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921A - 의료용 형광 마커 - Google Patents

의료용 형광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921A
KR20200134921A KR1020190061126A KR20190061126A KR20200134921A KR 20200134921 A KR20200134921 A KR 20200134921A KR 1020190061126 A KR1020190061126 A KR 1020190061126A KR 20190061126 A KR20190061126 A KR 20190061126A KR 20200134921 A KR20200134921 A KR 20200134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marker
fluorescent
medical
hea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코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코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코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6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921A/ko
Priority to PCT/KR2019/006257 priority patent/WO2020241908A1/ko
Priority to JP2019099448A priority patent/JP6570097B1/ja
Priority to JP2019142226A priority patent/JP2020192305A/ja
Publication of KR2020013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5Visible markers with marking agent for marking skin or other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7Applicators for implant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91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having specific anchoring means to fixate the marker to the tissue, e.g. 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의료용 형광 마커는,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a인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그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휘어지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선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휘어지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상기 삽입부는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신축부가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각각의 상기 삽입부도 내측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하며, b>b'≥a의 관계를 만족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형광 마커 {Medical Florescent Marker}
본 실시예는 의료용 형광 마커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또는 내시경 사용은 종양이나 다른 병증을 진단하는 동시에 또는 추후에 수술하는 데 효과적인 체외 원격 수술 방법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내시경을 사용한 수술의 전 과정에서 수술 효율과 수술 부위 최적 절개를 위하여 다양한 지원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수술용 펜이나 다른 방법으로 병변 부위를 마킹할 수 있고, 복강경 또는 내시경용 나이프 또는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 프로브(argon plasma coagulation probe)를 사용하여 병변 둘레를 마킹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종래의 시술법에서 내시경을 통해 얻는 시야 각도 및 범위와, 개복 또는 복강경을 통해 얻는 시야 각도 및 범위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절개해야 할 목표 위치를 신체 외부에서 정확히 찾아내기 어렵고, 따라서, 시술자의 감이나 숙련도 등에 따라 절개의 정확도 및 절개 범위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에서 3에 개시된 생체 마커를 예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3939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083호 특허문헌 3: US Pat. No. 0735780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복강경 또는 내시경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적절한 형광표시 면적을 제공하면서도 보관 및 이송 중 내시경의 기구용 채널 안에 압축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형광 마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전개 부착 방법이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한 형광 마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형광 마커를 연속으로 전개하는 데 적합한 다연발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a인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그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휘어지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선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휘어지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상기 삽입부는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신축부가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각각의 상기 삽입부도 내측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하며, b>b'≥a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평평한 코인 형태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신축부가 내측으로 수축되면 외측으로 반발하는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상기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한 상태로 목표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목표 부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팽창 바이어스에 의해 외측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시경의 선단의 내경이 c일 때, b>c≥b'≥a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형광 마커는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고, 내시경 내에 다연발 장착 시에 상기 삽입부는 선행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의 상기 센터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형광 마커는, 외경이 d이고 내경이 e인 제1 직경부, 상기 제1 직경부에서 연장되어 내경이 f인 제2 직경부를 포함하는 형광 마커 카트리지를 더 구비하고, 내시경의 선단의 내경이 c일 때, c=d, e≥b, f≥b'≥a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이고, 상기 형광부는 상기 센터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고, 상기 형광부는 상기 센터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광반응성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내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터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 또는 돔형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동일 방향 곡선을 따라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외부 압력에 대해 반발하는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 재질의 레그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구비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강경 또는 내시경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형광표시 면적을 제공하면서도 보관 및 이송 중 내시경의 기구용 채널 안에 압축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형광 마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개 부착 방법이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한 형광 마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형광 마커를 연속으로 전개하는 데 적합한 다연발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의 사시도 및 헤드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가 내시경 내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헤드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가 내시경으로부터 방출되어 목표 부위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를 연쇄적으로 장전한 다연발 형광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를 연쇄적으로 장전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를 연쇄적으로 장전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 및 형광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 및 형광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는, 예를 들어 내시경에 삽입되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사시도(a) 및 헤드부(110)에서 바라본 정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내시경(200) (내시경의 선단) 내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a) 및 헤드부(110)에서 바라본 정면도(b)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는 헤드부(110)와 레그부(120)로 구성되고, 헤드부(110)와 레그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광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헤드부(110)가 원형으로 대략 평평한 평면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 헤드부(110)는 원형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가 볼록한 돔형 또는 타원체를 단축 방향으로 절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헤드부(110)의 대략 전면에 걸쳐 형광부(130)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 형광부(130)는 필요에 따라 헤드부(110)와 레그부(120)의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할 수 있다. 형광 물질을 디핑 등으로 도포하는 경우 레그부(120)의 끝 부분을 잡고 적당한 깊이로 액상의 형광 물질 내에 잠기도록 해서 형광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레그부(1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 두 개 이상이 헤드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시 내측으로 휘어지는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신축부(121)와 삽입부(122)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네 개의 헤드부(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로, 헤드부(1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신축부(121)는 헤드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200) 내에 수용되어 내시경(200)의 내벽으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는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200)의 내경(c)와 대략 동일한 b'이다.
