으로 기능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동일한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상기 2개 층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는 각 작업대에 할당된 투입층을 통해 해당 작업대에 투입되기 전까지 투입층에서 대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DISMANTLING AND SORTING SYSTEM OF WASTED DISPLAY DEVICE FOR RECYCLING, DISMANTLING AND SORTING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 재활용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경우, 재사용이 가능한 고가의 금속, 비금속, 반도체 부품들이 다수 들어 있어서 재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해체 선별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3-0020651에는 LCD 디스플레이로부터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공개되어 있으나, 재활용 물질을 위한 분리 과정은 현재까지도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분해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수작업 공정도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않아서, 숙련공과 비숙련공의 생산성 차이가 현저한 실정이다.
즉, 통상적인 재활용센터에서는 수거한 디스플레이를 작업자가 작업대로 들어서 옮긴 후 체계적인 작업 매뉴얼 없이 무작위로 해체/분리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숙련공은 주의를 요하는 작업을 충분히 전달받거나 숙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유해물질 처리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조성별, 품위별 분류 없이 수거업체에서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수거하므로 추후 선별, 분류의 후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아서, 시간-비용 투입에 비해 품위별 분리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분해 대상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한편 원화된 공간에 있는 작업자 각자에게 필요한 공정 매뉴얼 등의 분해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분해 장치에 대한 출원(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5493)이 진행되었으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처리 속도 차이에 의해서 전체 시스템의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등에 사용된 CCFL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은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206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549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처리 속도 차이에 의해서 전체 시스템이 멈추는 일이 없고 작업자가 수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디스플레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재활용 재료를 선별하는 시스템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는 이송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에 올리는 로딩부; 작업자가 이송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폐디스플레이를 해체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작업자에 의해서 해체 선별되고 남은 CCFL 백라이트를 처리하는 CCFL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부에서는 CCFL이 설치된 CCFL 백라이트를 제외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이송부와 분리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상기 작업대로 옮겨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한 뒤에 남은 CCFL 백라이트를 다시 이송부로 옮겨서 다음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가 수행되는 작업대 또는 상기 CCFL처리부로 이송되며, 적어도 상기 작업대 주변의 이송부는 2개 층으로 구성된 버퍼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이송부의 각 층은, 복수의 작업대 별로 버퍼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폐디스플레이가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 또는 해체 및 선별작업이 수행된 폐디스플레이가 다시 버퍼이송부로 배출되는 배출층으로 기능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동일한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상기 2개 층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는 각 작업대에 할당된 투입층을 통해 해당 작업대에 투입되기 전까지 투입층에서 대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에서, 이전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과 그 다음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이 서로 다르며, 작업대에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가 각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에 할당된 배출층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까지 대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버퍼이송부에서 작업대로 폐디스플레이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투입장치는 각 작업대의 투입층에 설치된다.
그리고 작업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폐디스플레이의 투입과 CCFL 백라이트의 배출과정에서 버퍼이송부의 높이에 맞추어 높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CCFL처리부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밀폐하우징;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CCFL 또는 CCFL과 그에 연결된 부속부품을 포함하는 CCFL 백라이트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쇄물이 수거되는 비자성재료 수거함과 자성재료 수거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 자성을 인가하는 자성분리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비자성재료 수거함은 상기 분쇄물 중에서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서 바로 낙하되는 비자성재료를 수거하고, 상기 자성재료 수거함은 상기 분쇄물 중에서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비자성재료 수거함의 위쪽을 지난 뒤에 자력이 제거됨으로써 낙하되는 자성재료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하우징의 내부를 음압상태로 유지하는 음압설비를 구비하여 수은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밀폐하우징 내부로 CCFL 백라이트를 투입하는 투입구에 설치된 차단문을 포함하며, 필요시에만 상기 차단문을 개방함으로써, 수은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CCFL 백라이트를 분쇄기에 넣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를 더 포함하여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승강기가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별도로 구분된 밀폐공간에 설치되고, 승강기가 설치된 공간에 CCFL 백라이트를 투입하는 투입구에 설치된 차단문 및 승강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CCFL 백라이트를 내보내서 분쇄기에 넣기 위한 통로에 설치된 차단문을 더 포함함으로써, 수은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로딩부는, 폐디스플레이가 보관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와 마주보고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수직 레일; 및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를 상기 적재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이송부로 업로딩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은, 로딩부와 작업부 사이에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작업부에는 인식부에서 인식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기준으로 작업 매뉴얼을 출력하는 작업 모니터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부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비젼인식시스템이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특정하고, 작업 매뉴얼을 작업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인식부가, 폐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라벨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1 카메라와 라벨의 상세 내용을 판독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제1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여 라벨의 위치를 인식하면,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서 제2 카메라가 라벨의 위치로 이동하여 라벨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은, 폐디스플레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재활용 재료를 선별하는 복수의 작업대가 위치한 작업부 및 CCFL 백라이트를 처리하는 CCFL처리부를 포함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에서 폐디스플레이를 해체 및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에 올리는 로딩 단계; 복수의 작업대가 위치한 작업부로 폐디스플레이를 투입하는 제1 이송 단계; 상기 작업부에서 작업자들에 의해서 CCFL이 설치된 CCFL 백라이트를 제외한 해체 및 선별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 상기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를 마치고 남은 CCFL 백라이트를 CCFL처리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 단계; 및 CCFL처리부에서 CCFL 백라이트를 무인으로 해체 및 선별 처리하는 CCFL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는, 이송부에 위치하는 폐디스플레이를 작업부의 작업대로 투입하는 투입 단계;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폐디스플레이에 대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단계; 및 상기 작업 단계에서 해체하고 남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로 다시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자에 의해서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복수의 단계로 수행되어, 상기 이송부가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단계별로 작업대와 작업대 사이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며, 