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107A -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107A
KR20200135107A KR1020190095541A KR20190095541A KR20200135107A KR 20200135107 A KR20200135107 A KR 20200135107A KR 1020190095541 A KR1020190095541 A KR 1020190095541A KR 20190095541 A KR20190095541 A KR 20190095541A KR 20200135107 A KR20200135107 A KR 2020013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gnating member
container body
impregnating
contain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김하영
고원진
강윤정
성준기
맹일신
황인규
김동현
김슬미
오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2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896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73 priority patent/WO2020235790A1/ko
Priority to CN202010249850.0A priority patent/CN111972815A/zh
Priority to TW109114084A priority patent/TW202042701A/zh
Publication of KR2020013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osmet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함침부재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Impregnation member and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에는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시켜 저장하기 위한 스펀지와 같은 함침부재가 수납될 수 있는데, 상기 함침부재의 상부면에는 다양한 패턴이나 로고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이나 로고는 함침부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내면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거나, 화장품의 상표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레이저 각인 또는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함침부재를 통한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 조절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이처럼, 함침부재의 상부면에 다양한 패턴이나 로고를 형성하고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수납시킬 때에는 상기 패턴이나 로고가 정위치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의 뚜껑을 열었을 때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함침부재의 방향을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고, 용기본체에 정위치로 배치하여 수납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동화 공정을 통해 함침부재를 수납하는 경우에도, 함침부재의 수납 이후 용기본체에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주입하고, 상기 조성물이 잘 함침되도록 두드려주는 과정에서 정위치로 배치된 함침부재의 위치가 비뚤어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침부재와 용기본체에 체결부를 마련하여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침부재를 용기본체에 끼움으로써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침부재의 회전을 통한 정위치 배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함침부재는 용기본체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방향성이 있는 문자, 문양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레이저 각인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와는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에 함침되는 화장품 조성물과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함침부재와는 상이한 거칠기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역은 요철, 열압착부, 절단부 및 레이저 가공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필름이고, 상기 필름은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은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침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성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링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일 측면에 따른 함침부재; 내부에 상기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함침부재는 용기본체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함침부재; 내부에 상기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용기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이고, 상기 함침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용기본체는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상은 다각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절단된 원 또는 타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용기본체의 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바닥면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는 중앙 영역에 일정 형상의 모양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부재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육안이나 촉감을 통해 함침부재가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정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의 방향성 표시부를 이용하여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부재에 구비된 방향성 표시부는 함침부재의 수납 이후 제거되거나, 고정링으로 가려져 사용자의 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부재는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체결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촉감만으로 함침부재를 정위치에 수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와 용기본체가 체결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육안이나 촉감을 통해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정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와 용기본체에 구비된 체결부를 이용하여 함침부재가 정위치인 경우에만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함침부재와 용기본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육안이나 촉감을 통해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정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와 용기본체가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점을 이용하여 함침부재가 정위치인 경우에만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와 용기본체가 대응되는 형상과 고정링의 모양홀 형상을 통해 심미감을 발현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함침부재의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필름의 평면도이고, 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필름이 부착된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용기본체 및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함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a 함침부재와 필름을 개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b 필름이 부착된 함침부재의 사시도, c 필름이 부착된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따른 함침부재의 사시도와 용기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따른 함침부재의 사시도이고, c는 상기 함침부재의 저면도와 용기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3에 따른 함침부재와 용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따른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따른 용기본체, 함침부재 및 고정링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용기본체 및 함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a 함침부재의 평면도, b 용기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함침부재의 a 평면도, b 측면도, c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고정링 및 함침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함침부재 배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함침부재 배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함침부재의 배치, 수납은 함침부재를 용기본체 내부에 안착시켜 사용을 위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함침부재가 정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파지하였을 때 함침부재에 형성되는 각인부 등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함침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을 개폐하기 위한 힌지축과 로고, 문자 등의 각인부의 횡방향 축이 서로 평행한 것을 각인부의 정위치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울과 후술하는 버튼을 연결하는 축, 예를 들어 거울을 개폐하기 위한 힌지축에 대한 수직축이 로고, 문자 등의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서로 수직인 것을 각인부의 정위치로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내뚜껑의 제2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여, 도포구를 쥔 오른손으로 함침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부재에 각인부로 로고, 문자 등이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뚜껑은 왼쪽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내뚜껑을 열었을 때 상기 로고, 문자가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바로 인식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즉, 함침부재가 정위치로 배치된다는 것은, 통상의 사용자가 상기 내뚜껑을 왼쪽으로 열었을 때, 화장품 용기의 방향을 추가로 조절함이 없이 함침부재에 형성된 각인부의 로고, 문자, 문양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용기본체, 함침부재 및 고정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화장품 용기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는 외용기(10), 외뚜껑(20), 용기본체(30), 내뚜껑(40), 고정링(50) 및 함침부재(60)를 포함한다.
