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717A - 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 Google Patents

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717A
KR20200133717A KR1020207016393A KR20207016393A KR20200133717A KR 20200133717 A KR20200133717 A KR 20200133717A KR 1020207016393 A KR1020207016393 A KR 1020207016393A KR 20207016393 A KR20207016393 A KR 20207016393A KR 20200133717 A KR20200133717 A KR 2020013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mass
sheet
fil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7855B1 (en
Inventor
케이시 후세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9J1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09J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ic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I) 이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168로 하고, 이 필름상 접착제의 이 보존 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0으로 했을 때, 이 T168과 이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또한 (II) 이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is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T 168 ,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is film adhesive before this storage a when the T 0, the T 168 and this is the difference △ T 168 of T 0 is less than 10 ℃, also (II) is, when the gel fraction prior to preserve the adhesive film at 40 ℃ as W 0, W 0 is 15% or less film adhesive.

Description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본 발명은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adhesive and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본원은 2018년 3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8-05700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057006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March 23, 2018, and uses the content here.

반도체 칩은 통상, 그 이면에 첩부되어 있는 필름상 접착제에 의해, 기판의 회로 형성면에 다이 본딩된다. 그리고, 얻어진 것을 사용하여 반도체 패키지가 제작되고, 이 반도체 패키지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조된다. The semiconductor chip is usually die-bonded to the circuit formation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 a film-like adhesive affixed on the back surface thereof. Then, a semiconductor package is produced using the obtained one, and finally, a target semiconductor device is produced us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이면에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칩은 예를 들면, 이면에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웨이퍼를 필름상 접착제와 함께 분할(절단)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를 반도체 칩으로 분할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싱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를 필름상 접착제째 다이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분할(절단) 전의 필름상 접착제는, 다이싱시 반도체 웨이퍼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싱 시트에 적층되어, 일체화된 다이싱 다이 본딩 시트로서 이용되기도 한다. A semiconductor chip provided with a film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is produced, for example, by dividing (cutting) a semiconductor wafer provided with a film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together with a film adhesive.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of dividing a semiconductor wafer into semiconductor chips, for example, a method of dicing a semiconductor wafer into a film adhesive using a dicing blade is known. In this case, the film-like adhesive before dividing (cutting) is laminated on a dicing sheet used to fix a semiconductor wafer during dicing, and is sometimes used as an integrated dicing die bonding sheet.

필름상 접착제로는, 목적에 따라, 지금까지 다양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As a film adhesive, various things have been disclosed so far depending on the purpose.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성분 5∼15중량% 및 열경화성 수지 성분 45∼55중량%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열경화 전의 100℃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가 400 Pa·s 이상 2500 Pa·s 이하인,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For example, heat containing 5 to 15%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component and 45 to 55% by weight of a thermosetting resin component as main components, and a melt viscosity at 100°C before thermosetting of 400 Pa·s or more and 2500 Pa·s or less. A curable die-bonding film is disclosed (see Patent Document 1).

이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은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접착제가 배어나오는 것에 의한 기판이나 반도체 칩의 오염을 방지한다고 되어 있다. This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is said to be excellent in adhesion to an adherend,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a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chip due to bleeding of the adhesive.

또한, 120℃, 1시간의 열처리에 의해 열경화된 후의 유기 성분에 있어서의 겔분율이 20중량% 이하의 범위 내이며, 또한, 175℃, 1시간의 열처리에 의해 열경화된 후의 유기 성분에 있어서의 겔분율이 10∼30중량%의 범위 내인,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은 다이 본딩 후의 경화 수축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피착체에 대한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gel fraction in the organic component after heat curing by heat treatment at 120°C for 1 hour is within the range of 20% by weight or less, and the organic component after heat curing by heat treatment at 175°C for 1 hour A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in which the gel fraction is in the range of 10 to 30% by weight is disclosed (refer to Patent Document 2). It is said that this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suppresses curing shrinkage after die bonding,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warpage on the adheren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4464호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24446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344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103440

필름상 접착제는 사용될 때까지의 보존 중에, 그 함유 성분인 가교 또는 경화 가능한 성분이 반응함으로써,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성이 변화하기 쉽고, 보존 안정성이 낮은 필름상 접착제는 사용시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작용을 충분히 나타낼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상 접착제와 반도체 칩을 사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는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properties of the film-like adhesive may change by reacting the crosslinkable or curable component, which is a component thereof, during storage until use. As described above, the film-like adhesive, which is easily changed in properties and has low storage stability, may not be able to sufficiently exhibit its intended action at the time of us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a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ed using such a film adhesive and a semiconductor chip may be deteriorated.

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필름상 접착제)은, 열경화 전의 100℃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가 특정 범위 내가 되나, 보관 전후에서의 용융 점도가 안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film adhesiv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melt viscosity at 100°C before heat curing within a specific range, but the melt viscosity before and after storage is stable. It is not clear whether or not.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필름상 접착제)은, 열경화 후의 유기 성분에 있어서의 겔분율이 특정 범위 내가 되나, 보관 전후에서의 겔분율이 안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In the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film adhesiv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gel fraction in the organic component after heat curing falls within a specific range, but it is not clear whether the gel fraction before and after storage is stable.

이와 같이,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열경화형 다이 본드 필름(필름상 접착제)은, 보존 안정성이 높은지의 여부, 및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clear whether or not the thermosetting die-bonding film (film adhesiv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2 has high storage stability and whether or not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높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 가능한 필름상 접착제, 및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m adhesive capable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high storage stability and high reliability based on this, and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the film adhesi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구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초기 검출 온도 T168과, 보존 전의 상기 초기 검출 온도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described case where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is determined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the initial detected temperature T is less than 168, and the initial detected temperature T 0 difference △ T 168 of the 10 ℃ before storage, less gel fraction W 0 of the said film adhesive prior to preserve the adhesive the film at 40 15% Provides a film-like adhesive.

또한, 본 발명은,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겔분율을 측정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겔분율 W168과, 보존 전의 상기 겔분율 W0으로부터 구해지는,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상기 겔분율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gel fraction is measured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the gel fraction W 168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and the above before storage There is provided a film adhesive having a change rate RW 168 of the gel fraction determined from the gel fraction W 0 ,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200% or less, and the gel fraction W 0 15% or less.

또한, 본 발명은,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파단 신도를 측정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파단 신도 F168과, 보존 전의 상기 파단 신도 F0으로부터 구해지는,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며,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를 제공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elongation at break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the above fracture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The film before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at 40° C. where the reduction ratio RF 168 of the breaking elongation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is less than 30%, determined from the elongation F 168 and the breaking elongation F 0 before storage. A film adhesive having a gel fraction W 0 of 15% or less of the upper adhesiv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시트 상에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a support sheet and provided with the film-like adhesive on the support sheet.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aspects.

[1]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1]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0으로 했을 때, 상기 T168과 상기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또한(I) When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T 168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T 0 , the T The difference between 168 and T 0 ΔT 168 is less than 10°C, and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I) When the gel fraction before storing the film-like adhesive at 40° C. is W 0 , the W 0 is 15% or less.

[2]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2]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겔분율을 W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168과 상기 W0으로부터 구해지는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II')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W 168 ,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W 0 , it is determined from W 168 and W 0 The rate of change of the gel fraction RW 168 is 200% or less, and (II') W 0 is 15% or less.

[3]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3]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0으로 했을 때, 상기 F168과 상기 F0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며, 또한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 Th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of the film adhesive was F 168 , and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hen the elongation at break is F 0 , the rate of decrease in breaking elongation RF 168 obtained from F 168 and F 0 is less than 30%, and (II") the film form before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at 40°C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is W 0 , the W 0 is 15% or less.

[4] 지지 시트와,[4] a supporting sheet,

상기 지지 시트 상에 구비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름상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comprising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provided on the support sheet.

[5] 추가로 이하의 특성을 갖는 [1]에 기재된 필름상 접착제: [5]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1], further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I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겔분율을 W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168과 상기 W0으로부터 구해지는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다. (III)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W 168 ,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W 0 , it is determined from the W 168 and the W 0 The rate of change of the gel fraction RW 168 is 200% or less.

