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720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720A
KR20200133720A KR1020207019442A KR20207019442A KR20200133720A KR 20200133720 A KR20200133720 A KR 20200133720A KR 1020207019442 A KR1020207019442 A KR 1020207019442A KR 20207019442 A KR20207019442 A KR 20207019442A KR 20200133720 A KR20200133720 A KR 2020013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hovel
displayed
screen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955B1 (ko
Inventor
토시키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8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n adjustable field of vie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re-scaling of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02F9/223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표시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갖는 쇼벨이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 적어도 1개가 촬상한 촬상화상과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쇼벨
본 발명은, 쇼벨에 관한 것이다.
쇼벨의 각종 정보의 확인이나 각종 설정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쇼벨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67626호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서는, 메뉴화면의 표시 중에 쇼벨이 조작되면, 부감(俯瞰)화상 등의 쇼벨의 주위의 상황을 파악하는 화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메뉴화면을 확인하면서 쇼벨을 조작할 수 없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조작자가 메뉴화면을 확인하면서 쇼벨을 조작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표시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갖는 쇼벨이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 적어도 1개가 촬상한 촬상화상과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가 메뉴화면을 확인하면서 쇼벨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1)이다.
도 5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2)이다.
도 6a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3)이다.
도 6b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4)이다.
도 7은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5)이다.
도 8은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6)이다.
도 9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7)이다.
도 10은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 및 조작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8)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가장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굴삭기로서의 쇼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쇼벨(100)은, 크롤러식의 하부주행체(1) 상에,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를 선회 가능하게 탑재한다. 상부선회체(3)에는, 작업요소로서의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작업요소로서의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작업요소 및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은 붐실린더(7)에 의하여 구동되고, 암(5)은 암실린더(8)에 의하여 구동되며, 버킷(6)은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실로서의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되어 있다. 또, 상부선회체(3)에는, 선회유압모터, 컨트롤러(30), 촬상장치(80) 등이 장착되어 있다. 선회유압모터는 선회용 전동발전기여도 된다.
캐빈(1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26), 표시장치(40), 경보장치(49) 등이 마련되어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상부선회체(3)에 있어서의, 붐(4) 등의 작업요소가 장착되어 있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측을 후방으로 한다.
컨트롤러(30)는, 쇼벨(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컨트롤러(30)는, CPU, RAM, NV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30)는, 각 기능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읽어내고 RAM에 읽어들여,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단, 각 기능요소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촬상장치(80)는, 쇼벨(100)의 주위를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장치(80)는, 예를 들면 단안(單眼)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거리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LiDAR 등이다. 도 1의 예에서는, 촬상장치(80)는,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후단에 장착된 후방카메라(80B),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좌단에 장착된 좌카메라(80L), 및 상부선회체(3)의 상면의 우단에 장착된 우카메라(80R)를 포함한다.
후방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는 모두, 광축이 경사하방을 향하도록, 또한 상부선회체(3)의 일부가 촬상범위에 포함되도록 상부선회체(3)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방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의 촬상범위는, 예를 들면 상면시(上面視)에서 약 180도의 시야각을 갖는다. 도 2의 예에서는, 촬상범위(AB)는 후방카메라(80B)의 촬상범위의 일례를 나타내고, 촬상범위(AL)는 좌카메라(80L)의 촬상범위의 일례를 나타내며, 촬상범위(AR)는 우카메라(80R)의 촬상범위의 일례를 나타낸다.
촬상장치(80)는, 쇼벨(100)의 주위에 있어서의 소정 영역 내의 소정 물체를 검출하는 물체검출장치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장치(80)는,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상처리장치는, 촬상장치(80)가 촬상한 화상(입력화상)에 이미 알려진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입력화상에 포함되는 소정 물체의 화상을 검출한다. 소정 물체의 화상을 검출한 경우, 촬상장치(80)는, 물체검출신호를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소정 물체는, 예를 들면 사람, 동물, 차량, 또는 기계 등이다. 화상처리장치는, 동체(動體)를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화상처리장치는, 컨트롤러(30)에 통합되어 있어도 된다.
물체검출장치는, LIDAR, 초음파센서, 밀리파센서, 레이저레이더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이어도 된다.
또, 쇼벨(100)은, 촬상장치(80(후방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와는 별도로, 물체검출수단으로서의 물체검출장치(LIDAR, 밀리파레이더, 또는 스테레오카메라 등)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쇼벨(100)은, 물체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물체에 관한 정보를 표시장치(40)에 표시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쇼벨(100)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쇼벨(100)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전달라인은 이중선, 작동유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破線), 전력라인은 가는 실선, 전기제어라인은 일점쇄선으로 각각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본시스템은, 주로,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조작압센서(29), 컨트롤러(30), 전환밸브(35), 표시장치(40), 경보장치(49),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 등을 포함한다.