이송부는 적어도 작업대 주변에 2개 층의 버퍼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이송부의 각 층은, 복수의 작업대 별로 버퍼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폐디스플레이가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 또는 해체 및 선별작업이 수행된 폐디스플레이가 다시 버퍼이송부로 배출되는 배출층으로 기능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동일한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 상기 2개 층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는 각 작업대에 할당된 투입층을 통해 해당 작업대에 투입되기 전까지 투입층에서 대기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에서, 이전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과 그 다음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이 서로 다르게 배분되며, 작업대에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가 각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에 할당된 배출층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딩 단계가 무인 자동 로딩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투입 단계가 각 작업대의 투입층에 설치된 무인 자동 투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CCFL 처리 단계가, CCFL 백라이트를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물을 자성재료와 비자성 재료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CFL 처리 단계가, 음압시설이 구비된 밀폐하우징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분쇄물을 자성재료와 비자성 재료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방법이, 분쇄물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 자성을 인가하는 자성분리수단이 설치되어, 분쇄물 중에서 비자성 재료는 자성이 인가된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서 바로 낙하되고, 분쇄물 중에서 자성재료는 자성이 인가된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비자성 재료가 낙하되는 위치를 지난 뒤에 자력이 제거됨으로써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비자성 재료와 자성 재료가 낙하되도록 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이송 단계에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과하는 모델 인식 단계를 더 수행하고, 모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에 따른 작업 매뉴얼을 작업 단계에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매뉴얼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작업 모니터에 작업 매뉴얼을 출력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
모델 인식 단계가 무인 자동 인식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 좋으며, 무인 자동 인식 장치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비젼인식시스템이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특정하고, 작업 매뉴얼을 작업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인 자동 인식 장치가, 폐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라벨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1 카메라와 라벨의 상세 내용을 판독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1 카메라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제2 카메라는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제1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여 라벨의 위치를 인식하면,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서 제2 카메라가 라벨의 위치로 이동하여 라벨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해체 선별 과정에서 전체 이송부를 멈출 필요가 없으며, 작업자 개인의 숙련도 차이에 의해서 전체 시스템의 해체 선별 진행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 작업대에 투입되는 투입층과 배출되는 배출층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고, 특정 차수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 다음 차수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 및 배출층과 반대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대에 투입하기 전의 대기 위치와 작업대에서 배출된 후의 대기 위치를 통해서 각 작업대에 폐디스플레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작업 대기와 같은 데드타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수은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CCFL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에 대한 해체를 별도의 CCFL처리부에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송부에 자동으로 로딩하는 로딩부와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작업자에게 작업방법을 알려주는 인식부를 구비함으로써, 폐디스플레이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처리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버퍼이송부와 작업대의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구비된 작업대의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서 해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와 이를 설명하기 위한 작업 구역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순서도에서 2층의 이송장치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작업대와 이송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작업대에 설치된 on/off 스위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CCFL처리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로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인식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은 로딩부(100), 인식부(200), 작업부(300), CCFL처리부(400) 및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로딩부(100)는 적재함과 로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재함에는 수거된 폐디스플레이들이 보관되고, 각 폐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선별 작업 없이 수거된 순서대로 적재함에 보관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재함에 쌓여있다.
로딩장치는 적재함에 쌓여있는 폐디스플레이를 시스템 전체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500)에 올리는(로딩하는) 장치이며, 폐디스플레이를 하나씩 구분하여 이송부로 옮긴다.
인식부(200)는 이송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폐디스플레이를 분해하기 위한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폐디스플레이의 모델 등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인식부(200)는 폐디스플레이의 외관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모델을 인식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작업부(300)는 작업자가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작업대와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별도의 CCFL처리부(40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부(300)에서는 백라이트에 사용된 CCFL에 대한 해체는 수행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작업부(300)에는 작업 모니터가 설치되고, 작업 모니터에는 인식부(200)에 인식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 종류에 따른 작업 매뉴얼이 출력된다. 작업 매뉴얼에는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에 따른 분해 순서, 분해 방법, 분리된 부품의 분류방법 및 위치 등이 포함되며, 작업자가 모든 폐디스플레이 모델에 대한 작업 내용을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작업 매뉴얼에 따라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500)와 작업대가 분리되어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500)에서 내려서 별도의 작업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이송장치 상에서 작업자가 분해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모든 작업자의 분해작업이 끝날 때까지 이송장치 전체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해야 했고, 작업이 먼저 끝난 작업자들도 모든 작업자의 작업이 끝나서 이송장치가 움직일 때까지 대기해야만 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이송부(500)는 작업자 개개인의 해체 및 선별 속도와 무관하게 폐디스플레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며, 각각의 작업자들은 각자가 이송부(500)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작업대로 옮겨서 해체 및 작업을 수행한 뒤에 다음 작업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작업부(300)의 뒤로 별도의 CCFL처리부(40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각자의 작업대에서 CCFL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의 처리를 제외한 폐디스플레이에 대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한 뒤에 다시 이송부(500)로 옮겨서 이송을 해야 하며, 특히 일반적으로 폐디스플레이 해체 작업은 하나의 작업대에서 모든 해체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기 때문에, 각 단계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500)에서 작업대로 투입했다가 작업이 끝난 뒤에 다시 작업대에서 이송부(500)로 다시 배출해야 한다. 이때, 각 단계에서 작업대로 폐디스플레이를 투입하고 다시 배출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2층 구조의 버퍼이송부(510)를 구성하는 한편, 각 작업대에 on/off 스위치를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버퍼이송부(510)의 구체적인 동작 및 on/off 스위치에 따른 변경은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CCFL처리부(400)는 형광물질,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이 포함된 CCFL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자가 없는 무인 설비로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음압 시설을 구비하는 동시에 투입구와 배출구에 차단문을 설치한다.
