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636A -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 Google Patents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636A
KR20200134636A KR1020190060348A KR20190060348A KR20200134636A KR 20200134636 A KR20200134636 A KR 20200134636A KR 1020190060348 A KR1020190060348 A KR 1020190060348A KR 20190060348 A KR20190060348 A KR 20190060348A KR 20200134636 A KR20200134636 A KR 2020013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cutting
workpiece
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우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 filed Critical (주)경동
Priority to KR102019006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636A/ko
Publication of KR2020013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005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with a plurality of band saw blades or band saw blades having plural cutting zones, e.g. contiguous oppositely-moving saw blade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04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with the wheels carrying the strap mounted shiftably or swingingly, i.e. during sawing, other than merely for adjustment
    • B23D53/045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with the wheels carrying the strap mounted shiftably or swingingly, i.e. during sawing, other than merely for adjustment with pivotably mounted head carrying the saw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23D55/082Devices for guiding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23D55/088Devices for feeding strap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이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배치부,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대상물을 절단하는 띠 형상의 톱날부 및 배치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톱날부가 권취 및 권출되는 회전 이동부를 포함하고, 대상물이 톱날부와 접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이동부가 회전하여 톱날부를 일 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를 통해 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상물의 보다 정밀한 절삭을 구현할 수 있고 톱날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저진동으로 구동되는 고정부를 통해 절단 전후의 대상물이 이송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높일 수 있고, 구동부를 통해 한 쌍의 회전 이동부가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파지부 및 진동 제거부가 톱날부를 파지 및 가압하기 때문에, 띠 형상의 톱날부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DOUBLE CUTTING TYPE SAWING MACHINE}
본 발명은 소잉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상물의 절삭 과정에서 톱날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용이하게 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잉 머신은 대상물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톱이 대상물과 접한 상태에서 별도의 이송 수단이 톱을 회전 운동 또는 직진 운동시킴으로써 대상물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소잉 머신은 산업 전반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소잉 머신은 톱의 형태에 따라 핵소잉 머신(hacksawing machine), 밴드 소잉 머신(band sawing machine) 및 서큘러 소잉 머신(circylar sawing machine) 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밴드 소잉 머신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톱의 회전 운동을 통해 대상물을 절단하는 공작기계로서,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8062)와 같이 띠 형상의 톱과 체결된 한 쌍의 좌우측 상부휠이 회전하여 톱에 절삭 회전력을 부여함에 따라 대상물을 가공한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한 쌍의 좌우측 상부휠에 체결된 띠톱이 대상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위치가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물의 정밀 가공이 어렵다. 또한, 대상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띠톱이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으로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대상물 및 띠톱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선행문헌 1에서는 절단 과정에서의 가공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정밀 가공을 요하는 절단 공정에서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띠톱의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용이하게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는 소잉 머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8062호 (2001.12.06.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대상물의 절삭 과정에서 절단수단이 파손되지 않는 소잉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수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안전하게 이송시키는 소잉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절단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이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배치부,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대상물을 절단하는 띠 형상의 톱날부 및 배치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톱날부가 권취 및 권출되는 회전 이동부를 포함하고, 대상물이 톱날부와 접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이동부가 회전하여 톱날부를 일 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상물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를 통해 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상물의 보다 정밀한 절삭을 구현할 수 있고 톱날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진동으로 구동되는 고정부를 통해 절단 전후의 대상물이 이송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구동부를 통해 한 쌍의 회전 이동부가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고 파지부 및 진동 제거부가 톱날부를 파지 및 가압하기 때문에, 띠 형상의 톱날부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동부 및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통한 톱날부의 위치 교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대상물”은 절단을 통해 가공하고자 하는 주체로서,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방향”은 후술할 고정부(120)가 배치부(110)로부터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는 좌상측 방향을 뜻하고, “타측 방향”은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뜻한다. 