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231A - 후드형 접이식 발판 - Google Patents

후드형 접이식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231A
KR20200136231A KR1020190062062A KR20190062062A KR20200136231A KR 20200136231 A KR20200136231 A KR 20200136231A KR 1020190062062 A KR1020190062062 A KR 1020190062062A KR 20190062062 A KR20190062062 A KR 20190062062A KR 20200136231 A KR20200136231 A KR 2020013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pport
hood
hinge
typ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석호
이광길
강정기
김무성
김대년
이종태
정수호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폼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폼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231A/ko
Publication of KR2020013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서 지정된 지점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1발판;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발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발판에 대하여 접히고 펴질 수 있는 제2발판; 상기 제2발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제1지지대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후드형 접이식 발판 {Hood type folding scaffold}
본 발명은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을 통해 발판을 접고 펴지게 할 수 있으며, 레일에 하향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발판의 자중으로 발판을 펼 수 있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소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시킨다. 이러한 화력 발전소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수하는 정비작업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대를 설치하게 된다. 작업대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설치된 작업대를 통해 이동하면서 보일러를 점검 및 정비하게 되고, 작업이 끝나면 설치한 작업대를 해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화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작업대의 경우 비계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발전소의 보일러는 높이가 수십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비계를 높게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비계를 높게 설치할 경우 구조상 비계 하단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비계가 무너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화력 발전소는 작업대를 통해 작업이 완료된 후 설치한 작업대를 해체하게 되는데, 작업대를 해체하는 작업도 작업대를 설치할 때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한 번 설치된 작업대를 해체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화력 발전소의 공간 제약과 작업대와 다른 구조물 간의 간섭으로 인해 보일러의 작업시마다 작업대를 설치하고 해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을 통해 발판을 접고 펴지게 할 수 있으며, 레일에 하향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발판의 자중으로 발판을 펼 수 있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서 지정된 지점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1발판;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발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발판에 대하여 접히고 펴질 수 있는 제2발판; 상기 제2발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제1지지대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발판의 측면에는, 상기 제1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바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홈은,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돌출부는, 하부 돌출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판이 접혔을 때, 상기 상부 돌출부는 상기 힌지홈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판이 펴졌을 때,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힌지홈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상기 힌지바의 일측과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티프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바는, 상기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바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면서 상기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힌지바는 상기 제2지지대와 두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발판과 상기 제2발판은 힌지 결합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 상부에는, 접속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배치되는 제1찬넬과 상기 제1찬넬에 끼워지는 제1스팬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배치되는 제2찬넬과 상기 제2찬넬에 끼워지는 제2스팬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찬넬과 상기 제2찬넬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팬데크와 상기 제2스팬데크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스팬데크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에는 구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일단이 상기 제1찬넬 또는 상기 제2찬넬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 내측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캔틸레버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은 상기 절단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스팬데크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은, 상기 제1찬넬 또는 상기 제2찬넬에 결합되며, 2단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2단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 시키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 상단에서, 상기 제2연장부로 사선 연장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을 통해 발판을 펴지게 하여 구조물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점검 및 보수 작업 진행 이후 발판을 접음에 따라 구조물과 발판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레일에 하향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발판의 자중으로 발판을 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힌지홈을 통해 발판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펴졌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접혔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펴졌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접혔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제1지지대, 시트 브라켓,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펴졌을 때와 졉혔을 때의 힌지바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힌지바와 제2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0(b)는 제2찬넬, 제2스팬데크, 캔틸레버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을 하부에서 바라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을 통해 발판을 접고 펴지게 할 수 있으며, 레일에 하향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발판의 자중으로 발판을 펼 수 있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는 발전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발판은 보일러와 같은 구조물이 통과될 수 있는 절단부(143)가 구비된 발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판은 구조물의 작업을 위해 다양한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제1지지대(110), 레일(120), 제1발판(130), 제2발판(140), 바퀴(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펴져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접혀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1지지대(11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 사이에 상기 제1발판(130), 상기 제2발판(140)이 구비되면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대(110)는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지지대(110)는 H 빔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10)는 보일러 및 터빈이 구비된 발전소의 고정된 지점에 고정결합 될 수 있다.