엔진(11)은, 부하의 증감에 관계없이 엔진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아이소크로노스 제어를 채용한 디젤엔진이다. 엔진(11)에 있어서의 연료분사량, 연료분사타이밍, 부스트압 등은, 엔진컨트롤유닛(ECU(74))에 의하여 제어된다.
엔진(11)은, 유압펌프로서의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펌프(14)는, 작동유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100)의 유압계의 제어를 행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컨트롤밸브(17)는, 좌주행유압모터, 우주행유압모터,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선회유압모터 등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밸브(17)는, 각 유압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풀밸브를 포함한다. 각 스풀밸브는, PC포트의 개구면적 및 CT포트의 개구면적을 증감할 수 있도록, 파일럿압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PC포트는, 메인펌프(14)와 유압액추에이터를 연통시키는 포트이다. CT포트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작동유탱크를 연통시키는 포트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조작장치(26)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장치(26)는, 예를 들면 좌조작레버, 우조작레버, 및 주행조작장치를 포함한다. 주행조작장치는, 예를 들면 주행레버 및 주행페달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26)의 각각은, 유압식 조작장치이며,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17) 내에 있는 대응하는 스풀밸브의 파일럿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단, 조작장치(26)는, 전기식 조작장치여도 된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을 압력의 형태로 검출한다. 조작압센서(29)는, 검출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은, 전기적으로 검출되어도 된다.
전환밸브(35)는,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장치(26)의 유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이용하여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이다. 조작장치(26)의 무효상태는, 조작자가 조작장치(26)를 이용하여 유압액추에이터를 조작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밸브(35)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게이트로크밸브이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밸브(35)는, 파일럿펌프(15)와 조작장치(26)를 연결하는 파일럿라인에 배치되어,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파일럿라인의 차단·연통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장치(26)는, 예를 들면 게이트로크레버(D4)가 당겨 올려져 전환밸브(35)(게이트로크밸브)가 개방됐을 때에 유효상태로 되고, 게이트로크레버(D4)가 압하(押下)되어, 전환밸브(35)(게이트로크밸브)가 폐쇄됐을 때에 무효상태로 된다.
표시장치(40)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장치(40)는, CAN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전용선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40)는, 촬상장치(80)가 촬상한 1 또는 2 이상의 촬상화상과, 메뉴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장치(40)는, 축전지(7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표시장치(40)는, 제어부(40a),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를 갖는다.
제어부(40a)는,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a)는, CPU, RAM, NV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a)는, 각 기능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읽어내고 RAM에 읽어들여,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단, 각 기능요소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은, 컨트롤러(30) 또는 촬상장치(80)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화상표시부(41)는, 촬상장치(80)의 적어도 1개가 촬상한 촬상화상과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촬상화상은, 예를 들면 후방카메라(80B)가 촬상한 후방화상, 좌카메라(80L)가 촬상한 좌방화상, 우카메라(80R)가 촬상한 우방화상 중의 어느 하나여도 된다. 또, 촬상화상은, 예를 들면 후방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에 의하여 각각 촬상된 촬상화상이 합성된 부감화상이어도 된다. 또, 촬상화상은, 후방화상, 좌방화상, 우방화상, 및 부감화상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화상이어도 된다. 메뉴화면은, 쇼벨(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화면, 쇼벨(100)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화면을 포함한다.
조작부(42)는,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이다. 조작부(42)는, 터치패널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42)는, 화상표시부(4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표시부(41)가 표시하는 화상을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예를 들면, 메뉴스위치)를 포함한다. 단, 조작부(42)의 배치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조작레버에 배치되어도 되고, 운전석의 좌우 양측의 시트좌측콘솔 또는 시트우측콘솔에 배치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표시장치(40)에 마련되는 조작부(42)에 더하여, 조작부(4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운전석측 조작부(50)가, 조작레버, 시트좌측콘솔, 시트우측콘솔 중, 적어도 1개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촬상장치(80)가 촬상한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41)는,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기 전후로 부감화상(FV)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후방화상(CBT)의 크기를 축소함과 함께, 메뉴상세항목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메뉴상세항목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작부(42)의 소정의 스위치가 조작되면, 화상표시부(41)는, 후방화상(CBT)을, 쇼벨(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화면, 쇼벨(100)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화면 등의 메뉴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화상표시부(41)는, 부감화상(FV)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한 상태에서 표시한다.
