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02A -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02A
KR20200137602A KR1020190064247A KR20190064247A KR20200137602A KR 20200137602 A KR20200137602 A KR 20200137602A KR 1020190064247 A KR1020190064247 A KR 1020190064247A KR 20190064247 A KR20190064247 A KR 20190064247A KR 20200137602 A KR20200137602 A KR 2020013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uspid valve
angle
tube
cathet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798B1 (ko
Inventor
김준홍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6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7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Devices for obstructing a leak through a native valve in a closed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1Inserts in the coronary sinu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4Means for preventing inversion of the valve leaflets, e.g. chordae tendineae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심장의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삼첨판막(Tricuspid Valve, TV)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서 혈액이 심장내에서 거꾸로 흐르는 질환인 삼첨판막 역류증(Tricuspid Regurgitation, TR)을 카테터 시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는 지지와이어를 밀고 당김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각도조절 카테터를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와이어가 좌우로 회전되어 차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Equipment for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with size adjustment and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장의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삼첨판막(Tricuspid Valve, TV)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서 혈액이 심장내에서 거꾸로 흐르는 질환인 삼첨판막 역류증(Tricuspid Regurgitation, TR)을 카테터 시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데, 즉, 2개의 심방(atrium)과 2개의 심실(ventricle)로 이루어지며, 대동맥, 대정맥, 폐동맥, 폐정맥 등 4가지 혈관과 연결되어 혈액의 이동통로가 된다.
심장 중앙의 심실중격을 기준으로 한쪽은 우심방과 우심실, 다른 한쪽은 좌심방과 좌심실로 나누어진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이 존재하고,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는 승모판막이 존재한다.
심장은 수축과 이완작용을 반복함에 따라 심장이 펌프 역할을 하여, 혈액이 혈관을 따라 흐르게 된다. 심장의 수축기에는 심장 내의 혈액이 혈관으로 전진하는 데, 오른쪽 심장에서는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왼쪽 심장에서는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심방과 심실 사이의 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심장의 수축기에 심실의 혈액이 역류, 즉 심방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우심실의 피가 우심방으로 역류하면 "삼첨판막 역류증"이라 하고,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좌심실의 피가 좌심방으로 역류하면 "승모판막 역류증"이라 한다.
"삼첨판막 역류증(Tricuspid Regurgitation, TR)"은 삼첨판막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아 심장의 수축기에 혈액이 폐동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우심실로 역류하게 되는 데, 이를 '삼첨판막 폐쇄부전증'이라도 한다. 삼첨판막 역류증은 심장의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막이 늘어나거나 찢어지거나, 판막을 고정하는 건삭이 끊어져서 삼첨판막이 닫혀야 할 때 온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삼첨판막 역류증 치료 방식은 인간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하여 수술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즉 Annuloplasty Ring 방법과 Devega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법은 침습도가 높은 수술적 치료를 수행해야 함으로 삼첨판막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단독으로는 수술적 접근을 널리 시행되고 있지는 않다. 즉, 삼첨판막 역류증이 있는 환자에 대한 승모판막 수술이나 관상 동맥 등의 중요 심질환수술시에 상기와 같은 방식의 삼첨판막 역류증 수술적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삼첨판막 역류증 치료를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하여 이루어지는 수술적 방법이 아니라 카테터나 간단한 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시술적 방법에 대한 연구 내지 기대가 전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카테터 기법으로 시술할 수 있는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기구를 제안한 바 있으며(WO2008/060553, 2008.05.22 공개), 또한, 본 발명자가 발명한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기구를 개량하여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안한 바 있고(한국공개번호 10-2015-0144568), 이를 해외 PCT 출원되어 국제공개(WO2015/194816)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5679호에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국제공개 WO2015/194816의 발명을 개량한 발명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한국등록특허 제10-1805679호)는 삼첨판막의 빈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의 크기를 가변하고 차단부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가변할 수 있는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본 발명자의 발명들을 개량한 발명이다.