또한, “일 방향”은 후술할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의 시계 방향을 뜻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계 반대방향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서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은 대상물이 위치되는 배치부(110), 배치부(11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대상물을 배치부(110) 상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배치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톱날부(130), 톱날부(130)와 체결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톱날부(130)를 권취 및 권출하는 회전 이동부(140) 및 회전 이동부(140)가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110) 및 고정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치부(110)는 절삭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대상물은 배치부(110) 상에 배치되고 후술할 고정부(12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지속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대상물의 정밀 가공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배치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이송수단과 연결됨으로써 가공 전의 대상물을 공급받는다. 또한, 배치부(110)의 상면에는 대상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홈이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고정홈은 배치부(1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흡착수단에 의해 배치부(110) 상의 공기를 흡착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배치부(110) 구성을 통해 절단 전 대상물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용이하게 대상물을 배치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치부(110)의 타측 방향에는 벽부(111)가 더 구비된다. 벽부(111)는 후술할 고정부(12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치부(110) 상에 배치된 대상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를 위해, 벽부(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치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단이 상측 방향을 향하고 하단이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벽부(111)는 배치부(110)의 타측 바향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해, 대상물은 배치부(11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부(12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고정부(120)의 일단 및 벽부(111)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후술할 톱날부(130)를 통해 직각도 0.1mm 이내에서 정밀한 대상물의 절단이 가능하다.
고정부(120)는 배치부(110) 상에 위치한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120)는 배치부(110)의 일측 방향(도 2의 좌상측 방향을 뜻함)에 배치되고 타측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120)의 일단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120)의 타측 방향에는 별도의 동력공급부가 구비된다. 동력공급부는 유압으로 구동되어 고정부(120)의 일단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고정부(120)의 일단은 배치부(110) 상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부(110) 상에 위치한 대상물을 가압한다. 여기서, 선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의 일단 및 벽부(111)의 사이에 대상물이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대상물의 절삭 과정에서 대상물이 흔들려 부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견고한 대상물의 고정은 후술할 톱날부(130)의 진동에 따른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이동부(140) 및 구동부(1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톱날부(130)는 대상물을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톱날부(130)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회전 이동부(140)에 의해 권취되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삭력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절단한다. 이를 위해, 톱날부(130)는 배치부(110) 및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테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톱날부(130)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에 의해 체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절삭력을 부여받는다.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날부(13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대상물을 절단한다.
회전 이동부(140)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진행함으로써 톱날부(130)에 절삭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전 이동부(140)는 배치부(110)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 이동부(140)의 외주면은 선술한 톱날부(130)가 끼워맞춤 되도록 개구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 이동부(140)는 용이하게 톱날부(130)와 체결되고 톱날부(130)를 용이하게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이동부(1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배치부(110)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위치한다. 즉, 띠 형상으로 구비되는 톱날부(130)는 배치부(11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에 각각 끼워져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가 일 방향으로 150m/min의 균일한 속도를 갖고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톱날부(130)는 회전 이동부(140)로부터 권취 및 권출되어 절삭력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는 배치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상측 방향은 후방을 향하고, 하측 방향은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는 톱날부(130)가 대상물을 절단할 때, 톱날부(130)의 절삭력을 갖는 부분이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 대상물과 접하는 톱날부(130) 부분이 배치부(110)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설정해야 용이한 대상물의 절단이 가능하고,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가 배치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롤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톱날부(130)를 용이하게 배치부(110)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절삭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톱날부(13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가 비균일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구동부(150)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후방에 위치하여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부(150)는 각각의 회전 이동부(140)를 균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동부(150)는 1750RPM의 모터로 구비되되 별도의 감속부가 더 구비되고, 헬리컬 기어를 이용아형 회전 이동부(140)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의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60)를 통한 톱날부(130)의 위치 교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지부(160)는 톱날의 진동을 줄여 보다 정밀한 대상물의 가공을 실현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파지부(160)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파지부(16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파지부(160)의 마주보는 일단에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관통홈(121)이 구비된다. 