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01A - 방오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오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01A
KR20200137401A KR1020190063717A KR20190063717A KR20200137401A KR 20200137401 A KR20200137401 A KR 20200137401A KR 1020190063717 A KR1020190063717 A KR 1020190063717A KR 20190063717 A KR20190063717 A KR 20190063717A KR 20200137401 A KR20200137401 A KR 2020013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resin
composition
weight
antifoul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수
남태구
서정훈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06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401A/ko
Publication of KR2020013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75Polyorganosiloxane-contai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폴리실록산 수지 및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 또는 측쇄에 실란올기(-SiO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를 포함하는, 방오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오 도료 조성물{COAT COMPOSITION FOR ANTIFOULING}
본 발명은 방오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방오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중에 침지되는 보트 및 선체 등의 인공 구조물은 녹조 및 갈조류, 따개비, 홍합 등과 같은 수중 생물에 의해 표면 오염(fouling)이 발생하기 쉽다. 보트 및 선체의 이러한 오염은 해수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동안 마찰을 증가시켜 속도를 저하시키고 연료비를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보트 및 선체는 통상적으로 방오 코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인 보트 및 선체의 방오 코팅은 방청 효과를 갖는 하도, 장기 해수 노출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상도 및 하도와 상도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중도를 포함한다.
특히, 실리콘계 상도 도료는 소수성, 슬립(slip)성 및 탄성 계수 특성화 등을 통한 표면 특성으로 방오 특성을 발휘하며, 방오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계 상도 도료는 실리콘 원료를 주로 포함하여 에폭시가 메인 성분인 방청 하도 도료와의 상용성 및 부착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475,802호(특허문헌 1)에는 반응성기를 2개 이상 갖는 경화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블록 코폴리머, 및 오르가노실리콘 가교결합제 및/또는 촉매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조성물은 2개 이상의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의 구조별 특징에 따라 장단기 방오성이 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오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방오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475,802호 (공개일: 2010.2.16.)
이에, 본 발명은 방오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방오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폴리실록산 수지 및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 또는 측쇄에 실란올기(-SiO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를 포함하는, 방오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 도료 조성물은 방오성 및 슬립성이 우수하여 수중에 침지되는 인공 구조물의 상도 도료로 매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오 도료 조성물은 제1 폴리실록산 수지 및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한다.
제1 폴리실록산 수지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조성물의 주수지로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에 낮은 표면 에너지 및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 및 경화제와 가교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 또는 측쇄의 규소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OH), 구체적으로는 실란올기(-SiOH)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h는 1 내지 10,000의 정수, 구체적으로 100 내지 5,000의 정수, 또는 200 내지 1,000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OH), C1-18의 알킬, C2-18의 알케닐 또는 C6-18의 아릴이고,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 C1-10, C1-8, C1-6, C1-4 또는 C1-2의 알킬일 수 있고, R8은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 및 알케닐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h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조성물의 건조성, 경화성 및 장기 방오성이 향상되고, R6, R7 및 R8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도막의 슬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 1,000 내지 10,000 cp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 2,000 내지 7,000 cps, 또는 2,000 내지 6,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의 점도가 상기 범위일 경우, 조성물의 건조성, 경화성 및 장기 방오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5 내지 40 중량부의 제2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20 내지 55 중량부, 또는 30 내지 5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적정한 모듈러스를 갖고 표면 특성이 소수성인 도막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폴리실록산 수지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제조된 도막에 표면 특성(친수 또는 소수)을 부여하고, 슬립성을 부여하여 방오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에 규소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1 내지 50의 정수, 구체적으로, 5 내지 40의 정수, 10 내지 35의 정수, 10 내지 30의 정수 또는 15 내지 25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n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20의 실수, 구체적으로, 2 내지 10의 실수, 3 내지 8의 실수, 4 내지 7의 실수 또는 5 내지 6의 실수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8의 알킬, C2-18의 알케닐 또는 C6-18의 아릴이다. 구체적으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 C1-10, C1-8, C1-6, C1-4 또는 C1-2의 알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 및 알케닐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R5는 C1-10의 알킬렌, 구체적으로, C1-8, C1-5, C1-4, 또는 C1-3의 알킬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렌은 알킬기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분지쇄, 직쇄 또는 고리형인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알킬렌은 메틸렌(-CH2-), 1,1-에틸렌(-CH(CH3)-), 1,2-에틸렌(-CH2CH2-), 1,1-프로필렌(-CH(CH2CH3)-), 1,2-프로필렌(-CH2CH(CH3)-), 1,3-프로필렌(-CH2CH2CH2-), 1,4-부틸렌(-CH2CH2CH2CH2-), 2,4-부틸렌(-CH2(CH3)CH2CH2-)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 점도가 100 내지 1,000 cp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의 점도가 200 내지 600 cps, 또는 300 내지 500 cps일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건조성, 경화성, 저장성 및 표면 레벨링성이 적절한 도막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건조성, 경화성, 표면 레벨링성 및 장기 방오성이 우수한 도막을 제조할 수 있다.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