WO2008/060553 (2008.05.22) WO2015/194816 (2015.12.23) KR 101805679 B1 (2017.11.30)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절개하는 침습적인 수술적 방법이 아니라, 간단한 카테터 기법을 통하여 최소한의 침습으로 치료할 수 있고 시술의 효과도 높일 수 있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에 따라 상이한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공간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부의 크기 및 차단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 맞춤형 시술이 가능한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삼첨판막 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삼첨판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조절 가능한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는 관상정맥동 튜브; 삼첨판막을 횡단하는 삼첨판막 튜브; 상기 삼첨판막 튜브에 삽입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한 각도조절 카테터; 및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에 삽입되되 원위부 끝단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에 결합된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를 감싸는 차단막을 구비하며, 상기 삼첨판막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지와이어를 밀고 당김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를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와이어가 좌우로 회전되어 차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심실중격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스토퍼 이동용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원위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각도조절홈과, 상기 제1각도조절홈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 제2각도조절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각도조절홈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은 상기 지지와이어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폭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는 일측에 형성된 제1와이어관통홀과, 상기 제1와이어관통홀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 제2와이어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와이어의 원위부 끝단은 두 개의 상기 관통홀 중 근위부에 위치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외부로 돌출되고, 두 개의 상기 관통 홀 중 원위부에 위치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외부에서 만곡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와이어는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 내에 밀착되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회전 시 상기 지지와이어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상부의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상부의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카테터적 시술기법으로 환자의 가슴을 절개하지 않아 최소한의 침습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시술의 효과를 증대하고 환자의 회복 기간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으며, 차단부가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환자에 따라 맞춤 시술이 가능하여 시술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삼첨판막 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어 상기 삼첨판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카테터 및 차단부를 도시한 것으로 차단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이동용 튜브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관상정맥동 튜브(10), 삼첨판막 튜브(20), 각도조절 카테터(30), 차단부(40), 스토퍼(50)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10)는 상대정맥을 통해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삼첨판막 튜브(20)는 상대정맥을 통해 삽입되어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 공간(orifice)을 관통하는(횡단하는) 것이다.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10)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20)는 속이 빈 튜브의 형상이며 고무재, 연성 플라스틱재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며, 부드럽고 연성이 높으며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함께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10)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20)는 상부의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서로 인접하고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근위부에는 제1각도조절홈(22)과 제2각도조절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각도조절홈(22)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24)은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의 부분 평면도이다.
상기 제1각도조절홈(22)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24)은 폭방향 길이(W)가 높이방향 길이(h)보다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홈으로 상기 차단부(40)의 위치가 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각도조절홈(22)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24)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3에는 두 개의 상기 조절홈 중 보다 근위부에 형성된 것을 제1각도조절홈(22)이라하고, 두 개의 상기 조절 홈 중 보다 원위부에 형성된 것을 제2각도조절홈(24)이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상기 조절 홈 중 보다 근위부에 형성된 것을 제2각도조절홈(24)이라 해도 무방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에 삽입되는 것으로 속이 빈 튜브의 형상이며, 고무재, 연성 플라스틱재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며, 부드럽고 연성이 높으며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함께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는 근위부에서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원위부에 타공 형성된 제1와이어관통홀(32)과, 상기 제1와이어관통홀(32)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 제2와이어관통홀(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관통홀(32)과 상기 제2와이어관통홀(34)은 상기 지지와이어(42)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도면상에서는 두 개의 관통홀 중 보다 근위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1와이어관통홀(32)이라하고, 두 개의 관통홀 중 보다 원위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2와이어관통홀(34)이라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두 개의 상기 관통홀은 두 개의 상기 조절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 공간(orifice)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부(40)는 지지와이어(42)와 차단막(44)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와이어(42)는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와이어(42)의 원위부 끝단은 상기 제1와이어관통홀(32)과 상기 제1각도조절홈(22)을 관통하여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상기 제2와이어관통홀(34)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24)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 내부에 접합된다.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지지와이어(42)의 일측은 만곡형상을 가지도록 하며, 만곡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와이어(42)가 삼첨판막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빈 공간을 차단한다.
상기 지지와이어(42)는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의 내부에 밀착되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를 좌우로 회전 시, 상기 지지와이어(42)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를 좌우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차단부(40)가 함께 좌우로 움직여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막(44)은 상기 지지와이어(42)를 감싸는 얇은 막(membrane)으로,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 공간(orifice)을 차단하여 심장의 수축 시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막(44)은 연성을 지니나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인체 적합한 재질이 사용되며, 의료용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실리콘, e-PTFE, PTFE 등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카테터 및 차단부를 도시한 것으로 차단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차단부(40)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측면에 만곡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와이어(42)의 일측은 상기 지지와이어(42)의 근위부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와이어(42) 근위부를 밀면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측면에 만곡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와이어(42)의 크기가 커져 상기 차단부(40)가 커지며, 반대로 상기 지지와이어(42)의 근위부를 당기면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측면에 만곡 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와이어(42)가 상기 크기조절 카테터(3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차단부(40)의 크기가 작아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차단부(40)의 크기를 조절 후, 상기 지지와이어(42)의 근위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조절된 상기 지지와이어(42)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차단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환자에 맞게 맞춤 시술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Stopper, 50)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의 끝단이 심실중격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 