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18U - 지진 충격흡수 댐퍼 - Google Patents

지진 충격흡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18U
KR20160001518U KR2020140007935U KR20140007935U KR20160001518U KR 20160001518 U KR20160001518 U KR 20160001518U KR 2020140007935 U KR2020140007935 U KR 2020140007935U KR 20140007935 U KR20140007935 U KR 20140007935U KR 20160001518 U KR20160001518 U KR 20160001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ernal force
upper structure
support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준
강찬회
전석희
오영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518U/ko
Publication of KR2016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진 충격 흡수 댐퍼에 관한 것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물위에 노출되는 상부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중량체(10)와; 상기 중량체(10)의 하부를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바닥(213)에 지지하고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상기 중량체(10)를 상기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천장(201) 및 내부 측면(202)에 연결 스프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강제로 이동시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무게중심과 중량체의 무게 중심의 합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동하여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진 충격흡수 댐퍼{earthquake damage arbsobing damper}
본 고안은 지진 충격흡수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가해지는 바람, 지진 등의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중심 부근 등에 중량체를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중량체의 관성력에 의해 외력에 의한 중심이동을 감소시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중심을 안정시킬 수 있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항해시에 기상상태의 악화나 해일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선박의 외형적인 구조에 따라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rolling)이 발생하게 되고, 이 롤링에 의하여 승객이나 선원이 멀미하게 됨은 물론, 적재된 화물이 무너지기도 한다.
이러한 롤링 현상은 항해중인 해상의 풍속과 선박내부의 화물의 적재위치나 선박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더욱 악화될 수 있고, 특히 소형 보트와 같이 롤링현상이 극심한 경우에는 보트가 전복되어 침몰에 이르게 됨으로써, 귀중한 승객과 선원의 생명은 물론, 선박과 적재화물 등의 망실로 인하여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이 초래되기도 한다.
이에 선박의 롤링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선박 안정화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선박 안정화장치로는 빌지키일(Bilge Keel), 앤티롤링탱크(Anti-Rolling Tank), 핀스태빌라이져(Fin Stabilize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이 있다.
상기 빌지키일은 경제적으로 저렴하며, 운항 중이거나 정지 중에도 유효하지만 감쇠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앤티롤링탱크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운항 중이거나 정지 중에도 유효하지만 선체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소형 보트에는 적용되기 어렵고, 자유표면 효과에 의해 복원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핀스태빌라이져는 횡요 주기의 변화에 따라서 최적 제어가 가능하며 큰 감쇠효과를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저속 및 정지 상태에서 감쇠 효과가 작고, 고가이며, 선체 부가물로 작용하여 운항 중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1204호에 저렴하며, 부피가 작으면서도 운항 및 정지 중에 우수한 감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를 적용한 "선박 안정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382894호에 12면체 부유 플랫폼(DFP) 장치는, 해저에 고정된 일련의 당김 케이블들과 클럼프추들에 의해서 안정화되어 있는 12면체 부양체가 통합된 심해의 석유탐사에 사용하도록 해상의 조립식 시추 지지 플랫폼을 제공하는 "반잠수되며 이동가능한 조립식 해상플랫폼 지지물"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잠수된 조립식 해상 플랫폼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 잠수된 12면체 부양체(1)는 외부의 12면체 구조물(4)에 연결된 작동 플랫폼(2)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외부의 12면체 구조물(4)은 아라미드 당김 로프들(6)에 의해서 해저에 고정되어 있다. 12벽체 부양체(1)는 수직관 장치(8)에 의해서 해저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잠수된 조립식 해상 플랫폼의 조립시에 고가의 수중용접작업의 필요성이 최소화되고, 용이하게 인양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정이 발견되지 않을때 재사용을 위해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석유탐사구역에서 조립될 수 있고, 유정이 설치되면 시추플랫폼이 영구적 플랫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잠수된 조립식 해상 플랫폼은 이동하는 선박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2894호 (2003년04월2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204호 (2011년06월07일,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이 환경하중(wave, wind, earthquake)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소정부위에 하중이 매우 큰 중량체를 6자유도(x, y, z축)를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6개 이상의 지지대로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무게중심과 중량체의 무게 중심의 합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안정한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진 충격흡수 댐퍼는, 물위에 노출되는 상부 구조물에 하중이 큰 중량체를 설치하고, 6자유도(x, y, z축)를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6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에 지지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와; 상기 중량체를 상기 상부 구조물의 내부 천장 및 내부 측면에 연결 탄성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량체는 80∼100 ton 의 무게를 가지며, 볼 형태, 12면체 14면체, 16면체, 럭비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재질은 강철, 알루미늄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하부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상기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에 지지하고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중량체와 연결부분 및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과의 연결부분을 탄성체로 연결하여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를 상부 구조물의 천정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부 구조물의 천정과의 연결부분 및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기 중량체와 의 연결부분을 원통 스프링, 강선의 제1 및 제2 탄성체로 연결하여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력이 없을 때, 상기 상부 구조물의 무게중심 G1과 중량체의 무게중심 G2 및 양쪽 무게중심의 합 G0는 동일 수직선상에 놓이고, 외력 F가 좌측 또는 우측에서 작용할 때 상기 상부 구조물의 무게중심 G1은 외력 F에 의해 이동하지만 상기 중량체는 관성력에 의해 제자리에 있게 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무게중심 G1과 상기 중량체의 무게중심 G2의 합 G3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무게중심 G1과 원래의 무게중심 G0 사이에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전후, 좌우 및 상하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수의 방향 감지센서와; 상기방향 감지센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다수의 하부지지대와 상부 지지대가 상기 중량체를 외력의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방향 감지센서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천정, 측면과 바닥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발생할 때 그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지진 충격흡수 댐퍼에 따르면,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있어 환경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복원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소정부위에, 하중이 매우 큰 중량체를 설치하고, 6자유도(x, y, z축)를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6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강제로 이동시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무게중심과 중량체의 무게 중심의 합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동하여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잠수된 조립식 해상 플랫폼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제진 댐퍼의 중심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반잠수식 시추선의 컬럼 상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크루즈선의 중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100)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물위에 노출되는 상부 구조물(210)에 설치되는 중량체(10)와; 상기 중량체(10)의 하부를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바닥(213)에 지지하고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상기 중량체(10)를 상기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천장(211) 및 내부 측면(212)에 연결 스프링 등의 연결 탄성체(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중량체(10)는 대략 80∼100 ton 의 무게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볼 형태로 형성되지만, 꼭 볼(ball) 형태일 필요는 없고 12면체 14면체, 16면체, 럭비공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재질은 강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제작된다.
