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300A -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300A
KR20200137300A KR1020190063416A KR20190063416A KR20200137300A KR 20200137300 A KR20200137300 A KR 20200137300A KR 1020190063416 A KR1020190063416 A KR 1020190063416A KR 20190063416 A KR20190063416 A KR 20190063416A KR 20200137300 A KR20200137300 A KR 20200137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inclined support
steel pipe
abutment
circula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275B1 (ko
KR102228275B9 (ko
Inventor
최진웅
김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9006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75B1/ko
Publication of KR10222827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7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의 제1 면에 의하면,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경사 지지부(10);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20); 및 경사 지지부(10)의 타단에서 접속 슬래브(CS)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Prevention device from the Lateral Deflection of a approach slab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접속슬래브가 공용중에 뒷채움부 침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처짐 현상을 교대의 흉벽에 대한 모멘트 전이를 통하여 방지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시공성이 우수한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뒤채움 방법은 교대(30)와 도로성토부(18)를 독립적으로 시공한 후 뒤채움부(10)를 시공하게 되며, 이 때, 도로성토부(18)의 경우 안식각을 확보하기 위해 경사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뒤채움재료로는 교대 구조물이 완성된 후 실시하는 뒤채움 작업시 교대(30)에 인접한 뒤채움부(10)의 경우 다짐장비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는 동시에 도로성토부(18)와 비교시 급속다짐 시공을 하게 되므로 다짐작업이 용이하도록 입도분포가 좋은 도로 보조기층재(SB-1 또는 SB-2)를 사용하여 90% 다짐 규정이 적용되는 도로성토부(18)보다 강화된 95% 다짐이 되도록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뒤채움 방법은 도로성토부(18)의 경사시공으로 인해 다량의 뒤채움재가 필요하게 되고 뒤채움부(10)와 접촉하는 접속슬래브(4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량이 건설되는 동안 다져지고 공사차량 등의 하중으로 자연히 다져진 도로성토부(18)와 급속시공한 뒤채움부(10) 사이에는 다짐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뒤채움부(10) 상부에 자리하며 뒤채움부(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접속슬래브(40)는 공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침하가 발생하게 되며, 접속슬래브(40)의 침하가 발생한 경우 주행중인 차량에 의해 충격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승차감이 불량하며, 접속슬래브(40)를 계속적으로 유지관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제733592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 뒤채움부 구조는 입자가 크고 입도가 불량한 골재를 뒤채움재로 사용하여 기시공된 교대와 도로성토부 사이에 형성되는 교대 뒤채움부의 교대측에 교대축과 평행하게 소정폭으로 다짐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무다짐으로 시공되는 무다짐 뒤채움부와, 상기 무다짐 뒤채움부와 무다짐 뒤채움부 시공시 기시공된 도로성토부로부터 연장 시공되는 도로성토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막과, 연장 시공되는 도로성토부 중 상기 무다짐 뒤채움부에 인접하는 구간에 형성되는 다짐도가 낮은 전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 슬래브의 처짐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에 의하더라도 다짐공극으로 인하여 장기 공용 하중에 따른 다짐부가 침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반복적으로 침하가 발생하는 양에 따라 접속 슬래브의 상단에 아스팔트 포장 덧씌우는 방식으로 처짐을 보상해주고 있다.