[6] 추가로 이하의 특성을 갖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름상 접착제: [6]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further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V)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0으로 했을 때, 상기 F168과 상기 F0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다. (IV) Fracture elongation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of the film adhesive is F 168 , and fractur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hen the elongation is F 0 , the reduction ratio RF 168 of the fracture elongation determined from the F 168 and F 0 is less than 30%.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존 안정성이 높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 가능한 필름상 접착제, 및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film adhesive capable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high storage stability and high reliability based on this, and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the film adhes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adhes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필름상 접착제◇Film adhesive

<<제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구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초기 검출 온도 T168과, 보존 전의 상기 초기 검출 온도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 W0이 15% 이하가 된다.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time of 168 hours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is determined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If the initial detected temperature is T 168, and is the initial detect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difference △ T 168 is 10 ℃ of T 0 before storage, the gel fraction W 0 of the film-like adhesive prior to preserve the adhesive the film at 40 ℃ It is 15% or less.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 That is, the film-like adhesi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0으로 했을 때, 상기 T168과 상기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또한(I) When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T 168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T 0 , the T The difference between 168 and T 0 ΔT 168 is less than 10°C, and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I) When the gel fraction before storing the film-like adhesive at 40° C. is W 0 , the W 0 is 15% or less.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경화성을 갖는 것이며, 열경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감압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및 감압 접착성을 함께 갖는 필름상 접착제는, 미경화 상태에서는 각종 피착체에 가볍게 가압함으로써 첩부할 수 있다.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curability, preferably has thermosetting, and preferably has pressure-sensitive adhesiveness. The film-like adhesive having both thermosetting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ies can be adhered by lightly pressing on various adherends in an uncured state.

또한, 필름상 접착제는 가열하여 연화시킴으로써, 각종 피착체에 첩부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필름상 접착제는 경화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내충격성이 높은 경화물이 되고, 이 경화물은 혹독한 고온·고습도 조건하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heated and softened to be affixed to various adherends. By curing, the film-like adhesive eventually becomes a cured product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nd this cured product can maintain sufficient adhesive properties even under sever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이와 같이, △T168(=T168-T0)이 작고, 40℃에서 168시간 보존했을 경우에도, 용융 점도의 변화가 억제되어 있어, 보존 안정성이 높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필름상 접착제는, 이러한 보존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적용되는 보존 조건 전반에서 보존 안정성이 높아, 보존 중의 특성의 변화가 억제되어, 그 사용시에 있어서는, 목적으로 하는 작용을 충분히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mall ΔT 168 (=T 168 -T 0 ), and even when stored at 40°C for 168 hours, a change in melt viscosity is suppressed, and storage stability is high. A film-like adhesive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is not limited to these storage conditions, and has high storage stability throughout the storage conditions that are usually applied, suppresses changes in properties during storage, and sufficiently exhibits the intended action at the time of use. It is possible to indicate. And, by using such a film-like adhesiv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anufactured.

또한,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W0이 작고, 그 보존의 유무에 상관없이,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Further,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mall W 0 , and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orage.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168은 상기와 같이, 10℃ 미만이며,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6℃ 이하 및 3℃ 이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ΔT 168 is less than 10°C, preferably 9.5°C or less, more preferably 9°C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8°C or less, for example , 6°C or less and 3°C or less may be used.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168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은 0℃이다. 즉,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168은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limit of ΔT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0°C. That is,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ΔT 168 is preferably 0°C or higher.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168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168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이며, 예를 들면, 0∼6℃ 및 0∼3℃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T168은 0∼7℃여도 된다. 단, 이들은 △T168의 일 예이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ΔT 168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able lower and upper limits. For example, ΔT 168 is preferably 0°C or more and less than 10°C, more preferably 0 to 9.5°C, still more preferably 0 to 9°C, particularly preferably 0 to 8°C, for example, Any of 0 to 6°C and 0 to 3°C may be used. As another aspect, ΔT 168 may be 0 to 7°C.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ΔT 168 .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 T0은 59∼71℃여도 된다. T0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T0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T 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35 to 100°C, more preferably 40 to 90°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45 to 80°C. As another aspect, T 0 may be 59 to 71°C. When T 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bove low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When T 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the handle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168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5∼109.5℃인 것이 바람직하고, 40∼9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89.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측면으로서, T168은 59∼78℃여도 된다. T168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The film-like adhesi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35~109.5 ℃, more preferably 40~99.5 ℃, that the 45~89.5 ℃ is particularly preferred. Further, as another aspect, T is 168 or may be 59~78 ℃. When T 168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bove low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T168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When T 16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the handleability of the film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 Tt는, 40℃에서의 보존 시간이 t시간(t는 0 이상의 수이다)인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그 용융 점도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즉, 캐필러리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그 실린더(캐필러리) 내에 측정 대상의 필름상 접착제를 세트하고, 실린더의 내벽에 접촉하면서 이 내벽을 따라, 실린더의 길이 방향(다시 말하면,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에 의해, 이 실린더 내의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여 상태(하중을 걸친 상태, 예를 들면, 5.10N)를 유지하면서, 필름상 접착제를 승온(예를 들면, 10℃/min으로 50℃에서 120℃까지 승온)시킨다. 그리고, 실린더의 선단부(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힘을 가하고 있는 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홀(예를 들면, 직경 0.5㎜, 높이 1.0㎜의 홀)로부터, 실린더의 외부로 필름상 접착제의 압출이 개시되었을 때, 즉, 필름상 접착제의 용융 점도의 검출이 개시되었을 때의 필름상 접착제의 온도를, 필름상 접착제의 초기 검출 온도 Tt(℃)로 채용한다. 이 방법에 의해, T168 및 T0이 구해진다. 측정에 제공하는 필름상 접착제의 크기 및 형상은 실린더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경 10㎜, 높이 20㎜의 원주상 시험편이 바람직하다.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T t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known method for the film adhesive having a storage time at 40° C. of t time (t is a number of 0 or more). It is obtained by measuring with That is, using a capillary rheometer, a film-like adhesive to be measured is set in the cylinder (capillary), and while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along the inner wall,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in other words, the central axis With a piston that can move in the direction),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film-like adhesive in this cylinder to maintain the state (loaded state, for example, 5.10 N),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lm-like adhesive (for example, ,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50 to 120°C at 10°C/min). Then, extrusion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er from the hole formed in the tip of the cylinder (the tip of the film-like adhesi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for example, a hole with a diameter of 0.5 mm and a height of 1.0 mm) The temperature of the film adhesive when it is started, that is, when detection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is started, is adopted as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T t (°C) of the film adhesive. By this method, T 168 and T 0 are obtained. The size and shape of the film-like adhesive provided for measurem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ylinder and the like. For example, a cylindrical test piece having a diameter of 10 mm and a height of 20 mm is preferable.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융 점도」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용융 점도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lt viscosity" means a melt viscosity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t의 측정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에는, 공기 분위기하에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치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두운 곳에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2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보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모든 조건을 만족하도록 보존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storing the film adhesive which is a measurement object of T t at 40 degreeC, it is preferable to store in an air atmosphere, it is preferable to stand still, and it is preferable to store in a dark place.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tore so as to satisfy these two or more conditions,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store so as to satisfy all of the conditions.

Tt의 측정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에는, 이 필름상 접착제의 제작 직후부터 보존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storing the film adhesive which is a measurement object of T t at 40 degreeC, it is preferable to start storage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of this film adhesive.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겔분율 W0은 상기와 같이, 15% 이하이며,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0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gel fraction W 0 is 15% or less, preferably 13% or less, more preferably 11%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 or less. When W 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the lower limit of W 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0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향상되어, 필름상 접착제의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첩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기재 등의 필름상 접착제에 인접하는 층이 요철면을 갖고 있어도, 이 요철면에 대한 필름상 접착제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 or more, and, as for W 0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 or more. When W 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handle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improved, and the sticking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semiconductor wafer becomes easier. Further, even if the layer adjacent to the film-like adhesive such as a substrate has an uneven surface, the follow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with respect to this uneven surface is improved.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W0은 바람직하게는 3∼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3%, 더욱 바람직하게는 3∼11%, 특히 바람직하게는 3∼9%이다. 또한, 다른 측면으로서, W0은 바람직하게는 5∼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3%, 더욱 바람직하게는 5∼11%, 특히 바람직하게는 5∼9%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W0은 3∼8%여도 되고, 5∼8%여도 된다. 단, 이들은 W0의 일 예이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W 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lower and upper limit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W 0 is preferably 3 to 15%, more preferably 3 to 13%, still more preferably 3 to 11%,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 to 9%. Further, as another aspect, W 0 is preferably 5 to 15%, more preferably 5 to 13%, further preferably 5 to 11%,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9%. As another aspect, W 0 may be 3 to 8% or 5 to 8%.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W 0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겔분율 W0은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el fraction W 0 can be measured by a known method.