여기서 내시경의 내경 c와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져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가 동일하다는 것은 c=b'가 아니라 c≥b'의 관계로 신축부(121)의 최외곽이 내시경(200)의 내벽에 외접하는 것을 의미한다.
삽입부(12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121)의 선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으로,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져서 신축부(121)가 내측으로 수축되면 이에 따라 삽입부(122)도 내측으로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좁아지거나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신축부(121)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의 신축부(121)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및 헤드부(110)의 지름 a는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b>b'≥a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헤드부(110)는 평평한 코인 형태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외접하는 원의 지름 a가 수학식 1을 만족함과 동시에 내시경(200) 내에 삽입되도록 내시경(200)의 내경 c보다 작아야 한다.
레그부(12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서 신축부(121)가 내측으로 수축되면 외측으로 반발하는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내시경(200)에 삽입했을 때 신축부(121)가 내측으로 수축되어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시키려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신축부(121)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가 내시경(200)의 내경 c보다 커야 한다.
즉, 내시경(200)의 내경 c,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신축부(121)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의 신축부(121)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및 헤드부(110)의 지름 a는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b>c≥b'≥a
의료용 형광 마커(100)는 금속이나 금속에 상당하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형광 마커(100)는 체강 내, 특히 소화 효소가 분비되는 위 등에서 부식되는 일이 없도록 스테인리스 및 티탄합금 등의 금속, 또는 ABS수지, 경질염화비닐수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형광 마커(100)는 레그부(1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 상태에서 레그부(120)가 자기 확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탄성이 풍부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고분자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고분자 마커를 만드는 공정에서 형광 물질이 고분자 내에 혼합되게 함으로써 고분자 재질의 의료용 형광 마커(100) 자체가 형광성을 띠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일부를 형광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로 얇게 코팅층을 형성하여 형광성을 띠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내시경(200)으로부터 방출되어 목표 부위(MP (Marking Point))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내시경(200)으로부터 방출되면서 삽입부(122)가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한 상태로 목표 부위(MP)에 삽입되면 목표 부위(MP)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므로 팽창 바이어스에 의해 외측으로 이격되어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목표 부위(MP)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마킹을 위해 목표 부위(MP)에 삽입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의도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는 신축부(121)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누르면 이에 따라 삽입부(122)도 내측으로 조여지므로 목표 부위(MP)로부터 쉽게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빼낼 수 있다.
삽입부(122)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정도와 길이 및 제1 이격 거리는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목표 부위(MP)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400)는 헤드부(410)의 가운데 부분에 센터홀(415)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헤드부(410), 레그부(420), 신축부(421), 삽입부(422), 및 형광부(430)는 각각 그 기능 및 작용이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헤드부(110), 레그부(120), 신축부(121), 삽입부(122), 및 형광부(130)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센터홀(415)은 헤드부(410)에 일정 깊이로 파여진 형태일 수도 있고 헤드부(410)를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도 있다.