이송부(500)는 폐디스플레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로딩부(100)에서 로딩된 폐디스플레이가 인식부(200)를 거쳐서 CCFL처리부(400)까지 이송되며, 컨베이어 시스템, 롤러, 이송 트레이 등 공지의 다양한 이송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500)는 작업부(300)의 작업대와 구분되어 이송부(500)에서 작업대로 폐디스플레이를 옮겨서 해체 선별 작업을 수행한 뒤에, CCFL 백라이트만을 남겨서 다시 이송부(500)로 로딩함으로써 CCFL처리부(400)로 이송하며, 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2층 구조의 버퍼이송부(510)를 구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버퍼이송부와 작업대의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구비된 작업대의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서 적용된 버퍼이송부(510)는 상층(512)과 하층(514)의 2층으로 구성된 이송장치이다. 도시된 작업대에서는 상층(512)에는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폐디스플레이(1)가 대기되어 있고, 하층(514)에는 작업자에 의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고 폐디스플레이에 남은 CCFL 백라이트(2)가 배출된다. 2층으로 구성된 이송장치는 폐디스플레이(1)의 이동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작업 대기와 같은 데드타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적용방법은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CCFL 백라이트는 CCFL 만을 분리해낸 것일 수도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CCFL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CCFL이 파손되어 수은 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CFL에 연결된 부속장치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함께 남기며, 특히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분리된 CCFL이 설치된 반사판 등을 포함하는 백라이트부 전체를 포함한다.
이때,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대(310)에 투입하는 과정과 작업대(310)에서 배출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투입 장치와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적용된 작업대(310)는 2층 구조의 버퍼이송부(510)의 높이에 맞추어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작업대(310)의 높이가 버퍼이송부(510)의 상층(512)에 맞게 올라간 상태에서, 상층(512)에 대기 중이던 폐디스플레이(1)가 자동 투입 장치에 의해서 작업대(310)로 옮겨진다. 이후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에 알맞은 높이로 작업대(310)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을 마친 뒤에는 버퍼이송부(510)의 하층(514)에 맞게 작업대(310)의 높이가 조절된 뒤에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해서 폐디스플레이에서 남은 CCFL 백라이트(2)가 하층(514)으로 배출되어 CCFL처리부로 이송된다.
이하에서는 2층으로 구성된 이송장치에서 폐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작업대로 분배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서 해체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와 이를 설명하기 위한 작업 구역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순서도에서 2층의 이송장치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서 작업자에 의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 구역은 2층 구조의 이송장치가 연속하여 연결되며, 이송장치의 주변에 7개의 작업대가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폐디스플레이 해체 및 선별 작업은 하나의 작업대에서 모든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2~4단계로 나누어 해체를 수행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4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작업대(①)에서는 1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고, 제2작업대(②)와 제3작업대(③)에서 2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며, 제4작업대(④)와 제5작업대(⑤)에서 3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고, 제6작업대(⑥)와 제7작업대(⑦)에서는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는 2층 구조의 이송장치가 폐디스플레이의 이송과 함께 대기장소로서 기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1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1개의 작업대에서 수행되고 2차 내지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은 2개의 작업대에서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 각각은 작업 시간 등을 기준으로 하여 3개 이상의 작업대에서 수행되도록 배분할 수 있다.
이때, 각 작업대의 작업자들은 사전 교육 등에 의해서 자신의 작업 내용을 미리 지시 받기도 하지만, 각 작업대에 설치된 모니터을 통해서 각자의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작업대에 모니터를 통한 구체적 작업내용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 내용의 배분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시스템 운영 중간에 각 작업대에 배정된 해체 및 선별 작업 내용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폐디스플레이 해체 시스템에 폐디스플레이가 공급된다. 이때, 1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제1작업대(①)에 공급되는 폐디스플레이는 2층 구조의 이송장치의 하층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폐디스플레이는 이송장치 하층의 제1작업대(①) 앞부분인 제1투입전대기위치(1-1)에서 대기한다. 제1작업대(①)가 비어서 작업이 가능한 경우에는 폐디스플레이가 제1작업대(①)투입이되지만, 제1작업대(①)에서 작업이 진행중이면 폐디스플레이는 제1작업대(①) 앞의 제1투입전대기위치(1-1)에서 대기한다. 본 발명은 2층 구조의 이송장치에서 투입되는 층과 배출되는 층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며, 제1작업대(①)에는 이송장치의 하층에서 폐디스플레이가 투입되고 이송장츠의 상층으로 폐디스플레이가 배출되기 때문에, 이송장치 하층의 제1투입전대기위치(1-1)에 폐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1작업대(①)에서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를 배출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1작업대(①)에서 작업이 가능한 경우에 제1투입전대기위치(1-1)에서 대기하던 폐디스플레이가 제1작업대(①)로 투입되며, 1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매뉴얼에 따라서 해체와 분리가 수행된다.