예를 들면, 크기가 2.5㎝×4.0㎝×600㎛인, 시트상의 필름상 접착제의 시험편 0.5g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시에 의해 감싸고, 이 상태의 시험편을 23℃의 메틸에틸케톤(300㎖) 중에 24시간 침지하고, 침지 후의 시험편을 건조(예를 들면, 12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시험편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 보존한 후, 이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한다. 상기 시험편의 측정값과, 침지 전의 시험편의 질량으로부터, W0(%)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0.5 g of a test piece of a sheet-like film adhesive having a size of 2.5 cm×4.0 cm×600 μm was wrapped with a polyester mesh, and the test piece in this state was placed in methyl ethyl ketone (300 ml) at 23°C. After immersing for 24 hours, drying the test piece after immersion (for example, drying at 120°C for 1 hour), and then storing the dried test piece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elative humidity for 24 hours, the mass of the test piece Measure.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test piece and the mass of the test piece before immersion, W 0 (%)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용융 점도와, T0이나 T168 등의 Tt와, △T168과, W0(이하, 이들을 포괄하여, 「용융 점도 등」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모두,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의 종류 및 양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인, 후술하는 중합체 성분(a)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의 종류 및 그 함유 비율, 에폭시 수지(b1)의 구성 성분, 열경화제(b2)의 입체 구조, 경화 촉진제(c)의 반응성, 그리고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용융 점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단, 이들은 상술한 용융 점도 등의 조절 방법의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T t such as T 0 or T 168 , and ΔT 168 and W 0 (hereinafter, encompassing these, may be referred to as ``melt viscosity, etc.'') All can be suitably adjust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kind and amount of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ilm adhesive. For example, the type and content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s in the polymer component (a) described later,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ilm adhesive,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the epoxy resin (b1),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and curing By controlling the reactivity of the accelerator (c)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the above-described melt viscosity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However, these are only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elt viscosity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복수층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이들 복수층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one layer (single laye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and when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se plurality of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ese The combination of the lay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필름상 접착제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층이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란, 「모든 층이 동일해도 되고, 모든 층이 상이해도 되고, 일부의 층만이 동일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복수층이 서로 상이하다」란, 「각 층의 구성 재료 및 두께의 적어도 한쪽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a film adhesive, and "the multiple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means "all the layers may be the same, all layers may be different, and only some of the layers are the same. It means "may be good", and "the multiple lay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eans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materials and thicknesses of each lay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3∼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피착체(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칩)에 대한 접착력이 보다 높아진다.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후술하는 반도체 칩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상 접착제를 보다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또한, 필름상 접착제에서 유래하는 절단편의 발생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1 to 50 µm, more preferably 3 to 40 µ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30 µm.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like adhesive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adhesion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adherend (semiconductor wafer, semiconductor chip) becomes higher.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like adhesiv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upper limit, the film-like adhesive can be more easily cu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chip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mount of cut pieces deriv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can be further reduced. have.

여기서,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란, 필름상 접착제 전체의 두께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란, 필름상 접착제를 구성하는 모든 층의 합계의 두께를 의미한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means the thickness of the entire film adhesiv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consisting of multiple layers means the total thickness of all layers constituting the film adhesive. do.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두께」란, 정압 두께 측정기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ickness" means a value measured with a static pressure thickness meter.

필름상 접착제는 그 구성 재료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형성 대상 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필름상 접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lm-like adhesive can be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nstituent material. For example, a film adhesive can be formed on a target site by coating an adhesive composition on a surface to be formed of a film adhesive and drying as necessary.

접착제 조성물 중의, 상온에서 기화하지 않는 성분끼리의 함유량의 비율은 통상,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성분끼리의 함유량의 비율과 동일해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온」이란, 특별히 냉각하거나 가열하지 않은 온도, 즉 평상의 온도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15∼25℃의 온도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ratio of the content between the components that do not vaporize at room temperature is usually the same as the ratio of the content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film adhesiv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normal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which is not specifically cooled or heated, that is, a normal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of 15-25 degreeC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접착제 조성물의 도공은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에어 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롤 나이프 코터, 커텐 코터, 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스크린 코터, 메이어 바 코터, 키스 코터 등의 각종 코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Coating of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n air knife coater, a blade coater, a bar coater, a gravure coater, a roll coater, a roll knife coater, a curtain coater, a die coater, a knife coater, a screen coater, a Mayer bar. The method of using various coaters, such as a coater and a kiss coater, is mentioned.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접착제 조성물은 후술하는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가열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70∼130℃에서 10초간∼5분간의 조건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rying conditions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solvent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heat-dry.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lvent is preferably dried at 70 to 130°C for 10 seconds to 5 minutes, for example.

<<제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겔분율을 측정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겔분율 W168과, 보존 전의 상기 겔분율 W0으로부터 구해지는,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상기 겔분율 W0이 15% 이하가 된다. In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gel fraction is measured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the gel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The rate of change RW 168 of the gel fraction when the storage time is 168 hours, determined from the fraction W 168 and the gel fraction W 0 before storage, is 200% or less, and the gel fraction W 0 is 15% or less. .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 As another aspect, the film-like adhesi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겔분율을 W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168과 상기 W0으로부터 구해지는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I')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W 168 ,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W 0 , it is determined from W 168 and W 0 The change rate RW 168 of the paper gel fraction is 200% or less, and

(II')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I') W 0 is 15% or less.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이와 같이, RW168이 작고, 40℃에서 168시간 보존했을 경우에도, 겔분율의 변화가 억제되어 있어, 보존 안정성이 높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필름상 접착제는, 이러한 보존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적용되는 보존 조건 전반에서 보존 안정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mall RW 168 , and even when stored at 40° C. for 168 hours, the change in the gel fraction is suppressed, and storage stability is high. A film-like adhesive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is not limited to these storage conditions, and has high storage stability over the storage conditions that are usually applied. And, by using such a film-like adhesiv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anufactured.

또한,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W0이 작고, 그 보존의 유무에 상관없이,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mall W 0 , and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orage.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W168은 상기와 같이, 200% 이하이며, 1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40% 이하 및 125% 이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above, RW 168 is 200% or less, preferably 185% or less, more preferably 17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155% or les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ny of 140% or less and 125% or less may be used.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W168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은 100%이다. 즉,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W168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의 필름상 접착제는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limit of RW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100%. That is, in the film adhesive of 2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RW168 is 100% or more. A film-like adhesive having these properties can be produced more easily.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W168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W168은 바람직하게는 10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8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7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155%이며, 예를 들면, 100∼140% 및 100∼125%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113∼150%여도 된다. 단, 이들은 RW168의 일 예이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RW 168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lower and upper limits. For example, RW 168 is preferably 100 to 200%, more preferably 100 to 185%, still more preferably 100 to 170%, particularly preferably 100 to 155%, for example 100 to 140 Any of% and 100 to 125% may be used. As another aspect, 113-150% may be sufficient.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RW 168 .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은 상기와 같이, 15% 이하이며,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0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 0 is 15% or less, preferably 13% or less, more preferably 11%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 or less. When W 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film adhesive of 2nd Embodiment, the lower limit of W 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0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향상되어, 필름상 접착제의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첩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기재 등의 필름상 접착제에 인접하는 층이 요철면을 갖고 있어도, 이 요철면에 대한 필름상 접착제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2n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 or more, and, as for W 0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 or more. When W 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handle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improved, and the sticking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semiconductor wafer becomes easier. Further, even if the layer adjacent to the film-like adhesive such as a substrate has an uneven surface, the follow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with respect to this uneven surface is improved.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0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W0은 바람직하게는 3∼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3%, 더욱 바람직하게는 3∼11%, 특히 바람직하게는 3∼9%이다. 또한, 다른 측면으로서, W0은 바람직하게는 5∼15%, 보다 바람직하게는 5∼13%, 더욱 바람직하게는 5∼11%, 특히 바람직하게는 5∼9%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W0은 3∼8%여도 되고, 5∼8%여도 된다. 단, 이들은 W0의 일 예이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W 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lower and upper limit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W 0 is preferably 3 to 15%, more preferably 3 to 13%, still more preferably 3 to 11%,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 to 9%. Further, as another aspect, W 0 is preferably 5 to 15%, more preferably 5 to 13%, further preferably 5 to 11%,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9%. As another aspect, W 0 may be 3 to 8% or 5 to 8%.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W 0 .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W168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16%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14%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 W168은 9∼12%여도 된다. W168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W168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향상되어, 필름상 접착제의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첩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기재 등의 필름상 접착제에 인접하는 층이 요철면을 갖고 있어도, 이 요철면에 대한 필름상 접착제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Article according to the adhesive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W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4-16% and, more preferably 5 to 15%, which is 6-14% are especially preferred. As another aspect, W 168 it is or may be 9-12%. When W 16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When W 168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handle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improved, and affixing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semiconductor wafer becomes easier. Further, even if the layer adjacent to the film-like adhesive such as a substrate has an uneven surface, the follow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with respect to this uneven surface is improv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40℃에서 t시간(t는 0 이상의 수이다) 보존한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 Wt는,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gel fraction W t of the film-like adhesive stored at 40° C. for t hours (t is a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can be measured by a known method.

