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639A -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 Google Patents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639A
KR20200135639A KR1020190060865A KR20190060865A KR20200135639A KR 20200135639 A KR20200135639 A KR 20200135639A KR 1020190060865 A KR1020190060865 A KR 1020190060865A KR 20190060865 A KR20190060865 A KR 20190060865A KR 20200135639 A KR20200135639 A KR 20200135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ecimen
well
polygonal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421B1 (ko
Inventor
조영삼
김기광
김희경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for parallel transport of multiple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ultisample carriers, e.g. used for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가 개시된다. 플레이트 몸체; 및 다각형 시편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면에 M x N (M, N은 자연수)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다각형 웰을 포함하되, 상기 다각형 웰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되는 받침대와; 둘레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Well plate and specimen holder}
본 발명은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으로 제작이 어려운 시편을 실험하기 위한 웰 플레이트 및 시편을 홀딩하는 시편 홀더에 관한 것이다.
혈액, 조직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핵산과 같은 특정 생체성분을 분리하거나 면역 반응을 검사하거나, 세포를 배양하는 등의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웰 플레이트(well plate)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웰 플레이트(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의 웰 플레이트(10)에는 하나 이상의 웰(11)이 음각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웰(11)이 M x N(M, N은 자연수)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 외에도 다양한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용화된 웰 플레이트(10)의 경우 웰(11)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실험대상이나 목적에 따라 특정 시편(specimen)의 경우에는 깨지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 웨이퍼(예컨대,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사파이어 웨이퍼(sapphire wafer) 등)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이러한 웨이퍼를 원하는 크기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깨지기 쉬운 재료이기 때문에 웰(11)의 형상에 맞춰 원형으로 제작하기는 매우 어렵고, 사각형으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원형 웰 내에 사각형 시편이 탑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웰(11)의 형상은 원형이고, 시편(1)은 사각형이다. 따라서, 시편(1)과 웰 플레이트(즉, 웰(11)의 내벽) 사이에는 빈 공간(12)이 발생하게 된다.
사각형 시편(1)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할 때, 이러한 빈 공간(12)으로 인해 실험과 무관한 반응 및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빈 공간(12)으로 인해 실험적 오차가 발생하고, 실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시편(1) 위에서의 세포 거동을 평가할 때, 빈 공간(12)에서 세포가 자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편(1) 위에서의 세포 거동을 분석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의 살균 시편을 이용하여 원형 웰을 가지는 웰 플레이트에서 실험할 경우 사이 공간에서 박테리아가 증식하여 살균 실험에 영향을 주어 실험 오차가 커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0874호 (2018.09.12. 공개) - 96 웰 플레이트 및 PCR 튜브용 자성입자 분리장치
본 발명은 시편이 탑재될 웰과 시편의 형상을 동일하게 맞춰줌으로써 웰 플레이트와 시편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빈 공간으로 야기되는 실험적 오차 및 변수를 줄일 수 있는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으로 제작이 어려운 시편을 이용하여 웰 플레이트 안에서 실험할 경우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레이트 몸체; 및 다각형 시편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면에 M x N (M, N은 자연수)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다각형 웰을 포함하되, 상기 다각형 웰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되는 받침대와; 둘레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대의 평면 크기는 상기 바닥면에 비해 일정 비율만큼 작아 상기 다각형 웰의 내벽과 상기 받침대의 외벽 사이에 둘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원형 웰이 M x N (M, N은 자연수) 배열로 배치되는 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시편 홀더로서, 상기 원형 웰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며, 다각형 시편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홀더 웰을 포함하는 시편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홀더 몸체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홀더 웰은 상기 다각형 시편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 동일한 상기 원형 웰에 대해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 가능하다.