또,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 및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 중 어느 것이어도,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일 때에 한하여,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전환스위치 등의 전환수단에 의하여, 이들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란, 예를 들면 게이트로크레버(D4)가 당겨 올려져 전환밸브(35)가 개방됨으로써 조작장치(26)가 유효인 상태이다. 쇼벨(100)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란, 예를 들면 게이트로크레버(D4)가 압하되어, 전환밸브(35)가 폐쇄됨으로써 조작장치(26)가 무효인 상태이다.
축전지(70)는, 예를 들면 얼터네이터(11a)에서 발전된 전기로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등에도 공급된다. 예를 들면,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한다.
ECU(74)는, 냉각수온 등, 엔진(11)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는, 사판경전각(斜板傾轉角)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토출압센서(14b)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작동유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 마련된 유온센서(14c)는, 그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가 조작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파일럿압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0)는 일시(一時)기억부(메모리)에 이들 데이터를 축적해 두고, 필요할 때에 표시장치(40)에 송신할 수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11)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IDLE모드의 4단계로 엔진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2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키면서 저소음으로 쇼벨(100)을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3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IDLE모드는, 엔진(11)을 아이들링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엔진(11)은,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로 설정된 회전수모드에 대응하는 엔진회전수로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는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가 마련되어 있으며,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의 압하에 의하여 쇼벨(100)의 출력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출력특성전환스위치(76)로는, 예를 들면 엔진출력토크선도를 변경시켜도 되고,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있어서의 각 단계의 엔진회전수를 소정 값 감소시켜도 된다.
경보장치(49)는, 쇼벨(100)의 작업에 임하는 사람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장치이다. 경보장치(49)는, 예를 들면 실내경보장치 및 실외경보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실내경보장치는, 캐빈(10) 내에 있는 쇼벨(100)의 조작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장치이며, 예를 들면 캐빈(10) 내에 마련된 소리출력장치, 진동발생장치, 및 발광장치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실내경보장치는, 표시장치(40)여도 된다. 실외경보장치는, 쇼벨(100)의 주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장치이며, 예를 들면 캐빈(10)의 밖에 마련된 소리출력장치 및 발광장치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실외경보장치로서의 소리출력장치는, 예를 들면 상부선회체(3)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있는 주행알람장치를 포함한다. 또, 실외경보장치는, 상부선회체(3) 상에 마련되는 발광장치여도 된다. 단, 실외경보장치는 생략되어도 된다. 경보장치(49)는, 예를 들면 물체검출장치로서 기능하는 촬상장치(80)가 소정 물체를 검출한 경우에, 쇼벨(100)의 작업에 임하는 사람에게 그 취지를 알려도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에,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기 전의 화상으로서, 부감화상 및 후방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화상표시부(4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화상표시부(41)는, 일시(日時)표시영역(41a),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연비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요소수(尿素水)잔량표시영역(41j), 작동유온표시영역(41k), 에어콘운전상태표시영역(41m), 화상표시영역(41n), 및 메뉴표시영역(41p)을 포함한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및 에어콘운전상태표시영역(41m)은, 쇼벨(100)의 설정상태에 관한 정보인 설정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은, 쇼벨(100)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인 가동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일시표시영역(41a)은, 현재의 일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은, 현재의 주행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은,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은,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산출된 연비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비표시영역(41d)은, 생애평균연비 또는 구간평균연비를 표시하는 평균연비표시영역(41d1), 순간연비를 표시하는 순간연비표시영역(41d2)을 포함한다.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은, 엔진(11)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은, 엔진(11)의 누적가동시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냉각수온표시영역(41g)은, 현재의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료잔량표시영역(41h)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은,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의하여 설정된 현재의 회전수모드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다.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은, 요소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다.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은,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에어콘운전상태표시영역(41m)은, 현재의 분출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분출구표시영역(41m1), 현재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운전모드표시영역(41m2), 현재의 설정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영역(41m3), 및 현재의 설정풍량을 표시하는 풍량표시영역(41m4)을 포함한다.