예를 들면, 40℃에서 t시간 보존한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크기가 2.5㎝×4.0㎝×600㎛인 시트상의 필름상 접착제의 시험편 0.5g을 제작하고, 폴리에스테르제 메시에 의해 감싸고, 이 상태의 시험편을 23℃의 메틸에틸케톤(300㎖) 중에 24시간 침지하고, 침지 후의 시험편을 건조(예를 들면, 12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시험편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 보존한 후, 이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한다. 상기 시험편의 측정값과, 침지 전의 시험편의 질량으로부터, 겔분율 Wt(%)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W168 및 W0이 구해진다. For example, 0.5 g of a test piece of a sheet-like film adhesive having a size of 2.5 cm×4.0 cm×600 μm was prepared from a film adhesive stored at 40° C. for t hours, and wrapped with a polyester mesh, in this state The test piece of was immersed in methyl ethyl ketone (300 ml) at 23°C for 24 hours, the test piece after immersion was dried (eg, dried at 120°C for 1 hour), and the dried test piece was dried at 23°C and 50% relative humidity. After standing still for 24 hours in an environment, the mass of this test piece is measured. The gel fraction W t (%) can b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test piece and the mass of the test piece before immersion. By this method, W 168 and W 0 are obtained.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W0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W0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of W 0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measuring method of W 0 in the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겔분율」이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겔분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gel fraction" means a gel fraction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unless otherwise specified.

Wt를 구하는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의 조건은 상술한 Tt를 구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The conditions for storing the film-like adhesive as an object for obtaining W t at 40° C. are the same as those for obtaining T t described above.

Wt의 측정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에는, 이 필름상 접착제의 제작 직후부터 보존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storing the film adhesive which is the measurement object of W t at 40 degreeC, it is preferable to start storage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of this film adhesive.

RW168은 하기 식 (i)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RW 168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i).

RW168(%)=W168/W0×100 (i)RW 168 (%)=W 168 /W 0 ×100 (i)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RW168이 200% 이하인 것을 필수 구성으로 하고, 또한 △T168이 10℃ 미만이 아니어도 되는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다.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RW 168 is 200% or less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ΔT 168 is not required to be less than 10°C. .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게, 경화성을 갖는 것이며, 열경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압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경화성 및 감압 접착성을 함께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도, 경화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내충격성이 높은 경화물이 되고, 이 경화물은 혹독한 고온·고습도 조건하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like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curability, preferably has thermosetting, preferably has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rmosetting and pressure-sensitive You may have adhesiveness together.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also finally becomes a cured product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by curing, and this cured product can maintain sufficient adhesive properties even under sever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또한,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게,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one layer (single layer),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similarly to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of 2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또한,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경우와 동일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m adhesive of 2nd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case of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제2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W0이나 W168 등의 Wt와, RW168(이하, 이들을 포괄하여, 「W0 등」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모두,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의 종류 및 양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인, 후술하는 중합체 성분(a)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의 종류 및 그 함유 비율, 에폭시 수지(b1)의 구성 성분, 열경화제(b2)의 입체 구조, 경화 촉진제(c)의 반응성, 그리고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W0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단, 이들은 상술한 W0 등의 조절 방법의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W t of the film adhesive of the second embodiment, such as W 0 or W 168 , and RW 168 (hereinafter, these are encompassed and may be referred to as ``W 0 and the like'') are, for example, film adhesives By adjust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i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the type and content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s in the polymer component (a) described later,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ilm adhesive,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the epoxy resin (b1),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and curing By adjusting the reactivity of the accelerator (c)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the above-described W 0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such as W 0 .

<<제3 실시형태>><<3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고, 보존 전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파단 신도를 측정했을 때,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파단 신도 F168과, 보존 전의 상기 파단 신도 F0으로부터 구해지는, 보존 시간이 168시간인 경우의 상기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며,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 W0이 15% 이하가 된다. In the film adhesi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m adhesive is stored at 40°C and the elongation at break is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for the film adhesive before and after storage, the storage time this is below the 30% rate of decrease RF 168 of the elongation at break in case the elongation at break F 168, and, retention time determined from the rupture elongation F 0 before storage is a 168 times in the case of 168 hours, the the adhesive the film The gel fraction W 0 of the film adhesive before storage at 40°C is 15% or less.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 As another aspect, the film-like adhesi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0으로 했을 때, 상기 F168과 상기 F0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며, 또한 (I") Th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of the film adhesive was F 168 , and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hen the elongation at break as F 0, F is the rate of decrease of RF 168 and 168 of the elongation at break obtained from the F 0 is less than 30%, and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0이 15% 이하이다. (II")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before storing the film adhesive at 40°C is W 0 , the W 0 is 15% or less.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이와 같이, RF168이 작고, 40℃에서 168시간 보존했을 경우에도, 파단 신도의 변화가 억제되어 있어, 보존 안정성이 높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필름상 접착제는, 이러한 보존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적용되는 보존 조건 전반에서 보존 안정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small RF 168 , and even when stored at 40°C for 168 hours, the change in breaking elongation is suppressed, and storage stability is high. A film-like adhesive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is not limited to these storage conditions, and has high storage stability over the storage conditions that are usually applied. And, by using such a film-like adhesiv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anufactured.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W0이 작고, 그 보존의 유무에 상관없이,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small W 0 , and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ly reliable semiconductor package regardless of the storage or not.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F168은 상기와 같이, 30% 미만이며, 2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RF 168 is less than 30%, preferably 29.5% or less, more preferably 28%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6% or less, and 24% or less as described above.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F168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은 0%이다. 즉,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F168은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5% 이상이어도 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lower limit of RF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usually 0%. That is, the film-like adhesi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RF 168 is preferably not less than 0%, and for example, may be 5% or more.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RF168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RF168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3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8%, 특히 바람직하게는 0∼26%, 가장 바람직하게는 0∼24%이다. 또한, 또 다른 측면으로서, RF168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29.5%, 더욱 바람직하게는 5∼28%, 특히 바람직하게는 5∼26%, 가장 바람직하게는 5∼24%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RF168은 0∼23%여도 되고, 5∼23%여도 된다. 단, 이들은 RF168의 일 예이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RF 168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able lower and upper limit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RF 168 is preferably 0% or more and less than 30%, more preferably 0 to 29.5%, still more preferably 0 to 28%, particularly preferably 0 to 26%, Most preferably, it is 0 to 24%. Further, as another aspect, RF 168 is preferably 5% or more and less than 30%, more preferably 5 to 29.5%, still more preferably 5 to 28%,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26%, most preferably Is 5 to 24%. As another aspect, RF 168 may be 0 to 23%, or 5 to 23%.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RF 168 .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F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50∼95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9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0∼8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 F0은 700∼800%여도 된다. F0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F0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In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F 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550 to 950%, more preferably 600 to 90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50 to 850%. As another aspect, F 0 may be 700 to 800%. When F 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When F 0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F168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50∼85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8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50∼7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 F168은 560∼700%여도 된다. F168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그 첩부 대상물 사이에 공극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첩부 대상물에 대한 매입성이 보다 향상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진다. F168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Article according to the adhesive film of the third embodiment, F 16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550-850% and, more preferably 550-800%, which is 550-750% is particularly preferred. As another aspect, F 168 is even 560-700%. When F 16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 a void portion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object to be pasted, and the embedding property to the object to be pasted is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er. When F 168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0℃에서의 보존 시간이 t시간(t는 0 이상의 수이다)인 필름상 접착제에 대해, 파단 신도 Ft는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168 및 F0도,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for a film-like adhesive whose storage time at 40°C is t time (t is a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the elongation at break F 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For example, F 168 and F 0 degree, JIS K7161: 1994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파단 신도」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JIS K7161:1994(ISO 527-1:1993)에 준거하여 측정된 파단 신도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breaking elongation" means the breaking elongation measured in conformity with JIS K7161:1994 (ISO 527-1:1993) unless otherwise specified.