상기 홀더 웰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되는 시편 받침대와; 둘레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홀더 세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시편 받침대의 평면 크기는 상기 바닥면에 비해 일정 비율만큼 작아 상기 홀더 웰의 내벽과 상기 시편 받침대의 외벽 사이에 둘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웰은 상기 바닥면 상에서 상기 홀더 세로 홈에서 상기 시편 홀더의 외벽 방향으로 음각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분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홈에 의해 상기 원형 웰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홀더 분리기는 양측 분리 바의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홀더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홀딩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 진입하여 외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홀더 분리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형 웰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편이 탑재될 웰과 시편의 형상을 동일하게 맞춰줌으로써 웰 플레이트와 시편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빈 공간으로 야기되는 실험적 오차 및 변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으로 제작이 어려운 시편을 이용하여 웰 플레이트 안에서 실험할 경우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웰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2는 원형 웰 내에 사각형 시편이 탑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편 홀더를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형 웰을 갖는 웰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원형 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시편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시편 홀더와 웰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8은 시편 홀더의 절개 사시도,
도 9는 시편 분리기 및 홀더 분리기와 그 사용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는 웰의 형상이 시편(샘플)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제작되어, 웰 내에 시편이 탑재될 때 사이 공간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웰 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 몸체의 상면에 사각형 웰(21)이 M x N 배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사각형 웰(21)은 소정 깊이를 가지며, 그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23)가 돌출 형성된다. 받침대(23)에는 사각형 웰(21) 내에 탑재되는 시편(1)이 안착(로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웰 플레이트(20)에는 사각형 웰(21) 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26)가 설치될 수 있다. 보호커버(26)는 웰 플레이트(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웰 플레이트(20)의 둘레면에는 소정 단차를 갖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보호커버(26)의 둘레면이 걸림턱(25) 상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보호커버(26)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실험 시 사각형 웰(21) 내에 로딩된 사각형 시편(1)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관찰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각형 웰(21)의 개구부가 사각형 시편(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사이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실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실험이 완료된 사각형 시편(1)을 사각형 웰(21)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웰(21)의 둘레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세로 홈(22)을 형성시켜, 사각형 시편(1)을 분리시키기 위한 실험 집게 다리(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시편 분리기(50)의 시편 홀딩부(52))가 시편(1)의 측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안정적인 시편 분리를 위해, 받침대(23)의 평면 크기는 사각형 웰(21)의 바닥면보다 작게 형성시켜, 사각형 웰(21)의 내벽과 받침대(23)의 외벽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에 둘레홈(45)을 형성시킬 수 있다. 세로 홈(22)을 통해 진입한 시편 분리기(50)의 시편 홀딩부(52)가 둘레홈(45)으로 진입하여 사각형 시편(1)의 하면 둘레를 홀딩하고 시편 분리기(50)를 상승시킴으로써, 사각형 시편(1)이 상승하여 사각형 웰(21) 외부로 빼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애서와 같이 시편 및 웰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시편의 형상이 삼각형 혹은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웰의 형상도 시편의 형상과 동일하게 삼각형 혹은 다각형으로 제작되어 시편이 웰 내에 탑재되었을 때 시편 둘레의 사이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편 홀더를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형 웰을 갖는 웰 플레이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원형 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시편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시편 홀더와 웰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시편 홀더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시편 분리기 및 홀더 분리기와 그 사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는 시편 홀더(40, 40a, 40b, 40c, 40A, 40B, 이하에서는 '40'으로 통칭하기도 함), 홀더 몸체(41, 41a, 41b, 41c, 이하 '41'로 통칭하기도 함), 홀더 웰(42, 42a, 42b, 42c, 이하 '42'로 통칭하기도 함), 홀더 세로 홈(43, 43a, 43b, 43c, 이하 '43'으로 통칭하기도 함), 시편 받침대(44, 44a, 44b, 이하 '44'로 통칭하기도 함), 둘레홈(45), 걸림홈(46), 시편 분리기(50), 분리 바(51), 시편 홀딩부(52), 홀더 분리기(60), 분리 바(61), 홀더 홀딩부(62)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편 홀더(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원형 웰(31)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웰 플레이트(30)에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원형 웰(31)에 탑재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시편 홀더(40a~40c)가 도시되어 있다.
시편 홀더(40)는 원통 형상의 홀더 몸체(41)를 포함한다. 홀더 몸체(41)의 높이는 원형 웰(31)의 깊이에 상응할 수 있다.
홀더 몸체(41)의 외경은 원형 웰(31)의 내경에 상응한다. 웰 플레이트(30)의 타입에 따라(예컨대, 6-웰 플레이트부터 96-웰 플레이트까지) 각각의 원형 웰(31)에 탑재될 수 있도록 홀더 몸체(41)의 외경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홀더 몸체(41)의 크기는 웰 플레이트(30)에 종속된다.
홀더 몸체(41)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홀더 웰(42)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홀더 웰(42)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시편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홀더 웰(42)의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만큼 시편 받침대(44)가 돌출 형성된다. 홀더 웰(42)에 탑재되는 시편(1)은 시편 받침대(44) 상에 로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편 홀더(40)의 경우, 홀더 몸체(41)는 웰 플레이트(30)의 원형 웰(31) 내에 꼭 맞도록 동일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홀더 웰(42)의 경우에는 실험(혹은 평가)하고자 하는 시편(1)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크기의 홀더 웰(42a~42c)이 각각 형성된 시편 홀더(40a~40c)를 준비하고, 실험하고자 하는 시편(1)의 크기에 상응하는 홀더 웰(42a~42c)을 갖는 시편 홀더(40a~40c 중 하나)를 해당 시편(1)에 대한 실험에 활용할 수 있다.