도 1,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는 제2지지대(1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160)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과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의 타측 각각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대(110)와 상기 제2지지대(160)를 통해 사각형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은 상기 제1지지대(110)와 상기 제2지지대(160)가 형성하는 사각형 프레임 내부에서 접히고 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은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접히고 펴질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레일(120)은 상기 제1지지대(110)에 직접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시트 브라켓(18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브라켓(180)은 상기 제1지지대(110)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 브라켓(180)은 용접 등을 통해 상기 제1지지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110)가 H 빔인 경우, 도 4(a)와 같이 상기 시트 브라켓(180)에는 H빔의 하단 일측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시트 브라켓(180)이 상기 제1지지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 브라켓(18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일(120)을 받칠 수 있는 플레이트 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120)은 상기 시트 브라켓(180)의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는 것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시트 브라켓(18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일 수 있으나, 도 4(b)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시트 브라켓(180)이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대(11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발판(13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서 지정된 지점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정된 지점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 지점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발판(13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 지점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발판(130)이 힌지 결합되는 상기 지정된 지점은 힌지바(170)일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2지지대(16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대(160)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바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의 측면에는, 상기 제1발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바(170)에는 상기 돌출부(133)가 끼워질 수 있는 힌지홈(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2지지대(160)에서부터 상기 제1지지대(110)와 상기 제1발판(13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힌지홈(171)에 상기 돌출부(133)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1발판(13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133)는 상기 제1발판(130)의 측면을 볼팅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3)는 상기 제1발판(130)의 측면을 따라 2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33)는 하부 돌출부(133a)와 상기 하부 돌출부(133a)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돌출부(133b)를 포함하면서 2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3)가 상기 하부 돌출부(133a) 및 상기 상부 돌출부(133b)를 포함할 때, 상기 하부 돌출부(133a) 및 상기 상부 돌출부(133b)가 모두 상기 힌지바(170)의 상기 힌지홈(17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힌지홈(171)은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171)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270도 만큼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홈(171)을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 시키면서, 상기 하부 돌출부(133a) 및 상기 상부 돌출부(133b)를 상기 힌지홈(171)에 끼우면,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와 같이 상기 제1발판(130)이 접혔을 때, 상기 상부 돌출부(133b)는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상기 제1발판(130)이 펴졌을 때, 상기 하부 돌출부(133a)는 상기 힌지홈(171)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이 접혔을 때, 상기 상부 돌출부(133b)가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에 막힘에 따라 상기 제1발판(130)의 추가적인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제1발판(130)이 펴졌을 때, 상기 하부 돌출부(133a)는 상기 힌지홈(171)의 타단에 막힘에 따라 상기 제1발판(130)의 추가적인 회전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각도는 270도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령, 상기 제1발판(130)이 90도로 세워지면서 0도로 눕혀지면, 상기 힌지홈(171)이 270도로 연장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발판(130)이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세워지면서 0도로 눕혀지면, 상기 힌지홈(171)은 27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판(130)은 상기 돌출부(133)를 통해 상기 힌지홈(17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1발판(130)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힌지바(170)를 상기 제2지지대(160)에 견고하게 결합시켜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2지지대(16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상기 제1발판(130) 사이에 끼워지는데, 상기 힌지바(17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스티프너(16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161)는 상기 힌지바(170)의 일측과 상기 제2지지대(16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대(160)는 H 빔일 수 있으며, 상기 스티프너(161)는 상기 제2지지대(160)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하부로 연장되다가, 상기 힌지홈(17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바(170)의 일단을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스티프너(161)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힌지바(17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바(170)와 상기 제2지지대(16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힌지홈(17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바(170)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면서 상기 제2지지대(160)를 향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바(170)를 두 갈래로 갈라지게 하면,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2지지대(160)와 두 지점에서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힌지바(170)와 상기 제2지지대(16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발판(140)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발판(13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은 힌지 결합부(134)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제1발판(130)에 대하여 상기 제2발판(140)을 접히고 펼 수 있게 된다.