Ft의 측정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의 조건은, 상술한 Tt를 구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Conditions for storing the film-like adhesive as a measurement object of F t at 40° C. are the same as those for obtaining T t described above.

Ft를 구하는 대상인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할 때에는, 이 필름상 접착제의 제작 직후부터, 보존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preserving the film-like adhesive to obtain the target F t in 40 ℃,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of the film-like adhesive, it is preferred to start the storage.

하나의 측면으로서, 40℃에서의 보존 시간이 t시간(t는 0 이상의 수이다)인 필름상 접착제의 파단 신도 Ft는, 작성 직후의 필름상 접착제를 공기 분위기하의 어두운 곳에 두고, 40℃에서 t시간 정치 보존하고, 이어서 즉시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시험편에 대해 파단 신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As an aspect, the elongation at break F t of the film-like adhesive whose storage time at 40°C is t hours (t is a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is obtained by placing the film-like adhesive immediately after creation in a dark place in an air atmosphere, and at 40°C. It is obtained by standing still for t hours, and then immediately producing a test piece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and measuring the elongation at break of the test piece.

또한, 하나의 측면으로서, 파단 신도 F0은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작성 직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제작 직후의 시험편에 대해 파단 신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In addition, as an aspect, the breaking elongation F 0 is obtained by immediately producing a test piece from the film-like adhesive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and measuring the breaking elongation with respect to the test piece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according to JIS K7161:1994.

RF168은 하기 식 (ii)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RF 168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ii).

RF168(%)=(F0-F168)/F0×100 (ii)RF 168 (%)=(F 0 -F 168 )/F 0 ×100 (ii)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168이 30% 미만인 것을 필수 구성으로 하고, 또한 △T168이 10℃ 미만이 아니어도 되는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n RF 168 of less than 30% as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ΔT 168 is not required to be less than 10°C, except that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ame as adhesive.

예를 들면,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게, 경화성을 갖는 것이며, 열경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압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경화성 및 감압 접착성을 함께 갖고 있어도 된다.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도, 경화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내충격성이 높은 경화물이 되고, 이 경화물은 혹독한 고온·고습도 조건하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has curability, like the film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preferably has a thermosetting property, preferably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y, and thermosetting and reduced pressure You may have adhesiveness together. The film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also finally becomes a cured product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by curing, and this cured product can maintain sufficient adhesive properties even under sever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와 동일하게,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film adhesive of 3rd embodiment may consist of one layer (single layer), similarly to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and may consist of multiple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두께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of 3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W0은,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W0과 같다. Further, the W 0 of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W 0 of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는, 제1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경우와 동일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m adhesive of 3rd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case of the film adhesive of 1st embodiment.

제3 실시형태의 필름상 접착제의 F0이나 F168 등의 Ft와, RF168과, W0(이하, 이들을 포괄하여, 「F0 등」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모두,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의 종류 및 양 등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의 함유 성분인, 후술하는 중합체 성분(a)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의 종류 및 그 함유 비율, 에폭시 수지(b1)의 구성 성분, 열경화제(b2)의 입체 구조, 경화 촉진제(c)의 반응성, 그리고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F0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단, 이들은 상술한 F0 등의 조절 방법의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F t such as F 0 or F 168 of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third embodiment, RF 168 and W 0 (hereinafter, these are encompassed and may be referred to as ``F 0 and the like'') are all, for example. , By adjust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ilm-like adhesive, i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the type and content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s in the polymer component (a) described later,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ilm adhesive,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the epoxy resin (b1),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and curing By controlling the reactivity of the accelerator (c)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the above-described F 0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method such as F 0 .

본 발명의 필름상 접착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2개 이상(2개 또는 3개)의 실시형태의 특성을 함께 갖고 있어도 된다. The film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y two or more (two or three)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즉,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일 실시형태로는, 예를 들면, △T168이 10℃ 미만이고, 또한,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W0이 15%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That is, as an embodiment of the film-like adhesive, for example, ΔT 168 is less than 10°C, RW 168 is 200% or less, and W 0 is 15% or less.

또한,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일 실시형태로는, 예를 들면, △T168이 10℃ 미만이고, 또한, W0이 15% 이하이며, 또한, RF168이 30% 미만인 것을 들 수 있다. Moreover, as an embodiment of the said film adhesive, what is ΔT 168 is less than 10 degreeC , W 0 is 15% or less, and RF 168 is less than 30% is mentioned, for example.

또한,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일 실시형태로는, 예를 들면, RW168이 200% 이하이고, 또한, W0이 15% 이하이며, 또한, RF168이 30% 미만인 것을 들 수 있다. Moreover, as an embodiment of the said film adhesive, what is 200% or less of RW 168 , 15% or less of W 0 , and RF 168 less than 30% is mentioned, for example.

또한,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일 실시형태로는, 예를 들면, △T168이 10℃ 미만이고, 또한,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W0이 15% 이하이고, 또한, RF168이 30% 미만인 것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film adhesive, for example, ΔT 168 is less than 10°C, RW 168 is 200% or less, W 0 is 15% or less, and RF 168 What is less than this 30% is mentioned.

이들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T0, T168, △T168, W0, W168, RW168, F0, F168, 및 RF168은 모두,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은 것이다. In these film adhesives, T 0 , T 168 , ΔT 168 , W 0 , W 168 , RW 168 , F 0 , F 168 , and RF 168 are all as previously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상 접착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주요부가 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동일하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adhes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main part is enlarged and shown, and the dimensional ratio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to the same as in reality. Does not.

여기에 나타내는 필름상 접착제(13)는 그 한쪽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1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13a) 상에 제1 박리 필름(15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면(13a)과는 반대측 다른 한쪽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2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13b) 상에 제2 박리 필름(152)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lm-like adhesive 13 shown here is provided with a 1st peeling film 151 on one side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called a ``first side'') 13a, and the said 1st side The second release film 15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13a) side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ide”) 13b.

이러한 필름상 접착제(13)는 예를 들면, 롤 형상으로 보관하는데 바람직하다. This film-like adhesive 13 is suitable for storage in a roll shape, for example.

필름상 접착제(13)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실시형태의 특성을 갖는다. The film adhesive 13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필름상 접착제(13)는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The film adhesive 13 can be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later.

제1 박리 필름(151) 및 제2 박리 필름(152)은 모두 공지의 것이면 된다. The first release film 151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52 may all be known.

제1 박리 필름(151) 및 제2 박리 필름(152)은 서로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필름상 접착제(13)로부터 박리시킬 때, 필요한 박리력이 서로 상이한 등, 서로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The first release film 151 and the second release film 152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for example, when peeling from the film-like adhesive 13, the required peeling forc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도 1에 나타내는 필름상 접착제(13)는, 제1 박리 필름(151) 및 제2 박리 필름(152) 중 어느 한쪽이 제거되어 생긴 노출면에, 반도체 웨이퍼(도시 생략)의 이면이 첩부된다. 그리고, 제1 박리 필름(151) 및 제2 박리 필름(152)의 나머지 다른 한쪽이 제거되어 생긴 노출면이, 후술하는 지지 시트의 첩부면이 된다. In the film-like adhesive 13 shown in FIG. 1, the back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not shown) is affixed to the exposed surface formed by removing either of the 1st peeling film 151 and the 2nd peeling film 152. And the exposed surface formed by removing the other side of the 1st peeling film 151 and the 2nd peeling film 152 becomes the affixing surface of the support sheet mentioned later.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로는, 열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As a preferable adhesive composition, a thermosetting adhesive composition is mentioned.

열경화성 접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중합체 성분(a) 및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As a thermosetting adhesive composition, what contains a polymer component (a) and an epoxy thermosetting resin (b) is mentioned, for example. Hereinafter, each component is demonstrated.