1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는 다시 이송장치로 배출되며,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층으로 배출된다.
상층으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는 이송장치 상층의 제1작업대(①) 앞부분인 제1배출후대기위치(1-2)에서 2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위하여 대기한다.
다음으로, 2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제3작업대(③)와 제2작업대(②)의 작업 가능 여부에 따라서 대기위치가 결정되며, 이때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제3작업대(③)의 작업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제2작업대(②)의 작업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작업대(①)에서 이송장치 상층으로 배출되어 이송된 폐디스플레이가, 이송장치 상층의 제3작업대(③) 앞부분인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작업대(②) 앞부분인 제2투입전대기위치(2-1)에 대하여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즉, 제3작업대(③)에 작업이 불가능하고 제2작업대(②)에도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에 대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들 2곳의 투입전대기위치에 모두 대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폐디스플레이가 제1배출후대기위치(1-1)에서 계속대기하면서, 제3작업대(③)와 제2작업대(②)의 작업 가능 여부 및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의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제3작업대(③)와 제2작업대(②)에 투입되기 전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되는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는 모두 이송장치의 상층에 위치하며,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3투입전대기위치(3-1)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제3작업대(③)와 제2작업대(②)가 작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각각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에 대기하던 폐디스플레이가 투입되며, 2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매뉴얼에 따라서 해체와 분리가 수행된다.
2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는 다시 이송장치로 배출되며, 이때 제3작업대(③)와 제2작업대(②)로 투입되는 위치가 상층이었던 것과는 반대로, 이송장치의 하층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서 제3투입전대기위치(3-1)와 제2투입전대기위치(2-1)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하고 있어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를 배출할 수 있다.
하층으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는 이송장치 하층의 제2작업대(②) 앞부분인 제2배출후대기위치(2-2)와 제3작업대(③)의 앞부분인 제3배출후대기위치(3-2)에서 3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위하여 대기한다. 이때도,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3배출후대기위치(3-2)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3배출후대기위치(3-2)와 제2배출후대기위치(2-2)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도 1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간활용을 위하여 이송장치가 "ㄷ"자 형태의 3개 직선구간으로 구성되고, 작업대가 이송장치의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때, 제1작업대에서 제3작업대까지 3개의 작업대가 첫번째 직선구간에 배치되고 제4작업대에서 제7작업대까지 4개의 작업대가 세번째 직선구간에 배치되며, 두번째 직선구간은 단순히 이송만이 수행된다. 따라서 두번째 직선구간은 제2배출후대기위치(2-2) 및 제3배출후대기위치(3-2)와 동일하게 대기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후에는, 3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제5작업대(⑤)와 제4작업대(④)의 작업 가능 여부에 따라서 대기위치가 결정되며, 이때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제5작업대(⑤)의 작업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제4작업대(④)의 작업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송장치 하층의 제5작업대(⑤) 앞부분인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작업대(④) 앞부분인 제4투입전대기위치(4-1)에 대하여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즉, 제5작업대(⑤)에 작업이 불가능하고 제4작업대(④)에도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에 대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들 2곳의 투입전대기위치에 모두 대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폐디스플레이가 제3배출후대기위치(3-2) 또는 제2배출후대기위치(2-2)에서 계속대기하면서, 제5작업대(⑤)와 제4작업대(④)의 작업 가능 여부 및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의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제5작업대(⑤)와 제4작업대(④)에 투입되기 전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되는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는 모두 이송장치의 하층에 위치하며,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5투입전대기위치(5-1)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제5작업대(⑤)와 제4작업대(④)가 작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각각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에 대기하던 폐디스플레이가 투입되며, 3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매뉴얼에 따라서 해체와 분리가 수행된다.
3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는 다시 이송장치로 배출되며, 이때 제5작업대(⑤)와 제4작업대(④)로 투입되는 위치가 하층이었던 것과는 반대로, 이송장치의 상층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서 제5투입전대기위치(5-1)와 제4투입전대기위치(4-1)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하고 있어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를 배출할 수 있다.
상층으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는 이송장치 상층의 제5작업대(⑤) 앞부분인 제5배출후대기위치(5-2)와 제4작업대(④)의 앞부분인 제4배출후대기위치(4-2)에서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위하여 대기한다. 이때도,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5배출후대기위치(5-2)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5배출후대기위치(5-2)와 제4배출후대기위치(4-2)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제7작업대(⑦)와 제6작업대(⑥)의 작업 가능 여부에 따라서 대기위치가 결정되며, 이때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제7작업대(⑦)의 작업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제6작업대(⑥)의 작업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송장치 상층의 제7작업대(⑦) 앞부분인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작업대(⑥) 앞부분인 제6투입전대기위치(6-1)에 대하여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즉, 제7작업대(⑦)에 작업이 불가능하고 제6작업대(⑥)에도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에 대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들 2곳의 투입전대기위치에 모두 대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폐디스플레이가 제5배출후대기위치(5-2) 또는 제4배출후대기위치(4-2)에서 계속대기하면서, 제7작업대(⑦)와 제6작업대(⑥)의 작업 가능 여부 및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의 대기 가능 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제7작업대(⑦)와 제6작업대(⑥)에 투입되기 전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되는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는 모두 이송장치의 상층에 위치하며,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7투입전대기위치(7-1)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제7작업대(⑦)와 제6작업대(⑥)가 작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각각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에 대기하던 폐디스플레이가 투입되며,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매뉴얼에 따라서 해체와 분리가 수행된다.