도 1, 도 2,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힌지 결합부(134)의 상부에는 접속판(13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판(135)은 상기 힌지 결합부(134)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판(135)의 상면이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은 접히고 펴질 때 상부를 바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은 힌지를 통해 접히고 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부분에는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틈은 작업자에게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판(135)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속판(135)을 상기 힌지 결합부(134) 상부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판(135)은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접을 때 사용되는 윈치(136)가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도 3(a), 도 3(b), 도 5(a),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퀴(150)는 상기 제2발판(140)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바퀴(150)는 상기 제2발판(140)의 타단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바퀴(150)가 상기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발판(140)이 펴지고 접힐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퀴(150)가 상기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발판(140)이 펴질 때, 상기 제2발판(14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발판(140)이 자동으로 펴지게 하기 위해, 상기 레일(120)에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이 상기 레일(120)을 따라 접히고 펴지는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제1발판(130)이 각각 구비되면서, 각각의 상기 제1발판(130)에 상기 제2발판(14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상기 제1발판(130) 및 이에 결합되는 상기 제2발판(140)의 작동방법은 서로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은 접혀져 있는 상태로 있다가 작업을 위해 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이 접혀져 있는 경우, 윈치(136)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윈치(136)는 상기 접속판(135)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을 펴기 위해서, 상기 제2발판(140)의 상기 바퀴(150)를 상기 레일(120)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일(12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발판(14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퀴(150)가 상기 레일(120)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발판(140)의 자중과 상기 레일(120)의 하향 경사에 의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제2발판(140)은 자동으로 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발판(140)이 펴지면서, 상기 제2발판(140)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발판(130)도 함께 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발판(130)이 펴질 때, 상기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펴지게 되는데, 상기 제1발판(130)의 상기 하부 돌출부(133a) 및 상기 상부 돌출부(133b)가 상기 힌지홈(17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발판(130)이 펴지게 된다.
상기 힌지홈(17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바(170)는 상기 제2지지대(160)에 고정 결합 되면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상기 제1발판(130)의 상기 돌출부(133)가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지정된 각도만큼 연장된 상기 힌지홈(17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발판(130)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홈(171)은 지정된 각도만큼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이 펴질 때, 상기 하부 돌출부(133a)는 상기 힌지홈(171)의 타단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 돌출부(133a)가 상기 힌지홈(171)의 타단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발판(130)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을 펴서 작업을 진행한 이후에는, 상기 윈치(136)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접을 수 있다. 상기 윈치(136)를 상기 접속판(135)에 연결하고, 상기 윈치(136)를 통해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잡아당기면,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판(135)은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을 힌지 결합시키는 상기 힌지 결합부(134) 상부에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속판(135)을 상기 윈치(136)로 잡아당기면 효율적으로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이 접힐 때, 상기 힌지홈(171)을 통해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130)이 접힐 때, 상기 상부 돌출부(133b)는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돌출부(133b)가 상기 힌지홈(171)의 일단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발판(130)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발판(130)이 접히거나 펴질 때, 상기 힌지홈(171)을 통해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지 않으면, 어느 정도까지 상기 제1발판(130)을 접거나 펴야 할지 알 수 없다. 또한,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지 않으면, 상기 제1발판(130)이 계속해서 접히거나 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지정된 각도만큼 상기 힌지홈(171)을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 시킴에 따라, 지정된 만큼만 상기 제1발판(13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발판(130)을 접고 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정된 각도는 상기 제1발판(130)이 펴질 때의 각도와 상기 제1발판(130)이 접혔을 때의 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발판(130)이 90도로 접히고 0도로 펴진다면, 상기 힌지홈(171)은 270도의 각도로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의 상기 제1발판(130)과 상기 제2발판(140)은 찬넬과 스팬데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발판(13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180) 상부에 배치되는 제1찬넬(131)과 상기 제1찬넬(131)에 끼워지는 제1스팬데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판(140)은 상기 제1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180) 상부에 배치되는 제2찬넬(141)과 상기 제2찬넬(141)에 끼워지는 제2스팬데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찬넬(131)과 상기 제2찬넬(141)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ㄷ' 형상 내부에 제1결합홈(131a)과 제2결합홈(141a)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팬데크(132)와 상기 제2스팬데크(142)는 상기 제1결합홈(131a)과 상기 제2결합홈(141a)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스팬데크(132)와 상기 제2스팬데크(142)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발판 부분이 되는 것이며, 상기 제1찬넬(131)과 상기 제2찬넬(141)은 상기 시트 브라켓(180)의 상부에 올려지면서 상기 제1스팬데크(132)와 상기 제2스팬데크(142)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바가 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터빈(200)이 구비된 보일러를 사용하는 발전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일러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접이식 발판은 접히고 펴질 수 있다. 