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714A -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714A
KR20200135714A KR1020197033847A KR20197033847A KR20200135714A KR 20200135714 A KR20200135714 A KR 20200135714A KR 1020197033847 A KR1020197033847 A KR 1020197033847A KR 20197033847 A KR20197033847 A KR 20197033847A KR 20200135714 A KR20200135714 A KR 2020013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arget device
icon
address
dra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784B1 (ko
Inventor
지아위 리
밍 리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68Measures taken after transmission, e.g. acknowled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공개는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고, 단말기 장치의 분야에 속한다. 상기 파일 전송 방법은,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기 위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파일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함에 따라, 파일의 전송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 과정이 간단하고, 단말기 장치에 제3자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고, 조작이 간단하고, 파일의 전송프로세스를 간단화하였다.

Description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본 공개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장치가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사이에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현재, 전송하는 주요방식은 제3자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파일의 전송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현방식은 이러한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장착하고 사용해야 하므로, 조작이 불편하다.
본 공개는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함으로써, 파일의 전송조작을 간단화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제1방면에 의하면, 파일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기 위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 함으로써, 파일의 전송을 실현할 수 있고, 상기 과정이 간단하고, 단말기 장치에 제3자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고, 조작이 간단하고, 파일의 전송 프로세스를 간단화하였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만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한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검출에 의한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과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가 중합될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2가지 상황으로 나눈다.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바탕화면(스크린)에서의 하나의 위치에 대응되고, 파일 아이콘이 상기 위치에 드래그될 때, 파일 드래그 조작을 발생한다.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하나의 버튼에 대응되고, 파일아이콘이 상기 버튼에 드래그될 때, 파일 드래그 조작이 트리거되어 발생된다. 상기 2가지 상황에 대응하여, 본 출원은 2가지 검출방안을 제공하여 파일 드래그 조작의 검출을 실현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예설위치에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줄곧 표시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단말기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파일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동시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감춤으로써 스크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일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번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일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일을 전송할 때 먼저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한 후 전송하여 과정이 간단하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된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은 2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하나는 단말기 장치가 연결하는 각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스크린(바탕화면)에서 상이한 위치 영역에 존재하고,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 및 파일이 드래그되는 과정 중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근거하여 파일이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파일 드래그 조작이 버튼을 트리거하고, 각 버튼이 하나의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가 서로 대응되고, 단말기 장치 중의 트리거 이벤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파일의 전송이력을 표시함으로써, 어느 파일이 이미 전송완료되었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신분정보가 예정 신분정보일 경우, 상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단말기 장치 사이의 연결관계는 페어링과 응답에 의해 설립된다. 연결관계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인증 표준으로 하고, 통일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사용한 단말기 장치 사이는 자동적으로 연결이 설립되어, 사람의 조작이 필요가 없고, 파일 전송의 프로세스를 간단화하였다. 동시에, 상기 인증 과정이 존재함으로써, 익숙하지 않는 이동 장치에 연결되어 후속의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제2방면에 의하면, 파일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는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모듈; 검출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모듈;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모듈; 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과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가 중합될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예설위치에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서브 모듈; 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모듈;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송모듈;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모듈; 상기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로컬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이 동일할 경우, 상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송모듈;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수신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제3방면에 의하면, 파일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수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방면의 파일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공개의 제4방면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제1방면의 방법을 실현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할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고, 본 공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응용장면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인터페이스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인터페이스 도면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장치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실례는 도면에 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에 관한 설명에 대하여 별도의 표시가 없을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방식은 본 공개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되는 청구 범위에 기재되는 본 공개의 일방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일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응용장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장면은, 단말기 장치(1)와 단말기 장치(2)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장치(1)와 단말기 장치(2)는 일정 거리범위내에 존재하는 2개의 장치일 수 있고, 동일한 사용자에 속할 수 있다. 2개의 단말기 장치 사이는 연결이 설립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장치(1)와 단말기 장치(2)는 모두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기타 단말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장치(1)와 단말기 장치(2) 사이에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은 주로 제3자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The instant communication software)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현방식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이 불편한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장면의 단말기 장치(1) 또는 단말기 장치(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에 있어서,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기 위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한다.
여기서, 파일 드래그 조작은, 파일의 아이콘이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 파일은, 이미지, 문서, 프로그램 설치 패키지, 비디오 등 임의의 유형의 파일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파일 전송 방법은 비교적 작은 이미지, 문서를 전송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프로그램 설치 패키지,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강하다.