(중합체 성분(a))(Polymer component (a))

중합체 성분(a)은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 반응하여 형성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성분이며, 필름상 접착제에 조막성이나 가요성 등을 부여함과 함께, 반도체 칩 등의 접착 대상에 대한 접착성(첩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분자 성분이다. 또한, 중합체 성분(a)은 후술하는 에폭시 수지(b1) 및 열경화제(b2)에 해당하지 않는 성분이기도 하다. 즉, 중합체 성분(a)은 후술하는 에폭시 수지(b1) 및 열경화제(b2)에 해당하는 성분을 제외한다. The polymer component (a) is a component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form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a polymerizable compound, and provides film-forming properties or flexibility to the film-like adhesive, as well as adhesion to an object to be adhered such as a semiconductor chip. It is a polymer component to improve the property). In addition, the polymer component (a) is also a component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epoxy resin (b1) and the thermosetting agent (b2) described later. That is, the polymer component (a) excludes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poxy resin (b1) and the thermosetting agent (b2) described later.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중합체 성분(a)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olymer components (a)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or two or more,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may be arbitrarily selected.

중합체 성분(a)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페녹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olymer component (a) include acrylic resins, polyesters, urethane resins, acrylic urethane resins, silicone resins, rubber resins, phenoxy resins, thermosetting polyimides, and acrylic resins.

중합체 성분(a)에 있어서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공지의 아크릴 중합체를 들 수 있다. As said acrylic resin in the polymer component (a), a well-known acrylic polymer is mentioned.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0∼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0∼15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와 같은 범위 내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피착체 사이의 접착력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000-2000000, and, as fo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an acrylic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000-150,000.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in such a range, it becomes easy to adjus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adherend to a preferable range.

한편,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형상 안정성(보관시의 경시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피착체의 요철면에 필름상 접착제가 추종하기 쉬워져, 피착체와 필름상 접착제 사이에 보이드 등의 발생이 보다 억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shape stability (stability with time at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the film-like adhesive easily follows the uneven surface of the adherend, and generation of voids or the lik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film-like adhesive is more suppressed.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measured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Tg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피착체 사이의 접착력이 억제되어, 픽업시에 있어서,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후술하는 지지 시트로부터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이란, 「필름상 접착제를 이면에 구비한 반도체 칩」을 의미한다. 아크릴계 수지의 Tg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반도체 칩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된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60 to 70 degreeC, and, as f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n acrylic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 to 50 degreeC. When the Tg of the acrylic resin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 adhesive and the adherend is suppressed, and during pickup, the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film adhesive is formed becomes easier to separate from the support sheet described la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semiconductor chip in which a film adhesive was formed" means "a semiconductor chip provided with a film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When the Tg of the acrylic resi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bove upper limi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lm adhesive and the semiconductor chip is improved.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sec-부틸, (메타)아크릴산tert-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n-노닐, (메타)아크릴산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운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메타)아크릴산라우릴이라고도 한다), (메타)아크릴산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이라고도 한다), (메타)아크릴산펜타데실, (메타)아크릴산헥사데실((메타)아크릴산팔미틸이라고도 한다), (메타)아크릴산헵타데실, (메타)아크릴산옥타데실((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이라고도 한다) 등의, 알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알킬기가, 탄소수가 1∼18의 사슬형 구조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include,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and n (meth)acrylate. -Butyl, (meth) isobutyl acrylate,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tert-butyl, (meth) acrylate, (meth) hexyl acrylate, (meth) heptyl acrylate, (meth) acrylate 2- Ethylhex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n-non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meth) Dodecyl acrylate (also referred to as (meth) lauryl acrylate), Tridecyl (meth) acrylate, tetradecyl (meth) acrylate (also referred to as myristol (meth) acrylate), pentadecyl (meth) acrylate, hexa (meth) acrylate The alkyl groups constituting the alkyl ester, such as decyl (also referred to as palmityl ((meth)acrylate)), heptadecyl (meth)acrylate, and octadecyl (meth)acrylate (also referred to as stearyl (meth)acrylate), have 1 to (Meth)acrylate alkyl ester having a chain structure of 18;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등의 (메타)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Cycloalkyl esters of (meth)acrylates such as isobornyl (meth)acrylate and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벤질 등의 (메타)아크릴산아랄킬에스테르; (Meth)acrylic acid aralkyl esters such as benz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에스테르 등의 (메타)아크릴산시클로알케닐에스테르; (Meth) acrylate cycloalkenyl ester, such as (meth) acrylate dicyclopentenyl ester;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에스테르 등의 (메타)아크릴산시클로알케닐옥시알킬에스테르; (Meth)acrylate cycloalkenyloxyalkyl esters such as dicyclopentenyloxyeth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이미드; Imide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메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Hydroxym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meth) )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3-hydroxybutyl acrylic acid and 4-hydroxybutyl (meth)acrylate;

(메타)아크릴산N-메틸아미노에틸 등의 치환 아미노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치환 아미노기」란, 아미노기의 1개 또는 2개의 수소 원자가, 수소 원자 이외의 기로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기를 의미한다. And substituted amino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N-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Here, the "substituted amino group" means a group obtained by substituting one or two hydrogen atoms of an amino group with a group other than a hydrogen atom.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메타)아크릴산과 유사한 용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ic acid"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The same is true for terms similar to (meth)acrylic acid.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에,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초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가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The acrylic resin 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meth)acrylic acid ester, one or two or more monomers selected from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vinyl acetate, acrylonitrile, styrene, and N-methylolacrylamide. May be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may be only one, or may be two or more,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아크릴계 수지는 상술한 수산기 이외에, 비닐기, (메타)아크릴로일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다른 화합물과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수지의 수산기를 시작으로 하는 이들 관능기는, 후술하는 가교제(f)를 개재하여 다른 화합물과 결합해도 되고, 가교제(f)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화합물과 직접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수지가 상기 관능기에 의해 다른 화합물과 결합함으로써,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패키지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hydroxyl group,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other compounds such as vinyl group, (meth)acryloyl group, amino group, carboxy group, and isocyanate group. These functional groups, starting with the hydroxyl group of the acrylic resin, may be bonded to other compounds via a crosslinking agent (f) described later, or may be bonded directly to other compounds without a crosslinking agent (f). When the acrylic resin is bonded to another compound by the functional group, the reliability of the package obtained using the film-like adhesive tends to be improved.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양의 비율(함유량)은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한편,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란, 예를 들면,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In the acrylic resin, the ratio (content) of the amou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is preferably 15% by mass or less,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mass% or les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9 mass% or less. When the ratio (cont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In addition, the said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means a monomer which has a glycidyl group, such as the said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양의 비율(함유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acrylic resin, the lower limit of the ratio (content) of the amou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with respect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비율(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2질량% 이상이면,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보다 명확히 얻어진다. In the acrylic resin, the ratio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0% by mass or more, for example, if it is 2% by mass or more, the effect of us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obtained more clearly.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양의 비율(함유량)은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값 및 상한값을, 임의로 조합하여 설정되는 범위 내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9질량%이다. 다른 측면으로서,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12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9질량%이며, 2∼5질량%여도 된다. 단, 이들은 상기 비율의 일 예이다. In the acrylic resin, the ratio (content) of the amount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constituent units constituting it is set by arbitrarily combining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lower and upper limits It can be properly adjusted within the range.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ratio is preferably 0 to 15% by mass, more preferably 0 to 12% by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 to 9% by mass. As another aspect, the ratio is preferably 2 to 15% by mass, more preferably 2 to 12%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9% by mass, and may be 2 to 5% by mass. However, these are examples of the above ratio.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합체 성분(a)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이하, 단순히 「열가소성 수지」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를,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아크릴계 수지와 병용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픽업시에 있어서,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후술하는 지지 시트로부터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거나, 피착체의 요철면에 필름상 접착제가 추종하기 쉬워져, 피착체와 필름상 접착제 사이에 보이드 등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는 경우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olymer component (a), a thermoplastic resin other than an acrylic resin (hereinafter, simply abbreviated as "thermoplastic resin" may be used alone) without using an acrylic resin, and an acrylic resin and You may use it together. By using the thermoplastic resin, it becomes easier to separate the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film adhesive is formed from the support sheet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time of pickup, or the film adhesive easily follows the uneven surface of the adherend. The occurrence of voids or the like between the complex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more suppressed.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8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00-100000, and, as fo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aid thermoplastic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00-80000.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3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30 to 150°C, more preferably -20 to 120°C.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페녹시 수지,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ester, polyurethane, phenoxy resin, polybutene, polybutadiene, and polystyrene.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s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may be only one type, or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 이외의 모든 성분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의 비율(즉, 필름상 접착제의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은, 중합체 성분(a)의 종류에 상관없이, 5∼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1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12질량% 등이어도 된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all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that is, the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of the film adhesive) is the polymer component (a) Regardless of the kind of, it is preferably 5 to 20 mass%, more preferably 6 to 16 mass%, and may be 7 to 12 mass% or the like.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중합체 성분(a)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is preferably 80 to 100% by mass, more preferably 85 to 100% by ma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and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When the ratio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Epoxy thermosetting resin (b))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는 에폭시 수지(b1) 및 열경화제(b2)로 이루어진다.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s composed of an epoxy resin (b1) and a thermosetting agent (b2).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type,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may be arbitrarily selected.

