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009A -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 Google Patents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009A
KR20160068009A KR1020140172612A KR20140172612A KR20160068009A KR 20160068009 A KR20160068009 A KR 20160068009A KR 1020140172612 A KR1020140172612 A KR 1020140172612A KR 20140172612 A KR20140172612 A KR 20140172612A KR 20160068009 A KR20160068009 A KR 20160068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hain locker
bilge
locker
vib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907B1 (ko
Inventor
이명구
김종호
김현준
송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는 체인로커 몸체;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진동 플레이트;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근의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Chain locker for anchoring system}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와 결합되는 체인을 수납할 수 있는 체인로커에 관한 것이다.
조류와 파도, 바람 등으로부터 선박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계선장치에는 안벽이나 부이(Buoy)에 계선줄(Mooring Rope)로 연결시켜서 고정하는 계류장치(Mooring Equipment)와, 임의의 수면에서 정해진 위치에 앵커(Anchor)와 앵커체인(Anchor chain)으로 파지력을 통하여 고정하는 투양묘장치(Anchoring Equipment)가 있다.
이중 투양묘장치(이하, 앵커링 시스템이라 한다)는 선박에 작용하는 바람, 조류, 조석, 파 또는 너울 등으로부터 원하는 위치에서 선박을 파지력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앵커링 시스템은 앵커와 앵커체인을 감거나 풀기 위한 양묘기 및 앵커체인을 격납하는 체인로커를 구비할 수 있다.
관련 기술로서, 선행기술 1인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44994호에는 선박용 앵커링 시스템의 일 예로서, 앵커체인이 체인로커에 격납 될 때, 앵커체인을 체인로커의 벽면으로 당기면서 수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선행기술 2인 한국 공개특허 제2012-0125719호에는 선박용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에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을 마련한 구성으로서, 체인로커의 측면공간에 체인을 연결하는 구성기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체인을 체인로커에 수납할 경우, 체인이 가지런하게 쌓이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쌓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체인로커에 모든 체인이 수납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원뿔 형태로 쌓이게 되는 체인 들이 무너지면서 체인로커의 외벽을 강타하여 체인로커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994호(2013.05.03.)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5719호(2012.11.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으로 체인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는 체인로커 몸체;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진동 플레이트;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근의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빌지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빌지 홀은 복수 개가 상기 가진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빌지 홀은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벽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내벽면과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댐핑 유닛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댐핑 유닛은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체인로커의 바닥면에 마련된 빌지 챔버의 천장면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인로커에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인을 수납하는 과정 중에 가진기를 이용한 진동을 이용하여 체인 수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체인로커의 용적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인 수납 과정 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체인에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의 진동 플레이트의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로커의 진동 플레이트의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는 체인로커 몸체(10), 진동 플레이트(11), 가진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체인로커 몸체(1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함체로 마련될 수 있다. 체인로커 몸체(10)는 선박 또는 해상 시설물의 몸체 내부에 마련되며, 체인(1)을 내부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체인(1)은 선박 또는 해상 시설물을 해상에서 위치 고정할 때 사용하는 앵커(미도시)의 고정 및 인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로커 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11)의 하측 공간부에는 빌지 챔버(12)가 마련되어, 이 곳에 체인(1)에 부착되었던 이물질과 체인(1)과 함께 인양된 해수 등이 보관될 수 있다. 즉, 체인(1)의 경우 앵커링을 위해 해수 속에 침잠된 상태로 있다가, 출항 또는 앵커링을 해제할 경우, 체인로커 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된다. 이때, 체인(1)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해수도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해수는 상기한 빌지 챔버(12) 측에 잠시 수용된 후 일정 양이 넘을 경우, 드레인 홀(12a)을 통해 선박 또는 해상 시설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빌지 홀(11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11)의 둘레면에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빌지 홀(11a)은 상기 빌지 챔버(12)로 해수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진동 플레이트(11)의 둘레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빌지 홀(11a)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빌지 홀(11a)은 복수 개가 상호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90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빌지 홀(11a)의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플레이트(11)는 원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중앙 부근의 첨부(11b)의 높이(h2)는 진동 플레이트(11)의 둘레면의 높이(h1)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체인(1)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 및 이물질들이 진동 플레이트(11)의 테두리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으며, 흘러내린 이물질들은 빌지 홀(11a)을 통해 빌지 챔버(12) 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빌지 챔버(12)의 바닥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체인(1)과 함께 인양된 이물질들(13)과 해수 등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빌지 챔버(12)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빌지 챔버(12)의 측면에는 드레인 홀(12a)을 형성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이물질(13)이 포집 될 경우, 해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가진유닛(100)은 체인로커 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상기한 진동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진유닛(100)은 체인(1)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인이 수납되는 진동 플레이트(11)의 바닥면 저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진유닛(1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전원을 인가할 경우, 저주파 대역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사운드 제너레이터 또는 진폭 형성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진유닛(10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진동을 부가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를 진동 플레이트(11)의 저면부에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 플레이트(11)에 진동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가진유닛(100)에서 형성되는 진동을 통해 진동 플레이트(11)는 도 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11)의 재질은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가진유닛(100)의 진동에 대응하여 일정한 탄성변형을 통해 진동을 체인(1)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진유닛(100)의 위치는 상기한 빌지 홀(11a)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빌지 홀(11a)이 형성된 부분의 안쪽으로서, 상기 첨부(11b)와 근접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추가로 댐핑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핑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체인로커 몸체(10)의 내벽면과 연결되고, 그 타측으로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11)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11)의 진동이 체인로커 몸체(1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댐핑유닛(200)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가지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균일 한 체인(1)의 수납 및 체인(1)과 체인로커 몸체(10)의 충돌 및 충격으로 인해, 체인로커가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인(1)을 수납하는 과정 중에 가진기를 이용한 진동을 이용하여 체인(1) 수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체인로커의 용적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인(1) 수납 과정 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체인(1)에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진유닛(1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진동 플레이트(11)를 통해 체인(1)에 전달되면, 전달된 진동은 체인(1)의 표면에 부착된 진흙이나 해양생물 등의 이물질들이 보다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이물질들을 빌지 홀(11a)을 통해 빌지 챔버 측으로 수용하여, 손쉽게 제거 및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체인 10; 체인로커 몸체
11; 진동 플레이트 11a; 빌지 홀
11b; 첨부 12; 빌지 챔버
12a; 드레인 홀 13; 이물질
100; 가진유닛 200; 댐핑유닛