파일의 아이콘은, 단말기 장치가 사용자에게 전시하여 상기 파일을 표시하는 가시화된 도형이다.
단계S12에 있어서,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파일의 데이터는,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리킨다. 파일의 데이터는 단말기 장치의 저장 유닛에 저장된다.
단계S13에 있어서,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의 전송은, LAN 전송 프로토콜, 무선 고충실도(WIFI) 직접 연결, 핫스팟, 블루투스 등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파일은 WIFI직접 연결기술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WIFI직접 연결은 중간 매체 포인트가 필요하지 않고, 한편 WIFI의 전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여, 파일의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간단하고, 단말기 장치에 제3자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장착하고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단하고, 파일의 전송 프로세스를 간단화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파일에 대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만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한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검출에 의한 자원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과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가 중합될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2가지 상황으로 나눈다.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바탕화면(스크린)의 하나의 위치에 대응되고, 파일아이콘이 당해 위치에 드래그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발생한다.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하나의 버튼에 대응되고, 파일아이콘이 당해 버튼에 드래그되어, 파일 드래그 조작이 트리거되어 발생한다. 상기 2가지 상황에 대응하여, 본 공개는 2가지 검출방안을 제공하여 파일 드래그 조작의 검출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기설 위치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줄곧 표시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단말기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파일을 전송하지 않을 때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간섭받지 않고, 동시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감춤으로써 스크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번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일괄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일을 전송할 때 우선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한 후 전송함으로, 과정이 간단하다.
선택적으로,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리거 이벤트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된다 .
여기서,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은 2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하나는 단말기 장치가 연결하는 각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스크린(바탕화면) 에서 상이한 위치 영역에 존재하고,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 및 파일이 드래그되는 과정중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근거하여 파일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파일 드래그 조작이 버튼을 트리거하고, 각 버튼이 하나의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가 서로 대응되고, 단말기 장치 중의 트리거 이벤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대한 클릭 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파일의 전송이력을 표시함으로써, 어느 파일이 이미 전송완료되었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목표 장치가 전송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신분정보가 예정신분정보일 경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목표 장치가 전송한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정 신분정보는, 파일을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 장치의 신분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단말기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가리킨다. 장치제조업체 표지는, 상기 단말기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생산업체를 지시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단말기 장치 사이의 연결관계는 페어링과 응답에 의해 설립된다. 연결관계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인증 표준으로 하고, 통일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사용한 단말기 장치 사이는 자동적으로 연결이 설립되어, 사람이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일의 전송 과정이 간단하다. 동시에, 상기 인증 과정이 존재함으로써, 익숙하지 않는 이동 장치에 연결되어 후속의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정보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장치와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기술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장치 사이는 처음에 수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두번째부터의 연결은 상기의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계S11~S13와 상기 선택적인 단계는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장면의 단말기 장치(1) 또는 단말기 장치(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전송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1에 있어서, 목표 장치와의 연결을 설립한다.