다수의 하부 지지대(20)는 상기 중량체(10)의 하부를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바닥(213)에 지지하고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량체(10)와 연결부분 및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바닥(213)과의 연결부분을 원통 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연결하여 지진,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10)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중량체(10)의 연결부분 및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상부 구조물(210)의 내부 바닥(213)과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원통 스프링 등의 제3 및 제4 탄성체(40c, 40d)는 신장 또는 수축함으로써 지진, 바람 등의 외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본 고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설명도가 도시된다.
다수의 상부 지지대(30)는 상기 중량체(10)의 상부를 상부 구조물(210)의 천정(211)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30)와 상부 구조물(210)의 천정(211)과의 연결부분 및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30)와 상기 중량체(10)와 의 연결부분을 원통 스프링, 강선 등의 제1 및 제2 탄성체(40a, 40b)로 연결하여 지진,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10)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이 없을 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과 중량체(10)의 무게중심 G2 및 양쪽 무게중심의 합 G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수직선상에 놓인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 F가 우측에서 작용할 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은 왼쪽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중량체(10)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중량체(10)의 무게중심 G2는 제자리에 있게 되기 때문에 양쪽 무게중심의 합은 G3에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 F가 우측에서 작용할 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은 외력 F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중량체(10)의 무게중심 G2는 관성력에 의해 거의 제자리에 있게 되고 양쪽 무게중심의 합 G3는 원래의 무게중심 G0보다 좌측으로 밀리지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보다는 우측에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 F가 좌측에서 작용할 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은 우측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중량체(10)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중량체(10)의 무게중심 G2는 제자리에 있게 되기 때문에 양쪽 무게중심의 합은 G3에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 F가 좌측에서 작용할 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은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중량체(10)의 무게중심 G2는 관성력에 의해 거의 제자리에 있게 되고 양쪽 무게중심의 합 G3는 원래의 무게중심 G0보다 우측으로 밀리지만, 상부 구조물(210)의 무게중심 G1보다는 좌측에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외력 F가 상부 구조물(210)에 작용할 때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30)의 길이는 상부 구조물(210)의 천정(211)과의 연결부분 및 중량체(10)와 다수의 상부 지지대(30)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원통 스프링, 강선 등의 제1 및 제2 탄성체(40a, 40b)에 의해서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또는 수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의 길이가 자체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지만, 상기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중량체(10)의 연결부분과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와 내부 바닥(213)과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제3 및 제4 탄성체(40c, 40d)에 의해서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됨으로써 지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 구조물(210)이 안정된 상태에 있게 한다.
여기서 다수의 상부 지지대(30)와 다수의 하부 지지대(20)의 적어도 하나를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와 인장 스프링을 교대로 번갈아 가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10)와 상부 구조물(210)의 측면(212)과의 사이를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인장 스프링 등으로 구성한 다수의 중간 지지대(50)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10)와 다수의 중간 지지대(50)의 연결부분 및 다수의 중간 지지대(50)와 상부 구조물(210)의 측면(212)과의 연결부분을 제5 및 제6 탄성체(40e, 40f)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 본 고안에 의한 제진 댐퍼의 중심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조물(210)의 천정(211), 측면(212)과 바닥(213)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전후, 좌우 및 상하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센서(60a, 60b, 60c, 60d, 60e, 60f)를 설치하고, 상기방향 감지센서(60)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여 중앙제어부(70)에 입력한다.
여기서 다수의 방향 감지센서(60a, 60b, 60c, 60d, 60e, 60f)를 특정할 필요가 없을 때는 설명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대표부호 "60"을 사용하며, 다른 구성요소도 마찬가지이다.
외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센서(60a, 60b, 60c, 60d, 60e, 60f)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변위센서, 압전센서, 자이로 센서 등 상부 구조물(210)의 천정(211), 측면(212)과 바닥(213)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발생할 때 그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중앙제어부(70)는 상기 방향 감지센서(60a, 60b, 60c, 60d, 60e, 60f)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판단하여 상부 구조물(210)이 설치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이 외력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무게중심이 쏠리게 되면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하부지지대(20) 및 상부 지지대(30)를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제어하여 외력의 방향에 반대로 중량체(1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중량체(10)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해 기울어진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가해줄 수 있다.
도 7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반잠수식 시추선의 컬럼 상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된다.
반잠수식 시추선(200)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100)를 설치하는 경우 구조상 중앙부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도시된 바와같이 무게배분을 고려하여 다수의 충격흡수 댐퍼(100)를 컬럼(250)의 상단부에 설치한다.
도 8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를 크루즈선의 중심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크루즈선(300)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진 충격흡수 댐퍼(110)를 설치하는 경우 크루즈선(300)의 중앙 상부 갑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승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중량체 20: 하부 지지대
30: 상부 지지대 40: 탄성체
50: 측면 지지대 60: 방향센서
70: 중앙 제어부 100: 지진 충격 흡수 댐퍼
210: 상부 구조물

