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161B1 -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9161B1 KR101929161B1 KR1020180081946A KR20180081946A KR101929161B1 KR 101929161 B1 KR101929161 B1 KR 101929161B1 KR 1020180081946 A KR1020180081946 A KR 1020180081946A KR 20180081946 A KR20180081946 A KR 20180081946A KR 101929161 B1 KR101929161 B1 KR 101929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ternate
- slope
- lateral flow
- road
- arch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측방유동이 발생한 교대의 배면측 뒷채움 성토체(18)를 걷어내어 제거함으로써 교대 배면측을 무성토 공간(50)으로 만든 후 이 무성토 공간 상부에 일단(72)은 교대(30)에 회전지지되고 타단(74)은 사면성토층(10) 지중에 고정지지되는, 상향으로 볼록한 아치구조물(70)을 축조하여 도로 교량간 차량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측방유동이 발생한 교대의 배면측 뒷채움 성토체(18)를 걷어내어 제거함으로써 교대 배면측을 무성토 공간(50)으로 만들어 교대(30)에 작용하는 성토하중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기 때문에 종래 국부적 개.보수 공법과 차별된다.
Description
구분 |
계 |
성토체 침하 수평변형 |
연약지반 측방유동 |
콘크리트 팽창압 |
|
교량수 | 197 | 119 | 39 | 30 | 9 |
교대수 | 255 | 161 | 50 | 33 | 11 |
구분 | 교대수 | 성토구간 | 연약지반 |
전체교량 | 10,598 | 8,792(83%) | 1,806(17%) |
변위발생교대 | 255 | 201(78.8%) | 54(21.2%) |
비율 | 2.4% | 2.28% | 2.99% |
구분 | 소계 | 5m 미만 | 5-10m | 10-15m | 15m 이상 |
전체교량 | 10,598 | 2,519(23.8%) | 4,426(41.7%) | 2,584(24.4%) | 1,.069(10.1%) |
변위발생교량 | 255 | 25(9.8%) | 93(36.4%) | 81(31.8%) | 56(22%) |
비율 | 2.4% | 0.99% | 2.10% | 3.13% | 5.24% |
조치구분 |
소계 |
수평변위 발생원인 | 조치내용 |
||
성토변형 | 연약지반 | 포장팽창 | |||
소계 | 255 | 161 | 50 | 44 | |
변위억제 |
26 |
16 |
5 |
5 |
지반보강, 브라켓, 앵커설치 |
유간확보 |
102 |
50 |
24 |
28 |
신축이음교체, 바닥판 및 거더절단 |
지속관찰 |
123 |
91 |
21 |
11 |
변위 및 손상발전 지속관찰 |
기타 | 4 | 4 | - | - | 균열보수 등 |
도 2는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교대의 측방유동토압 기본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종래 신규 교량 축조시 도로성토체 상면까지 2차 성토(사면성토)한 것을 도시한 도면(A)과, 상기 사면성토층 상면과 교대의 배면 사이의 공간에 도로성토체 상면 높이까지 교대 뒷채움 성토체를 채울 경우 교대가 측방유동 현상을 보이는 것을 도시한 도면(B) 및 교대에 측방유동현상이 발생할 경우 본 발명의 제1단계로서 사면성토층 상면과 교대의 배면 사이의 공간에 도로성토체 상면 높이까지 채워져 있던 교대 뒷채움 성토체를 걷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사면성토층 상면과 상기 교대의 배면 사이를 빈 공간으로 만드는 본 발명 제1단계(C)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교대 배면측에, 후술하는 아치구조물의 일단을 교대에 회전지지하여 거치하기 위한 후면 결합대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교대 뒷채움 성토체를 걷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사면성토층 상면과 교대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대하여 일단부는 후면 결합대에 회전지지되고 타단부는 사면성토층에 매립 고정되어 사면성토층과 일체화되는, 상향으로 볼록한 아치구조물을 축조하는 본 발명의 제3단계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 상부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물의 양단 지지구조 개념도이다.