여기서, 목표 장치는 파일을 전송하려고 할 상대 장치이다. 예를 들면, 단말기 장치(1)가 파일을 전송하려고 할 경우, 상기 목표 장치는 단말기 장치(2)일 수 있다. 단말기 장치(2)가 파일을 전송하려고 할 경우, 상기 목표 장치는 단말기 장치(1)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목표 장치와의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는,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신분정보가 예정 신분정보일 경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청구를 전송하는 단계;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정 신분정보는, 파일을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 장치의 신분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단말기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가리킨다, 장치제조업체 표지는 상기 단말기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생산업체를 가리킨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단말기 장치 사이의 연결관계는 페어링과 응답에 의해 설립된다. 연결관계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인증 표준으로 하고, 통일된 사용자 계정 및/또는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사용한 단말기 장치 사이는 자동적으로 연결이 설립되어, 사람이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일 전송의 프로세스가 간단하다. 동시에, 상기 인증 과정이 존재함으로써, 익숙하지 않는 이동 장치에 연결되어 후속의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정보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장치와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기술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장치(1)는 블루투스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한다.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는 사용자 계정을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2)가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수신할 경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단말기 장치(2)에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할 경우 응답 정보를 반환한다. 응답 정보는 사용자 계정을 포함한다.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응답 정보를 반환하지 않는다. 단말기 장치(1)는 단말기 장치(2)가 전송한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 장치(1)는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단말기 장치(2)에서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할 경우, 단말기 장치(1)는 단말기 장치(2)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한다. 단말기 장치(2)는 단말기 장치(1)가 전송한 연결설립요청을 수신한다. 단말기 장치(2)는 단말기 장치(1)에 연결설립응답을 전송한다. 단말기 장치(1)는 단말기 장치(2)가 전송한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한다.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 장치(1)는 상기 연결설립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단말기 장치(2)가 사용자 계정을 판단하는 과정은 선택적인 단계이다. 단말기 장치(2)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수신한 후 응답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립과정은, 단말기 장치(2)가 발기하고, 단말기 장치(1)가 응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와 응답 정보 중 사용자 계정외에, 생산업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장치(2)와 단말기 장치(1)가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외에, 생산업체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장치(2)가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수신할 경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가 단말기 장치(2)의 로컬의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할 경우 응답 정보를 반환하고, 응답 정보는 사용자 계정을 포함한다.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응답 정보를 반환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단말기 장치(1)는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가 단말기 장치(1)의 로컬의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할 경우, 단말기 장치(1)는 단말기 장치(2)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고, 단말기 장치(2)는 단말기 장치(1)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한다.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 장치(1)는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페어링 정보와 응답 정보에 장치제조업체 표지를 갖고 있을 경우, 동일한 업체의 제품만이 상기 자동적인 연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 장치와 이동 단말기가 모두 상기 파일의 드래그 전송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단계S21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복수개의 단말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단계S22에 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파일에 대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한다.
여기서, 파일 드래그 조작은, 파일의 아이콘이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 파일은, 이미지, 문서, 프로그램 설치 패키지, 비디오 등 임의의 유형의 파일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파일 전송 방법은, 비교적 작은 이미지, 문서를 전송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프로그램 설치 패키지,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강하다.
파일의 아이콘은 단말기 장치가 사용자에게 전시하여 상기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가시화된 도형이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만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한정하여, 지속적은 검출에 의한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현방식에 있어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와 중합될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는 단말기 장치에 저장되고, 단말기 장치는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의 위치와 저장된 각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를 비교하면 된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는 하나의 위치 영역이다. 이때,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의 위치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의 위치 영역 내에 위치하면 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다른 실현방식에 있어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실제적으로 하나의 버튼이다. 파일의 아이콘이 상기 버튼에 드래그되어 석방하였을 경우, 상기 과정에는 상기 버튼에 대한 가압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동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되고, 단말기 장치는 상기 트리거 이벤트를 검출하여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2가지 실현방식에 있어서,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2가지 상황으로 나눈다.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바탕화면(스크린)에서의 하나의 위치에 대응되고, 파일아이콘이 상기 위치에 드래그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발생된다. 다른 하나는 상기 아이콘이 하나의 버튼에 대응되고, 파일아이콘이 상기 버튼에 드래그 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트리거되어 발생된다. 상기 2가지 상황에 대응하여, 본 출원은 상기 2가지 검출방안을 제공하여 파일 드래그 조작의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기설 위치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줄곧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단말기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파일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동시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감춤으로써 스크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파일의 전송조작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감춘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인터페이스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전송할 경우, 먼저 사진 폴더에 진입하고, 여기서, 복수의 사진파일(10)이 진열된다. 사용자는 클릭하여 전송할 사진 3장(√로 표시된 부분)을 선택한다. 이때, 단말기 장치는 파일이 선택되었다는 것을 검출하고, 예설위치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100)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파일 드래그 조작을 통하여, 파일(10)의 아이콘을 단말기 장치의 아이콘(100)에 드래그한다. 도 5와 같이. 여기서, 파일(10)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원래의 파일(10)의 아이콘은 움직이지 않고, 동시에 별도로 드래그되는 하나의 파일의 아이콘이 나타난다. 상기 드래그 조작이 완료된 후, 드래그된 아이콘이 사라진다. 여기서, 예설위치는 미리 확정된 임의의 설정위치일 수 있고, 단말기 장치의 바탕화면(스크린)에서의 공백위치일 수 있다. 이로써,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바탕화면에서의 기타내용을 가리지 않는다.