4차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는 다시 이송장치로 배출되며, 이때 제7작업대(⑦)와 제6작업대(⑥)로 투입되는 위치가 상층이었던 것과는 반대로, 이송장치의 하층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서 제7투입전대기위치(7-1)와 제6투입전대기위치(6-1)에 폐디스플레이가 대기하고 있어도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를 배출할 수 있다.
하층으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는 이송장치 하층의 제7작업대(⑦) 앞부분인 제7배출후대기위치(7-2)와 제6작업대(⑥)의 앞부분인 제6배출후대기위치(6-2)에서 CCFL 분해 장치의 투입을 위하여 대기한다. 이때도, 이송장치는 일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제7배출후대기위치(7-2)에 대기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제7배출후대기위치(7-2)와 제6배출후대기위치(6-2) 사이의 대기 위치가 결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은, 2층의 이송장치에 각 작업대에 투입되는 투입층과 배출되는 배출층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작업대의 앞에 투입전대기위치를 구성하여 폐디스플레이가 투입전대기위치에서 대기하는 경우에도 작업대에서 작업이 끝난 폐디스플레이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의 차수로 해체 및 선별 작업이 구성된 경우, 특정 차수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 다음 차수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 및 배출층과 반대가 되기 때문에, 작업대의 앞에 배출후대기위치를 구성하여 다음 차수의 해체 및 선별 작업으로 진행하기 전에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결국, 배출후대기위치와 투입전대기위치의 2단계의 대기위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각 작업대에 폐디스플레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작업 대기와 같은 데드타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작업대와 이송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작업대(①)와 이송장치의 제1투입전대기위치(1-1)와 제1배출후대기위치(1-2)를 도시하였고, 도 8은 제4작업대에 대한 제4투입전대기위치(4-1)와 제1배출후대기위치(4-2) 및 제6작업대에 대한 제6투입전대기위치(6-1)와 제6배출후대기위치(6-2)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작업대(①)에는 이송장치의 하층이 제1투입전대기위치(1-1)가 되고 이송장치의 상층이 제1배출후대기위치(1-2)가 된다.
제4작업대에서도 이송장치의 하층이 제4투입전대기위치(4-1)가 되고 이송장치의 상층이 제4배출후대기위치(4-2)가 되며, 반대로 제6작업대에서는 이송장치의 하층이 제6배출후대기위치(6-2)가 되고 이송장치의 상층이 제6투입전대기위치(6-1)가 된다. 각각의 투입전대기위치에는 폐디스플레이를 밀어서 작업대로 투입할 수 있는 자동 투입 장치가 설치되며, 제4작업대에는 하부 투입 형태가 되고 제6작업대에는 상부 투입 형태가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은 각 작업대에 on/off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거나 작업대의 이상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할 경우에도 시스템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의 작업대에 설치된 on/off 스위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순서도에서 제2작업대(②)의 on/off 스위치를 on한 경우와 off한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제2작업대(②)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on/off 스위치를 통해서 작업대 자체를 off 시킴으로써 제2작업대(②)를 제외하고 작업을 분배하기 때문에, 제2작업대(②)의 작업 가능 여부를 반복하여 확인하는 낭비를 줄이고 더욱 원활하게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2작업대(②)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작업 진행속도를 고려하여, 전체 작업대에 배분된 작업 과정을 재분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CCFL처리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적용된 CCFL처리부(400)는 처리 과정에서 CCFL 내부에 주입된 수은이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하우징(410)을 구비한다. 밀폐하우징(41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틈새 등이 없도록 하며, 내부를 음압(negative pressure)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음압설비(미도시)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내부 공기가 아래쪽으로 이동 및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부여함으로써,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수은을 지속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밀폐하우징(410)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수은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설비를 구비한다.
한편, 처리 대상이 되는 CCFL을 투입하거나 CCFL이 분쇄된 분쇄물을 배출하는 부분에는 필요한 경우에만 열리는 차단문들(421, 422, 423, 424)을 설치하여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수은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CCFL이 밀폐하우징(410)으로 투입되는 투입구에는 투입구 차단문(421)이 설치되며, 평소에는 투입구를 막아서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공기가 투입구를 통해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CCFL이 투입될 때에만 차단문(421)을 개방한다. 그리고 승강기(430)에서 분쇄기(440)로 연결된 통로에 또 하나의 차단문(422)을 설치하여, 승강기(430)의 컨베이어 이송장치(432)가 위쪽으로 상승하면, 차단문(422)이 열리고 컨베이어 이송장치(432)가 동작하여 CCFL을 분쇄기(440)로 낙하시킨다. 이때, 앞쪽의 투입구 차단문(421)은 닫힌 상태가 되어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승강기(430)를 기준으로 앞과 뒤에 2중의 차단문(421, 422)을 설치하여, 승강기(430)기의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차단문은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적용된 CCFL처리부(400)는, 밀폐하우징(410)의 내부에 CCFL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440)를 구비하며, 분쇄기(440)에 CCFL을 낙하시켜 투입할 수 있도록 승강기(430)를 구비한다.