먼저, 외용기(10)는 측면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측에 용기본체(30)가 안착될 수 있다. 외뚜껑(20)은 외용기(10)에 일 영역이 연결되어 개폐 조작될 수 있다. 즉, 외뚜껑(20)의 일측은 외용기(10)와 제1 힌지부(7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힌지부(70)를 축으로 외용기(10)에 대하여 타측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뚜껑(20)은 외용기(10)와 마주하는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거울(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외용기(10)와 외뚜껑(20)이 힌지 결합되는 영역과 대향하는 타측의 외용기(10)에는 누름부재(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누름부재(12)의 상부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1)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12)는 외뚜껑(20)을 외용기(10)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조작되는 버튼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돌기(11)와 대응하는 외뚜껑(2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용기(10)로부터 외뚜껑(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재(12)를 가압함에 의해 누름부재(12)의 상부로 연장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11)가 후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1)가 외뚜껑(20)의 걸림홈(21)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뚜껑(20)이 외용기(10)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용기본체(30)는 내부에 함침부재(60)가 수용되는 리필용기일 수 있고, 그 자체로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10)가 생략된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용기본체(30)는 돌기 및 홈 체결 구조 등을 통해 외용기(1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30)는 외력에 의해 외용기(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외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기본체(30)는 외용기(10) 내에 결합되는 내용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내뚜껑(40)은 상부면에 퍼프(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된 용기본체(3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내뚜껑(40)의 일측은 용기본체(30)와 제2 힌지부(80)에 의해 연결되어, 제2 힌지부(80)를 축으로 용기본체(30)에 대하여 타측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뚜껑(40)이 개폐되는 방향은 외용기(10)와 외뚜껑(20)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40)의 개폐 시 외뚜껑(2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본체(30)는 용기본체(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본체 바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격벽(31a) 및 외측격벽(3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격벽(31a)은 상기 외측격벽(31b)에 대해 용기본체(30)의 안쪽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측격벽(31a)과 외측격벽(31b)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양 격벽의 사이에 수용홈(31c)이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본체(30)는 함침부재(60)를 배치할 때, 후술할 방향성 표시부(61) 또는 가이드부(63)에 대응되는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함침부재(60)의 정위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30)의 내측격벽(31a) 또는 수용홈(31c)의 적어도 일부분에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바탕으로 함침부재(6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고, 영구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후술할 고정링(50)을 수용홈(31c)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가려져서 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링(50)은 용기본체(3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고정링(50)은 용기본체(30)에 수납된 함침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부(50a) 및 연장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a)는 용기본체(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연장부(50b)는 고정부(50a)로부터 용기본체(30)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용기본체(30)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고정링(50)의 고정부(50a)를 수용하는 수용홈(31c)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고정부(50a)와 수용홈(31c)의 결합을 통해 고정링(50)이 용기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50b)는 중앙 영역에 일정한 형상의 모양홀(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양홀(51)을 통하여 용기본체(30)에 수납된 함침부재(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링(50)은 고정부(50a)가 수용홈(31c)에 결합됨으로써 용기본체(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링(50)이 상기 용기본체(30)의 내측격벽(31a) 또는 수용홈(31c)에 형성된 가이드를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시에는 고정링(50)의 고정부(50a) 또는 연장부(50b)에 의해 가이드가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함침부재(60)는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액상일 수 있지만, 함침이 가능하다면 그 제형에 한정은 없다. 상기 조성물의 점도, 성분, 용도 및 기능 또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함침부재(60)는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함침부재(60)는 용기본체(30)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30)에 결합되는 고정링(50)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30)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함침부재(60)는 상부면에 각인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인부(S)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상부면과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 등을 통해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함침부재(60)에서 각인부(S)가 형성된 면을 확인하여 상부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각인부(S)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되,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서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인부(S)는 로고나 패턴일 수 있으며, 그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인부는 화장품 브랜드를 나타내기 위한 로고나 상표일 수 있고, 정형 또는 무정형의 패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인부(S)는 각인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비교하여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각인부(S)는 후술할 방향성 표시부(61)와는 별개로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0)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인부(S)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80)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인부(S)는 힌지부(80)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공됨으로써, 화장품 브랜드 등의 정보를 틀어짐 없이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면, 함침부재(60)가 정위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인부(S)는 상기 힌지부(8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힌지부(80)를 통해 내뚜껑(40)을 여는 즉시 상기 각인부(S)를 인식하게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함침부재(60)는 상부면에 각인부(S)를 갖거나 갖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인부(S)를 갖는 함침부재(60)의 정위치 배치를 위한 설명일 수 있다.