도 7(A)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 상부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물의 일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 및 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아치 구조물 타단부가 사면성토층에 매립되어 사면성토층과 일체화되게 고정되는 확대기초부의 일 실시예 단면도로서, 도 7(A)의 A 부분을 상세히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 상부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물의 골조가 트러스구조일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 상부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물이 절곡된 강재빔과 그 강재빔 상면에 결합된 데크플레이트 및 그 상면에 현장타설된 철근 콘크리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구조 아치인 것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 상부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물이, 서로 맞대어져 소정의 곡률 아치를 이루는 프리패브 철근 콘크리트 세그멘트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아치구조물인 것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4a: 1차성토층의 상면 4b : 교대저면 후방측 수평공간
6 : 교대지지용 기초말뚝 10 : (2차) 성토층(사면성토층)
12: 교좌좌 14: 교좌장치
16: 교량 거더 18 : 교대배면 뒷채움 성토체(고정토)
20 :압성토 22: 어프로치슬래브
24 : 도로 30 : 교대
32 : 교대 후방에 형성된 아치 일단부 지지용 결합대
34 : 교대 저면 35: 교대 배면
50: 교대 (뒷채움) 빈공간
60 : 확대기초
61,62,64: 사면성토층에 매립 지지되는 확대지지부의 수평슬래브부 및 수직벽부
70 : 아치구조물 72 : 교대에 회전지지되는 아치의 일단부
74 : 사면성토층에 매립 지지된 확대지지부에 고정지지되는 아치의 타단부
70a, 70b : 조립식 아치구조물의 각 세그먼트
76: 아치구조물 각 세그먼트의 종방향 긴결수단
78 : 아치구조물 각 세그먼트의 횡방향 긴결수단
Claims (10)
- 하단 확대기초부 저면이 견고한 지중지반에 지지되는 교대(30)와; 교대의 확대기초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북돋아져 도로성토체 상면까지 연장되는 사면성토층(10)과; 상기 사면성토층 상면과 교대의 배면 사이의 공간에 도로성토체 상면 높이까지 채워진 교대 뒷채움 성토체(18)와; 그리고 상기 교대 뒷채움 성토체 상면에 설치되는 도로와 교량간 어프로치슬래브(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완공된 교량의 교대에 있어서 상기 교대에 측방유동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개보수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상기 사면성토층(10) 상면과 상기 교대의 배면(35) 사이의 공간에 도로성토체 상면 높이까지 채워져 있던 뒷채움 성토체(18)를 걷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사면성토층 상면과 상기 교대의 배면 사이를 빈 공간(50)으로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교대의 배면측 소정의 높이에 후면 결합대(32)를 마련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빈 공간에 대하여 일단부(72)는 상기 후면 결합대(32)에 회전지지되고 타단부(74)는 상기 사면성토층(10)에 매립되어 사면성토층(10)과 일체화되는, 상향으로 볼록한 아치구조물(70)을 축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아치구조물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도로와 교대 사이에 놓여져 차량 또는 열차를 주행 가능하게 하는 어프로치슬래브(22)를 축조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은 그 양단부 사이의 도중에 그 상향으로 볼록한 부분의 가장 높은 정점이 위치하고, 이 정점과 교대 사이에 어프로치슬래브(22)가 놓이며, 아치구조물의 상기 정점과 상기 사면성토층(10)에 매립 지지된 타단부 사이의 상부 공간에 도로구축용 다짐층(25)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은, 서로 연접하여 전체로서 아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호형상의 강재 세그멘드(70a) 부재가 연결되어 이루는 복수개의 강재 아치골조와, 상기 복수개의 강재 아치골조 상면에 결합되는 곡면데크플레이트(80)와, 상기 곡면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현장 타설되는 철근 콘크리트(8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의 상기 사면성토층에 매립되어 지중에 고정지지되는 타단부(74)는 확대된 수평슬래브부(61) 및 이 수평슬래브부의 상하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확대된 수직벽부(62, 64)를 구비한 확대기초(60)에 고정지지됨으로써 이 확대 수평슬래브부(61) 및 확대 수직벽부(62,64)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토압을 지지하여 그 타단부(74)의 지중에서의 수평거동 및 수직거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은, 서로 연접하여 전체로서 아치를 이루는 복수개의 호형상의 프리패브(prefab) 철근콘크리드 세그멘드 부재가 현장에서 교축방향 및 도로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어 전체로서 일체화되는 조립식 아치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은 반원형 또는 그보다 작은 곡면(1/4원형 또는 1/3원형)을 갖는 구조물이며, 그 곡면부의 저면이 지중에 묻히지 않고 대기중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의 양단부를 회전지지와 고정지지의 이질적 지지구조로 구성함과 아울러 사면성토층(10)의 지중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단부(74)의 고정높이가 교대에 지지되는 회전단부(72)의 지지높이보다 더 낮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구조물(70)의 상기 교대 