또한, 밀폐하우징(410)의 내부에는 분쇄기(440)에서 분쇄된 CCFL 분쇄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까지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452, 454)가 설치되고, 자성에 의해서 CCFL 분쇄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자성분리수단(456)이 이송컨베이어(454)에 구비되며, 자성분리수단(456)에 의해서 자성재료와 비자성재료로 분리하여 분쇄물을 수거하기 위한 비자성재료 수거함(462)과 자성재료 수거함(464)이 각각 설치된다.
자성분리수단(456)은 제2이송컨베이어(454) 끝부분의 일정 범위에 자성을 부여함으로써, 비자성재료는 제2이송컨베이어(454) 끝에서 바로 낙하여 그 밑에 위치한 비자성재료 수거함(462)으로 수거되고, 자성재료는 자성분리수단(456)에 의해서 자성이 부여된 벨트에 부착된 채로 비자성재료 수거함(462)의 위를 지나 자성재료 수거함(464)으로 수거되는 것이다. 자성재료 수거함(464)은 자성분리수단(456)에 의해서 자성이 부여된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성이 부여된 영역을 벗어난 자성재료가 컨베이어벨트에서 떨어지면서 자성재료 수거함(464)으로 낙하한다. 자성분리수단(456)은 제2이송컨베이어(454) 끝부분의 일정 범위에 자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구체적인 구조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제2이송컨베이어(454) 끝부분 내부 또는 일부 롤러에 자석 또는 전자석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폐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된 비자성재료 수거함(462)과 자성재료 수거함(464)에서 배출되는 비자성재료와 자성재료를 회수하기 위하여, 밀폐하우징(410)의 외부에 비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472)와 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474)를 설치한다. 비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472)와 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474)는 설치와 회수가 용이하도록 비자성재료 수거함(462)과 자성재료 수거함(464)의 아래쪽에 카트리지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비자성재료 수거함(462)과 자성재료 수거함(464)의 밑면에는 각각 차단문(423, 424)이 설치되어, 비자성재료 수거함(462)과 자성재료 수거함(464)에 소정량 이상의 비자성재료와 자성재료가 모인 경우에만 잠시 차단문을 개방하여 수거된 비자성재료와 자성재료를 밀폐하우징(410)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비자성재료와 자성재료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밀폐하우징(4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양을 최소화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로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로딩부(100)는 적재부(10)와 이송장치(20)를 마주보고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140)과,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 양측에 설치된 수직 레일(13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적재부(10) 또는 이송장치(20)를 향해 신장되거나 본체(110)측으로 수축되어 폐디스플레이(1)를 스택(10)으로부터 인출하고 이송장치(20)에 업로딩 할 수 있는 포크부(120)를 구비한다.
포크부(120)는 두 개가 구비되며 본체(11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폐디스플레이(1)의 폭에 따라 둘 사이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포크부(120)는 수직레일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서 스택(10) 또는 이송장치(20)를 향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포크로 이루어진다.
적재부(10)에는 수거된 폐디스플레이(1)가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보관된다.
폐디스플레이(1)가 스택(10)에서 이송장치(20)로 이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체(110)가 적재부(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포크부(120)는 수직 레일(130)을 따라 수직 이동하며 인출할 폐디스플레이(1)의 높이에 위치된다. 포크가 적재부를 향해 신장되어 인출할 폐디스플레이(1)의 하단에 위치된 후 베이스부가 미세하게 상승하면, 폐디스플레이(1)가 포크부(120) 상에 거치된다. 포크가 본체(110)를 향해 수축되면, 폐디스플레이(1)가 본체(110)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며, 본체(110)가 레일(140)을 따라 이송장치(20)를 향해 이동한다. 이후 포크부(120)의 포크가 이송장치(20)를 향해 신장된 후 수직레일(130)을 따라 하강하면, 폐디스플레이(1)가 이송장치(20) 상에 안착된다. 이 때, 이송장치(20)에는 포크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예컨대, 이송장치(20)는 일정 속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이며 포크부(120)의 포크가 롤러들 사이로 진입하여 폐디스플레이(1)를 이송장치(20) 상에 업로딩 한다.