화상표시영역(41n)은, 촬상장치(80)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영역(41n)은,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을 표시하고 있다. 부감화상(FV)은, 제어부(40a)에 의하여 생성되는 가상(假想)시점화상이며, 후방카메라(80B), 좌카메라(80L), 및 우카메라(80R)의 각각이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또, 부감화상(FV)의 중앙부분에는, 쇼벨(100)에 대응하는 쇼벨도형(GE)이 배치되어 있다. 쇼벨(100)과 쇼벨(100)의 주위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관계를 조작자에게 보다 직감적으로 파악시키기 위함이다. 후방화상(CBT)은, 쇼벨(100)의 후방의 공간을 비추는 화상이며, 카운터웨이트의 화상(GC)을 포함한다. 후방화상(CBT)은, 제어부(40a)에 의하여 생성되는 실(實)시점화상이며, 후방카메라(80B)가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또, 화상표시영역(41n)은, 상방에 위치하는 제1 화상표시영역(41n1)과 하방에 위치하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을 갖는다. 도 4의 예에서는, 부감화상(FV)을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배치하고, 또한 후방화상(CBT)을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배치하고 있다. 단, 화상표시영역(41n)은, 부감화상(FV)을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배치하고, 또한 후방화상(CBT)을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배치해도 된다. 또, 도 4의 예에서는, 부감화상(FV)과 후방화상(CBT)은 상하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영역(41n)이 세로로 긴 영역이지만, 화상표시영역(41n)은 가로로 긴 영역이어도 된다. 화상표시영역(41n)이 가로로 긴 영역인 경우, 화상표시영역(41n)은, 좌측에 제1 화상표시영역(41n1)으로서 부감화상(FV)을 배치하고, 우측에 제2 화상표시영역(41n2)으로서 후방화상(CBT)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좌우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해도 되고, 부감화상(FV)과 후방화상(CBT)의 위치를 교체해도 된다.
메뉴표시영역(41p)은, 탭(41p1~41p7)을 갖는다. 도 4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의 최하부에, 탭(41p1~41p7)이 좌우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탭(41p1~41p7)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탭(41p1)에는, 메뉴상세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상세항목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1)이 선택되면, 탭(41p2~41p7)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이 메뉴상세항목에 관련된 아이콘으로 전환된다.
탭(41p4)에는,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4)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디지털수준기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6)에는, 정보화시공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6)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정보화시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정보화시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정보화시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정보화시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7)에는,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7)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크레인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2, 41p3, 41p5)에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2, 41p3, 41p5)이 조작되어도,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상에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탭(41p1~41p7)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조작부(4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작부(42)는, 조작자에 의한 탭(41p1~41p7)의 선택, 설정입력 등이 행해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버튼식의 스위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조작부(42)는, 상단에 배치된 7개의 스위치(42a1~42a7)와, 하단에 배치된 7개의 스위치(42b1~42b7)를 포함한다. 스위치(42b1~42b7)는, 스위치(42a1~42a7)의 각각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조작부(42)의 스위치의 수, 형태, 및 배치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조그휠, 조그스위치 등에 의하여 복수의 버튼식의 스위치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형태여도 되고, 조작부(42)가 표시장치(40)와 별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부(41)와 조작부(42)가 일체로 된 터치패널에서 탭(41p1~41p7)을 직접 조작하는 방식이어도 된다.
스위치(42a1~42a7)는, 탭(41p1~41p7)의 하방에, 각각 탭(41p1~41p7)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탭(41p1~41p7)을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스위치(42a1~42a7)가 각각 탭(41p1~41p7)의 하방에, 각각 탭(41p1~41p7)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직감적으로 탭(41p1~41p7)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스위치(42a1)가 조작되면 탭(41p1)이 선택되고,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메뉴표시영역(41p)이 1단 표시로부터 2단 표시로 변경되어 제1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탭(41p2~41p7)에 표시된다. 또, 메뉴표시영역(41p)이 1단 표시로부터 2단 표시로 변경된 것에 대응하여, 후방화상(CBT)의 크기가 축소된다. 이때, 부감화상(FV)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조작자가 쇼벨(100)의 주위를 확인할 때의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스위치(42b1)는, 화상표시영역(41n)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예를 들면 후방화상, 좌방화상, 우방화상, 및 부감화상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예를 들면 후방화상, 좌방화상, 우방화상, 및 부감화상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스위치(42b1)가 조작될 때마다 화상표시영역(41n)의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표시되는 촬상화상과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촬상화상이 교체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42)로서의 스위치(42b1)는, 제1 화상표시영역(41n1) 또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해도 되고, 제1 화상표시영역(41n1)과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해도 된다. 또,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를 따로 마련해도 된다.