후면에 형성된 결합대(32)에 지지되는 회전지점 단부(72) 및 상기 사면성토층에 매립된 확대기초에 지지되는 고정지점 단부(74)의 각 도로 폭방향 지지는 도로의 주행 차로폭 길이의 단위마다 분할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면성토층(10)에 매립되는 확대기초(60)는 도로의 폭방항으로 뻗는 수평슬래브부(61)와 이 수평슬래브부의 상하면에서 도로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수직하게 상하방향으로 교차하여 뻗는 수직벽부(62, 6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수직벽부(62, 64)를 기준으로 수평슬래브부(61)의 우측 부분(사면성토층 방향)의 길이가 그 좌측부분(교대측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면성토층(10)의 구배(θ)는 자연구배이거나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946A KR101929161B1 (ko) | 2018-07-14 | 2018-07-14 |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1946A KR101929161B1 (ko) | 2018-07-14 | 2018-07-14 |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9161B1 true KR101929161B1 (ko) | 2018-12-13 |
Family
ID=6467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9161B1 (ko) | 2018-07-14 | 2018-07-14 |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16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7300A (ko) * | 2019-05-29 | 2020-12-09 | 한국도로공사 |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N113897875A (zh) * | 2021-11-15 | 2022-01-07 | 吉林建筑大学 | 一种路桥施工用过渡装置 |
CN114508043A (zh) * | 2022-02-22 | 2022-05-17 | 广东省冶金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拱形桥台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5387203A (zh) * | 2022-09-09 | 2022-11-25 | 中国联合工程有限公司 | 一种自平衡拱座与桥台组合结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533153Y (zh) * | 2002-03-20 | 2003-01-29 | 宁波市城市建设设计院 | 防跳车的桥头接坡 |
-
2018
- 2018-07-14 KR KR1020180081946A patent/KR1019291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533153Y (zh) * | 2002-03-20 | 2003-01-29 | 宁波市城市建设设计院 | 防跳车的桥头接坡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7300A (ko) * | 2019-05-29 | 2020-12-09 | 한국도로공사 |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2228275B1 (ko) * | 2019-05-29 | 2021-03-16 | 한국도로공사 | 교량 접속슬래브의 처짐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N113897875A (zh) * | 2021-11-15 | 2022-01-07 | 吉林建筑大学 | 一种路桥施工用过渡装置 |
CN114508043A (zh) * | 2022-02-22 | 2022-05-17 | 广东省冶金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拱形桥台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5387203A (zh) * | 2022-09-09 | 2022-11-25 | 中国联合工程有限公司 | 一种自平衡拱座与桥台组合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31811B2 (ja) | 金属プレートアーチ型構造用の複合コンクリート金属封入補剛材 | |
KR101929161B1 (ko) | 교대 측방유동 발생에 대한 개·보수공법 | |
US3421326A (en) | Constructional works | |
US7086811B2 (en) | Pre-stressed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 |
KR10074383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CN107740339B (zh) | 一种用于运营公路治理桥头跳车的刚度加强型桥头结构及施工方法 | |
CN108547218A (zh) | 桥台刚构桥的构造及其施工方法 | |
CN107142856A (zh) | 桥台改造方法、桥台、桥台改造的桥墩及顶升改造的桥梁 | |
CN109778893B (zh) | 拱桥组合式基础构造及其施工方法 | |
CN211922133U (zh) | 一种适用于悬崖峭壁路段老路扩宽的大悬挑结构 | |
CN105672144A (zh) | 一种中小跨径旧桥加固与拼宽结构及其施工方法 | |
US3570253A (en) | Constructional works | |
KR101973657B1 (ko) |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 |
KR100631760B1 (ko) | 금속판아치형구조물용복합콘크리트금속내장형스티프너 | |
CN207512580U (zh) | 用于运营公路治理桥头跳车的刚度加强型桥头结构 | |
CN106894330A (zh) | 一种基于废旧轮胎的桥墩抗滚石冲击装置及其施工方法 | |
CN217556728U (zh) | 一种加固和加宽中小跨径桥梁和涵洞的埋置式结构 | |
CN113308957B (zh) | 挡墙轻质土拼宽路堤的施工方法 | |
KR102119365B1 (ko) | 교대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교대 배면측 무성토 구간에 축조되는 아치 구조 | |
CN209636573U (zh) | 一种装配式自平衡通道结构体系 | |
KR20020025856A (ko) | 무다짐 교량 뒤채움 공법을 이용한 접속슬래브 침하최소화 공법 | |
CN114922017B (zh) | 一种新建悬臂式挡土墙-既有桩板墙路基帮宽组合结构 | |
RU30363U1 (ru) | Гофр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од насыпью (варианты) | |
RU41468U1 (ru) | Опора-мост с ездой поверху | |
JP3593752B2 (ja) | 急斜面地における擁壁構造及び築造平坦地構造又は築造道路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