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03A -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 Google Patents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03A
KR20200134703A KR1020190060527A KR20190060527A KR20200134703A KR 20200134703 A KR20200134703 A KR 20200134703A KR 1020190060527 A KR1020190060527 A KR 1020190060527A KR 20190060527 A KR20190060527 A KR 20190060527A KR 20200134703 A KR20200134703 A KR 20200134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ube
futon
cool
refrigera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378B1 (ko
Inventor
신희영
Original Assignee
신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영 filed Critical 신희영
Priority to KR102019006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3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에 관한 것으로, 이불, 및 관형의 줄로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이불 내에 임베드(embed)되어 냉각시킨 상기 냉매를 통해 상기 이불 속의 공간에 냉기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구비하는 냉매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은 상기 이불로부터 분리하여 냉동 보관을 통해 상기 냉매를 냉각시킨 후 상기 이불에 재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COOL SHEET COMPRISING REFRIGERANT TUBE}
본 발명은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불 내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는 튜브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임베드(embed)하여 시원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인지 매년 우리 나라의 기후가 더워지고 있어서 아열대 기후를 닮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한여름 복더위에만 나타나던 열대야 현상이 점점 더 잦아지고 있다.
열대야 현상은 낮 동안에 태양열로 달구어진 지면의 열이 밤중에 복사현상으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한 밤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을 때를 말하는데 보통 아침 최저 기온이 섭씨 25도를 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열대야는 지면이 거의 포장되어 있고 숲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도시에서 더 잘 나타난다. 특히 대기의 흐름이 멈추어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는 더욱 심해진다.
휴식, 특히 수면은 기온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기온이 오를수록 잠자는 동안 심박수가 증가하고 몸 움직임이 잦아지며 잠의 깊이가 감소한다. 따라서 잠을 자고서도 잔 것 같지 않고 원기 회복이 안 된다. 또 이러한 수면의 변화가 계속되다 보면 열대야가 없어지더라도 곧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피로감, 짜증, 무기력, 집중력 장애, 두통, 식욕부진, 소화 장애 등의 여러 증상이 나타나 일의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장에서는 산업재해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진다.
많은 사람은 생활공간에 에어컨 및 선풍기와 같은 전자제품을 설치하여 더위를 식히고 있다.
그러나 에어컨 및 선풍기에서 나오는 인위적인 바람은 사람들에게 냉방병을 유발시키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은 과도한 전기요금을 부과시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현재에는 인위적인 바람 대신 인체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사용료에 대한 부담이 없는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일례로, 무더운 여름 침대나 바닥 위에 놓고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는 쿨매트와 같은 제품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쿨매트는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의 성질을 이용한 냉각젤에 의한 것으로, 체내의 열은 매트로 흡수되고 냉각젤의 냉기는 체내로 흡수되어 체온을 3~5℃ 정도 낮춰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505(2015.09.30)호는 쿨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쿨매트 내부에 포함되는 냉매 물질이 별도의 매개부를 통해 매개부 공극 내에 함침되어 쿨매트 내부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잦은 굽힘이나 압축에도 냉매 물질이 파손되거나 금이 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쿨매트 내 냉매 물질이 함침되는 매개부가 별도의 완충 지지부를 통해 탄성이나 복원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하판을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쿨매트 내 별도의 매개부를 포함하더라도 냉매 물질과 쿨매트 외피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쿨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072(2018.08.29)호는 공기 유동층을 갖는 기능성 이불에 관한 것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층과 상기 공기 유동층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동층에 유동되는 냉풍 또는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단열시키는 단열층과 상기 공기 유동층의 하측에 형성되며, 통기성을 가져 상기 공기유동층의 냉풍 또는 온풍을 신체로 전달하기 위한 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동층을 갖는 기능성 