실시예 1. 함침부재의 배치 후 세부 조정이 필요한 화장품 용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함침부재(60)가 수납되는 용기본체(30); 및 상기 용기본체(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50a)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50b)가 구비되는 고정링(50);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60)는 상기 용기본체(30)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는 용기본체(30)에 수납될 때 정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방향성 표시부(61)를 구비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를 인식하여 용기본체(30)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경우,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를 이용하여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정하고, 용기본체(30)에 수납을 통한 배치 후 세부적인 조정을 통해 함침부재(60)를 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가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실시예 1-1. 방향성 표식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61)를 구비하는 함침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부재(60)는 적어도 어느 일면에 용기본체(30)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방향성 표시부(61)는 방향성이 있는 문자, 문양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는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 내에서 수납되는 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방향성 표시부(61)는 용기본체(30)에 형성되는 전술한 가이드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에 맞추어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를 배치함으로써 함침부재(60)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는 함침부재(60)를 통한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는 레이저 각인이나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는 함침부재(60)의 수납을 위한 정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하거나, 함침부재(60)에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성 표시부(61)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성 표시부(61)는 함침부재(60)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상기 방향성 표시부(61)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2. 방향성 필름이 부착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방향성 필름(9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방향성 표식(91)를 구비하는 방향성 필름(90)이 접착된 함침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방향성 필름(90)은 필름의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방향성 표식(91)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방향성 필름(90)에 구비된 방향성 표식(91)을 통해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향성 필름(90)의 형상과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두께가 얇은 것으로 함침부재(60)에 대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 상부면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도록 배치하거나, 외주면을 넘어서 연장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용기본체(30) 또는 외용기(10) 등에 일정한 표식을 마련하고, 상기 연장되는 부분 자체를 상기 표식에 맞춤으로써,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30)에 마련되는 일정한 표식은 전술한 가이드일 수 있고, 방향성 필름(90)을 상기 가이드에 맞추어 함침부재(60)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방향성 표식(91)은 방향성 필름(90)의 표면에 프린팅, 레이저 각인, 열 처리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방향성 필름(90), 함침부재(60) 또는 방향성 표시부(6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자는 방향성 필름(90)에 구비된 방향성 표식(91)만을 통해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도 2의 c를 참조하면, 방향성 필름(9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정 수준 이상의 투명도를 보유하여 필름의 하부에 부착되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의 형상을 투과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방향성 필름(9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향성 표식(91)과,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방향성 표시부(61)를 함께 활용하여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향성 필름(90)은 어느 일면이 접착 가능한 것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탈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 확인에 이용될 수 있고,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 탈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성 필름(90)은 어느 일면이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대해 접착력을 가지되, 외력으로 쉽게 탈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성 필름(90)은 필름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물질의 찌꺼기나 필름의 일부를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남기는 일이 없이 탈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성 필름(90)은 투과성이 있어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함침부재(60)에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것일 수 있지만, 함침부재(60)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후 방향성 필름(90)을 제거하고 함침되도록 불투과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방향성 필름(90)은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을 사용 전에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시 탈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성 필름(90)은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용해되는 재질로 구성되어 함침부재(60)의 수납 후 상기 조성물의 함침시 용해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향성 필름(90)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상기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용해되어도 조성물의 물성과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방향성 필름(90)은 자동화 공정기기나, 수작업을 통해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향성 표시부(61)의 어느 일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 상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상기 방향성 필름(90)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 상기 방향성 필름(90)을 탈착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3. 염색부가 형성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염색부(62a, 62b)를 구비하는 함침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염색부(62a, 62b)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례로써, 상기 함침부재(60)와는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함침부재(60) 표면에 형성되어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부(62a, 62b)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염색부(62a, 62b)를 육안으로 인식하여 함침부재(60)를 수납할 수 있고, 공정기기는 상기 염색부(62a, 62b)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함침부재(6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염색부(62a, 62b)는 함침부재(60)에 함침되는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과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색부(62a, 62b)는 함침부재(60)와는 상이한 색상을 가져서 작업자가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의 정위치에 수납시킬 때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뒤,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시킴에 따라, 염색부(62a, 62b)와 함침부재(60)의 나머지 표면의 색상 차이가 식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염색부(62a, 62b)는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부(62a, 62b)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부(62a, 62b)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전술한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염색부(62a, 62b)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1-4. 