이러한 덧씌우식 방식은 반복적인 시공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와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접속슬래브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 접속 슬래브의 처짐 방지를 위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향상된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와 그에 대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면에 의하면,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경사 지지부(10);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20); 및 경사 지지부(10)의 타단에서 접속 슬래브(CS)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경사 지지부(10)는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또한, 경사 지지부(10)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의 내부에 구비된 철근(14) 및 원형 강관(12) 내에서 철근(14)에 대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1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은 교대(B)의 배면(BR)에 위치한 뒷채움부(C)에 대하여 경사지게 굴착된 후에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형성된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어 접속 슬래브(CS)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R1) 또는 횡방향 철근(R2)에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22)와, 밀착부재(22)와 교대(B)의 배면(BR) 사이에서 완충역할과 미끄럼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대(B)의 배면(BR)에는 밀착부(2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턱(42)을 가진 안착홈(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에 내재된 철근(14)이 연장되어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게 노출된 결합 철근(32)과,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과 일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형 강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슬래브(CS)에 평행하게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제2 면에 의하면, 교대(B)의 배면(BR)에 다져진 뒷채움부(C)에 대하여 굴착장비(D)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굴착 영역(CH)을 형성하는 제1 단계; 뒷채움부(C)에 형성된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밀착부(20)와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하여 밀착부(20)나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단부가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단계;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에 철근(14)을 삽입하여 콘크리트(16)로 일체화하여 타설하며,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3 단계;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 노출된 철근(14)은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 또는 횡방향 철근(R2)에 결속시키는 제4 단계; 및 접속 슬래브(CS)와 일체로 콘크리트 몰탈(34)을 타설하여 결합부(30)를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면에 의하면, 공용중인 접속 슬래브(CS)의 경우 접속 슬래브(CS)의 상부에서 일정 영역의 개구(50)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접속 슬래브(CS)의 개구(50)의 영역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경사지게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 영역을 형성한 후에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및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이 뒷채움부(C)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된 부분에서 접속 슬래브(CS)에 평행한 방향으로 접속 슬래브(CS)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를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접속 슬래브의 처짐 방지를 위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향상된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와 그에 대한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조인트교량에 적용되는 뒤채움 방법을 일체식교대 교량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특허 제733592호에 따른 접속슬래브의 침하방지를 위한 교대 뒤채움부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신규 교량 접속슬래브 시공에 따른 시공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공용중인 도로에 대한 시공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따른 처짐량 비교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신규 교량 접속슬래브 시공에 따른 시공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의하면,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경사 지지부(10),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20), 및 경사 지지부(10)의 타단에서 접속 슬래브(CS)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사 지지부(10)는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강체로 이루어진다. 이 때,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 원형 강관(12)의 내부에 구비된 철근(14), 및 원형 강관(12) 내에서 철근(14)에 대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16)로 이루어진다.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은 교대(B)의 배면(BR)에 위치한 뒷채움부(C)에 대하여 경사지게 굴착된 후에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삽입된다. 뒷채움부(C)의 굴착 영역(CH)에 삽입된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부에 철근(14)이 인입된 후에 철근(14)에 대하여 콘크리트(16)가 타설되어 일체화된다.
한편,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 내에 현장에서 철근(14)과 콘크리트(16)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는 대신에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형성된 경사 파일(미도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형성된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어 접속 슬래브(CS)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R1)
또한,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밀착부(20)는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22)와, 밀착부재(22)와 교대(B)의 배면(BR) 사이에서 완충역할과 미끄럼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탄성부재(2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밀착부(20)의 밀착부재(22)는 경사 지지부(10)의 일단부가 교대(B)의 배면(BR)에 대응하는 면을 가진 단부로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속 슬래브(CS)의 공용 사용시에 결합부(30)를 통하여 경사 지지부(10)로 전달되는 힘의 모멘트에 대항하여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B)의 배면(BR)에는 밀착부(2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턱(42)을 가진 안착홈(40)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교대(B)의 배면(BR)에는 안착턱(42)에 대하여 경사 지지부(10)의 단부인 밀착부(20)가 지지되어 걸림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접속 슬래브(CS)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에 내재된 철근(14)이 연장되어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게 노출된 결합 철근(32)과,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과 일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34)로 이루어진다.
한편, 경사 지지부(10)가 원형 강관(12)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형 강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결합부(30)의 원형 강관(미도시)은 접속 슬래브(CS)에 평행하게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먼저, 교대(B)의 배면(BR)에 다져진 뒷채움부(C)에 대하여 굴착장비(D)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굴착 영역(CH)을 형성한다.
이후, 뒷채움부(C)에 형성된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밀착부(20) 및/또는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하여 밀착부(20)나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단부가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에 철근(14)을 삽입하여 콘크리트(16)로 일체화하여 타설한다. 이 때,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 노출된 철근(14)은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 또는 횡방향 철근(R2)에 결속시킨다.
이후, 접속 슬래브(CS)와 일체로 콘크리트 몰탈(34)을 타설하여 결합부(30)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공용중인 도로에 대한 시공과 관련하여 도 5에 설명과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중인 접속 슬래브(CS)의 경우 접속 슬래브(CS)의 상부에서 일정 영역의 개구(50)를 형성한다.