터빈(200)이 구비된 보일러의 경우 터빈(200)이 발전소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에는 구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절단부(14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제적으로, 상기 절단부(143)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팬데크(132)와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부(143)를 형성함에 따라 터빈(200)과 같은 구조물과 상기 제1발판(130) 및 상기 제2발판(14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부(143)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상기 절단부(143)가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은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상기 절단부(143)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스팬데크(142)에 상기 절단부(143)를 형성함에 따라 접이식 발판이 접히고 펴질 때, 터빈(200)과 상기 제2발판(14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절단부(143)를 형성하면,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절단부(1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스팬데크(132)의 경우 상기 제1찬넬(131)을 통해 양단이 지지될 수 있으나, 상기 절단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경우 상기 제2찬넬(141)을 통해 일단만 지지되므로,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제2찬넬(141)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캔틸레버 브라켓(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찬넬(141)에 결합되는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을 설명하지만, 상기 절단부(143)가 상기 제1스팬데크(132)에 형성된다면,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은 상기 제1찬넬(13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은 상기 절단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은 상기 제1찬넬(131) 또는 상기 제2찬넬(141)에 결합되며, 2단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91)와 2단의 상기 결합부(191)를 연결시키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92)와 상기 제1연장부(192)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91)는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찬넬(131) 또는 상기 제2찬넬(141)의 상기 제1결합홈(131a) 또는 상기 제2결합홈(141a)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1연장부(192)는 2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부(191)의 타단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장부(193)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면서 상기 제1스팬데크(132)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을 통해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스팬데크(132)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기 제2찬넬(141)에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과 상기 제2스팬데크(142)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찬넬(131)에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과 상기 제1스팬데크(142)가 결합되는 과정도 동일하다.)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스팬데크(142)(또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는 상기 제2찬넬(141)(또는 상기 제1찬넬(131))에 끼워지기 위해 상기 제2결합홈(141a)(또는 상기 제1결합홈(131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결합지점(14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지점(142a) 이외의 부분은 상기 결합지점(142a)보다 얇은 판 부분(14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2스팬데크(142)(또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는 두께가 있는 결함지점(142a)과 판 부분(142b)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은 판 부분(142b)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두께가 있는 결합지점(142a)에는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이 결합되지 않으며, 판 부분(142b)으로 이루어진 부분 하부에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이 배치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도 10(a)에서 상기 제2찬넬(141)의 상기 제2결합홈(141a) 상부와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판 부분(142b)이 삽입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스팬데크(142)(또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 하부에는 보강바(1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144)는 판 부분(142b)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스팬데크(142)(또는 상기 제1스팬데크(132))의 판 부분(142b)과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을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바(144)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단부(143)의 주변에는 상기 보강바(1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143)는 상기 제2스팬데크(142)를 지지하는 상기 제2찬넬(141)에서 가장 먼 부분으로, 지지력이 가장 약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143)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강바(144)를 구비하고,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으로 상기 보강바(144)를 지지하여 상기 제2스팬데크(142)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에는 보강부(19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4)는 상기 제1연장부(192)의 상단에서 상기 제2연장부(193)로 사선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194)를 통해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의 상기 제2연장부(193)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제2연장부(193)의 타단에서 길어진 길이만큼 큰 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강부(194)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연장부(192)의 상단에서 상기 제2연장부(193)의 일 지점을 사선 연결함에 따라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19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터빈(200)이 구비된 보일러를 사용하는 발전소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보일러와 같은 구조물이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구조물과 발판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발판에 절단부가 구비되며, 발판을 접고 펴지게 하여 구조물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터빈이 구비된 보일러를 사용하는 화력 발전소의 경우, 보일러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위해 발판을 설치해야 하며, 점검 및 보수 작업 이후에는 발전소의 구조물과 발판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발판을 해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보일러와 같은 구조물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을 할 때 접이식 발판을 펼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접이식 발판을 접음에 따라 구조물과 발판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제1지지대(110)의 일측에서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레일(120)에 하향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힘 없이 발판의 자중에 의해 발판을 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는 힌지홈(171)을 통해 제1발판(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함에 따라 지정된 각도로만 발판을 접고 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발판에 구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절단부(143)를 형성함에 따라 구조물과 발판 사이에 간섭을 피하면서 구조물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드형 접이식 발판은, 절단부(143)가 형성된 발판 하부를 캔틸레버 브라켓(190)으로 지지함에 따라, 절단부(143)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발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지지대 120...레일