단계S23에 있어서,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파일의 데이터는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리킨다. 파일의 데이터는 단말기 장치의 저장 유닛에 저장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선택된 파일의 저장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선택된 파일의 저장주소로부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의 저장주소는 선택된 파일이 단말기 장치에서의 물리적인 저장주소이고, 이는 사용자가 상기 파일을 선택할 때 이미 확정된다. 그 이유는, 단말기 장치에서, 사용자가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를 미리 확정해야 함으로,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파일의 명칭은 상기 파일의 물리적인 저장주소에 대응되기 때문이다.
단계S24에 있어서,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드래그 조작의 과정에서 선택되는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번에 하나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일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와 도 5와 같이, 파일 드래그 조작의 과정에서 선택되는 파일은 3개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을 전송할 때 먼저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한 후 전송함으로써, 과정이 간단하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또는 블루투스장치의 변위표지(UUID) 일 수 있다. 여기의 목표 장치의 주소는 목표 장치와의 연결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리거 이벤트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된다 .
여기서,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은 2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하나는 단말기 장치가 연결하는 각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스크린(바탕화면)에서 상이한 위치 영역에 존재하고,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 및 파일이 드래그되는 과정중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근거하여 파일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파일 드래그 조작이 버튼을 트리거하고, 각 버튼이 하나의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가 서로 대응되고, 단말기 장치중의 트리거 이벤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목표 장치를 확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 또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는 단말기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 또는 트리거 이벤트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목표 장치와의 연결을 설립한 후, 순서대로, 하나의 위치 영역 또는 트리거 이벤트를 목표 장치에 관련시켜,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관계 또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관계를 얻는다.
여기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장치의 바탕화면(스크린)이다.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은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단말기 장치의 바탕화면(스크린)에서 커버하는 영역이다.
한편, 상기 방법은, 목표 장치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목표 장치에 대한 아이콘의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드래그 조작이 완료되었을 때의 위치(드래그 궤적의 종점위치)를 목표 장치의 아이콘의 위치로 정하는 단계; 드래그 후의 목표 장치의 아이콘의 위치에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목표 장치의 아이콘위치가 변동된 후,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의 전송은, LAN 전송 프로토콜, 무선 고충실도(WIFI) 직접 연결, 핫스팟, 블루투스 등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파일은 WIFI직접 연결기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WIFI직접 연결은 중간 매체 포인트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WIFI의 전송 속도가 빠르므로,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목표 장치의 일측에서, 목표 장치에는 상대 장치(전송측의 단말기 장치)의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목표 장치는 상대장치가 전송하는 파일을 자동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신확인을 진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파일의 전송은 동일한 사용자의 장치 사이의 전송 또는 두 사용자가 서로 맞대어 전송함으로, 수신확인을 진행하지 않아도 안전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을 전송하는 단말기 장치 또는 목표 장치에 대하여, 이는 모두 다음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표 장치( 또는 상대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한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파일의 전속이력을 표시하여, 어느 파일이 이미 전송완료되었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실현방식에 있어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은 하나의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가 클릭할 경우, 파일의 전송기록을 전시한다. 상기 파일의 전속기록은 파일 명칭, 파일 크기, 전송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파일이 이미 전송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파일의 전송기록외에, 현재 진행하고 있는 파일 전송의 상황을 표시할 수도 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파일 전송의 상황은, 파일명칭, 파일크기, 이미 전송된 백분율, 전송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의 전송 기록은 팝업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팝업 인터페이스는 오프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프버튼을 클릭할 경우, 단말기 장치는 오프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팝업 인터페이스를 오프시킨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장치의 구조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일 전송 장치는, 검출모듈(301), 획득모듈(302) 및 전송모듈(303)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모듈(301)은,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기 위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한다. 획득모듈(302)은, 검출된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송모듈(303)은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검출모듈(301)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파일에 대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한다.
선택적으로, 검출모듈(301)은,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와 중합될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한다. 또는, 검출모듈은,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출력모듈(304)을 더 포함한다. 출력모듈(304)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기설 위치에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모듈(303)은, 획득 서브 모듈(331)과 전송 서브 모듈(332)을 포함한다. 획득 서브 모듈(331)은,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한다. 전송 서브 모듈(332)은,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파일의 데이터를 목표 장치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서브 모듈(331)은,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한다. 또는, 획득 서브 모듈(331)은,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한다. 트리거 이벤트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된다.