가이드부가 형성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본체(30)는 여닫음을 위한 제2 힌지부(80)를 통해 내뚜껑(40)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함침부재(60)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가이드부(63a, 63b, 6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가이드부(63a, 63b, 63c)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례로써, 함침부재(60)의 수납시 상기 제2 힌지부(80)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작업자나 공정기기는 상기 제2 힌지부(8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에 수납되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63a, 63b, 63c)는 제2 힌지부(80)의 중앙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일직선(점선)이나 상기 일직선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의 직선(미도시)에 대해 일치하거나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나 공정기기는 상기 가이드부(63a)를 제2 힌지부(80)의 중앙부에 맞춤으로써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가이드부(63a, 63b, 63c)는 함침부재(60)의 수납시 용기본체(3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는 용기본체(30)의 내부격벽(31a) 또는 수용홈(31c)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63a, 63b, 63c)를 상기 가이드에 맞추어 함침부재(60)를 배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63a, 63b, 63c)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의 개수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63a, 63b, 63c)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가이드부(63a, 63b, 63c)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1-5. 방향성 표시 영역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함침부재(6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방향성 표시부의 일례로써,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의 크기와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함침부재(60)의 측면이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에 수납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의 적어도 일부가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 또는 내측격벽(31a)에 의해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상기 함침부재(60)의 나머지 영역과는 상이한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지 않고 손의 촉각만으로 상기 영역의 감촉을 인식할 수 있고, 공정기기의 경우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함침부재(60)의 앞뒤 및 방향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함침부재(60) 표면의 일부에 작은 돌기나 엠보싱 등 요철을 형성하거나, 함침부재(60) 표면에 열을 가하여 열압착부를 형성하거나, 함침부재(60) 표면을 절단하여 절단부를 형성하거나, 함침부재(60) 표면에 레이저로 식각하여 레이저 가공부를 형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의 나머지 영역과는 상이한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철은 함침부재(60)와 촉감이 상이한 재료를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열압착부나 레이저 가공부를 형성하는 것은 함침부재(60)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절단부를 형성하는 것은 함침부재(60)에 일정하거나 불규칙한 패턴을 형성하여 홈을 형성하는 등으로 촉감의 차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은 용기본체(30)에 형성되는 전술한 가이드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에 맞추어 상기 방향성 표시 영역(64a, 64b)를 배치함으로써 함침부재(60)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1-6. 방향성 필름이 바닥면에 부착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함침부재(60)와 방향성 필름(90)의 사시도이고, b는 방향성 필름(90)이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부착된 함침부재(60)의 사시도이고, c는 방향성 필름(90)이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부착된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방향성 필름(90)이 부착된 함침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하며, 방향성 필름(90)은 앞선 실시예 1-2와 달라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방향성 필름(90)은 손잡이(92)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92)는 방향성 필름(90)이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면에 탈부착될 때 외력을 가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향성 필름(90)은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함침부재(60)는 방향성 필름(90)을 바닥면에 부착한 채로 수납 방향을 확인하여 용기본체(3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방향성 필름(90)의 손잡이(92)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를 참조하면 작업자나 공정기기는 함침부재(60)의 방향성 표시부(61)와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을 돌출하는 손잡이(92)를 이용하여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확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92)는 용기본체(30)에 형성되는 전술한 가이드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에 맞추어 상기 손잡이(92)를 배치함으로써 함침부재(60)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손잡이(92)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함침부재(60)의 수납 후에는 도 6의 c와 같이 함침부재(60)의 상부면 바깥이나 안쪽(미도시)으로 구부려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손잡이(62)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92)는 사용자가 함침부재(60)를 뒤집을 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잡이(92)를 잡고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로부터 꺼내 뒤집어서 다시 용기본체(30)에 수납할 수 있고, 손잡이(92)를 잡고 방향성 필름(90)을 탈착시켜 폐기하고, 함침부재(60)의 기존 바닥면을 통해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7. 실로 방향성이 표시된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방향성 표시부의 일종으로 실(65a, 6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60)는 앞선 실시예 1-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실(65a, 65b)은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65a, 65b)은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어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부재(60)에 구비된 별도의 방향성 표시부(61)의 중심선(미도시)에 실을 고정하고, 화장품 용기의 중심선에 미리 형성한 표식과 상기 실을 일직선으로 위치시킴으로써 함침부재(60)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미리 형성한 표식은 전술한 가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65a, 65b)은 미싱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65a)의 양 끝단이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고리를 형성하거나, 실(65b)의 일측 끝단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고리에 손가락을 넣어 함침부재(60)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실(65a, 65b)은 함침부재(60)의 수납 후에 외력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실(65a, 65b)은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부재(60)에 함침시킬 때, 상기 조성물에 용해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65a, 65b)은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상기 실(65a, 65b)은 투명한 것이거나, 화장품 조성물의 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장품 조성물이 함침됨에 따라 실(65a, 65b)의 형상이 사라지고, 화장품 조성물의 색도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실(65a, 65b)은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 용해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으며, 수납 이후에 제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실(65a, 65b)은 전술한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상기 실(65a, 65b)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60)에 방향성 표시부(61)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나 자동화 공정기기가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의 정위치에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2.