스위치(42b2, 42b3)는, 에어콘의 풍량을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스위치(42b2)가 조작되면 에어콘의 풍량이 작아지고, 스위치(42b3)가 조작되면 에어콘의 풍량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4)는, 냉방·난방기능의 ON·OFF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스위치(42b4)가 조작될 때마다 냉방·난방기능의 ON·OFF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5, 42b6)는, 에어콘의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스위치(42b5)가 조작되면 설정온도가 낮아지고, 스위치(42b6)가 조작되면 설정온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2b7)는, 엔진가동시간표시영역(41f)의 표시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또, 스위치(42a2~42a6, 42b2~42b6)는, 각각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 근방에 표시된 숫자를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42a3, 42a4, 42a5, 42b4)는, 메뉴화면에 커서가 표시되었을 때, 커서를 각각 좌, 상, 우, 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만, 스위치(42a1~42a7, 42b1~42b7)에 부여되는 기능은 일례이며,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영역(41n)에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41p1)이 선택되면,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을 표시한 상태에서 탭(41p2~41p7)에 제1 메뉴상세항목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을 확인하면서, 제1 메뉴상세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화상표시영역(41n)에는, 탭(41p1)이 선택되는 전후로 크기가 변경되지 않고 부감화상(FV)이 표시된다. 조작자가 쇼벨(100)의 주위를 확인할 때의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예를 들면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메뉴상세항목아이콘이 나타난 탭(41p1)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된다.
도 5의 예에서는, 메뉴표시영역(41p)에, 쇼벨(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화면, 쇼벨(100)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설정화면 등을 호출하기 위한 복수의 탭(41p0~41p7)이 상단과 하단의 2단에 표시되어 있다. 단, 탭(41p0~41p7)의 배치는, 도 5에 나타나는 2단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배치여도 된다.
탭(41p0)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메뉴상세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인 제1 메뉴상세항목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탭(41p1)에는, 제2 메뉴상세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메뉴상세항목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1)이 선택되면, 탭(41p2~41p7)에 표시되어 있는 제1 메뉴상세항목에 관련된 아이콘이 제2 메뉴상세항목에 관련된 아이콘으로 전환된다.
탭(41p2)에는, 각종의 연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연비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2)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연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연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연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연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3)에는, 기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계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3)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4)에는, 메인터넌스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4)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메인터넌스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메인터넌스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메인터넌스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메인터넌스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5)에는, 날짜 및 시각을 포함하는 일시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일시설정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5)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일시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일시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일시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일시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6)에는, 어태치먼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어태치먼트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6)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어태치먼트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어태치먼트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어태치먼트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어태치먼트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7)에는, 엔진(11)의 제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엔진제어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7)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엔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단, 후방화상(CBT)에 중첩되거나, 후방화상(CBT)이 축소되거나 하여 엔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 부감화상(FV)이 엔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되고, 부감화상(FV)에 중첩되거나, 부감화상(FV)이 축소되거나 하여 엔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다만, 도 5의 예에 있어서, 연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메인터넌스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일시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 어태치먼트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및 엔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은, 메뉴화면의 일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영역(41n)에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41p2~41p7)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선택된 탭(41p2~41p7)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메뉴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부감화상(FV)의 표시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감화상(FV)을 표시한 상태에서 메뉴화면이 표시되므로,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주위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메뉴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의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6a를 참조하여,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예를 들면 도 5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기계정보아이콘이 나타난 탭(41p3)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된다.
도 6a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부감화상(FV),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41q), 및 복수의 탭(41p0~41p7)을 표시한다.
부감화상(FV)은, 기계정보아이콘이 나타난 탭(41p3)이 선택되는 전후로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화상이다. 이와 같이 탭(41p3)이 선택되는 전후로 부감화상(FV)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쇼벨(100)의 주위를 확인할 때의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41q)에는, 쇼벨(100)의 기계정보가 표시된다. 도 6a의 예에서는,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41q)에는, 엔진회전수, 펌프(P1)압력, 펌프(P2)압력, 배터리전압이 나타나 있다. 단, 쇼벨(100)의 기계정보는, 도 5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탭(41p0)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인 제1 기계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탭(41p1)에는, 제1 조작성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1)이 선택되면, 탭(41p2~41p7)에 표시되어 있는 제1 기계정보에 관련된 아이콘이 제1 조작성 설정에 관련된 아이콘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탭(41p1)에는, 제2 기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기계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2~41p6)에는,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41q)에 나타난 항목의 선택, 이동, 취소를 행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2~41p6)이 선택되면, 항목의 선택, 이동, 취소가 행해진다.