·에폭시 수지(b1)Epoxy resin (b1)

에폭시 수지(b1)로는, 공지의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다관능계 에폭시 수지, 비페닐 화합물,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그 수첨물, 오쏘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닐렌 골격형 에폭시 수지 등, 2관능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epoxy resin (b1) include known one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functional epoxy resins, biphenyl compounds, bisphenol A diglycidyl ethers and their hydrogenated products, orthocresol novolac epoxy resins, dicyclopenta Diene type epoxy resin, biphenyl type epoxy resin,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phenylene skeleton type epoxy resin, and other bifunctional or higher epoxy compounds.

에폭시 수지(b1)로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지 않는 에폭시 수지보다 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다. 이 때문에,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패키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As the epoxy resin (b1), an epoxy resin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may be used. The epoxy resin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has higher compatibility with an acrylic resin than an epoxy resin having no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For this reason, by using an epoxy resin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the reliability of a package obtained using a film adhesive is improved.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다관능계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의 일부가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기로 변환되어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폭시기에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유도체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도체」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원래의 화합물의 적어도 1개의 기가, 그 이외의 기(치환기)로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란, 복수개의 원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원자단뿐만 아니라, 1개의 원자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Examples of the epoxy resin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clude compounds obtained by converting a part of the epoxy group of a polyfunctional epoxy resin into a group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Such a compound is obtained, for example, by adding (meth)acr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to an epoxy group.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erivative" means that at least one group of the original compound is substituted with a group (substituent) other than that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 "group" shall include not only an atomic group formed by bonding of a plurality of atoms, but also one atom.

또한,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를 구성하는 방향 고리 등에,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기가 직접 결합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urther, examples of the epoxy resin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clude compounds in which a group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s directly bonded to an aromatic ring constituting the epoxy resin, for example.

불포화 탄화수소기는 중합성을 갖는 불포화기이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에테닐기(비닐기라고도 한다), 2-프로페닐기(알릴기라고도 한다),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The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enyl group (also called vinyl group), 2-propenyl group (also called allyl group), (meth)acryloyl group, (meth)acrylamide group, etc. And acryloyl groups are preferred.

에폭시 수지(b1)의 수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필름상 접착제의 경화성, 그리고 경화 후의 필름상 접착제의 강도 및 내열성의 점에서, 3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3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poxy resin (b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erms of the cur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f the film-like adhesive after curing, it is preferably 300 to 30,000, more preferably 400 to 10000.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500 to 30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 나타내는 수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ean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represented by a standard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measured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unless otherwise noted.

에폭시 수지(b1)의 에폭시 당량은 100∼100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80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0-1000 g/eq, and, as for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b1),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50-800 g/eq.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폭시 당량」이란, 1당량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에폭시 화합물의 그램 수(g/eq)를 의미하고, JIS K7236:200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epoxy equivalent" means the number of grams (g/eq) of an epoxy compound containing 1 equivalent of an epoxy group, and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JIS K7236:2001.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b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epoxy resins (b1)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or may be two or more,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하나의 측면으로서, 에폭시 수지(b1)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방향족형(트리페닐렌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가 바람직하다. As one aspect, the epoxy resin (b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a polyfunctional aromatic type (triphenylene type) epoxy resin, a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and a dicyclopentadiene type epoxy resin. At least one is preferred.

에폭시 수지(b1)의 시판품으로는, 아크릴 수지 미립자(미립자상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 수지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b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중합체 성분(a)으로서, 아크릴 수지 미립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아크릴 수지 미립자를 응집시키기 쉬운 것을 사용한 경우에도, 이러한 아크릴 수지 미립자의 응집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epoxy resin (b1) include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fine acrylic resi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epoxy resin (b1) that does not contain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By doing in this way, even when a polymer component (a) that is easy to agglomerate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due to interaction with the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is used, such agglomeration of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is suppressed. Thereby,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예를 들면,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 이외의 모든 성분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아크릴 수지 미립자의 함유량의 비율(즉, 필름상 접착제의 아크릴 수지 미립자의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 미립자의 유래에 상관없이, 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all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that is, the content of the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of the film adhesive) is Regardless of origin, it is preferably 0 to 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0 to 3% by mass.

·열경화제(b2)·Heat curing agent (b2)

열경화제(b2)는 에폭시 수지(b1)에 대한 경화제로서 기능한다. The thermosetting agent (b2) functions as a curing agent for the epoxy resin (b1).

열경화제(b2)로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기로는, 예를 들면, 페놀성 수산기,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산기가 무수물화된 기 등을 들 수 있고, 페놀성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산기가 무수물화된 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페놀성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nclude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apable of reacting with an epoxy group in one molecule.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include a phenolic hydroxyl group, an alcoholic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 carboxyl group, and a group in which an acid group is anhydride, and a phenolic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or an acid group is preferably an anhydride group,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sexual hydroxyl group or an amino group.

열경화제(b2) 중,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페놀계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다관능 페놀 수지, 비페놀, 노볼락형 페놀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페놀 수지, 아랄킬형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mong the thermal curing agents (b2), examples of the phenolic curing agent having a phenolic hydroxyl group include polyfunctional phenol resins, biphenols, novolac type phenol resins, dicyclopentadiene type phenol resins, aralkyl type phenol resins, etc. Can be lifted.

열경화제(b2) 중,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계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디시안디아미드(이하, DICY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Among the thermal curing agents (b2), examples of the amine curing agent having an amino group include dicyandiamide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DICY) and the like.

열경화제(b2)는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The thermosetting agent (b2) may have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열경화제(b2)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의 수산기의 일부가,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기로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화합물, 페놀 수지의 방향 고리에,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기가 직접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clude, for example, a compound obtained by substituting a group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 a part of the hydroxyl group of a phenol resin, or a compound obtained by directly bonding a group having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to the aromatic ring of the phenol resin. And the like.

열경화제(b2)에 있어서의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기는, 상술한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에 있어서의 불포화 탄화수소기와 동일하다. The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the same as the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in the epoxy resin having the above-described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열경화제(b2)로서 페놀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상 접착제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점에서, 열경화제(b2)는 연화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using a phenolic curing agent as the thermal curing agent (b2),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al curing agent (b2) has a high soften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easy to adjust the adhesive force of the film-like adhesive.

열경화제(b2) 중, 예를 들면, 다관능 페놀 수지, 노볼락형 페놀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페놀 수지, 아랄킬형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3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3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mong the thermal curing agents (b2), 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resin components such as polyfunctional phenol resin, novolak type phenol resin, dicyclopentadiene type phenol resin, and aralkyl type phenol resin is preferably 300 to 30000.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00-10000,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500-3000.

열경화제(b2) 중, 예를 들면, 비페놀, 디시안디아미드 등의 비수지 성분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60∼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 thermosetting agents (b2), the molecular weight of the non-resin component such as biphenol and dicyandiam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it is preferably 60 to 500.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열경화제(b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thermosetting agent (b2)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ly one type,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may be arbitrarily selected.