상기 조성물은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제조된 도막의 표면 레벨링성, 슬립성 및 방오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말단에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9는 C1-10의 알킬렌, C2-10의 알케닐렌, 또는 C6-10의 아릴렌이고, j는 20 내지 400의 정수이며, R10은 C2-10의 아크릴레이트이다.
구체적으로, R9는 C1-8, C1-5, C1-4, 또는 C1-3의 알킬렌이고, R10은 C2-8 또는 C2-5의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이때, 알케닐렌은 알케닐(alkenyl)기의 탄소 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분지쇄 또는 직쇄 또는 고리형인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아릴렌은 아릴(aryl)기의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 내지 50,000g/mol, 또는 10,000 내지 3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도막의 슬립(slip)성 및 상용성에 효과가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부, 0.1 내지 9.0 중량부, 또는 0.2 내지 8.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도막의 표면 레벨링성 및 하도와의 부착성이 향상된다.
용제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 및 제조된 도막의 외관 특성 및 건조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이소아밀케톤, 에틸프로필케톤 및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프로필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톡시 프로판올 및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및 2-에틸 헥산올, iso-부탄올, n-부탄올, 프로판올 및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를 들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의 특성이나 휘발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의 시판품으로는 코코졸 #100, 코코졸 #15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 내의 용제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도막의 작업성, 흐름성 및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다.
첨가제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강도 보강제, 안료, 경화제 및 경화 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40 중량부, 5 내지 30 중량부, 또는 8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제는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제는 통상적으로 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강도 보강제는 흄드 실리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강도 보강제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제조된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도막에 메탈릭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이펙트 안료, 도막형성 물질과 조합하여 색상 및 은폐 효과를 부여하는 착색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펙트 안료의 예로는, 수성화 처리된 알루미늄 플레이크, 마이카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안료의 예로는, 옥사이드계의 무기 안료, 아조(Azo), Vat 안료를 함유하는 폴리사이클릭계의 유기 안료, 안트라퀴논계의 유기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료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제1 폴리실록산 수지의 말단 또는 측쇄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통상적으로 방오 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는 실리케이트계 올리고머, 옥심계 실란, 실란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제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3 내지 8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매는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하는 역할, 조성물의 경화시간을 조절하는 역할, 및 균일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 촉매는 유기 금속계 촉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계 촉매는 예를 들어, 옥틸산납, 옥틸산납과 같은 납계 촉매; 옥틸산아연과 같은 아연계 화합물;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와 같은 주석계 화합물; 옥틸산 칼슘, 네오데칸산 칼슘과 같은 칼슘계 화합물; 바륨계 화합물; 비스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다만, 상기 경화 촉매로 납계 촉매를 사용할 경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0ppm 이하의 양으로 사용해야 하며, 주석계 촉매(예를 들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0ppm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 촉매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100 KU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60 내지 95 KU, 또는 70 내지 90 KU일 수 있다.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 및 흐름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오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 내지 90 중량%, 또는 70 내지 85 중량%일 수 있다. 방오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조성물의 작업성, 흐름성 및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오 도료 조성물은 방오성 및 슬립성이 우수하여 수중에 침지되는 인공 구조물의 상도 도료로 매우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방오 도료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성분들을 혼합하여 방오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제1 폴리실록산 수지 40 50 43.8 35 60 42.5 42.5
제2 폴리실록산 수지 20 15 17.5 18.5 - - -
폴리실록산-1 - - - - - 19  -
폴리실록산-2 - - - - - - 19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 1.5 - 0.2 8.0 1.5 -  - 
강도 보강제 6 5 6 6 6 6 6
안료 4.5 4 4.5 4.5 4.5 4.5 4.5
경화제 5.5 4 5.5 5.5 5.5 5.5 5.5
경화 촉매 2.5 2 2.5 2.5 2.5 2.5 2.5
용제-1 10 10 10 10 10 10 10
용제-2 10 10 10 10 10 10 10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의 물성, 제조사 및 제품명 등은 표 2에 나타냈다.
성분 제조사 및 제품명 비고
제1 폴리실록산 수지 - 하이드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25℃에서의 점도: 5,000cps)
제2 폴리실록산 수지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됨.
Figure pat00004