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함침부재(60)가 수납되는 용기본체(30); 및 상기 용기본체(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50a)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50b)가 구비되는 고정링(50);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60)와 상기 용기본체(30)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대해 정위치로 배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함침부재(60)와 상기 용기본체(30)가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에 마련되는 체결부의 형태에 따라 고정링(50)의 변형도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경우, 체결부를 통해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의 정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배치 후 함침부재(60)의 추가적인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가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실시예 2-1. 측면 체결부가 마련된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따른 함침부재(60)의 사시도 및 용기본체(3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60) 및 용기본체(30)의 측면에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용기본체(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2)일 수 있고, 상기 함침부재(6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66)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66)에 상기 돌출부(32)가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66)이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상부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66)이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상부면에 걸쳐 형성되되, 바닥면까지 관통하지는 않는 것일 수 있다.
체결부는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조성물 주입 자체로 인한 외력과, 화장품 조성물 함침 이후에, 함침 정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함침부재(60)를 두드려주는 과정에서 상기 함침부재(6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 예를 들어 돌출부(32)와 끼움홈(66)은 서로 대응하여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를 정위치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면 그 형태과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끼움홈(66)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끼움홈(66)과 용기본체(30)의 돌출부(32)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끼움홈(66)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발포폼을 재단하는 칼날이 상기 돌출부(32)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발포폼을 재단함으로써, 발포폼이 상기 돌출부(32)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에 의해 끼움홈(66)이 마련된 형태로 재단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또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고, 상기 돌출부(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칼날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끼움홈(66)의 형태를 재단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 2-2. 측면 체결부가 마련된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따른 함침부재(60)의 사시도이고, c는 함침부재(60) 및 용기본체(3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60) 및 용기본체(30)의 측면에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용기본체(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33)일 수 있고, 상기 함침부재(6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67)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67)에 상기 홀더(33)가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67)이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상부면과 바닥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67)이 함침부재(60)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바닥면에 걸쳐 형성되되, 상부면까지 관통하지는 않는 것일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도 9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함침부재(60)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도 9의 c에서 함침부재(60)는 체결부가 형성된 바닥면을 보여주는 일 례이다.
체결부는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 예를 들어 홀더(33)와 끼움홈(67)은 서로 대응하여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를 정위치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면 그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방향성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끼움홈(67)은 함침부재(60)의 바닥면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되어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 복수 개의 끼움홈(67)과 홀더(3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끼움홈(67)과 이에 대응하는 홀더(33)를 다른 끼움홈(67)과 이에 대응하는 홀더(33)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끼움홈(67)과 홀더(33)의 형상, 크기 또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끼움홈(67)과 홀더(33) 중 어느 한 홀더(33)는 어느 하나의 끼움홈(67)에만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 끼움홈(67)에 대해서는 끼워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부재(60)를 잘못 배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끼움홈(67)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발포폼을 재단하는 칼날이 상기 홀더(33)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발포폼을 재단함으로써, 발포폼이 상기 홀더(33)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에 의해 끼움홈(67)이 마련된 형태로 재단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또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고, 상기 홀더(3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칼날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끼움홈(67)의 형태를 재단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크기, 형상의 칼날을 이용하여 하나의 발포폼에 다양한 형태의 끼움홈(67)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3. 바닥 체결부가 마련된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3에 따른 함침부재(60) 및 용기본체(3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에 마련되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통한 결합을 예시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고, 화장품 용기의 나머지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 2-3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60) 및 용기본체(30)의 바닥면에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용기본체(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4a, 34b)일 수 있고, 상기 함침부재(6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68a, 68b)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68a, 68b)에 상기 돌출부(34a, 34b)가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측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68a)은 함침부재(60)의 일부가 절단되어 생기는 절단면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측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본체(30)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34a)는 상기 절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홈(34b)이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부면까지 관통하지는 않는 것일 수 있다.