센터홀(415)이 헤드부(410)를 관통하는 관통홀인 경우, 내시경(200) 내에 연속적으로 의료용 형광 마커를 장착할 때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헤드부(4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센터홀(415)에 다른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삽입부(422)가 삽입되어, 센터홀(415)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삽입부(422)의 끝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50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500)는 삽입부(5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후크부(523)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헤드부(510), 레그부(520), 신축부(521), 삽입부(522), 및 형광부(530)는 각각 그 기능 및 작용이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헤드부(110), 레그부(120), 신축부(121), 삽입부(122), 및 형광부(130)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의료용 형광 마커(500)의 삽입부(5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후크부(523)는 삽입부(522)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의료용 형광 마커(500)가 목표 부위(MP)에 삽입되면 후크부(523)는 화살의 촉처럼 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600)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600)는 삽입부(6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후크부(623)를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400)와 동일하다. 따라서, 헤드부(610), 레그부(620), 신축부(621), 삽입부(622), 및 형광부(630)는 각각 그 기능 및 작용이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헤드부(410), 레그부(420), 신축부(421), 삽입부(422), 및 형광부(430)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의료용 형광 마커(600)의 삽입부(6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후크부(623)는 삽입부(622)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의료용 형광 마커(600)가 목표 부위(MP)에 삽입되면 후크부(623)는 화살의 촉처럼 빠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400)를 내시경(200) 내에 다연발 가능하도록 연쇄적으로 장전한 형광 마커(400)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편의 상 헤드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별도로 음영 표시하지 않았지만 헤드부에 도 1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홀(415)이 헤드부(410)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형성되어, 내시경(200) 내에 연속적으로 의료용 형광 마커를 장착할 때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헤드부(4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센터홀(415)에 뒤따르는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삽입부(422)가 삽입되어, 삽입부(422)의 끝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연발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200) 내에서 의료용 형광 마커(400)가 하나씩 방출되도록 밀어냄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연쇄적으로 장전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연쇄적으로 장전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서도 편의 상 헤드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별도로 음영 표시하지 않았지만 헤드부에 도 1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 내에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연쇄적으로 장전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의료용 형광 마커(400), 의료용 형광 마커(500), 또는 의료용 형광 마커(600)를 장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는 내시경(200)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부분(제1 직경부)과 그 선단에 형성된 병목과 같은 제2 부분(제2 직경부)의 2단 직경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2단 직경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의료용 형광 마커(100, 400, 500, 600)는 평상 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 내에서 비교적 느슨하게 저장되어 사용자의 마킹 조작에 신속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전진할 수 있는 준비 상태에 있다가, 동작 시 목표 부위(MP) 직전에서 의료용 형광 마커가 제2 부분을 통과하면서 필요한 팽창 바이어스를 단시간에 받아 목표 부위(MP)에 삽입-팽창적 고정의 연속 동작이 가능하다.
2단 직경의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에는 다른 장점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크기가 내시경(200)의 내경 c보다 작아 내시경(200) 내에 의료용 형광 마커(100)를 장전했을 때 신축부(121)가 헐거워서 삽입부(122)의 제2 거리가 원하는 유효작동 거리만큼 짧아지지 않거나, 의도적으로 의료용 형광 마커(100)의 크기를 작게 해야 하는 경우,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는 외경 d가 내시경(200)의 내경 c보다 작거나 같고 내경 e가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보다 크거나 같은 제1 직경부(810) 및 내경 f가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보다 크거나 같은 제2 직경부(820)로 구성된다.
즉, 내시경(200)의 내경 c, 제1 직경부(810)의 외경 d, 제1 직경부(810)의 내경 e, 제2 직경부(820)의 내경 f,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 b', 및 헤드부(110)의 지름 a는 수학식 3을 만족한다.