Claims (7)

  1. 물위에 노출되는 상부 구조물에 하중이 큰 중량체를 설치하고, 6자유도(x, y, z축)를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6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에 지지하는 다수의 하부 지지대와;
    상기 중량체를 상기 상부 구조물의 내부 천장 및 내부 측면에 연결 탄성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80∼100 ton 의 무게를 가지며, 볼 형태, 12면체 14면체, 16면체, 럭비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재질은 강철, 알루미늄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부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를 상기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에 지지하고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중량체와 연결부분 및 상부 구조물의 내부 바닥과의 연결부분을 탄성체로 연결하여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를 상부 구조물의 천정에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부 구조물의 천정과의 연결부분 및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대와 상기 중량체와 의 연결부분을 원통 스프링, 강선의 제1 및 제2 탄성체로 연결하여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중량체는 관성력에 의해 외력과 반대로 이동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전후, 좌우 및 상하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다수의 방향 감지센서와;
    상기방향 감지센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다수의 하부지지대와 상부 지지대가 상기 중량체를 외력의 반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향 감지센서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천정, 측면과 바닥에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이 발생할 때 그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충격흡수 댐퍼.
KR2020140007935U 2014-10-31 2014-10-31 지진 충격흡수 댐퍼 KR201600015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35U KR20160001518U (ko) 2014-10-31 2014-10-31 지진 충격흡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35U KR20160001518U (ko) 2014-10-31 2014-10-31 지진 충격흡수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8U true KR20160001518U (ko) 2016-05-11

Family

ID=5602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935U KR20160001518U (ko) 2014-10-31 2014-10-31 지진 충격흡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1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30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58652B1 (ko) * 2019-04-09 2020-01-22 황선경 면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내진-면진 벽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30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2058652B1 (ko) * 2019-04-09 2020-01-22 황선경 면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내진-면진 벽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209B1 (ko) 부유 시추기
US8733265B2 (en) Offshore buoyant drill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tructure
US665219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120114422A1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US10843776B2 (en) Buoyant structure
JPS63279993A (ja) 単脚引張り脚式プラットホーム
KR102365572B1 (ko) 부양식 해양 데포를 사용하는 방법
KR20160001518U (ko) 지진 충격흡수 댐퍼
US8869727B1 (en) Buoyant structure
KR101141594B1 (ko)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US81364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of a floating vessel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US10723416B2 (en) Mooring frame for mooring a floating unit and a floating unit comprising such a mooring frame
KR102247757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US20160031534A1 (en) Buoyant structure
KR102050927B1 (ko) 펜더 장치
WO2015088745A1 (en) Buoyant structure
KR20160057959A (ko) 해양구조물
Yang et al. An Investigation of Stability and Workability of ESEMI Under the Pre-Service Condition in Gulf of Mexico
KR101390899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CN114922936A (zh) 一种具有波浪补偿功能的船用实验平台
OA18204A (en) Buoya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