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928A - 계류 및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및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928A
KR20200133928A KR1020190059231A KR20190059231A KR20200133928A KR 20200133928 A KR20200133928 A KR 20200133928A KR 1020190059231 A KR1020190059231 A KR 1020190059231A KR 20190059231 A KR20190059231 A KR 20190059231A KR 20200133928 A KR20200133928 A KR 2020013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floating structure
support
fend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017B1 (ko
Inventor
오환엽
송창우
신상명
전상배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0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계류 및 완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부유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완충부; 및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부착된 상기 완충부를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나머지 구조물에 계류시키는 계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 및 완충 장치{Apparatus for mooring and buffering}
본 발명은 계류 및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운항 과정에서 안벽,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계류될 수 있다.
이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계류 장치에 의해 안벽 등에 계류된다. 계류 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과 안벽 등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더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계류를 위해 별도의 계류 장치와 펜더가 사용된다. 이 경우, 계류 장치와 펜더를 별도로 보관하고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류 및 완충 기능을 모두 가지는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완충부; 및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부착된 상기 완충부를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나머지 구조물에 계류시키는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펜더; 상기 펜더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부유 구조물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더는 원 기둥 형상 또는 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펜더는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된 구조물의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축 또는 상기 완충부가 부착된 구조물의 높이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계류부는,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에 지지되는 윈치; 및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에 고정되고, 상기 윈치에 권취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류 및 완충 장치는 상기 완충부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완충부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는 계류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와 계류 기능을 수행하는 계류부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계류 장치와 펜더가 별개로 보관 및 설치되던 종래와 달리 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부유 구조물(1)을 지지 구조물(2)에 대해 계류함과 동시에 완충한다.
부유 구조물(1)은 선박, 부유식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2)은 선박, 부유식 해양 구조물, 안벽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부유 구조물(1)은 지지 구조물(2)에 근접하여 계류되고,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간에 작업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완충부(100)와 계류부(200)를 포함한다.
완충부(100)는 부유 구조물(1) 및 지지 구조물(2)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하, 완충부(100)는 부유 구조물(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완충부(100)는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한다.
완충부(100)는 펜더(110)와, 지지 부재(120)와, 부착 부재(130)를 포함한다.
펜더(110)는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한다.
펜더(110)는 탄성 재질 또는 탄성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재질 또는 구조를 통해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서 완충 동작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0)는 펜더(110)를 지지한다. 펜더(110)는 지지 부재(12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는 펜더(110)는 지지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지지 부재(120)는 부유 구조물(1)과 대향하는 베이스판(121)과 베이스판(12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지지 구조물(2)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지지판(123)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21)과 한 쌍의 지지판(123)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진다.
펜더(110)는 원 기둥의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의 양측 단부가 각각 한 쌍의 지지판(123)에 지지된다.
부착 부재(130)는 지지 부재(120)가 부유 구조물(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지지 부재(120)의 부유 구조물(1)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예컨대, 부착 부재(130)는 진공 흡착 방식으로 부유 구조물(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부재(130)는 진공 흡착판일 수 있다. 부착 부재(130)가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면 부착 부재(130)는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130)가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지 않으면 부착 부재(130)는 부유 구조물(1)에서 분리된다.
대안적으로 부착 부재(130)는 자력에 의해 부유 구조물(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부재(130)는 전자석일 수 있다. 부착 부재(130)가 자력을 제공하면 부착 부재(130)는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130)가 자력을 제공하지 않으면 부착 부재(130)는 부유 구조물(1)에서 분리된다.
한편, 펜더(110)는 도 2 및 도 3와 같이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펜더(110)는 도 3와 같이 원 기둥의 길이 방향이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펜더(110)는 도 3와 달리 원 기둥의 길이 방향이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3의 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펜더(110)가 도 3와 같이 원 기둥의 길이 방향이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경우, 펜더(110)는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이 상하 방향(ex. 도 3의 Z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때 완충 동작하는 펜더(110)가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펜더(110)와 접촉하는 지지 구조물(2)의 도장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만약, 펜더(110)가 도 3와 달리 원 기둥의 길이 방향이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3의 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펜더(110)는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3의 Z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이 길이 방향(ex. 도 3의 X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때 완충 동작하는 펜더(110)가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3의 Z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펜더(110)와 접촉하는 지지 구조물(2)의 도장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계류부(200)는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된 완충부(100)를 지지 구조물(2)에 계류시킨다.