선택적으로, 출력모듈(304)은, 사용자가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대한 클릭 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수신모듈(305), 전송모듈(303)을 포함한다. 전송모듈(303)은,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한다. 수신모듈(305)은,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는, 전송모듈(303)은,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로컬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이 동일할 경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청구를 전송한다. 수신모듈(305)은,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한다.
검출모듈(301)이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방식은 단계S22를 참조할 수 있다. 획득모듈(302)이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은 단계S23을 참조할 수 있다. 전송모듈(303)이 파일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단계S24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 장치(600)의 블럭도이다. 장치(600)는 상기 단말기 장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6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602),메모리(604),전원 어셈블리(606),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오디오 어셈블리(610),입출력(I/O) 인터페이스(612),센서 어셈블리(614) 및 통신 어셈블리(6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602)는 통상적으로 장치(6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6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6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6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6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렉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6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602) 사이의 인트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6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장치(6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런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6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6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606)는 장치(6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6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6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는 상기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6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6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런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장치가 스마트형 에어콘일 경우, 상기 센서 어셈블리(614)는 온도 센서,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616)는 파일 전송 장치(6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600)는 예를 들면 WiFi,2G, 3G, 4G 혹은 5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6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6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전송 장치(6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상기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런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으로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0)

  1. 파일 전송 방법에 있어서,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기 위한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과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가 중합될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예설위치에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신분정보가 예정 신분정보일 경우, 상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방법.
  10. 파일 전송 장치에 있어서,
    파일의 아이콘을 목표 장치의 아이콘에 드래그하는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모듈;
    검출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모듈;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과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위치가 중합될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되어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컬에 저장된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예설위치에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드래그 조작 중 선택된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듈은,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장치의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목표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서브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영역과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궤적의 종점이 존재하는 위치 영역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트리거 이벤트와 목표 장치의 주소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이벤트에 대응되는 목표 장치의 주소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이 가압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목표 장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클릭조작에 응답하여, 파일의 전송기록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모듈;
    방송을 통하여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송모듈;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 정보는 신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분정보는 사용자 계정과 장치제조업체 표지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모듈;
    상기 응답 정보가 갖고 있는 사용자 계정과 로컬이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이 동일할 경우, 상기 목표 장치에 연결설립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송모듈;
    상기 목표 장치가 전송하는 연결설립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수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19. 파일 전송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수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파일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 장치.
  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97033847A 2019-05-20 2019-10-10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303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19550.X 2019-05-20
CN201910419550.XA CN111970312A (zh) 2019-05-20 2019-05-20 文件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19/110484 WO2020232952A1 (zh) 2019-05-20 2019-10-10 文件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714A true KR20200135714A (ko) 2020-12-03
KR102303784B1 KR102303784B1 (ko) 2021-09-24

Family

ID=6873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847A KR102303784B1 (ko) 2019-05-20 2019-10-10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09429B2 (ko)
EP (1) EP3742273B1 (ko)
JP (1) JP7328900B2 (ko)
KR (1) KR102303784B1 (ko)
CN (2) CN117544614A (ko)
RU (1) RU2743890C1 (ko)
WO (1) WO2020232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547B2 (ja) * 2020-03-10 2022-03-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291708B (zh) * 2020-11-27 2023-06-2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98770B (zh) * 2020-12-28 2022-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641398B2 (en) * 2021-07-14 2023-05-02 Secturion Systems, Inc. Secure data transfer over wireless networks using data storage encryptors