탭(41p7)에는, 미리 설정된 홈화면(예를 들면, 디폴트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홈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7)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홈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홈화면으로서, 도 4에서 나타낸 화면이 표시된다.
다만, 도 6a의 예에 있어서,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화면(41q)은, 메뉴화면의 일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영역(41n)에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탭(41p3)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선택된 탭(41p3)에 대응하는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메뉴화면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부감화상(FV)을 표시한 상태에서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므로, 조작자는, 각종 센서값, 각종 기능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면서 쇼벨(100)을 조작하여, 쇼벨(100)의 트러블슛이나 기능의 동작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b는,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예를 들면 도 6a에 있어서, 스위치(42a1)를 압하함으로써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나타난 탭(41p1)이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된다.
도 6b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부감화상(FV),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 및 복수의 탭(41p0~41p7)을 표시한다.
부감화상(FV)은,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나타난 탭이 선택되는 전후로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화상이다. 이와 같이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나타난 탭이 선택되는 전후로 부감화상(FV)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쇼벨(100)의 주위를 확인할 때의 시인성이 악화되지 않는다.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에는, 쇼벨(100)의 조작성 설정이 표시된다. 도 6b의 예에서는,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에는, 암(5)을 접는 레버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암접음동작, 및 붐(4)을 올리는 레버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붐상승동작의 속도밸런스설정을 행하기 위한, 쇼벨아이콘화상(41r1) 및 현재의 암접음동작 및 붐상승동작의 속도밸런스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바그래프(41r2)가 표시되어 있다. 단, 쇼벨(100)의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은, 도 6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에는, 상부선회체(3)를 선회시키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선회동작, 및 붐(4)을 올리는 레버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붐상승동작의 속도밸런스설정을 행하기 위한, 쇼벨아이콘화상 및 현재의 선회동작 및 붐상승동작의 속도밸런스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바그래프가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어태치먼트의 속도밸런스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바그래프를 이용하여, 각 어태치먼트의 속도밸런스를 설정하고 있었지만, 각 어태치먼트에 흐르는 작동유의 배분을 설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탭(41p0)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인 제1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탭(41p1)에는, 제1 기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기계정보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1)이 선택되면, 탭(41p2~41p7)에 표시되어 있는 제1 조작성 설정에 관련된 아이콘이 제1 기계정보에 관련된 아이콘으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탭(41p1)에는, 제2 조작성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표시되어도 된다.
탭(41p2~41p6)에는,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에 나타난 항목의 선택, 이동, 취소를 행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2~41p6)이 선택되면, 항목의 선택, 이동, 취소가 행해진다. 또, 조작자에 의하여 스위치(42a2~42a6, 42b2~42b6)가 조작됨으로써, 선택된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된다.
탭(41p7)에는, 미리 설정된 홈화면(예를 들면, 디폴트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홈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탭(41p7)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홈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홈화면으로서, 도 4에서 나타낸 화면이 표시된다.
다만, 도 6b의 예에 있어서,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화면(41r)은, 메뉴화면의 일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표시영역(41n)에 부감화상(FV) 및 후방화상(CBT)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성 설정아이콘이 나타난 탭이 선택되면, 후방화상(CBT)이, 선택된 탭에 대응하는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메뉴화면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부감화상(FV)을 표시한 상태에서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므로, 조작자는, 각종의 설정값의 미(微)조정을 실시하면서, 쇼벨(100)의 동작확인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부터 도 10까지를 참조하여,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및 조작부(42)의 또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촬상장치(80)가 쇼벨(100)의 후방에서 사람을 검출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7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1 화상표시영역(41n1) 및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 각각 사람의 화상(GP1, GP2)이 표시되고, 또한 화상(GP1) 및 화상(GP2)을 각각 둘러싸는 프레임의 화상(프레임화상(FR0a, FR0b))이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공통된다.
도 8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1 화상표시영역(41n1) 및 제2 화상표시영역(41n2)의 외연(外緣)을 강조하는 프레임의 화상(프레임화상(FR1))이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공통된다. 도 8의 프레임화상(FR1)은, 도 7의 프레임화상(FR0a, FR0b)보다 크다.
도 9 및 도 10은, 촬상장치(80)가 쇼벨(100)의 좌방에서 사람을 검출했을 때에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9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제1 화상표시영역(41n1)에 사람의 화상(GP3)이 표시되고, 또한 제1 화상표시영역(41n1)의 외연을 강조하는 프레임의 화상(프레임화상(FR2))이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에서 도 4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공통된다. 다만, 도 9의 예에서는, 제2 화상표시영역(41n2)에는 사람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화상표시영역(41n2)의 외연은 강조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1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은, 화상(GP3)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화상(프레임화상(FR3))이 표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9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에서 도 9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과 공통된다. 다만, 프레임화상(FR3)은, 화상(GP3)을 포함하는 영역(도 10의 예에서는 좌방영역)의 전체를 둘러싸는 프레임의 화상이어도 되고, 화상(GP3)만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화상이어도 된다.