계류부(200)는 윈치(210)와, 계류 라인(220)을 포함한다.
윈치(210)는 완충부(100)가 부착되지 않은 지지 구조물(2)에 지지된다.
계류 라인(220)은 그 일단부가 완충부(100)에 고정되고, 윈치(210)에 의해 권취된다. 이때, 완충부(100)에서 윈치(210)로 연장된 계류 라인(220)은 지지 구조물(2)에 지지된 도르래(231, 232)에 의해 연장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계류 라인(220)의 일단부는 완충부(100)의 지지 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100)가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210)가 계류 라인(220)을 감으면 완충부(100)가 부착된 부유 구조물(1)은 윈치(210)가 고정된 지지 구조물(2) 쪽으로 당겨져 계류된다.
윈치(210), 계류 라인(220) 및 도르래(231, 232)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부유 구조물(1), 지지 구조물(20)의 크기와 지지 구조물(2)이 위치하는 해상 상태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부유 구조물(1)이 계류되기 전 지지 구조물(2)에 거치된다.
이후, 부유 구조물(1)이 지지 구조물(2)에 근접하여 계류 및 완충이 필요한 경우, 데릭 붐(미도시) 또는 크레인(미도시)과 같은 구동 장치를 통해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후, 완충부(100)가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되고 계류부(200)가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된 완충부(100)를 지지 구조물(2) 쪽으로 잡아당겨 도 2 및 도 3과 같이 계류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부유 구조물(1)을 지지 구조물(2)에 대해 계류함과 동시에 완충한다.
한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도 1과 같이 복수로 제공되거나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계류 및 완충 장치(10)의 개수 및 위치는 부유 구조물(1) 및 지지 구조물(2)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펜더(110)는 도 2 및 도 3에서 원 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완충부(100')와 계류부(200)를 포함한다. 완충부(100')는 펜더(110')와, 지지 부재(120)와, 부착 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펜더(110')의 형상이 구 형상이라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의 펜더(110)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펜더(110')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펜더(110')를 사용하는 경우, 도 2 및 도 3와 같은 원 기둥 형상의 펜더(110)에 비해 펜더(110')와 지지 구조물(2)의 접촉 면적이 저감되어 펜더(110')의 완충 동작 과정에서 지지 구조물(2)의 도장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펜더(110')는 지지 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펜더(110')는 지지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펜더(110')는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5의 X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이 상하 방향(ex. 도 5의 Z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때 완충 동작하는 펜더(110')가 부유 구조물(1)의 길이 방향(ex. 도 5의 X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펜더(110')와 접촉하는 지지 구조물(2)의 도장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대안적으로 펜더(11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5의 Z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 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이 길이 방향(ex. 도 5의 X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때 완충 동작하는 펜더(110')가 부유 구조물(1)의 높이 방향(ex. 도 5의 Z축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펜더(110')와 접촉하는 지지 구조물(2)의 도장이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완충부(100)와 계류부(200)와, 접촉 방지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접촉 방지부(3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다.
접촉 방지부(300)는 완충부(100)와 지지 구조물(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접촉 방지부(300)는 완충부(100)와 지지 구조물(2) 사이에 개재되는 그물망(310)을 포함한다. 그물망(310)은 지지 구조물(2)의 외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 구조물(2)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물망(310)의 모서리 부분이 지지 구조물(2)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서포트(320)에 지지될 수 있다.
완충부(100)가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되고 계류부(200)가 부유 구조물(1)에 부착된 완충부(100)를 지지 구조물(2) 쪽으로 당기면 완충부(100)의 펜더(110)는 도 6와 같이 그물망(310)에 접한다.