관통홈(121)은 배치부(110)의 상면과 수직하도록 “ㅣ”자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관통홈(121)은 상하방향으로 직립하여 구비되는 톱날부(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파지부(160)의 일단으로부터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선술한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개구홈에 삽입되어 회전 이동부(14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권취 및 권출되는 톱날부(130)는 관통홈(1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관통홈(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톱날 부분이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가 교정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60)가 구비됨으로써 톱날부(13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대상물의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파지부(160)의 사이에는 진동 제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제거부는 톱날부(130)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로러 형태로 구비되어 날부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한 쌍의 파지부(160)에 의해 톱날 부분이 하측 방향을 향하는 톱날부(13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롤러 형태의 진동 제거부가 구비되어 톱날부(130)를 전방 및 후방에서 가압한다. 톱날부(130)는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 간의 이격에 의해 약 300N/mm^2의 장력이 발생하는데, 진동 제거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장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톱날부(13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대상물이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배치부(110);
    상기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띠 형상의 톱날부(130); 및
    상기 배치부(1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톱날부(130)와 체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이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이 상기 톱날부(130)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톱날부(130)는 일 방향으로 순환되어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110)의 타측 방향에는 벽부(1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치부(11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고, 판 형상의 일단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치부(110)의 일단 및 상기 벽부(111)의 사이에 상기 대상물을 배치 및 고정시키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는 상기 배치부(110)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사이 위치하고 상기 톱날부(13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톱날부(130)를 가압하여 파지하는 파지부(16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톱날부(130)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사이에서 상기 배치부(110)와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이동부(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회전 이동부(140)와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되며, 상기 톱날부(130)는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150m/min의 속도로 일 방향으로 순환하여 상기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KR1020190060348A 2019-05-23 2019-05-23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KR20200134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48A KR20200134636A (ko) 2019-05-23 2019-05-23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48A KR20200134636A (ko) 2019-05-23 2019-05-23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636A true KR20200134636A (ko) 2020-12-02

Family

ID=7379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48A KR20200134636A (ko) 2019-05-23 2019-05-23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6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2B1 (ko) 1999-08-27 2002-01-15 김한호 금속절삭용 밴드 소오잉 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2B1 (ko) 1999-08-27 2002-01-15 김한호 금속절삭용 밴드 소오잉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8418B2 (ja) 工作物を回転させるための回転ユニットを備える装置、及び加工装置
KR101471380B1 (ko) 강관용 베벨링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용접 개선방법
JP2006310396A (ja) ブレード破損検出装置
JPWO2010021024A1 (ja) 光学フィルムの切断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14014888A (ja) 面取り機
KR20200134636A (ko)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
JP5131738B2 (ja) 旋削加工方法
WO2017033876A1 (ja) ワークの板厚と材質に適合したバリ取り方法及び装置
KR20140142513A (ko) 면취기
WO2017018104A1 (ja) ワークを垂直状態に保持するバリ取り装置及び板材加工システム
TWI663017B (zh) 數值控制裝置
EP3638471B1 (en) Improved handheld motorized cutting device and relative accessory
US7770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core
KR20150041844A (ko) 목재 가공장치
JP2008279569A (ja) スリッターの刃位置決め装置
KR102104787B1 (ko) 라우터 세트
JP2007168022A (ja) シャフト加工装置
KR101547294B1 (ko) 선박건조용 철판 가공장치
US11396054B2 (en) Method of cutting with a band saw
KR100656584B1 (ko) 챔퍼가공장치
JP6255254B2 (ja) バイト切削装置
JP2007160774A (ja) クランプ装置
KR100735005B1 (ko) 석재 샘플의 모서리 가공 장치
KR100735002B1 (ko) 석재 샘플 가공 장치
KR20200134642A (ko) 더블 컷팅형 소잉 머신의 자동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