130...제1발판 131...제1찬넬
131a...결합홈 132...제1스팬데크
133...돌출부 133a...하부 돌출부
133b...상부 돌출부 134...힌지 결합부
135...접속판 136...윈치
140...제2발판 141...제2찬넬
142...제2스팬데크 143...절단부
144...보강바 150...바퀴
160...제2지지대 161...스티프너
170...힌지바 171...힌지홈
180...시트 브라켓 190...캔틸레버 브라켓
191...결합부 192...제1연장부
193...제2연장부 194...보강부
200...터빈

Claims (13)

  1. 접이식 발판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대;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서 지정된 지점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1발판;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발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발판에 대하여 접히고 펴질 수 있는 제2발판;
    상기 제2발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제1지지대 일측에서 상기 제1지지대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의 측면에는, 상기 제1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바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은,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지정된 각도만큼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 돌출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판이 접혔을 때, 상기 상부 돌출부는 상기 힌지홈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판이 펴졌을 때,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힌지홈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후드형 접이식 발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의 일측과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티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는, 상기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바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면서 상기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힌지바는 상기 제2지지대와 두 지점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과 상기 제2발판은 힌지 결합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 상부에는, 접속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배치되는 제1찬넬과 상기 제1찬넬에 끼워지는 제1스팬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발판은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시트 브라켓 상부에 배치되는 제2찬넬과 상기 제2찬넬에 끼워지는 제2스팬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찬넬과 상기 제2찬넬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팬데크와 상기 제2스팬데크는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팬데크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에는 구조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찬넬 또는 상기 제2찬넬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 내측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캔틸레버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은 상기 절단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스팬데크 또는 상기 제2스팬데크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브라켓은,
    상기 제1찬넬 또는 상기 제2찬넬에 결합되며, 2단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2단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 시키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부 상단에서, 상기 제2연장부로 사선 연장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접이식 발판.
KR1020190062062A 2019-05-27 2019-05-27 후드형 접이식 발판 KR20200136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62A KR20200136231A (ko) 2019-05-27 2019-05-27 후드형 접이식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62A KR20200136231A (ko) 2019-05-27 2019-05-27 후드형 접이식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31A true KR20200136231A (ko) 2020-12-07

Family

ID=7379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62A KR20200136231A (ko) 2019-05-27 2019-05-27 후드형 접이식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168B1 (ko) * 2021-10-26 2022-06-29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크레인 형태의 자동제어식 안전 발판 장치
KR20240000742U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모터 분해용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168B1 (ko) * 2021-10-26 2022-06-29 삼성크레인스 주식회사 크레인 형태의 자동제어식 안전 발판 장치
KR20240000742U (ko) 2022-10-28 2024-05-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모터 분해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6231A (ko) 후드형 접이식 발판
JPH0931923A (ja) 支保工
CN108590147A (zh) 装配化型钢悬挑脚手架及其施工方法
JP3700952B2 (ja) 支保工
JP6709089B2 (ja) 迅速組立足場
KR101214528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CN202530730U (zh) 炉内铝合金检修平台
CN112110353A (zh) 底架和起重机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JP5653835B2 (ja) 橋脚建替方法および建替橋脚構造
CN213802471U (zh) 一种施工升降机安装检修护栏
JP7273761B2 (ja) ボイラ内足場の支柱支持体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JP2021116153A (ja) タワークレーン用支持構台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イミング方法
KR102303509B1 (ko) 입출구가 좁은 원통형 설비의 유지보수 맞춤식 비계모듈
CN217841054U (zh) 一种安全通道防护棚
KR102285261B1 (ko) 회전과 힌지 방식을 이용한 폴딩형 비계
KR102601151B1 (ko)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JP2019148097A (ja) 懸垂式折りたたみ足場
KR20240000742U (ko) 모터 분해용 작업대
JP4163153B2 (ja) 工事用足場
JP3546225B2 (ja) 建築構造物の構築方法
CN215669022U (zh) 一种用于钢结构栈道伸缩缝位置钢梁施工的支撑架
CN212295908U (zh) 可折叠护栏及水上作业平台
US20150376906A1 (en) Collapsible structure for vessel having interior slop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