체결부는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 예를 들어 돌출부(34a, 34b)와 끼움홈(68a, 68b)은 서로 대응하여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를 정위치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면 그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방향성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나 공정기기가 함침부재(60)를 잡고 용기본체(30) 내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체결부의 방향성이 일치할 때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가 함침부재(60)의 바닥면에 마련됨에 따라 사용시 상기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 복수 개의 돌출부(34)와 끼움홈(68)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끼움홈(68)과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34)를 다른 끼움홈(68)과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34)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끼움홈(68)과 돌출부(34)의 형상, 크기 또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끼움홈(68)과 돌출부(34) 중 어느 한 돌출부(34)는 어느 하나의 끼움홈(68)에만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 끼움홈(68)에 대해서는 끼워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부재(60)를 잘못 배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끼움홈(68)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끼움홈(68)이 함침부재(60)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발포폼을 재단하는 칼날이 상기 돌출부(34)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발포폼을 재단함으로써, 발포폼이 상기 돌출부(34)에 대응하는 형상의 칼날에 의해 끼움홈(68)이 마련된 형태로 재단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 2-4.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는 각각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용기본체(30)의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은 원이 아닌 것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함침부재(60)의 비원형 형태와, 용기본체(30)의 수납 공간의 비원형 형태를 각각의 체결부로 이용하는 것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함침부재(60)의 단면은 곡률반경이 서로 상이한 원호의 일부를 합친 형태일 수 있다. 용기본체(30)의 수납 공간의 형태도 상기 형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비원형 단면은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 내지 d와 같이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단면을 방향성이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c 및 d를 참조하면 함침부재(60)는 쉼표와 같은 독특한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함침부재(60)는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6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69)를 통해 방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함침부재(60)를 수납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링(50)에 의해 적어도 일부를 가려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영역을 노출하여 종래의 화장품 용기 대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끼움홈(68)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원형 형태의 함침부재(60)의 형상에 대응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발포폼을 재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돌출부(69)의 형태를 고려하여 재단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 2-5.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따른 용기본체(30), 고정링(50) 및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본체(30), 고정링(50) 및 함침부재(60)는 각각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용기본체(30)의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은 원이 아닌 것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50)도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고정링(5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결합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50)에서 모양홀(51)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모양홀(51)의 크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기본체(30), 고정링(50) 및 함침부재(60)의 일단면을 비원형의 형상으로 마련하여 함침부재(60)의 배치 및 수납을 달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모양홀(51)의 형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단면이 비원형인 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함침부재(60) 단면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2-6.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 내부의 정위치에 수납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화장품 용기의 나머지 구성은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는 각각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용기본체(30)의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은 원이 아닌 것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고, 상기 다각형은 정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은 적어도 일부가 절단된 원 또는 타원일 수 있고, 방향성을 갖는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단면이 비원형인 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함침부재(60) 단면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2-7.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이고, b는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평면도이다. 도 14의 b는 함침부재(60)가 용기본체(30) 내부의 정위치에 수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는 각각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용기본체(30)의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은 원이 아닌 것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본체(30)에는 용기본체(30)와 내뚜껑(40)의 여닫음을 위한 제2 힌지부(80)가 마련되되, 용기본체(30)의 내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뚜껑(40)을 닫았을 때, 제2 힌지부(80)가 내뚜껑(40)의 상부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30)에는 용기본체(30)의 상부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35)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돌기(35)와 대응하는 내뚜껑(40)의 내측면에는 걸림홈(41)이 구비될 수 있다. 내뚜껑(40)을 닫았을 때, 걸림돌기(35) 및 걸림홈(41)은 내뚜껑(40)의 상부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수납 공간은 상기 제2 힌지부(80)와 상기 걸림돌기(35)가 용기본체(30)의 내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일부가 절단된 원 또는 타원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30)의 제2 힌지부(80)와 걸림돌기(35) 및 걸림홈(41)을 용기본체(30)의 내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변형되는 수납 공간에 대응하도록 함침부재(60)를 형성하여 상기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여 함침부재(60)를 재단하는 시점에서부터 끼움홈(68)의 형태가 반영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재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힌지부(80)와 걸림돌기(35)의 형상에 대응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발포폼을 재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돌출부(69)의 형태를 고려하여 재단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 2-8. 