CN113467684A (zh) * 2021-07-19 2021-10-01 交互未来(北京)科技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187A1 (en) * 2004-10-18 2006-04-20 Mobile (R&D) Ltd.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s
KR20090039601A (ko) * 2007-10-18 2009-04-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30012225A (ko) * 2011-07-14 2013-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145174A (ko) * 2014-06-18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700A (en) * 1996-01-19 1998-09-01 Silicon Graph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n iconic drag and drop interface for electronic file transfer
EP1038368B1 (en) * 1997-11-13 2013-07-31 Intellectual Ventures I LLC File transfer system
JP4246847B2 (ja) 1999-04-30 2009-04-02 株式会社東芝 ファクシミリ送受信方法、ファクシミリ送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7031004B1 (en) * 1999-08-26 2006-04-18 Xerox Corporation Web print submission from within an application
US7266776B2 (en) * 2002-11-25 2007-09-04 Aol Llc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computer users across a network
US7783985B2 (en) * 2006-01-04 2010-08-24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computing devices
KR101200300B1 (ko) * 2006-10-25 2012-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구비한 프리젠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307367A1 (en) * 2007-06-07 2008-12-11 John Michael Garris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rag and drop operation implementing a hierarchical path name
JP2009048452A (ja) 2007-08-21 2009-03-05 Nikon Corp 画像転送プログラム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20100005138A1 (en) * 2008-04-21 2010-01-07 Topia Technology Electronic file sharing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US8458363B2 (en) 2008-06-08 2013-06-0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JP2010092455A (ja) * 2008-09-10 2010-04-22 Ricoh Co Ltd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321802B2 (en) * 2008-11-13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dependent pop-up menus
CN101834937A (zh) * 2010-03-19 2010-09-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之间进行信息交互的方法、装置及终端
TWI477114B (zh) * 2011-02-25 2015-03-11 Univ Nat Chiao Tung 以擴增實境為基礎並結合雲端計算之創新檔案傳輸方法
JP5172997B2 (ja) * 2011-07-15 2013-03-2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2092896A2 (zh) * 2012-02-06 201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2542768B (zh) 2012-02-10 2013-10-0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射频设备的配对方法、设备及系统
CN102707880B (zh) * 2012-04-24 2015-01-07 华为终端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CN102830906B (zh) * 2012-07-04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用户界面进行文件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CN103577089A (zh) * 2012-08-10 2014-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及触摸屏终端
KR101498603B1 (ko) 2012-09-04 2015-03-05 주식회사 팬택 정보 전달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N102984393B (zh) * 2012-12-12 2015-06-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之间传输文件的方法及移动终端
CN103731186B (zh) * 2013-12-23 2018-05-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文件的方法及传输终端
WO2015122893A1 (en) * 2014-02-13 2015-08-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cessory modules
CN104038263B (zh) 2014-06-18 2017-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建立蓝牙连接的方法和装置
CN104468741B (zh) * 2014-11-21 2019-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云桌面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6126733A1 (en) 2015-02-02 2016-08-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4918208B (zh) 2015-05-29 2018-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配对方法及移动终端
WO2017016525A1 (zh) * 2015-07-29 2017-02-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业务数据的群发送方法、终端及服务器
JP6625887B2 (ja) 2015-07-31 2019-12-25 任天堂株式会社 無線システム、無線機器、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CN106547455A (zh) * 2015-09-23 2017-03-2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传输文件的方法及终端设备
CN108803958B (zh) 2017-04-26 2022-12-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载入控制、云存储应用中实现上传的交互方法和装置
WO2019071872A1 (zh) * 2017-10-09 2019-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分享方法及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3187A1 (en) * 2004-10-18 2006-04-20 Mobile (R&D) Ltd.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s
KR20090039601A (ko) * 2007-10-18 2009-04-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30012225A (ko) * 2011-07-14 2013-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145174A (ko) * 2014-06-18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2273B1 (en) 2024-03-27
JP7328900B2 (ja) 2023-08-17
WO2020232952A1 (zh) 2020-11-26
CN117544614A (zh) 2024-02-09
EP3742273A1 (en) 2020-11-25
JP2021528706A (ja) 2021-10-21
KR102303784B1 (ko) 2021-09-24
CN111970312A (zh) 2020-11-20
US20200371655A1 (en) 2020-11-26
RU2743890C1 (ru) 2021-03-01
US11409429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784B1 (ko) 파일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EP3872611A1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RU263652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й связью между учетной записью и устройством
US10104599B2 (en) Device b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2124868B1 (ko) 리모컨 바인딩 처리 방법과 장치 및 디바이스
JP7125834B2 (ja) 画像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606873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実行方法および装置
JP6243085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シーン削除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28676B2 (ja) 接続状態プロンプ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6289764B2 (ja) 機器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513161A (ja) 振込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748386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6283749B2 (ja) 機器接続を促す方法および装置
CN105530292A (zh) 页面图像显示方法及装置
JP6289758B2 (ja) 制御プログラムダウンロード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513416A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002575A (ko) 디바이스 간의 복사하기 및 붙이기
CN112199124B (zh) 一种项目开启方法及装置、显示设备
CN112698770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7580192A (zh) 一种蓝牙连接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