Claims (7)

  1. 체인로커 몸체;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진동 플레이트;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 부근의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벨지 홀빌지 홀을 더 포함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홀은,
    복수 개가 상기 가진유닛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홀은,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벽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로커 몸체의 내벽면과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댐핑 유닛이 개재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인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체인로커의 바닥면에 마련된 빌지 챔버의 천장면이 되도록 배치되는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KR1020140172612A 2014-12-04 2014-12-04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KR10170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612A KR101701907B1 (ko) 2014-12-04 2014-12-04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612A KR101701907B1 (ko) 2014-12-04 2014-12-04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09A true KR20160068009A (ko) 2016-06-15
KR101701907B1 KR101701907B1 (ko) 2017-02-03

Family

ID=5613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612A KR101701907B1 (ko) 2014-12-04 2014-12-04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8205A (zh) * 2018-08-21 2018-12-18 安徽亚太锚链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安装连接稳定的锚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70A (ko)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체인로커의 빌지웰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150A (ja) * 1992-05-12 1994-09-20 Matsui Mfg Co 付着物除去方法とその装置
KR20110135638A (ko) * 2010-06-11 2011-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 락커의 체인 가이드 장치
KR101185400B1 (ko) * 2010-04-30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체인로커
KR20120125719A (ko) 2011-05-09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20130044994A (ko) 2011-10-25 2013-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 장치
KR20130004100U (ko) * 2011-12-27 2013-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체인 로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150A (ja) * 1992-05-12 1994-09-20 Matsui Mfg Co 付着物除去方法とその装置
KR101185400B1 (ko) * 2010-04-30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체인로커
KR20110135638A (ko) * 2010-06-11 2011-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 락커의 체인 가이드 장치
KR20120125719A (ko) 2011-05-09 2012-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20130044994A (ko) 2011-10-25 2013-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앵커링 장치
KR20130004100U (ko) * 2011-12-27 2013-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앵커 체인 로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8205A (zh) * 2018-08-21 2018-12-18 安徽亚太锚链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安装连接稳定的锚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07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647B2 (en) Method for handling a hydro sound absorber, and device for reducing underwater noise
JP5691202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KR101701907B1 (ko)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US20220161904A1 (en) Marine wind power generation floating body
JP2015006884A (ja) 浮体の設置方法
EP2546509A2 (en) Wave activated power generator
KR20110135638A (ko) 체인 락커의 체인 가이드 장치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220098385A (ko) 풍력 및/또는 파력 및/또는 조력 발전용 발전기를 지지하기 위한 플로팅 플랫폼
RU2551322C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ледяного покрова
TWI625446B (zh) 用於抑制來自液體中的源的聲能的共振器、共振器陣列和雜訊消減系統
RU2507672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JP2007126060A (ja) 可撓性ブイ
KR20090124351A (ko) 부침식 연직막체 방파제
KR101348621B1 (ko)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102050798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307685B1 (ko) 진동 완충이 가능한 연료전지 모듈
US20060127186A1 (en) Removal of obsolete drill platforms from inland seas and ocean floors
NO20151679A1 (en) A platform arrangement for offshore energy exploitation
KR20200133928A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20160031622A (ko) 선박용 앵커 체인 보관함
KR102027520B1 (ko)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KR101112129B1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60000693A (ko) 해상구조물의 체인 락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