[수학식 3]
c≥d>e≥b>f≥b'≥a
따라서,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800) 내에 의료용 형광 마커(100)는 제1 직경부(810) 내에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직경부(810)의 측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2 직경부(820) 내로 삽입되면서 제2 직경부(820)의 측면에 의해 신축부(121)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신축부(121)와 삽입부(122)가 내측으로 수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121)와 삽입부(122)가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목표 부위(MP)를 향해 방출되면 삽입부(122)가 목표 부위(MP) 내부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므로 팽창 바이어스에 의해 삽입부(122)가 외측으로 이격되어 의료용 형광 마커(100)가 목표 부위(MP)에 고정된다.
도 9에서도 편의 상 헤드부에 형성된 형광부를 별도로 음영 표시하지 않았지만 헤드부에 도 1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000) 및 형광부(1030)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0)는 헤드부(1010), 레그부(1020), 센터홀(1015), 및 형광부(1030)로 구성된다. 헤드부(1010), 레그부(1020), 및 센터홀(1015)은 도 4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헤드부(410), 레그부(420), 및 센터홀(415)와 구조 및 기능 면에서 동일하고, 레그부(1020)는 의료용 형광 마커(400)의 레그부(420)와 마찬가지로 신축부 및 삽입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형광부(1030)는 센터홀(1015)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형광부(1030) 외부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내부에 형광 물질을 수용해서 센터홀(1015) 내에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홀(1015)은 헤드부(1010)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이거나 헤드부(1010)를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형광부(1030) 내부에 형광 물질을 수용하는 경우, 형광부(1030) 내부에는 소정의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 내에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수용한 후 밀폐된다.
여기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은 특정 파장 대역의 광원, 예컨대 인체에 무해한 레이저, LED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됐을 때 스스로 발광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광반응성 형광 물질로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CdSe, CdTe, CdS, InAs 등)가 중심(core)을 이루는 형광 양자점(quantum dot)과 cyanine계열 형광 염료(Cy3, Cy5, Cy5.5, Cy7 등), BODIPY계열 형광 염료(BODIPY 639/650-X STP ester) 등의 다양한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사된 빛에 반응하여 근적외선 파장 영역대(600~900 nm 파장)에서 형광을 내는 형광 물질의 경우 두꺼운 생체 조직에서의 형광 표지를 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형광부(1030)는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빛이 최대한 투과되어 내부의 광반응성 형광 물질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 및 광투과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1100) 및 형광부(1130)의 사시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100)는 헤드부(1110), 레그부(1120), 센터홀(1115), 및 형광부(1130)로 구성된다. 헤드부(1110), 레그부(1120), 및 센터홀(1115)은 도 10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0)의 헤드부(1010), 레그부(1020), 및 센터홀(1015)와 구조 및 기능 면에서 동일하고, 레그부(1120)는 의료용 형광 마커(1000)의 레그부(1020)와 마찬가지로 신축부 및 삽입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형광부(1130)는 센터홀(1115)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형광부(1130) 외부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내부에 형광 물질을 수용해서 센터홀(1115) 내에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부(1130)는 몸체부(1131) 및 체결부(1132)로 구성된다.
몸체부(1131)는 외부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내부에 형광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몸체부(1131) 내부에 형광 물질을 수용하는 경우, 몸체부(1131) 내부에는 소정의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 내에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수용한 후 밀폐된다.