또, 쇼벨(100)은, 물체검출장치의 출력에 근거하여 산출한 쇼벨(100)과 검출한 사람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프레임화상(FR1)의 색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쇼벨(100)은, 그 거리가 제1 임곗값 이하인 경우에 프레임화상(FR1)의 색을 녹색으로 하고, 그 거리가 제1 임곗값보다 작은 제2 임곗값 이하인 경우에 프레임화상(FR1)의 색을 황색으로 하며, 그 거리가 제2 임곗값보다 작은 제3 임곗값 이하인 경우에 프레임화상(FR1)의 색을 적색으로 한다. 프레임화상(FR0a), 프레임화상(FR0b), 프레임화상(FR2) 및 프레임화상(FR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쇼벨(100)은, 쇼벨(100)의 주위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쇼벨(100)의 조작자에게 보다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내용은,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표시부(41)는,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 및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 중 어느 것이어도, 조작부(42)의 메뉴스위치가 조작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또는 쇼벨(100)이 조작된 경우), 강제적으로 주변화상이 표시되는 화면표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a나 도 6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부감화상과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 있어서, 쇼벨(100)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또는 쇼벨(100)이 조작된 경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부감화상과 후방화상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강제적으로 전환된다.
또 예를 들면, 부감화상(FV)을 표시한 상태에서 기계정보를 나타내는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도 6a)나 부감화상(FV)을 표시한 상태에서 조작성 설정을 나타내는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도 6b)에 있어서, 도 7~도 10에 나타나는 사람의 화상(GP1~GP3)이나 프레임화상(FR0a, FR0b, FR1~FR3)의 표시(사람검지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쇼벨(100)은, 촬상장치(80)가 소정 물체를 검출한 경우, 경보장치(49)를 이용하여, 쇼벨(100)의 작업에 임하는 사람에게, 소정 물체를 검출한 취지를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쇼벨(100)은, 촬상장치(80)가 검출한 소정 물체와 쇼벨(100)의 사이의 거리가 제4 임곗값 이하로 된 경우에, 쇼벨(100)의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자동정지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소정 물체를 검출한 경우, 경보장치(49)에 의하여 경보가 발생되지만, 이 경보는, 예를 들면 조작부(42)(예를 들면 스위치(42a1~42a7), 스위치(42b1~42b7))에 의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소정 물체를 검출하는 기능이나 쇼벨(100)의 작업에 임하는 사람에게 소정 물체를 검출한 취지를 알리는 기능은, 예를 들면 조작부(42)(예를 들면 스위치(42a1~42a7), 스위치(42b1~42b7))에 의하여 유효화/무효화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소정 물체를 검출한 경우의 경보의 해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조작레버에 배치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캐빈(10) 내의 운전석의 좌우 양측의 시트좌측콘솔 또는 시트우측콘솔에 배치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소정 물체를 검출하는 기능이나 쇼벨(100)의 작업에 임하는 사람에게 소정 물체를 검출한 취지를 알리는 기능의 유효화/무효화의 전환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조작레버에 배치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캐빈(10) 내의 운전석의 좌우 양측의 시트좌측콘솔 또는 시트우측콘솔에 배치되는 스위치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3월 3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8-067931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 하부주행체
3 상부선회체
10 캐빈
40 표시장치
41 화상표시부
42 조작부
80 촬상장치
100 쇼벨

Claims (11)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복수의 촬상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표시장치와,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갖는 쇼벨로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촬상장치 중 적어도 1개가 촬상한 촬상화상과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기 전후로 상기 촬상화상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표시하는, 쇼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화상은, 부감화상과 후방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기 전후로 상기 부감화상 또는 상기 후방화상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쇼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쇼벨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일 때에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쇼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촬상화상 및 상기 메뉴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쇼벨의 가동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쇼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쇼벨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화면을 포함하는, 쇼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쇼벨의 각종 설정을 나타내는 조작성 설정화면을 포함하는, 쇼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장치에 마련되는, 쇼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운전실에 마련되는, 조작레버, 시트좌측콘솔, 시트우측콘솔 중, 적어도 1개에 마련되는, 쇼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쇼벨의 주위에 물체를 검출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쇼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소리, 빛, 화면에 있어서의 강조표시를 포함하는, 쇼벨.