함침부재 및 용기본체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화장품 용기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함침부재(60)의 평면도, b 측면도, c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는 각각의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과 용기본체(30)의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상은 원이 아닌 것으로 방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형상을 통해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함침부재(60)는 높이 방향에 따라 단면의 형상이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함침부재(60)의 바닥면은 비원형으로 용기본체(3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지만, 상부면은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5의 a에서와 같이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은 원형이지만, c에서와 같이 바닥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함침부재(60)는 높이 방향에 따라 상이한 단면을 가짐으로써 작은 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턱에 대응하여 용기본체(30)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턱(미도시)을 마련하여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용기본체(30)에 대한 수납 방향을 제한하고, 함침부재(60)의 수납 이후에도 상기 함침부재(60)가 외력에 의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은 원형으로 유지하고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함침부재(60)는 발포폼을 원기둥 형상으로 제조하고, 미리 정해진 함침부재(6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발포폼을 높이 방향으로 재단하여 개별 함침부재(60)를 준비한 뒤, 함침부재(60)의 바닥면을 비원형으로 추가 재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형성하거나,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일단면이 비원형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함침부재(60)가 상기 용기본체(30)에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나 형상 그 자체로 인해로 작업자나 자동화 공정기기가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의 정위치에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함침부재(60)와 용기본체(30)의 일단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되, 함침부재(60)의 상기 일단면의 단면적을 용기본체(30)의 상기 일단면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하거나, 더 크게 함으로써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상기 함침부재(60)에 함침시킴에 따라 상기 함침부재(60)가 부풀면서 용기본체(30)에 대한 결합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고정링(5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함침부재(60)가 수납되는 용기본체(30); 및 상기 용기본체(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50a)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50b)가 구비되는 고정링(50);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50b)는 일면에 고정핀(52)을 마련하여 상기 함침부재(60)의 수납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의 정위치에 배치한 이후에, 용기본체(30)에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주입하여 상기 함침부재(60)에 함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의 함침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을 두드려주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함침부재(60)의 위치가 어긋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액상의 화장품 조성물을 함침부재(60)에 함침시키고,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을 두드려준 이후에 고정링(50)의 고정핀(52)을 이용하여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함침부재(60)를 정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링(50)을 용기본체(30)에 결합한 후에는 상기 고정핀(52)이 함침부재(60)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4. 함침부재의 회전을 통한 정위치 배치 방법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함침부재의 회전을 통한 정위치 배치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화장품 용기 조립 라인을 따라 함침부재(60)를 이동시키면서 함침부재(60)의 정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맞게 상기 함침부재(6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본체(30)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 라인에서 함침부재(60)의 위쪽에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정위치를 나타내는 정방향 표시부(111)가 마련된 모양틀(1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표시부(111)의 형태 및 크기는 방향성 표시부(61)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부재(60)는 상기 조립 라인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모양틀(110) 하부에서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이때 모양틀(110)의 정방향 표시부(111)를 기준으로, 상기 함침부재(60) 상단부의 방향성 표시부(61)를 대조할 수 있다. 상기 양 표시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함침부재(60)를 회전시켜 상기 방향성 표시부(61)를 상기 정방향 표시부(111)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성 표시부(61)가 정위치로 배치될 때까지 함침부재(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부재(60) 상부면의 방향성 표시부(61)는 음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모양틀(110)의 정방향 표시부(111)는 상기 방향성 표시부(61)의 형태 및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되 양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양각과 음각이 꼭 맞을 때까지 상기 함침부재(60)를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양틀(110) 대신 용기본체(30)를 바로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용기본체(3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함침부재(60)의 방향성 표시부(61)에 대응되는 형상을 마련하고, 상기 방향성 표시부(61)와 상기 형상이 일치할 때까지 용기본체(30)와 함침부재(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하여 정위치 배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부재(60) 상부면의 방향성 표시부(61)는 음각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별도의 거리측정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부는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별도의 거리 측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함침부재(60)의 상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함침부재(60)가 정위치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기준 값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함침부재(60)를 용기본체(30)에 배치할 수 있다. 