시편(1)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는 홀더 웰(42)이 형성되어 있어, 시편(1) 주변에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고, 이를 통해 실험과 무관한 반응 및 작용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실험 오차를 줄여 실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홀더 웰(42)의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는 홀더 세로 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웰(42)에 탑재된 시편(1)에 대한 실험이 완료된 이후, 홀더 세로 홈(43)을 통해 실험 집게(예를 들어, 도 9의 시편 분리기(50))로 시편(1)을 홀더 웰(42)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안정적인 시편 분리를 위해, 제1 시편 홀더(40A)의 경우 시편 받침대(44)의 평면 크기는 홀더 웰(42)의 바닥면보다 작게 형성시켜, 홀더 웰(42)의 내벽과 시편 받침대(44)의 외벽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에 둘레홈(45)을 형성시킬 수 있다. 홀더 세로 홈(43)을 통해 진입한 시편 분리기(50)의 시편 홀딩부(52)가 둘레홈(45)으로 진입하여 시편(1)의 하면 둘레를 홀딩하고 시편 분리기(50)를 상승시킴으로써, 시편(1)이 상승하여 홀더 웰(42) 외부로 빼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시편 홀더(40B)의 경우 홀더 웰(42)의 바닥면 상에는 홀더 세로 홈(43)에서 시편 홀더(40)의 외벽 방향으로 음각 형성된 걸림홈(46)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둘레홈(45)은 홀더 웰(42) 내에 로딩된 시편(1)을 용이하기 분리하기 위한 공간(space)인 반면, 걸림홈(46)은 웰 플레이트(30)의 원형 웰(31) 내에 탑재된 시편 홀더(40B)를 용이하기 분리하기 위한 공간이 된다.
도 9의 좌측 그림을 참조하면, 둘레홈(45)은 홀더 세로 홈(43)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하고 있어, 시편 분리기(50)는 양측 분리 바(51)의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시편 홀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시편 홀딩부(52)가 홀더 웰(42) 내에서 홀더 세로 홈(43)을 통해 진입한 이후, 내측으로의 가압 혹은 슬라이딩을 통해 둘레홈(45) 내에 진입함으로써 시편(1)의 하면 둘레를 홀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시편 분리기(50)를 들어올리면 시편 홀딩부(52)에 홀딩된 시편(1)도 같이 상승하여 시편 받침대(44)에서 언로딩되고 홀더 웰(42)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시편 분리기(50)는 집게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양측 분리 바(5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양측 분리 바(51)가 유지하는 간격은 시편(1)의 크기(특히, 가로 혹은 세로 길이) 이상이어서 시편(1)에 간섭되지 않고 시편(1)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일시적으로 양측 분리 바(51)에 대해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시편(1)을 잡아 올릴 수 있게 된다.
도 9의 우측 그림을 참조하면, 걸림홈(46)은 홀더 세로 홈(43)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고 있어, 홀더 분리기(60)는 양측 분리 바(61)의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홀더 홀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홀딩부(62)가 홀더 웰(42) 내에서 홀더 세로 홈(43)을 통해 하방으로 진행한 이후, 외측으로의 가압 혹은 슬라이딩을 통해 홀더 홀딩부(62)가 걸림홈(46) 내에 진입하여 걸리게 된다. 이후 홀더 분리기(60)를 들어올리면 홀더 홀딩부(62)에 걸린 시편 홀더(40B)도 같이 상승하여 웰 플레이트(30)의 원형 웰(31)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홀더 분리기(60)는 집게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양측 분리 바(6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양측 분리 바(61)가 유지하는 간격은 홀더 웰(42)의 크기(특히, 내경) 이상이어서 최초 진입 시 내측으로의 가압을 통해 홀더 웰(42)의 바닥면을 향해 홀더 홀딩부(62)를 진입시킬 수 있다. 이후 내측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해 홀더 홀딩부(62)가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홈(46) 내에 걸리게 됨으로써 시편 홀더(40B)를 잡아 올릴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9애서와 같이 시편 및 홀더 웰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시편의 형상이 삼각형 혹은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홀더 웰의 형상도 시편의 형상과 동일하게 삼각형 혹은 다각형으로 제작되어 시편이 홀더 웰 내에 탑재되었을 때 시편 둘레의 사이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시편 10, 30: 웰 플레이트
11, 31: 원형 웰 20: 웰 플레이트
21: 사각형 웰 22: 세로 홈
23: 받침대 25, 35: 걸림턱
26: 보호커버
40, 40a, 40b, 40c, 40A, 40B: 시편 홀더
41, 41a, 41b, 41c: 홀더 몸체
42, 42a, 42b, 42c: 홀더 웰
43, 43a, 43b, 43c: 홀더 세로 홈
44, 44a, 44b: 시편 받침대 45: 둘레홈
46: 걸림홈 50: 시편 분리기
51: 분리 바 52: 시편 홀딩부
60: 홀더 분리기 61: 분리 바
62: 홀더 홀딩부

Claims (7)

  1. 플레이트 몸체; 및
    다각형 시편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면에 M x N (M, N은 자연수)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다각형 웰을 포함하되,
    상기 다각형 웰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되는 받침대와;
    둘레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평면 크기는 상기 바닥면에 비해 일정 비율만큼 작아 상기 다각형 웰의 내벽과 상기 받침대의 외벽 사이에 둘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 플레이트.