KR1020207019442A 2018-03-30 2019-03-27 쇼벨 KR102652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7931 2018-03-30
JPJP-P-2018-067931 2018-03-30
PCT/JP2019/013258 WO2019189399A1 (ja) 2018-03-30 2019-03-27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720A true KR20200133720A (ko) 2020-11-30
KR102652955B1 KR102652955B1 (ko) 2024-03-28

Family

ID=6806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42A KR102652955B1 (ko) 2018-03-30 2019-03-27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10243A1 (ko)
EP (1) EP3779072B1 (ko)
JP (1) JP7416685B2 (ko)
KR (1) KR102652955B1 (ko)
CN (1) CN111601935A (ko)
WO (1) WO2019189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8988B (zh) * 2018-07-31 2023-06-09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7217691B2 (ja) * 2019-10-31 2023-02-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478590B2 (ja) 2020-05-20 2024-05-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KR20230159395A (ko) * 2021-03-22 2023-11-21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용 지원장치
JP2023050799A (ja) * 2021-09-30 2023-04-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JP2024042407A (ja) * 2022-09-15 2024-03-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表示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971A (ja) * 2005-07-08 2007-02-15 Nissan Motor Co Ltd 画面表示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JP2013067626A (ja) 2005-06-03 2013-04-18 Amicus Therapeutics Inc 肥満を治療するための薬理学的シャペロン
KR20130107697A (ko) * 2012-03-23 2013-10-02 (주)휴맥스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배경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5125979A1 (ja) * 2015-04-28 2015-08-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KR20170015854A (ko) * 2015-07-31 2017-02-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기계의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의 표시 방법
WO2017191853A1 (ja) * 2017-06-28 2017-1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988A (en) * 1996-06-05 1998-12-29 Topcon Laser System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excavator
CN1249307C (zh) * 2000-11-17 2006-04-05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的显示装置和显示控制装置
JP2003128386A (ja) * 2001-10-26 2003-05-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多機能表示装置
JP2005163370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画像表示装置
JP5367665B2 (ja) * 2010-09-17 2013-12-1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5667638B2 (ja) * 2010-10-22 2015-02-1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
KR20230144652A (ko) 2013-03-28 2023-10-16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임의적 라우드스피커 배치들로의 겉보기 크기를 갖는 오디오 오브젝트들의 렌더링
JP6366989B2 (ja) 2014-04-25 2018-08-0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2333783B1 (ko) * 2014-04-25 2021-11-30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방법
JPWO2016174754A1 (ja) 2015-04-28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WO2016047806A1 (ja) * 2015-09-30 2016-03-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クローラ式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7626A (ja) 2005-06-03 2013-04-18 Amicus Therapeutics Inc 肥満を治療するための薬理学的シャペロン
JP2007040971A (ja) * 2005-07-08 2007-02-15 Nissan Motor Co Ltd 画面表示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KR20130107697A (ko) * 2012-03-23 2013-10-02 (주)휴맥스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배경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5125979A1 (ja) * 2015-04-28 2015-08-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WO2016174953A1 (ja) * 2015-04-28 2016-11-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周辺監視装置及び作業機械の周辺監視方法
KR20170015854A (ko) * 2015-07-31 2017-02-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기계의 표시 시스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및 작업 기계의 표시 방법
WO2017191853A1 (ja) * 2017-06-28 2017-1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955B1 (ko) 2024-03-28
JP7416685B2 (ja) 2024-01-17
EP3779072A1 (en) 2021-02-17
EP3779072B1 (en) 2023-08-02
US20210010243A1 (en) 2021-01-14
WO2019189399A1 (ja) 2019-10-03
CN111601935A (zh) 2020-08-28
JPWO2019189399A1 (ja) 2021-04-15
EP3779072A4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955B1 (ko) 쇼벨
US11525244B2 (en) Display device for shovel
US10391940B2 (en) Construction machine
EP3951104A1 (en) Shovel
US7605692B2 (en) Indicator control system with camera section
JP6965160B2 (ja) ショベル
JP7219262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の表示装置
WO2005103397A1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KR10233345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US20240018749A1 (en) Shovel and display device for shovel
JP2017210729A (ja) ショベル
JP6214976B2 (ja) 建設機械
JPWO2019189507A1 (ja) 建設機械
WO2023190120A1 (ja) ショベル
JP2023183699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183700A (ja) 作業機械の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