이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505(2015.09.3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5072(2018.08.2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불 내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는 튜브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임베드(embed)하여 시원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시 가동중인 냉동실에 접어 보관하여 냉매를 냉각하고 냉각된 냉매가 녹으면서 이불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매튜브를 이불에 교체 가능한 소모품 형태로 장착하여 이불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매를 이용하여 체내의 열은 흡수하고 흡수된 열은 방출하여 전기료, 유지비없이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은 이불, 및 관형의 줄로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이불 내에 임베드(embed)되어 냉각시킨 상기 냉매를 통해 상기 이불 속의 공간에 냉기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구비하는 냉매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은 상기 이불로부터 분리하여 냉동 보관을 통해 상기 냉매를 냉각시킨 후 상기 이불에 재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불은 방수 코팅된 천 소재의 원단 두 장을 덧대어 박음질한 홑겹 이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튜브부는 냉각 가능한 액상 또는 과립형 또는 젤형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흡수된 열에 의해 녹게 되는 상변화 물질로 된 냉매 물질, 중공의 원형 줄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냉매 물질로 채워지고 유연성 있는 소재로 된 중공 튜브, 및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 물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샘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샘방지단은 상기 중공 튜브 내에 채워진 상기 냉매 물질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개폐를 통해 상기 중공 튜브 내에 상기 냉매 물질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샘방지단은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은 상기 이불을 형성하는 두 원단 사이의 한쪽 원단면에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체는 똑딱이 단추 방식이나 벨크로 방식 또는 바느질 땀을 뜨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 각각을 상기 원단면에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원단면에 연결되고 상기 원단면에 배치되는 냉매튜브를 묶기 위한 일정길이의 끈부재, 및 상기 끈부재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끝부재에 의해 묶여진 상태로 상기 냉매튜브가 고정되도록 상기 원단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은 이불 내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는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병렬 형태 또는 단속적으로 삽입하고 이불을 시원하고 편리하게 사용함으로써, 무더운 여름, 열대야를 극복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가격 경쟁력을 갖춘 이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은 복수의 냉매튜브들이 배치된 이불을 접어 플라스틱 컨테이너 혹은 비닐 보관팩 등에 넣어 상시 가동중인 냉동실에 냉동 보관하여 냉매를 냉각하고 사용시 이불을 꺼내어 펼치면 이글루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은 냉매튜브를 소형의 갭슐 형태로 만들고 이불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 이불에 장착되는 튜브 개수 및 배치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불 세탁시 튜브를 제거하여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튜브만 분리하여 냉각했다 사용할 때 이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불 내에 배치된 복수의 냉매튜브에 들어 있는 냉각된 냉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녹으면서 상변화를 일으켜 열을 뺏게 되고 이에 따라 잠들게 되기까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냉매튜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복수의 냉매튜브들이 이불에 임베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냉매튜브의 고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100)은 이불(110)과 냉매튜브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불(110)은 인간이 수면 중에 체온 유지를 위해 덮고 자는 충전재가 들어있는 모든 소재의 물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불(110)은 여름에 주로 사용되는 홑이불, 홑겹이불 등의 여름이불을 의미할 수 있다. 홑이불은 한겹의 원단으로 만들어진 이불로 가볍고 얇아 여름에 쓰기 좋은 이불이다. 홑겹이불은 얇은 원단 두장을 덧대어 박음질한 이불로서 한장짜리 홑이불과 함께 여름에 주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불(110)은 방수 코팅된 천 소재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냉매튜브부(120)는 관형의 줄로 내부에 냉매가 충전될 수 있고, 폴리올레핀, PVC,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매튜브부(120)는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형태로 되어 이불(110) 내에 임베드(embed)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튜브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튜브들이 이불(110)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냉매튜브부(120)는 튜브줄을 길게 하여 이불(110) 속에 한줄씩 병렬형태로 배치하거나 또는 튜브줄을 짧게 하여 이불(110) 속에 