이후, 계류부(200)가 완충부(100)를 지지 구조물(2) 쪽으로 더 당기거나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펜더(110)와 접하는 그물망(310)은 도 7과 같이 탄성 변형된다. 탄성 변형된 그물망(310)은 완충부(100)와 부유 구조물(1)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지지 구조물(2)의 도장 손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 10', 10")는 계류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100, 100')와 계류 기능을 수행하는 계류부(200)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계류 장치와 펜더가 별개로 보관 및 설치되던 종래와 달리 장치(10, 10', 10")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부유 구조물 2 : 지지 구조물
10, 10', 10" : 계류 및 완충 장치 100 : 완충부
110 : 펜더 120 : 지지 부재
121 : 베이스판 123 : 지지판
130 : 부착 부재 200 : 계류부
210 : 윈치 220 : 계류 라인
231, 232 : 도르래 300 : 접촉 방지부
310 : 그물망

Claims (5)

  1. 부유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완충부; 및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부착된 상기 완충부를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나머지 구조물에 계류시키는 계류부를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펜더;
    상기 펜더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부유 구조물에 대향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는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된 구조물의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축 또는 상기 완충부가 부착된 구조물의 높이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계류 및 완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는,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에 지지되는 윈치; 및
    일단부가 상기 완충부에 고정되고, 상기 윈치에 권취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완충부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완충부가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
KR1020190059231A 2019-05-21 2019-05-21 계류 및 완충 장치 KR10246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1A KR102461017B1 (ko) 2019-05-21 2019-05-21 계류 및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31A KR102461017B1 (ko) 2019-05-21 2019-05-21 계류 및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928A true KR20200133928A (ko) 2020-12-01
KR102461017B1 KR102461017B1 (ko) 2022-10-31

Family

ID=7379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31A KR102461017B1 (ko) 2019-05-21 2019-05-21 계류 및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0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4A (ja) * 1996-02-16 1997-08-26 Sumitomo Rubber Ind Ltd 係留用ダンパ装置
JP2000062685A (ja) * 1998-08-24 2000-02-29 Japan National Oil Corp 洋上移載方法および装置
KR20130002898U (ko) * 2011-11-07 2013-05-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도장 손상 방지용 매트
KR20180000319U (ko) 2016-07-22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쇠 장치
KR101933607B1 (ko) * 2017-07-19 2018-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화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734A (ja) * 1996-02-16 1997-08-26 Sumitomo Rubber Ind Ltd 係留用ダンパ装置
JP2000062685A (ja) * 1998-08-24 2000-02-29 Japan National Oil Corp 洋上移載方法および装置
KR20130002898U (ko) * 2011-11-07 2013-05-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도장 손상 방지용 매트
KR20180000319U (ko) 2016-07-22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쇠 장치
KR101933607B1 (ko) * 2017-07-19 2018-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화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017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20047658A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
KR20110016610A (ko) 선박의 도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도킹 방법
DK3003846T3 (en) Boat mounting
KR20200133928A (ko) 계류 및 완충 장치
JP2005112622A (ja) 搭載艇揚降装置
JP2001030987A (ja) 船体着岸装置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101774924B1 (ko) 선박 방오 장치
JP5643043B2 (ja) 岸壁クレーン
KR200436987Y1 (ko) 선박후방경사면으로의 보트 인양 및 하강장치
KR102106498B1 (ko)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설치선박 및 설치방법
US6109199A (en) Capture and alignment mechanism for use on board an ocean going vessel
KR20200046254A (ko) 대빗장치
KR20160068009A (ko)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KR102448942B1 (ko) 부유식 조립체
KR20210050340A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KR20200136616A (ko) 계류 장치
KR20210037427A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장치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1172421B1 (ko)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KR101498254B1 (ko) 경사진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190030529A (ko) 잠수함용 납 발라스트 장치
KR102640381B1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20130054524A (ko) 상대운동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