이후, 접속 슬래브(CS)의 개구(50)의 영역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경사지게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 영역을 형성한 후에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한다.
이후,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에 철근(14)을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16)를 타설하여 철근(14)과 일체화시키며, 이 때, 철근(14)의 일부는 원형 강관(12)의 단부에서 접속 슬래브(CS) 방향으로 노출되어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이나 횡방향 철근(R2)에 결속되도록 한다.
이후, 접속 슬래브(CS)의 개구(50)에 대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접속 슬래브(CS)와 일체로 거동되는 결합부(30)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의하면, 접속 슬래브(CS)의 공용에 따라 처짐 현상에 따른 모멘트를 교대(B)의 배면(BR)에 작용하는 경사 지지부(10)의 부모멘트에 의하여 접속 슬래브(CS)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가 제공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비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의한 처짐 현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슬래브 단면은 동일(
Figure pat00001
는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기존 접속슬래브(캔틸레버)에 의한 처짐 정도를 나타내는
Figure pat00002
에 있어서 처짐계수 a에 대한 값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E는 탄성계수이며,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며, w는 단위 중량이다.
접속슬래브길이 6m 7m 8m(기준) 9m 10m
a 162 300 512 820 1250
비율 0.3 0.6 1.0 1.6 2.4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에 의할 경우, 처짐계수 a에 대한 값은 다음과 같다.
6m 7m 8m 9m 10m
지점위치 1m a 99 198 357 597 941
비율 0.6 0.7 0.7 0.7 0.8
지점위치 2m a 52 118 232 412 680
비율 0.3 0.4 0.5 0.5 0.5
지점위치 3m a 20 60 135 264 464
비율 0.1 0.2 0.3 0.3 0.4
지점위치 4m a 2 20 64 148 290
비율 0.1 0.1 0.1 0.2 0.2
지점위치 5m a -4 -2 17 65 156
비율 0 0 0 0.1 0.1
이와 관련된 교대로부터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른 처짐계수는 도 8과 같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0: 경사 지지부
12: 원형 강관
14: 철근
16: 콘크리트
20: 밀착부
22: 밀착부재
24: 탄성부재
30: 결합부
32: 결합 철근
34: 콘크리트 몰탈
40: 안착홈
50: 개구
42: 안착턱
B: 교대
BR: 배면
C: 뒷채움부
CH: 굴착 영역
CS: 접속 슬래브
D: 굴착장비
G: 거더
R1: 종방향 철근
S: 바닥판

Claims (23)

  1.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경사 지지부(10);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20); 및
    경사 지지부(10)의 타단에서 접속 슬래브(CS)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는 교대(B)의 배면(BR)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는 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는 원형 강관(12)의 내부에 구비된 철근(14) 및 원형 강관(12) 내에서 철근(14)에 대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은 교대(B)의 배면(BR)에 위치한 뒷채움부(C)에 대하여 경사지게 굴착된 후에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형성된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어 접속 슬래브(CS)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R1) 또는 횡방향 철근(R2)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22)와, 밀착부재(22)와 교대(B)의 배면(BR) 사이에서 완충역할과 미끄럼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22)와, 밀착부재(22)와 교대(B)의 배면(BR) 사이에서 완충역할과 미끄럼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일단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22)와, 밀착부재(22)와 교대(B)의 배면(BR) 사이에서 완충역할과 미끄럼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밀착부(20)의 탄성부재(24)는 탄성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교대(B)의 배면(BR)에는 밀착부(2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턱(42)을 가진 안착홈(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에 내재된 철근(14)이 연장되어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게 노출된 결합 철근(32)과,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과 일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결합부(30)는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원형 강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접속 슬래브(CS)에 평행하게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18. 교대(B)의 배면(BR)에 다져진 뒷채움부(C)에 대하여 굴착장비(D)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굴착 영역(CH)을 형성하는 제1 단계;
    뒷채움부(C)에 형성된 굴착 영역(CH)에 대하여 밀착부(20)와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하여 밀착부(20)나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의 단부가 교대(B)의 배면(BR)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단계;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에 철근(14)을 삽입하여 콘크리트(16)로 일체화하여 타설하며,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는 철근(1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3 단계;
    경사 지지부(10)의 타단부에 노출된 철근(14)은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에 평행하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 또는 횡방향 철근(R2)에 결속시키는 제4 단계; 및