단속적으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불(110)을 접어 보관하거나 펼쳐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감을 주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냉매튜브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튜브들을 이불(110) 내에 규칙적으로 또는 비규칙적으로 또는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매튜브부(120)에는 냉매제가 충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제는 냉각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을 가리키며 냉각된 상태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녹으면서 상변화를 일으켜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냉매튜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매튜브부(120)는 냉매 물질(210), 중공 튜브(220) 및 샘방지단(2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냉매 물질(210)은 냉각 가능한 액상 또는 과립형 또는 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매 물질(210)은 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경우 결로현상이 생길 수 있다. 과립형의 냉매 물질(210)인 경우에는 소디움, 메틸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물 및 결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젤형의 냉매 물질(210)인 경우에는 아크릴 폴리머, 글리세린, 메틸 셀룰로오스, 방부제 및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 물질(210)은 젤형의 냉매 물질을 사용한다. 냉매 물질(210)은 중공 튜브(220)에 채워져 밀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 물질(210)은 냉각된 상태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흡수된 열에 의해 녹게 된다. 이에 따라, 이불(110)은 냉각된 냉매 물질(210)에 의해 이글루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상변화됨에 따라 원래의 이불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불(110)이 이글루와 같은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이불(110)과 이를 덮는 사람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그 공간 사이에 이불(110)에 내재된 냉매 물질(210)로부터 냉각된 바람이 나와 찬공기로 채워져 이불(110)을 덮은 사람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이때, 이불 속 온도는 대략 18~19℃로 2~3시간 정도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매튜브부(120)가 배치된 이불(110)의 효과온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OT = ΣAi.ts / ΣAi + tr/2
여기서, OT[℃]는 효과온도를 나타내고, Ai는 복수의 냉매튜브들 각 내면의 면적(㎡)을 나타내고, ts는 복수의 냉매튜브들 각 내표면의 온도(℃)를 나타내고, ts는 실내온도(℃)을 나타낸다.
중공 튜브(220)는 중공의 원형 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냉매 물질(210)로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공 튜브(22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에 냉매 물질이 세지 않도록 샘방지단(23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공 튜브(220)는 유연성이 있는 폴리우레탄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샘방지단(230)은 중공 튜브(220)의 양단의 개구를 중공 튜브(220)와 동일 재질로 감싸서 마감함으로써 중공 튜브(220) 내에 채워진 냉매 물질(210)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샘방지단(230)은 캡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튜브(220)의 양단에 끼워서 마감할 수 있고 캡의 개폐를 통해 중공 튜브(220) 내에 냉각 물질(210)을 보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방지단(230)은 중공 튜브(220)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냉매튜브부(120)는 소모품 형태로 제품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냉매튜브부가 이불에 임베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불(110)을 형성하는 두 원단 사이의 한쪽 원단면(310)에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면(310)은 사용자가 이불(110)을 덮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면의 안쪽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원단면(310)은 방수 코팅되어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에 들어 있는 냉각된 냉매가 녹으면서 생기는 습기로부터 이불(110)이 눅눅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은 길이가 짧은 단장의 소형태로 튜브 내부에 냉매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은 원단면(310) 상에 배치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또는 원하는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이불의 원단면(310)에는 원단면(3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체들(330)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은 냉동실에 대략 12시간 정도 냉각시킨 상태에서 원단면(310)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체들(330)에 의해 이불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불에 고정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은 필요에 따라 고정된 원단면(310)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재냉각해야 할 경우 복수의 고정체들(330)로부터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분리하여 