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42B1 - 부유식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유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42B1
KR102448942B1 KR1020190059530A KR20190059530A KR102448942B1 KR 102448942 B1 KR102448942 B1 KR 102448942B1 KR 1020190059530 A KR1020190059530 A KR 1020190059530A KR 20190059530 A KR20190059530 A KR 20190059530A KR 102448942 B1 KR102448942 B1 KR 10244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winch
mooring line
floating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032A (ko
Inventor
정성훈
송창우
신상명
오환엽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계류 및 완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부유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설치된 윈치; 상기 윈취에 권취되고, 계류 시 끝단부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계류 라인; 및 상기 계류 라인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평상 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된 구조물에 탑재되고, 계류 시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펜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조립체{FLOATING ASSEMBLY}
본 발명은 계류 및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운항 과정에서 안벽,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계류될 수 있다.
이때,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계류 장치에 의해 안벽 등에 계류된다. 계류 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과 안벽 등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더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계류를 위해 별도의 계류 장치와 펜더가 사용된다. 이 경우, 계류 장치와 펜더를 별도로 보관하고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779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87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07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078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053312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류 및 완충 기능을 모두 가지는 계류 및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로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설치된 윈치; 상기 윈취에 권취되고, 계류 시 끝단부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계류 라인; 및 상기 계류 라인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평상 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된 구조물에 탑재되고, 계류 시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펜더를 포함하는, 계류 및 완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펜더에는 상기 계류 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류 라인에는 상기 계류 라인이 상기 관통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류 라인이 인입되는 상기 관통홀의 인입부와 상기 계류 라인이 인출되는 상기 관통홀의 인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된 구조물에는 상기 윈치, 상기 계류 라인 및 상기 펜더가 격납되는 격납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자동장력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계류 라인과 펜더가 일체로 연결되어 보관되고 사용됨으로써 계류에 관한 장비와 완충에 관한 장비가 별도로 보관 사용되던 종래와 달리 장치의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관통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조립체는 지지 구조물(2), 지지 구조물(2)에 근접하여 계류되는 부유 구조물(1) 및 부유 구조물(1)을 지지 구조물(2)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부유 구조물(1)을 지지 구조물(2)에 대해 계류함과 동시에 완충한다.
부유 구조물(1)은 선박, 부유식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2)은 선박, 부유식 해양 구조물, 안벽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부유 구조물(1)은 지지 구조물(2)에 근접하여 계류되고,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간 작업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윈치(100)와, 계류 라인(200)과, 펜더(300)를 포함한다.
윈치(100)는 부유 구조물(1) 및 지지 구조물(2) 중 한 구조물에 설치된다. 이하, 윈치(100)는 부유 구조물(1)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윈치(100)는 후술하는 계류 라인(200)을 권취한다.
윈치(100)는 공지된 자동장력조절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윈치(100)는 계류 라인(200)에 설정된 장력이 걸리도록 작동한다.
계류 라인(200)의 끝단부는 계류 시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된다. 예컨대, 지지 구조물(2)에는 부유 구조물(1)에 설치된 윈치(100)에서 연장된 계류 라인(200)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볼라드(3)가 형성될 수 있다. 볼라드(3)는 지지 구조물(2)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2a) 안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계류 라인(200)은 평상 시 부유 구조물(1)에 지지된 상태로 놓여 있다가 계류 시 그 끝단부가 부유 구조물(1) 또는 지지 구조물(2)에 설치된 데릭(derrick)(미도시) 또는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 구조물(2)의 볼라드(3)에 고정될 수 있다.
계류 라인(200)은 후술하는 펜더(3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펜더(300)는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한다.
이때, 펜더(300)는 도 2와 같이 수면에 부유하며 완충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펜더(300)는 부유 구조물(2) 및 지지 구조물(2)의 크기, 흘수, 계류 라인에 걸리는 장력의 세기 등 외부 조건에 따라 도 2와 달리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완충 동작할 수 있다.
펜더(300)는 평상 시 윈치(100)가 설치된 구조물, 즉 부유 구조물(1)에 탑재되고, 계류 시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한다. 펜더(300)는 평상 시 부유 구조물(1)의 측부에 형성된 격납고(1a)에 격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펜더(300)에는 계류 라인(200)이 관통하는 관통홀(301)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301)은, 펜더(30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로부터 양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휘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및 완충 장치(1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유 구조물(1)이 지지 구조물(2)에 계류를 위해 근접한다. 이때, 계류 라인(200)이 관통 배치된 펜더(300)는 부유 구조물(1)의 격납고(1a) 내에 격납된 상태에 있다. 이때, 격납고(1a)는 격납 도어(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격납 도어(도 3의 4 참조)가 개방되고, 펜더(300)는 격납고(1a)의 외부로 빠져 나온다. 이때, 격납고(1a) 내의 펜더(300)를 외부로 밀어내는 별도의 구동 장치(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격납고(1a)에서 빠져 나온 펜더(300)를 관통하는 계류 라인(200)의 끝단부는 별도의 구동 장치(ex. 데릭 붐 또는 크레인)에 의해 지지 구조물(2) 쪽으로 이동하여 지지 구조물(2)에 형성된 볼라드(3)에 고정된다.
이후, 도 2를 참조하면, 윈치(100)가 계류 라인(200)을 권취하면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을 가까워지고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은 각각 펜더(3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후, 펜더(300)는 부유 구조물(1)과 지지 구조물(2) 사이에서 완충 동작한다.
한편, 윈치(100)는 계류 라인(200)에 계류를 위한 설정된 장력 이상의 장력이 걸릴 때까지 계류 라인(200)을 권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윈치(100)의 동작은 수동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계류 라인(200)과 펜더(300)가 일체로 연결되어 보관되고 사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계류에 관한 장비와 완충에 관한 장비가 별도로 보관 사용되던 종래와 달리 장치의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다.
한편, 계류 및 완충 장치(10)는 도 1과 같이 복수로 제공되거나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계류 및 완충 장치(10)의 개수 및 위치는 부유 구조물(1) 및 지지 구조물(2)의 크기, 형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계류 라인(200)에는 펜더(300)를 관통한 계류 라인(200)이 관통홀(30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01)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토퍼(201)는 펜더(300)가 도 3과 같이 부유 구조물(1)의 격납고(1a)에 격납되어 보관되는 과정에서 펜더(300)의 관통롤(301)에서 계류 라인(20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201)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계류 라인(200)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스토퍼(201)는 돌기 형상을 가지며, 계류 라인(200)이 인출되는 관통홀(301)의 인출부(301b)에 걸리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토퍼(201)는 윈치(100)가 계류 라인(200)을 권취했을 때 펜더(300)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다.
한편, 펜더(300)가 격납되는 격납고(1a) 바닥의 일부 영역에는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b)은 격납고(1a)에 격납된 펜더(300)를 아래로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경사면(1b)은 윈치(100)에서 펜더(300) 쪽으로 연장된 계류 라인(200)이 부드럽게 구부러져 연장되도록 유도한다.
볼라드(3)가 형성된 오목부(2a) 바닥의 일부 영역에는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b)은 볼라드(3)에서 펜더(300) 쪽으로 연장된 계류 라인(200)이 부드럽게 구부러져 연장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계류 라인(200)이 인입되는 관통홀(301)의 인입부(301a)와 계류 라인(200)이 인출되는 관통홀(301)의 인출부(301b)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계류 라인(200)이 인입되는 관통홀(301)의 인입부(301a)와 계류 라인(200)이 인출되는 관통홀(301)의 인출부(301b)는, 각각 펜더(30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관통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계류 라인(200)은 관통홀(301)의 인입부(301a) 및 인출부(301b)에서의 움직임이 더욱 자유로워져 계류 라인(200)과 펜더(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간섭이 저감되고, 계류 라인(200)과 펜더(300)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관통홀(301)을 통과하여 연장된 계류 라인(200)이 관통홀(301)의 인입부(301a) 및 인출부(301b)에서 더욱 부드럽게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부유 구조물 1a : 격납고
1b : 경사면 2 : 지지 구조물
2a : 오목부 2b : 경사면
3 : 볼라드 4 : 격납 도어
10 : 계류 및 완충 장치 100 : 윈치
200 : 계류 라인 201 : 스토퍼
300 : 펜더 301 : 관통홀
301a : 인입부 301b : 인출부