이동용 튜브(52)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에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의 끝단에 결합된 상기 스토퍼(50)가 함께 상하이동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심실중격에 위치하여 상기 삼첨판막 튜브(20)가 삼첨판막 주변에 밀착되지 않고 떠 있게 하며, 이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20)에 의한 삼첨판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판막 판엽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이동용 튜브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토퍼 이동용 튜브(52)를 상하로 움직이는 모습을 다시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의 근위부를 밀고 당김에 따라 상기 스토퍼(50)가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의 근위부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를 움직인 후, 상기 스토퍼 이동용 튜브(5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차단부(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각도조절 카테터(30)를 좌우로 조절하면 내부에 삽입된 지지와이어(42)가 함께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상기 차단부(40)가 삼첨판막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의 근위부에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30)를 좌우로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삼첨판막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차단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환자에 따라 맞춤 시술이 가능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는 도 1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에서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서로 밀착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첨판막 튜브 및 관상정맥동 튜브는 도 8의 단면과 같이 상부에서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으며, 차단부가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환자에 따라 맞춤 시술이 가능하여 시술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삼첨판막 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어 상기 삼첨판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관상정맥동 튜브
20 : 삼첨판막 튜브
22 : 제1각도조절홈
24 : 제2각도조절홈
30 : 각도조절 카테터
32 : 제1와이어관통홀
34 : 제2와이어관통홀
40 : 차단부
42 : 지지와이어
44 : 차단막
50 : 스토퍼
52 : 스토퍼 이동용 튜브

Claims (7)

  1.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는 관상정맥동 튜브;
    삼첨판막을 횡단하는 삼첨판막 튜브;
    상기 삼첨판막 튜브에 삽입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한 각도조절 카테터; 및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에 삽입되되 원위부 끝단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에 결합된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를 감싸는 차단막을 구비하며,
    상기 삼첨판막 튜브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지와이어를 밀고 당김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를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와이어가 좌우로 회전되어 차단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는
    상기 삼첨판막 튜브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심실중격 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스토퍼 이동용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원위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각도조절홈과, 상기 제1각도조절홈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 제2각도조절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각도조절홈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은 상기 지지와이어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폭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는
    일측에 형성된 제1와이어관통홀과, 상기 제1와이어관통홀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형성된 제2와이어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와이어의 원위부 끝단은 두 개의 상기 관통홀 중 근위부에 위치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외부로 돌출되고, 두 개의 상기 관통 홀 중 원위부에 위치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외부에서 만곡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는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 내에 밀착되어, 상기 각도조절 카테터의 회전 시 상기 지지와이어도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상부의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는
    상부의 미리 정해진 길이까지는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와 상기 삼첨판막 튜브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하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KR1020190064247A 2019-05-31 2019-05-31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KR10224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47A KR102240798B1 (ko) 2019-05-31 2019-05-31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47A KR102240798B1 (ko) 2019-05-31 2019-05-31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02A true KR20200137602A (ko) 2020-12-09
KR102240798B1 KR102240798B1 (ko) 2021-04-15

Family

ID=7378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47A KR102240798B1 (ko) 2019-05-31 2019-05-31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7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0553A1 (en) 2006-11-14 2008-05-22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anscatheter coronary sinus mitral valve annuloplasty procedure and coronary artery and myocardial protection device
WO2015194816A1 (ko) 2014-06-17 2015-12-23 (주)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천판막 역류증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KR101805679B1 (ko) 2017-02-01 2017-12-06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JP6282209B2 (ja) * 2014-10-08 2018-02-2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821183B1 (ko) * 2016-12-23 2018-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향 가능한 카테터를 구비한 의료 장치
WO2018094042A1 (en) * 2016-11-17 2018-05-24 Evalve, Inc. Cardiac implant deliver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0553A1 (en) 2006-11-14 2008-05-22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anscatheter coronary sinus mitral valve annuloplasty procedure and coronary artery and myocardial protection device
WO2015194816A1 (ko) 2014-06-17 2015-12-23 (주)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천판막 역류증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JP6282209B2 (ja) * 2014-10-08 2018-02-2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ケミカル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8094042A1 (en) * 2016-11-17 2018-05-24 Evalve, Inc. Cardiac implant delivery system
KR101821183B1 (ko) * 2016-12-23 2018-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향 가능한 카테터를 구비한 의료 장치
KR101805679B1 (ko) 2017-02-01 2017-12-06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798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8037B2 (ja) 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JP6932890B2 (ja) 位置調節可能な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US10039905B1 (en) Systems for deploying an expandable cardiac shunt
US1013047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alvular regurgitation
US10383729B2 (en) Heart valv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JP2020093122A (ja) 弁膜逆流の治療のための僧帽弁インプラント
JP4447004B2 (ja) 心拍出量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BR112019023672A2 (pt) Stent com válvula para substituição ortotópica de válvula cardíaca disfuncional e sistema de entrega
US20100204662A1 (en) Cardiac valve leaflet augmentation
US20070027533A1 (en) Cardiac valve annulus restraining device
JP2005534419A (ja) 房室弁修復のための装置
US11452599B2 (en) Fluid diversion devices for hydraulic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3537084A (ja) 冠状静脈洞及び三尖弁膜の組職保護器具、結節伝達器具及びこれらを含む僧帽弁膜僧帽弁サークラージ施術用装置
JP2007510525A (ja) 心臓弁輪縮小システム
WO2013152161A1 (en) Treatment of mitral regurgitation
JP2008534084A (ja) 心臓弁輪を再形成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2548954A (ja) 経カテーテル穿刺針システム
JP7019936B2 (ja) 三尖弁逆流症手術用器具
KR102240798B1 (ko) 크기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KR20200132320A (ko) 위치고정튜브를 구비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US20230338028A1 (en) Flexible shunt implants
KR20200090577A (ko) 조립형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JP2023552437A (ja) 心臓弁輪を再成形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システム
CN117355281A (zh) 递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