상시 가동중에 있는 냉동실에 넣어 냉각시킨 후 일 실시예에 따른 쿨이불(100)로 사용할 때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다시 원단면(310)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이불(100)은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따라 냉동시킬 수도 있지만 이불 그대로 접어서 플라스틱 컨텐이너 상자 또는 비닐 보관팩 등에 접은 형태로 이불을 넣어 밀봉한 후 냉동실에 넣어 냉각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체들(330)은 똑딱이 단추 방식이나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똑딱이 단추 방식은 복수의 고정체들(330) 각각에 그리고 대응하는 원단면(310)에 암수 타입의 똑딱이 단추를 각각 마련하여 원단면(310)과 복수의 고정체들(330) 사이를 체결함으로써 원단면(310)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 각각이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벨크로 방식은 복수의 고정체들(330) 각각에 그리고 대응하는 원단면(310)에 암수 타입의 벨크로를 각각 마련하여 원단면(310)과 복수의 고정체들(330) 사이를 체결함으로써 원단면(310)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 각각이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체들(330)은 원단면(3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바느질 땀(stitch)을 떠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냉매튜브의 고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체(330)는 일정길이의 끈부재(331)와 끈부재(331)의 일측 단부에 체결부재(333)가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끈부재(331)는 일측 단부가 원단면(310)에 연결되어 원단면(310)에 배치되는 냉매튜를 묶을 수 있다. 체결부재(333)는 똑딱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체결부재(333)와 원단면(310)의 타측 단부에는 똑딱이 체결을 위해 각각 똑딱이 단추의 암수가 마련될 수 있다. 냉매튜브(320)는 끈부재(331)에 의해 묶여지고 체결부재(333)에 의해 묶여진 상태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이불(100)은 냉매튜브부(120)를 냉동실에 냉동 보관하여 냉매튜브부(120)에 충진되어 있는 냉매물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물질은 열용량이 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상변화 물질과 물, 고흡수성 수지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얼 때 부피 증가가 거의 없고 젤 상태 그대로 얼었다가 녹을 수 있고, 얼리면 어느 점이 -10℃ 이하로 내려가 냉기가 응축되어 단순히 물을 얼린 얼음 보다 냉기가 더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냉동실에서 얼린 냉매튜브부(120)를 이불(1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배치하여 쿨이불(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쿨이불(100) 사용자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의 배치 형태 및 배치할 냉매튜브 개수들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다리 부위는 집중적으로 시원하게 하고 배부위는 덜 시원하게 하고자 할 경우 이불(110)의 다리 부위와 맞닿는 원단면(310) 부위에 많은 개수의 냉매튜브들(320)을 조밀하게 배치하고 배부위와 맞닿는 원단면(310)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냉매튜브들(320)을 간격을 넓게 하여 배치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튜브들(320)는 복수의 고정체(330)를 통해 원단면(3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체(330)는 복수의 냉매튜브들(320)을 원단면(3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냉매튜브에 충진되어 있는 냉매물질이 녹아 재냉각해야 할 경우 혹은 이불(110)의 세탁이 필요한 경우 체결을 해제하여 원단면(310)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쿨이불(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냉매튜브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로 인하여 점점 더워지는 열대야의 밤을 시원하게 이겨낼 수 있으며 항시 가동되는 냉동실의 공간을 활용하여 열대야를 극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건강을 모두 지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쿨이불
110: 이불 120: 냉매튜브부
210: 냉매 물질 220: 중공 튜브
230: 샘방지단
310: 원단면 320: 복수의 냉매튜브들
330: 복수의 고정체들
331: 끈부재 333: 체결부재

Claims (8)

  1. 이불; 및
    관형의 줄로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이불 내에 임베드(embed)되어 냉각시킨 상기 냉매를 통해 상기 이불 속의 공간에 냉기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구비하는 냉매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은 상기 이불로부터 분리하여 냉동 보관을 통해 상기 냉매를 냉각시킨 후 상기 이불에 재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은
    방수 코팅된 천 소재의 원단 두 장을 덧대어 박음질한 홑겹 이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부는
    냉각 가능한 액상 또는 과립형 또는 젤형으로, 냉각된 상태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흡수된 열에 의해 녹게 되는 상변화 물질로 된 냉매 물질;
    중공의 원형 줄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냉매 물질로 채워지고 유연성 있는 소재로 된 중공 튜브; 및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 물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샘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단은