Claims (6)

  1.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근접하여 계류되는 부유 구조물; 및
    상기 부유 구조물을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류 및 완충하기 위한 계류 및 완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및 완충 장치는,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한 구조물에 설치된 윈치;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계류 시 끝단부가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계류 라인; 및
    상기 계류 라인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평상 시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된 구조물에 탑재되고, 계류 시 상기 부유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 동작하는 펜더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에는, 상기 계류 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펜더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로부터 양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휘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계류 라인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계류 라인이 상기 관통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윈치가 상기 계류 라인을 권취했을 때 상기 펜더의 외측면에 걸리 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유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중 상기 윈치가 설치된 구조물에는 상기 윈치, 상기 계류 라인 및 상기 펜더가 격납되는 격납고가 형성되고,
    상기 격납고 바닥의 일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부유식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라인이 인입되는 상기 관통홀의 인입부와 상기 계류 라인이 인출되는 상기 관통홀의 인출부는 각각 상기 편심된 위치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부유식 조립체.
  5. 삭제
  6. 삭제
KR1020190059530A 2019-05-21 2019-05-21 부유식 조립체 KR10244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0A KR102448942B1 (ko) 2019-05-21 2019-05-21 부유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0A KR102448942B1 (ko) 2019-05-21 2019-05-21 부유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32A KR20200134032A (ko) 2020-12-01
KR102448942B1 true KR102448942B1 (ko) 2022-09-30

Family

ID=7379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30A KR102448942B1 (ko) 2019-05-21 2019-05-21 부유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9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12A (ja) * 2003-08-04 2005-03-03 Jsp Molding Kk 防舷材
JP2016107891A (ja) * 2014-12-09 2016-06-20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防舷材および防舷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60B1 (ko) 2012-04-26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언로딩 장치
KR101563693B1 (ko) 2014-04-11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KR101629192B1 (ko) 2014-08-01 2016-06-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12A (ja) * 2003-08-04 2005-03-03 Jsp Molding Kk 防舷材
JP2016107891A (ja) * 2014-12-09 2016-06-20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防舷材および防舷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32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CA2966018C (en) Buoyant structure
KR101382300B1 (ko)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KR102448942B1 (ko) 부유식 조립체
JP4427441B2 (ja) ライザーシステム
KR101384034B1 (ko) 선박용 벨 마우스의 설치구조
US3051448A (en) Marine snubber
KR102295240B1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20004780A (ko) 앵커 격납 시스템
JP5643043B2 (ja) 岸壁クレーン
KR102106498B1 (ko)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설치선박 및 설치방법
KR20160002998U (ko) 텔레스코픽 벨 마우스 장치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JP2016089345A (ja) 漂流物の衝突防止装置
KR102461017B1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101498254B1 (ko) 경사진 터릿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358135B1 (ko) 선박용 계류로프 안내롤러
KR20190127251A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20170033662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JP2011111267A (ja) 岸壁クレーン
KR20160001518U (ko) 지진 충격흡수 댐퍼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1662486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2617286B1 (ko) 이동식 계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28196B1 (ko) 크레인 후크 어셈블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