여기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은 특정 파장 대역의 광원, 예컨대 인체에 무해한 레이저, LED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빛이 조사됐을 때 스스로 발광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광반응성 형광 물질로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CdSe, CdTe, CdS, InAs 등)가 중심(core)을 이루는 형광 양자점(quantum dot)과 cyanine계열 형광 염료(Cy3, Cy5, Cy5.5, Cy7 등), BODIPY계열 형광 염료(BODIPY 639/650-X STP ester) 등의 다양한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사된 빛에 반응하여 근적외선 파장 영역대(600~900 nm 파장)에서 형광을 내는 형광 물질의 경우 두꺼운 생체 조직에서의 형광 표지를 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31)는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빛이 최대한 투과되어 내부의 광반응성 형광 물질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 및 광투과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3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작될 수 있는 체결부(1132)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체결부(1132)의 중앙에 형성된 홈에 센터홀(1115)의 내벽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000) 또는 도 11에 도시된 의료용 형광 마커(1100)를 사용하면, 형광부(1030) 또는 형광부(1130)를 별도로 제조해서 필요에 따라 센터홀(1015) 또는 센터홀(1115)에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형광 물질 도포 또는 수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의료용 형광 마커의 레그부(120, 420, 520, 620, 1020, 1120)는 동일 방향 곡선들을 따라 대칭적이고 상반된 각도로 연장하되 외부 압축에 대해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형광 마커는 내시경의 기구에 의하여 압축 수용되었다가 내시경 작동에 의해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용 형광 마커의 헤드부 및 레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형광 물질이 내장된 형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수술 부위를 마킹하여 외부로부터 특정 파장 대역을 가지는 광원을 조사하면 광반응성 형광 물질이 발광함으로써 신체 내 형광 마커의 정확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마커를 사용하면, 대장암, 위암 등의 치료 시술 시 절개 영역을 최소화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과도한 절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마커는 위암 및 대장암 시술 외에도 다양한 외과 시술 시 원하는 부위를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마커로서 그 적용 가능 분야가 매우 넓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강경 또는 내시경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형광표시 면적을 제공하면서도 보관 및 이송 중 내시경의 기구용 채널 안에 압축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형광 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개 부착 방법이 번거로운 과정을 요구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한 형광 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형광 마커를 연속으로 전개하는 데 적합한 다연발 형광 마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집게형 마커와 달리, 목표 부위에 삽입한 형광 마커를 제거할 때도 신축부를 안쪽으로 누르면 삽입부가 내측으로 조여지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400, 500, 600, 1000, 1100: 의료용 형광 마커
110, 410, 510, 610, 1010, 1110: 헤드부
120, 420, 520, 620, 1020, 1120: 레그부
130, 430, 530, 630, 1030, 1130: 형광부
121, 421, 521, 621: 신축부 122, 422, 522, 622: 삽입부
200: 내시경 415, 615: 센터홀
523, 623: 후크부 800: 다연발 형광 마커 카트리지
810: 제1 직경부 820: 제2 직경부
1131: 몸체부 1132: 체결부

Claims (15)

  1.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a인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그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형광부
    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휘어지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선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휘어지는 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상기 삽입부는 서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신축부가 내측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최외곽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b'이고 각각의 상기 삽입부도 내측으로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하며,
    b>b'≥a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평평한 코인 형태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돔 형태인,
    의료용 형광 마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신축부가 내측으로 수축되면 외측으로 반발하는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시키는,
    의료용 형광 마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신축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내측으로 상기 제2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서로 접촉한 상태로 목표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목표 부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팽창 바이어스에 의해 외측으로 이격되는,
    의료용 형광 마커.
  5. 제1항에 있어서,
    내시경의 선단의 내경이 c일 때, b>c≥b'≥a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을 더 구비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고,
    내시경 내에 다연발 장착 시에 상기 삽입부는 선행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의 상기 센터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는,
    의료용 형광 마커.
  9. 제1항에 있어서,
    외경이 d이고 내경이 e인 제1 직경부, 상기 제1 직경부에서 연장되어 내경이 f인 제2 직경부를 포함하는 형광 마커 카트리지를 더 구비하고,
    내시경의 선단의 내경이 c일 때, c=d, e≥b, f≥b'≥a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10. 제1항에서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된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이고,
    상기 형광부는 상기 센터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부재인,
    의료용 형광 마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은 상기 헤드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고,
    상기 형광부는 상기 센터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광반응성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부재인,
    의료용 형광 마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광반응성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내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터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된,
    의료용 형광 마커.
  15. 평면 또는 돔형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동일 방향 곡선을 따라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외부 압력에 대해 반발하는 팽창 바이어스를 발생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 재질의 레그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형광부
    를 구비하는,
    의료용 형광 마커.