    상기 중공 튜브 내에 채워진 상기 냉매 물질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의 개구를 마감하는 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개폐를 통해 상기 중공 튜브 내에 상기 냉매 물질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단은
    상기 중공 튜브의 양단부를 압착하여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을 형성하는 두 원단 사이의 한쪽 원단면에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체는
    똑딱이 단추 방식이나 벨크로 방식 또는 바느질 땀을 뜨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냉매튜브들 각각을 상기 원단면에 고정되게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원단면에 연결되고 상기 원단면에 배치되는 냉매튜브를 묶기 위한 일정길이의 끈부재; 및
    상기 끈부재의 타측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끝부재에 의해 묶여진 상태로 상기 냉매튜브가 고정되도록 상기 원단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KR1020190060527A 2019-05-23 2019-05-23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KR10221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27A KR102216378B1 (ko) 2019-05-23 2019-05-23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27A KR102216378B1 (ko) 2019-05-23 2019-05-23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03A true KR20200134703A (ko) 2020-12-02
KR102216378B1 KR102216378B1 (ko) 2021-02-17

Family

ID=7379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27A KR102216378B1 (ko) 2019-05-23 2019-05-23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3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658Y1 (ko) * 2001-08-20 2001-12-28 장성철 부분 분리세탁용 방수요
JP3944977B2 (ja) * 1997-10-31 2007-07-18 藤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への線状物の取付方法及びマットもしくはシート類
KR20100093231A (ko) * 2009-02-16 2010-08-25 (주)오즈메이트 나노 쿨러 방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1192A (ko) * 2011-04-26 2012-11-05 빙 쮠 리 냉매 물질을 이용한 쿨매트
KR20140057969A (ko) * 2012-11-05 2014-05-14 정승은 냉온 매트
KR20150108505A (ko) 2014-03-18 2015-09-30 (주)키메코 쿨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072B1 (ko) 2016-09-29 2018-10-04 주식회사 선광패브릭 공기 유동층을 갖는 기능성 이불
KR20190001373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부농테크 쿨링 방석 및 의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4977B2 (ja) * 1997-10-31 2007-07-18 藤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への線状物の取付方法及びマットもしくはシート類
KR200258658Y1 (ko) * 2001-08-20 2001-12-28 장성철 부분 분리세탁용 방수요
KR20100093231A (ko) * 2009-02-16 2010-08-25 (주)오즈메이트 나노 쿨러 방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1192A (ko) * 2011-04-26 2012-11-05 빙 쮠 리 냉매 물질을 이용한 쿨매트
KR20140057969A (ko) * 2012-11-05 2014-05-14 정승은 냉온 매트
KR20150108505A (ko) 2014-03-18 2015-09-30 (주)키메코 쿨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072B1 (ko) 2016-09-29 2018-10-04 주식회사 선광패브릭 공기 유동층을 갖는 기능성 이불
KR20190001373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부농테크 쿨링 방석 및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378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099B1 (en) Cooling devices with high-efficiency cooling features
ES2245746T3 (es) Cobertor.
JP3173510B2 (ja) 冷却枕、冷却衣服および冷却ヘルメット
JP2008539997A (ja) ダウン層と組み合わせた活性熱吸収/放出層を備えるマットレス
CN1997587A (zh) 自通风且自冷却的可变几何形状枕头
ES2320794T3 (es) Aparato colorifero amoldable.
CA3206305A1 (en) Cooling mattresses, pads or mats, and mattress protectors
ES2365189T3 (es) Método y aparato para aliviar la infestación de insectos componentes de cama.
JP2012228420A (ja) 保冷具
KR102216378B1 (ko)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WO2022076744A1 (en) Multi-zone temperature regulating cushions and related methods
US20100319382A1 (en) Blanket That Keeps A Person's Body Cool In The Hot Sun Complete With Matching Bag
KR20170050473A (ko)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20170050471A (ko) 기능층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WO2016030774A1 (en) Device for a climate controlled ambience and method thereof
JP2005287321A (ja) ペット用腹巻
CN209678043U (zh) 便携式发热睡袋
KR200448728Y1 (ko) 찜질 밴드
CN201612412U (zh) 活性炭纤维睡袋
KR101363085B1 (ko) 해열패치
KR102561030B1 (ko) 다층구조를 갖는 캠핑용 매트리스
AU2010101237A4 (en) Elastic human body cooling apparatus
JP3143117U (ja) 保冷具
JP3148553U (ja) 氷のうの伸縮性カバー
KR200413136Y1 (ko) 얼음 베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