이때, n 및 l은 각각 5.5이고, m은 21임.
(25℃에서의 점도: 380cps)
폴리실록산-1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됨.
Figure pat00005

이때, a는 20이고, b는 9임.
폴리실록산-2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됨.
Figure pat00006

이때, c는 2.5이고, d는 9이며, e는 55임.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 제조사: 바스프,
제품명: Efka® FL 3770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됨.
Figure pat00007

이때, 상기 화합물의 Mw는 15,000g/mol임.
강도 보강제 제조사: 에로실
제품명: AEROSIL® R 972
흄드 실리카(비표면적: 110±20)
안료 - Fe2O3
경화제 -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이때, x는 4 내지 5임.
Figure pat00008
경화 촉매 -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용제-1 - 아세틸아세톤
용제-2 크실렌
시험예: 상도 도료 조성물의 방오성 평가
하도가 도장된 시편에 중도 도료 조성물(제조사: KCC, 제품명: Lo-Frick T200)을 35㎛의 두께로 벨 도장하고, 150℃에서 25분 동안 1차 경화시켰다. 이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도 도료 조성물을 15㎛의 두께로 벨 도장하고, 80℃의 건조로에서 3분 동안 도료 내에 잔존하는 물을 증발시켰다(건조). 이후 150℃에서 25분 동안 2차 경화시켜 최종 도막을 형성하였다. 최종 도막의 방오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도장된 시편을 6개월 또는 12개월 동안 해양에 침지한 후 이미지 분석법으로 시편의 오염 면적을 측정하였다.
정체 방오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오염 면적%
(6개월)
0.00 3.0 1.5 2.1 11.80 2.80 3.00
오염 면적%
(12개월)
3.10 8.1 6.0 6.5 29.40 11.50 15.20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상도 도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방오성이 우수하다. 특히,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1, 3 및 4는 매우 우수한 방오성을 보였다.
반면,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방오성이 현저히 부족하다. 또한, 제2 폴리실록산 수지 대신 측쇄 또는 중합체의 중간에 친수기인 에틸렌옥사이드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수지를 함유하는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막은 장기 방오성이 부족하다.

Claims (6)

  1. 제1 폴리실록산 수지 및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 또는 측쇄에 실란올기(-SiO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말단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를 포함하는, 방오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오 도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고,
    n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20의 실수이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8의 알킬, C2-18의 알케닐 또는 C6-18의 아릴 이고,
    R5는 C1-10의 알킬렌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 점도가 1,000 내지 10,000 cps이고,
    상기 제2 폴리실록산 수지는 25℃에서 점도가 100 내지 1,000 cps인, 방오 도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 및 5 내지 40 중량부의 제2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방오 도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방오 도료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9는 C1-10의 알킬렌, C2-10의 알케닐렌, 또는 C6-10의 아릴렌이고,
    j는 20 내지 400의 정수이며,
    R10은 C2-10의 아크릴레이트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불소계 수지는 20 내지 55 중량부의 제1 폴리실록산 수지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방오 도료 조성물.
KR1020190063717A 2019-05-30 2019-05-30 방오 도료 조성물 KR20200137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17A KR20200137401A (ko) 2019-05-30 2019-05-30 방오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17A KR20200137401A (ko) 2019-05-30 2019-05-30 방오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01A true KR20200137401A (ko) 2020-12-09

Family

ID=7378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17A KR20200137401A (ko) 2019-05-30 2019-05-30 방오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4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802B1 (ko) 2007-05-01 2014-12-23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경화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코폴리머를 기재로 하는 방오성 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802B1 (ko) 2007-05-01 2014-12-23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경화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코폴리머를 기재로 하는 방오성 코팅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524B2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antifouling substrate, and method for improving storage stability of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s
US10947409B2 (en) Fouling release coatings
KR100250342B1 (ko) 코팅용 수지 조성물
EP2172523B1 (en) Process for Producing 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and Base Material Coated with Composition Obtained by the Production Process
US5958116A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JP6964728B2 (ja)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積層防汚塗膜、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KR101410268B1 (ko) 2-성분 수분 경화성 코팅 조성물
US9676946B2 (en) Coating composition
JP7160614B2 (ja) ポリシロキサンをベースとする硬化性組成物
WO2018123928A1 (ja)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方法
US20030069351A1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KR20210053956A (ko)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및 방오도막 부착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88653A (ja) 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基材および防汚基材の製造方法
US4886551A (en) Method for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and increasing the sliding ability of coated surfaces and improved coating materials
KR20140120675A (ko) 방오도료용 콜로이드 실리카 바인더,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오도료 조성물
JPH10316933A (ja) 防汚塗料組成物
KR20200137401A (ko) 방오 도료 조성물
WO2023054487A1 (ja) 防汚塗料組成物
CN115038760B (zh) 涂料组合物
KR100894242B1 (ko) 오염 방지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막
AU750449B2 (en) Low VOC coating composition
KR20210007765A (ko) 방오용 중도 도료 조성물
JP4117992B2 (ja) 塗料組成物
JP2019143110A (ja) 防汚塗料組成物、防汚塗膜、防汚塗膜付き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汚塗料組成物の貯蔵安定性の改善方法
JP2022151835A (ja) 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