거리 측정은 초음파 반사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부재(60)의 상부면에 2개소 이상의 거리측정부를 마련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모양틀, 센서 또는 거리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함침부재(60)가 정위치로 배치될 때까지 함침부재(60) 등을 회전시켜 용기본체(30)에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함침부재(60)의 상부면과 바닥면이 뒤바뀐 경우에는 함침부재(60)를 1회 회전하여도 원하는 정위치가 판단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조립 라인으로부터 해당 함침부재(60)를 제거하는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거되는 함침부재(60)는 뒤집어서 다시 상기 조립 라인 상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함침부재(60)는 방향이 통일된 1줄 단위로 상기 조립 라인 상에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4에 따른 방법을 함침부재(60) 1줄 단위로 적용하여 상기 1줄의 함침부재(60)에 대한 정위치를 찾은 뒤, 함침부재(60) 낱개별로 신속하게 개별 용기본체(30)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외용기 11: 걸림돌기
12: 누름부재 20: 외뚜껑
21: 걸림홈 30: 용기본체
31a: 내측격벽 31b: 외측격벽
31c: 수용홈 32: 돌출부
33: 홀더 34a, b: 돌출부
35: 걸림돌기 40: 내뚜껑
41: 걸림홈 50: 고정링
50a: 고정부 50b: 연장부
51: 모양홀 52: 고정핀
60: 함침부재 61: 방향성 표시부
62a, b: 염색부 63a, b, c: 가이드부
64a, b: 방향성 표시 영역
65a, b: 실
66: 끼움홈 67: 끼움홈
68a, b: 끼움홈 69: 돌출부
70: 제1 힌지부 80: 제2 힌지부
90: 방향성 필름 91: 방향성 표식
92: 손잡이 100: 화장품 용기
110: 모양틀 111: 정방향 표시부
S: 각인부

Claims (33)

  1. 용기본체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함침부재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성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방향성이 있는 문자, 문양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레이저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와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에 함침되는 화장품 조성물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함침부재와는 상이한 거칠기를 갖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요철, 열압착부, 절단부 및 레이저 가공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필름이고,
    상기 필름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침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링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함침부재;
    내부에 상기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7. 용기본체에 수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함침부재로서,
    상기 함침부재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부재.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함침부재;
    내부에 상기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용기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이고,
    상기 함침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6. 내부에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용기본체는 일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짐에 의해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 방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다각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절단된 원 또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의 바닥면과 상기 용기본체의 단면이 원이 아닌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바닥면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중앙 영역에 일정 형상의 모양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는 상부면에 각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각인부는 레이저 각인, 열압착,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화장료 충진, 상기 함침부재와 상이한 색상의 스펀지 배치, 또는 상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의 염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여닫음을 위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편에 위치하며,
    상기 각인부는 상기 함침부재의 수납시 상기 각인부의 횡방향 축과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95541A 2019-05-23 2019-08-06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KR20200135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551A KR102444896B1 (ko) 2019-05-23 2019-10-02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PCT/KR2020/003273 WO2020235790A1 (ko) 2019-05-23 2020-03-09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CN202010249850.0A CN111972815A (zh) 2019-05-23 2020-04-01 浸渍部件以及化妆品容器
TW109114084A TW202042701A (zh) 2019-05-23 2020-04-27 浸漬部件以及化妝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18 2019-05-23
KR20190060818 2019-05-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551A Division KR102444896B1 (ko) 2019-05-23 2019-10-02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07A true KR20200135107A (ko) 2020-12-02

Family

ID=7379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41A KR20200135107A (ko) 2019-05-23 2019-08-06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35107A (ko)
TW (1) TW20204270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2701A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993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EP23651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markings to an article
WO2005099976A2 (en) Ring insert kit for scissors and template for use therewith
EP1105012B1 (en) Eyebrow dressing stamper apparatus
EP2312968B1 (en) Bowl
KR20200135121A (ko)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KR20200135107A (ko) 함침부재 및 화장품 용기
US20140305324A9 (en) Craft tools
KR100417919B1 (ko) 점각장치
JP3256501B2 (ja) インク容器付きスタンプパッド
JP4923741B2 (ja) 筆記具
JP3642393B2 (ja) ゴム印判
JPH0733832Y2 (ja) 石膏製日本人形頭の眼部構造
JPH11115388A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
JP2020142497A (ja) 印鑑アダプター
JP2576694Y2 (ja) 彫刻刀
US20120017789A1 (en) Craft tools
WO2023100174A1 (en) Two-part nail polish capsule
JP3052828U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付エアゾール容器
KR200216777Y1 (ko) 반작업된 인장재료
JP4110821B2 (ja) 洗濯機等の操作ボタン装置
KR20220001154U (ko) 삼각 드로잉 브러쉬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브로우 화장품 용기
JP2006027149A (ja) 印鑑補助具
KR20020078855A (ko) 인테리어용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JP3808222B2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