  3. 복수 개의 원형 웰이 M x N (M, N은 자연수) 배열로 배치되는 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시편 홀더로서,
    상기 원형 웰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며, 다각형 시편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홀더 웰을 포함하는 시편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홀더 웰은 상기 다각형 시편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 동일한 상기 원형 웰에 대해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웰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시편이 로딩되는 시편 받침대와;
    둘레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변에 대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홀더 세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시편 받침대의 평면 크기는 상기 바닥면에 비해 일정 비율만큼 작아 상기 홀더 웰의 내벽과 상기 시편 받침대의 외벽 사이에 둘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웰은 상기 바닥면 상에서 상기 홀더 세로 홈에서 상기 시편 홀더의 외벽 방향으로 음각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홀더 분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홈에 의해 상기 원형 웰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홀더 분리기는 양측 분리 바의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홀더 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홀딩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 진입하여 외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홀더 분리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형 웰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홀더.
KR1020190060865A 2019-05-23 2019-05-23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KR10225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65A KR102252421B1 (ko) 2019-05-23 2019-05-23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65A KR102252421B1 (ko) 2019-05-23 2019-05-23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639A true KR20200135639A (ko) 2020-12-03
KR102252421B1 KR102252421B1 (ko) 2021-05-17

Family

ID=7377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65A KR102252421B1 (ko) 2019-05-23 2019-05-23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4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6368A1 (en) * 1989-10-27 1991-05-16 Raymond Edwards Microtitre plate well inserts
US20180120309A1 (en) * 2016-03-24 2018-05-03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Jinzhou Medical University Elisa plate
KR20180100874A (ko) 2017-03-02 2018-09-12 (주) 바이오팩트 96 웰 플레이트 및 pcr 튜브용 자성입자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6368A1 (en) * 1989-10-27 1991-05-16 Raymond Edwards Microtitre plate well inserts
US20180120309A1 (en) * 2016-03-24 2018-05-03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Jinzhou Medical University Elisa plate
KR20180100874A (ko) 2017-03-02 2018-09-12 (주) 바이오팩트 96 웰 플레이트 및 pcr 튜브용 자성입자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421B1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588B2 (en) Multiwell test apparatus
US7527769B2 (en) Microtitre plate with a relieved perimeter
US5141718A (en) Test plate apparatus
US6943009B2 (en) Multi-well assembly for growing cultures in-vitro
AU756982B2 (en) Multi-through hole testing plate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JP5049275B2 (ja) 運動学的ウエルプレート取付け方法
EP1395645B1 (en) Access holes for feeding a multiwell filter plate
WO2018102329A1 (en) Tray for supporting individual or multiple cell culture wells
JP3960969B2 (ja) 突出部を備えるトレイ
JP2009542208A (ja) ハイスループット・スクリーニングのための高密度透過性支持体
KR102252421B1 (ko) 웰 플레이트 및 시편 홀더
EP1397212B1 (en) Positioning pins for multiwell test apparatus
US9333499B2 (en) Pipetting apparatus
KR102582725B1 (ko) 생물학적 시료 분석을 위한 슬라이드 스캐너용 트레이
US11471890B2 (en) Receptacle holder and receptacle rack
JP3208610U (ja) 培養容器
JP3854968B2 (ja) マルチウェル検査装置用供給トレイ
WO2005118145A2 (en) Industry standard multi-well plates with increased capacity and efficiency per well
US9726660B2 (en) Method and kit for testing various selected materials and/or surface structures for culturing cells
US20220379301A1 (en) Specimen Transport Tube Rack Cap
CN117642637A (zh) 微型柱保持装置及使用方法
EP3408024A2 (en) Multi-well test plate assembly and method of preparing a test plate for analysis
JP2006126066A (ja) マイクロタイタープレート用のアダプタ
US20060171858A1 (en) Common carrier for loading capillary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