    접속 슬래브(CS)와 일체로 콘크리트 몰탈(34)을 타설하여 결합부(30)를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단계 전에 교대(B)의 배면(BR)에 경사 지지부(10)가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안착턱(42)을 구비한 안착홈(4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20. 공용중인 접속 슬래브(CS)의 경우 접속 슬래브(CS)의 상부에서 일정 영역의 개구(50)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접속 슬래브(CS)의 개구(50)의 영역에서 교대(B)의 배면(BR)에 경사지게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 영역을 형성한 후에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및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이 뒷채움부(C)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된 부분에서 접속 슬래브(CS)에 평행한 방향으로 접속 슬래브(CS)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를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 내에 철근(14)을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16)를 타설하여 철근(14)과 일체화시키며, 이 때, 철근(14)의 일부는 원형 강관(12)의 단부에서 접속 슬래브(CS) 방향으로 노출되어 접속 슬래브(CS)의 종방향 철근(R1)이나 횡방향 철근(R2)에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결합부(30)는 접속 슬래브(CS)의 개구(50)에 대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접속 슬래브(CS)와 일체로 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경사 지지부(10)의 원형 강관(12)이 뒷채움부(C)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된 부분에서 원형 강관(미도시)로 이루어진 결합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90063416A 2019-05-29 2019-05-29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2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16A KR102228275B1 (ko) 2019-05-29 2019-05-29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16A KR102228275B1 (ko) 2019-05-29 2019-05-29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00A true KR20200137300A (ko) 2020-12-09
KR102228275B1 KR102228275B1 (ko) 2021-03-16
KR102228275B9 KR102228275B9 (ko) 2021-11-19

Family

ID=7378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16A KR102228275B1 (ko) 2019-05-29 2019-05-29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32B1 (ko) 2020-12-17 2021-07-22 (주)공명 처짐 방지용 가변형 강재 거더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964B1 (ko)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단차 저감을 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결합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61B1 (ko) * 2018-07-14 2018-12-13 이현웅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KR101936597B1 (ko) * 2017-08-04 2019-01-0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 및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을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597B1 (ko) * 2017-08-04 2019-01-0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 및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을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KR101929161B1 (ko) * 2018-07-14 2018-12-13 이현웅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32B1 (ko) 2020-12-17 2021-07-22 (주)공명 처짐 방지용 가변형 강재 거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275B1 (ko) 2021-03-16
KR102228275B9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00B1 (ko)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CN204418003U (zh) 一种桥梁台后处理组合系统
KR102228275B1 (ko)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3741595A (zh) 一种用于治理桥头跳车的桥头结构
CN203716051U (zh) 一种基于软土地基上的桥头结构
CN108221528B (zh) 路基建筑搭接结构及施工方法
CN107587420B (zh) 一种桥台引道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10075B1 (ko) 지지용 강빔이 적용된 pc벽체를 이용한 모듈식 지하구조물의 탑 다운 시공방법과,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CN109826230B (zh) 一种市政道路管线加固保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10114296A (ko)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CN105821771A (zh) 高填方城市快速路下超长箱桥顶进施工工艺及其施工结构
JP4874739B2 (ja) 軟弱地盤上への盛土の構築方法及びその盛土構造物
KR101710718B1 (ko) Pc 벽체와 pc슬래브의 연결방법과, 그 연결방법이 적용되어 시공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JP5021526B2 (ja) アンダーパスの造成方法及び上部工桁と地中壁との結合構造
CN209975357U (zh) 一种桥梁伸缩缝锚固结构
CN106816848A (zh) 装配式暗电缆沟
CN102966046B (zh) 一种u型桥台的台身外倾加固方法
Han et al. Recent development of geosynthetic-reinforced column-supported embankments
CN111622035A (zh) 一种基于对称整体式悬挑结构的库区既有道路拓宽改造方法
CN215104595U (zh) 一种路桥过渡装置
KR20000044700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변위 허용을 위한 채움 조인트 시공방법
CN216193941U (zh) 一种新型桥台结构
KR200233617Y1 (ko) 라멘교
KR20020025856A (ko) 무다짐 교량 뒤채움 공법을 이용한 접속슬래브 침하최소화 공법
CN111794041B (zh) 与悬挑结构结合的道路路基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