이송장치(20)의 이송형태는 컨베이어 시스템, 롤러, 이송 트레이 등 공지의 다양한 이송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송장치(20)는 시스템 전체를 통과하는 이송부의 시작부분이거나 이송부에 연결되어, 폐디스플레이(1)가 시스템 내를 이동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 해체 선별 시스템에 포함된 인식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로딩부에서 이송부에 로딩된 폐디스플레이(1)는 이송부의 동작으로 인식부(200)로 이송되며, 인식부(200)는 폐디스플레이(1)의 모델을 인식하여 해당 모델에 따른 작업 매뉴얼을 서버에서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 인식부(200)는 카메라로 구동되는 비젼인식시스템으로서, 검사부 상단에 고정된 라벨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1 카메라(210)와 라벨의 상세 내용을 판독하는 제2 카메라(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카메라(220)는 검사부 내의 수직 이동부(230) 및 수평 이동부(24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먼저 제1 카메라(210)에서 라벨의 위치를 인식하면, 수직 이동부(230) 및 수평 이동부(240)에 의해서 제1 카메라(210)에서 인식한 라벨의 위치로 제2 카메라(220)가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카메라(220)에 의해 포착된 모델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폐디스플레이(1)의 모델을 특정하고, 서버에서 특정된 모델의 작업 매뉴얼을 관리자 제어용 모니터, 작업부에 설치된 작업 모니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 및 작업자는 작업할 폐디스플레이(1)의 분해 공정을 상기 모니터들을 통해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고, 작업 순서, 분리 물질, 분리된 부품의 분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1차 분류만으로 고 부가가치의 재활용 부품을 수거할 수 있으며,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실수 없이 분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문자 판독 시스템을 구비한다. 즉, 라벨에 새겨진 모델명을 인식하여 인식된 모델명으로 작업 대상 폐디스플레이(1)의 모델을 특정한다. 다만, 이러한 판독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에 바코드가 포함된 경우 전원과 연결된 바코드 광원에서 빛을 조사하여 제2 카메라(220)에 읽혀진 바코드를 제어부에서 판독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폐디스플레이(1)에 모델 인식용 RF칩이 있는 경우, RF리더기를 통해 제어부에서 모델을 특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폐디스플레이 2: CCFL 백라이트
10: 적재부 20: 이송장치
100: 로딩부 110: 본체
120: 포크부 130: 수직레일
140: 레일 200: 인식부
210: 제1 카메라 220: 제2 카메라
230: 수직이동부 240: 수평이동부
300: 작업부 310: 작업대
400: CCFL 처리부 410: 밀폐하우징
421, 422, 423, 424: 차단문 430: 승강기
440: 분쇄기 452, 454: 이송컨베이어
456: 자성분리수단 462: 비자성재료 수거함
464: 자성재료 수거함 472: 비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
474: 자성재료 회수 카트리지

Claims (26)

  1. 폐디스플레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재활용 재료를 선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는 이송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에 올리는 로딩부;
    작업자가 이송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폐디스플레이를 해체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작업자에 의해서 해체 선별되고 남은 CCFL 백라이트를 처리하는 CCFL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부에서는 CCFL이 설치된 CCFL 백라이트를 제외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이송부와 분리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상기 작업대로 옮겨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한 뒤에 남은 CCFL 백라이트를 다시 이송부로 옮겨서 다음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가 수행되는 작업대 또는 상기 CCFL처리부로 이송되며,
    적어도 상기 작업대 주변의 이송부는 2개 층으로 구성된 버퍼이송부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이송부의 각 층은, 복수의 작업대 별로 버퍼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폐디스플레이가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 또는 해체 및 선별작업이 수행된 폐디스플레이가 다시 버퍼이송부로 배출되는 배출층으로 기능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동일한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상기 2개 층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는 각 작업대에 할당된 투입층을 통해 해당 작업대에 투입되기 전까지 투입층에서 대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에서, 이전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과 그 다음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이 서로 다르며,
    작업대에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가 각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에 할당된 배출층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까지 대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이송부에서 상기 작업대로 폐디스플레이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CFL처리부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밀폐하우징;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CCFL 또는 CCFL과 그에 연결된 부속부품을 포함하는 CCFL 백라이트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쇄물이 수거되는 비자성재료 수거함과 자성재료 수거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 자성을 인가하는 자성분리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비자성재료 수거함은 상기 분쇄물 중에서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서 바로 낙하되는 비자성재료를 수거하고,
    상기 자성재료 수거함은 상기 분쇄물 중에서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비자성재료 수거함의 위쪽을 지난 뒤에 자력이 제거됨으로써 낙하되는 자성재료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밀폐하우징의 내부를 음압상태로 유지하는 음압설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7. 청구항 5 있어서,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로 상기 CCFL 백라이트를 투입하는 투입구에 설치된 차단문을 포함하며, 필요시에만 상기 차단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CCFL 백라이트를 상기 분쇄기에 넣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가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가 상기 밀폐하우징 내부에 별도로 구분된 밀폐공간에 설치되고,
    승강기가 설치된 공간에 CCFL 백라이트를 투입하는 투입구에 설치된 차단문 및 승강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CCFL 백라이트를 내보내서 분쇄기에 넣기 위한 통로에 설치된 차단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가,
    폐디스플레이가 보관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와 마주보고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수직 레일; 및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를 상기 적재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이송부로 업로딩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와 상기 작업부 사이에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기준으로 작업 매뉴얼을 출력하는 작업 모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비젼인식시스템이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특정하고, 작업 매뉴얼을 작업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가,
    폐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라벨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1 카메라와 라벨의 상세 내용을 판독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제1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여 라벨의 위치를 인식하면,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서 제2 카메라가 라벨의 위치로 이동하여 라벨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15. 폐디스플레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폐디스플레이를 해체하고 재활용 재료를 선별하는 복수의 작업대가 위치한 작업부 및 CCFL 백라이트를 처리하는 CCFL처리부를 포함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에서 폐디스플레이를 해체 및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에 올리는 로딩 단계;