KR1020190061126A 2019-05-24 2019-05-24 의료용 형광 마커 KR20200134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26A KR20200134921A (ko) 2019-05-24 2019-05-24 의료용 형광 마커
PCT/KR2019/006257 WO2020241908A1 (ko) 2019-05-24 2019-05-24 의료용 형광 마커
JP2019099448A JP6570097B1 (ja) 2019-05-24 2019-05-28 医療用蛍光マーカー
JP2019142226A JP2020192305A (ja) 2019-05-24 2019-08-01 医療用蛍光マーカ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26A KR20200134921A (ko) 2019-05-24 2019-05-24 의료용 형광 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21A true KR20200134921A (ko) 2020-12-02

Family

ID=6784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26A KR20200134921A (ko) 2019-05-24 2019-05-24 의료용 형광 마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570097B1 (ko)
KR (1) KR20200134921A (ko)
WO (1) WO20202419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083B1 (ko) 2011-06-15 2012-11-13 국립암센터 의료용 다연발 클립과 이를 적용하는 클립 건 및 이들을 이용하는 클리핑 방법
KR101263939B1 (ko) 2011-12-02 2013-05-13 국립암센터 수술용 형광 표시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817B2 (ja) * 2004-02-06 2010-1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外科手術用病変部同定システム
US20090217932A1 (en) * 2008-03-03 2009-09-03 Ethicon Endo-Surgery, Inc. Intraluminal tissue markers
JP5871915B2 (ja) * 2010-06-11 2016-03-01 アントラージュ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ntourage Medical Technologies,Inc. 経心尖的アクセスおよび閉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80078B1 (ko) * 2010-07-07 2012-09-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병변 표시 장치 및 이를 장착하는 장착 장치
EP2621578B1 (en) * 2010-10-01 2023-11-29 Varian Medical Systems, Inc. Delivery catheter for delivering an implant, for example, bronchoscopically implanting a marker in a lung
KR101380534B1 (ko) * 2012-04-05 2014-04-01 심정호 발광 소자 일체형 내시경 클립
JP6161096B2 (ja) * 2014-05-29 2017-07-12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生体圧迫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083B1 (ko) 2011-06-15 2012-11-13 국립암센터 의료용 다연발 클립과 이를 적용하는 클립 건 및 이들을 이용하는 클리핑 방법
KR101263939B1 (ko) 2011-12-02 2013-05-13 국립암센터 수술용 형광 표시 클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3: US Pat. No. 07357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92084A (ja) 2020-12-03
WO2020241908A1 (ko) 2020-12-03
JP6570097B1 (ja) 2019-09-04
JP2020192305A (ja)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813B2 (en) Illuminated surgical access system including a surgical access device and integrated light emitter
JP5107328B2 (ja) 手術用蛍光表示クリップ
ES2538992T3 (es) Dispositivos para cerrar el apéndice auricular izquierdo
JP2011104366A (ja) 統合された光源を含むアクセスデバイス
JP2008538189A (ja) 手術処置のための一体化されたアクセス装置および光源
JP2009508629A (ja) キャップとカバーを有する内視鏡組立体
JP2007307382A (ja) 結紮要素および縫合糸アンカーの組み合わせアプリケータ
JP2012166027A (ja) 近位の接着性パッチを含む順応性のあるアクセスデバイス
US20170020629A1 (en) Marking system
US20160157703A1 (en) Tissue gripping device
CA2582633C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cutaneous illumination
US20210007587A1 (en) Openable spinal endoscope apparatus
US20080242934A1 (en) Endoscopic suction device for mucosectomy
KR20200134921A (ko) 의료용 형광 마커
US20120059225A1 (en) Expandable space-occupying tissue retractors
US20190046015A1 (en) Overtubes for Endoscop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5912473B2 (ja) マイクロスネークリトラクター
US20200000489A1 (e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KR101263939B1 (ko) 수술용 형광 표시 클립
US11241245B2 (en) Tissue deflec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377489B2 (ja) 管腔臓器壁密閉固定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