    복수의 작업대가 위치한 작업부로 폐디스플레이를 투입하는 제1 이송 단계;
    상기 작업부에서 작업자들에 의해서 CCFL이 설치된 CCFL 백라이트를 제외한 해체 및 선별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
    상기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를 마치고 남은 CCFL 백라이트를 CCFL처리부로 이송하는 제2 이송 단계; 및
    CCFL처리부에서 CCFL 백라이트를 무인으로 해체 및 선별 처리하는 CCFL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체 및 선별 작업 단계는,
    이송부에 위치하는 폐디스플레이를 작업부의 작업대로 투입하는 투입 단계;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폐디스플레이에 대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단계; 및
    상기 작업 단계에서 해체하고 남은 폐디스플레이를 이송부로 다시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자에 의해서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이 복수의 단계로 수행되어, 상기 이송부가 해체 및 선별 작업의 단계별로 작업대와 작업대 사이에서 폐디스플레이를 이송하며,
    이송부는 적어도 작업대 주변에 2개 층의 버퍼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이송부의 각 층은, 복수의 작업대 별로 버퍼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폐디스플레이가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 또는 해체 및 선별작업이 수행된 폐디스플레이가 다시 버퍼이송부로 배출되는 배출층으로 기능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동일한 작업대에 대한 투입층과 배출층은 상기 2개 층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상기 폐디스플레이는 각 작업대에 할당된 투입층을 통해 해당 작업대에 투입되기 전까지 투입층에서 대기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는 해체 및 선별 작업에서, 이전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과 그 다음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대로 투입되는 투입층이 서로 다르게 배분되며,
    작업대에서 배출된 폐디스플레이가 각 단계의 해체 및 선별 작업에 할당된 배출층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까지 대기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입 단계가 무인 자동 투입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로딩 단계가 무인 자동 로딩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CCFL 처리 단계가, CCFL 백라이트를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물을 자성재료와 비자성 재료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CCFL 처리 단계가, 음압시설이 구비된 밀폐하우징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분쇄물을 자성재료와 비자성 재료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방법이,
    분쇄물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 자성을 인가하는 자성분리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분쇄물 중에서 비자성 재료는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서 바로 낙하되고, 상기 분쇄물 중에서 자성재료는 자성이 인가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비자성 재료가 낙하되는 위치를 지난 뒤에 자력이 제거됨으로써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비자성 재료와 자성 재료가 낙하되도록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단계에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인식하는 인식부를 통과하는 모델 인식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모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에 따른 작업 매뉴얼을 상기 작업 단계에서 해체 및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작업 매뉴얼을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작업 모니터에 작업 매뉴얼을 출력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모델 인식 단계가 무인 자동 인식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동 인식 장치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비젼인식시스템이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폐디스플레이의 모델을 특정하고, 작업 매뉴얼을 작업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동 인식 장치가,
    폐디스플레이에 부착된 라벨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1 카메라와 라벨의 상세 내용을 판독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며,
    제1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여 라벨의 위치를 인식하면, 수직 이동부 및 수평 이동부에 의해서 제2 카메라가 라벨의 위치로 이동하여 라벨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방법.
KR1020190064499A 2019-05-31 2019-05-31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KR20200137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99A KR20200137715A (ko) 2019-05-31 2019-05-31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99A KR20200137715A (ko) 2019-05-31 2019-05-31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715A true KR20200137715A (ko) 2020-12-09

Family

ID=7378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99A KR20200137715A (ko) 2019-05-31 2019-05-31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00B1 (ko) * 2023-02-27 2023-11-20 (주)케이제이더블유솔루션 디스플레이 패널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651A (ko) 2009-12-16 2013-02-27 유니버시티 오브 리머릭 Lcd 디스플레이로부터 유해 물질들의 제거
KR20160095493A (ko) 2015-02-03 2016-08-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651A (ko) 2009-12-16 2013-02-27 유니버시티 오브 리머릭 Lcd 디스플레이로부터 유해 물질들의 제거
KR20160095493A (ko) 2015-02-03 2016-08-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분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00B1 (ko) * 2023-02-27 2023-11-20 (주)케이제이더블유솔루션 디스플레이 패널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3560B (zh) 电子产品多工位自动检测设备
KR20160095493A (ko)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분해장치
US20150346708A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ed removal of workpieces arranged in a container
CN106670127A (zh) 一种屏幕缺陷全自动视觉检测系统
KR20200104086A (ko) 재활용품 자동 분류 수거기
WO2024027187A1 (zh) 基于多工位视觉检测的缺陷手套识别及剔除系统
CN104741326A (zh) 一种全自动贴片led碟片式分光分色机及其工作方法
CN111097704B (zh) 一种基于mes的板式定制家具智能分拣系统
KR20200137715A (ko) 작업 분배 효율이 향상된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CN105923337A (zh) 一种自动化生产线及其运行方法
CN112408155A (zh) 一种仓储物料升降传输装置
WO2013106904A1 (en) Automatic online defective elements-checking-and-removing device for flexographic printing presses
KR100492696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CN105710043A (zh) 一种纽扣分选的方法及系统
CN107891153B (zh) 一种mim全自动摆件设备
JP2013192973A (ja) 破砕ガラスの分別方法および破砕ガラス分別装置
EP3090833A1 (en) Unitized container based abrasive blasting material separation system
KR102022534B1 (ko)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CN108837936A (zh) 一种建筑垃圾的自动分选方法
CN116836031A (zh) 一种无起爆药基础雷管智能化装填生产线及生产方法
US20130181396A1 (en) Automatic Online Defective Elements-Checking-and-Removing Device for Flexographic Printing Presses
TW201729915A (zh) 自動元件分離器
CN204583719U (zh) 一种全自动贴片led碟片式分光分色机
CN104820417B (zh) 智能空间堆叠式装配机器人生产线
CN206104384U (zh) 一种镜头区分搬送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