열경화제(b2)는 페놀 수지 중, 페놀성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서로 이웃한 탄소 원자(즉, 벤젠 고리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 원자)에 대해, 알킬기 등의 치환기가 결합하고, 상기 페놀성 수산기 근방에 입체 장애를 갖는 것(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입체 장애형 페놀 수지」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체 장애형 페놀 수지로는, 예를 들면, o-크레졸형 노볼락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thermosetting agent (b2), a substituent such as an alkyl group is bonded to a carbon atom to which a phenolic hydroxyl group is bonded and a carbon atom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a carbon atom constituting a benzene ring skeleton) in the phenol resin, Those having a steric hindrance in the vicinity of the phenolic hydroxyl group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abbreviated as "sterically hindered phenol resin") is preferred. Examples of such hindered phenol resin include o-cresol-type novolac resin.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열경화제(b2)의 함유량은 에폭시 수지(b1)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10∼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6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12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8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경화제(b2)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경화가 보다 진행하기 쉬워진다. 열경화제(b2)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흡습율이 저감되어,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preferably 10 to 2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15 to 160 parts by mass, and 2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epoxy resin (b1).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20 mass part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25-80 mass parts. When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curing of the film-like adhesive is more likely to proceed. When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of the film adhesive is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ackage obtained by using the film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함유량(에폭시 수지(b1) 및 열경화제(b2)의 총 함유량)은,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400∼1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11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0∼100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600∼900질량부 및 800∼1000질량부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상기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와 후술하는 지지 시트 사이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content of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the total content of the epoxy resin (b1) and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400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200 mass part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0-1100 mass parts,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600-1000 mass parts, For example, any of 600-900 mass parts and 800-1000 mass parts may be sufficient. When the content of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s in such a range, it becomes easier to adjus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support sheet described later.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열경화제(b2)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상기 입체 장애형 페놀 수지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sterically hindered phenol resin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preferably 80 to 100% by mass, and 85 to 100% by ma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and,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When the ratio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그리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는 점에서,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열경화제(b2)의 총 함유량에 대한, o-크레졸형 노볼락 수지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 adhesive is further increa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o-cresol type novolac resin to the total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80 to 100 mas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85-100 mass %,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상기 필름상 접착제는 그 각종 물성을 개량하기 위해, 중합체 성분(a) 및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 이외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이들에 해당하지 않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like adhesive, in addition to the polymer component (a) and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other component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se may further be contained as needed.

상기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경화 촉진제(c), 충전재(d), 커플링제(e), 가교제(f),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 광중합 개시제(h), 범용 첨가제(i)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한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경화 촉진제(c), 충전재(d), 커플링제(e), 범용 첨가제(i)를 들 수 있다.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ilm adhesive include, for example, a curing accelerator (c), a filler (d), a coupling agent (e), a crosslinking agent (f), an energy ray-curable resin (g),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h ), a general-purpose additive (i), and the like. Among these, preferable other components include a curing accelerator (c), a filler (d), a coupling agent (e), and a general-purpose additive (i).

본 발명에 있어서, 「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그 예로서 자외선, 방사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energy ray" means having both energy in an electromagnetic wave or a charged particle ra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ultraviolet rays, radiation, and electron beams.

자외선은 예를 들면, 자외선원으로서 고압 수은 램프, 퓨전 램프, 크세논 램프, 블랙 라이트 또는 LED 램프 등을 이용함으로써 조사할 수 있다. 전자선은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발생시킨 것을 조사할 수 있다.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by using, for example,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fusion lamp, a xenon lamp, a black light, or an LED lamp as an ultraviolet source. The electron beam can be irradiated with what is generated by an electron beam accelerator or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에너지선 경화성」이란,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성질을 의미하고, 「비에너지선 경화성」이란, 에너지선을 조사해도 경화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nergy ray curability" means a property that is hardened by irradiation with energy rays, and "non-energy ray curability" means a property that does not cure even when irradiated with energy rays.

(경화 촉진제(c))(Hardening accelerator (c))

경화 촉진제(c)는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성분이다. The curing accelerator (c)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curing spee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바람직한 경화 촉진제(c)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디아민,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등의 3차 아민;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즉, 적어도 1개의 수소 원자가, 수소 원자 이외의 기로 치환된 이미다졸); 트리부틸포스핀, 디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유기 포스핀류(즉, 적어도 1개의 수소 원자가, 유기 기로 치환된 포스핀); 테트라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포스핀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의 테트라페닐보론염; 상기 이미다졸류를 게스트 화합물로 하는 포접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Preferred curing accelerators (c) include tertiary amines such as triethylenediamine, benzyldimethylamine, triethanolamine, dimethylaminoethanol, and tris(dimethylaminomethyl)phenol; 2-methylimidazole, 2-phenylimidazole, 2-phenyl-4-methylimidazole, 2-phenyl-4,5-dihydroxymethylimidazole, 2-phenyl-4-methyl-5 Imidazoles such as hydroxymethylimidazole (that is, imidazole in which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substituted with a group other than a hydrogen atom); Organic phosphines such as tributylphosphine, diphenylphosphine, and triphenylphosphine (ie, phosphine in which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substituted with an organic group); Tetraphenyl boron salts such as 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and triphenylphosphine tetraphenylborate; Inclusion compounds using the above imidazoles as a guest compound, etc. are mentioned.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경화 촉진제(c)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curing accelerators (c)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or two or more,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may be arbitrarily selected.

경화 촉진제(c)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경화 촉진제(c)의 함유량은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01∼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 촉진제(c)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경화 촉진제(c)를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가 보다 현저히 얻어진다. 경화 촉진제(c)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예를 들면, 고극성 경화 촉진제(c)가 고온·고습도 조건하에서 필름상 접착제 중에 있어서, 피착체와의 접착 계면측으로 이동하여 편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져,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When using the curing accelerator (c),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dhesive,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1-2 mass parts. When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using the curing accelerator (c) is more remarkably obtained. When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upper limit, for example, the high polarity curing accelerator (c)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side of the adhesion interface with the adherend and segregation in the film-like adhesive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resulting effect increas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package obtained by using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경화 촉진제(c)는 상기 중에서도, 상기 이미다졸류를 게스트 화합물로 하는 포접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 촉진제(c)에 있어서는, 활성 성분인 이미다졸류가 호스트 화합물에 의해 포접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응시 이외에는, 이미다졸류의 반응 부위가 노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노출의 정도가 억제되어 있다고 추측된다. 그 결과,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에, 경화 촉진제(c)의 목적 외 반응의 진행이 억제됨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고 추측된다. Among the above, the curing accelerator (c) is preferably an inclusion compound containing the imidazoles as a guest compound. In such a curing accelerator (c), imidazoles, which are active ingredients, are encapsulated by the host compound. For this reason, it is estimated that the reaction site|part of imidazoles is not exposed except at the time of reaction, or the degree of exposure is suppressed. As a result, it is estimated tha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 adhesive becomes higher by suppressing the progress of the reaction other than the purpose of the curing accelerator (c) during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상기 포접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류를 게스트 화합물로 하고, 카르복실산을 호스트 화합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lathrate compound include imidazoles as a guest compound and carboxylic acid as a host compound.

호스트 화합물인 상기 카르복실산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rboxylic acid as the host compound is preferably an aromatic 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카르복실산은, 단환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다환 방향족 카르복실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The aromatic carboxylic acid may be a monocyclic aromatic carboxylic acid or a polycyclic aromatic 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카르복실산은, 고리 골격으로서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만을 갖는 카르복실산, 고리 골격으로서 방향족 복소 고리만을 갖는 카르복실산, 그리고, 고리 골격으로서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및 방향족 복소 고리를 함께 갖는 카르복실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The aromatic carboxylic acid is any of a carboxylic acid having only an aromatic hydrocarbon ring as a ring skeleton, a carboxylic acid having only an aromatic heterocycle as a ring skeleton, and a carboxylic acid having both an aromatic hydrocarbon ring and an aromatic heterocycle as a ring skeleton. It may be.

상기 방향족 카르복실산은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romatic carboxylic acid is an aromatic hydroxy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은, 1분자 중에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를 함께 갖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방향족 고리 골격에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가 함께 결합한 구조를 갖는 카르복실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romatic hydroxycarboxyl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romatic carboxylic acid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in one molecule, but is preferably a carboxylic aci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are bonded together to an aromatic ring skeleton.

상기 포접 화합물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미다졸류가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2P4MHZ」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이며, 상기 카르복실산이 5-히드록시이소프탈산(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HIPA」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인 포접 화합물을 들 수 있고, 2분자의 2P4MHZ와, 1분자의 HIPA로 1분자가 구성되어 있는 포접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referred as the inclusion compound is, for example, the imidazoles are 2-phenyl-4-methyl-5-hydroxymethylimidazole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abbreviated as "2P4MHZ"). , An inclusion compound in which the carboxylic acid is 5-hydroxyisophthalic acid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abbreviated as "HIPA"), and 1 molecule is composed of 2 molecules of 2P4MHZ and 1 molecule of HIPA.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inclusion compound which has become.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경화 촉진제(c)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상기 포접 화합물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clathrate compound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preferably 80 to 100% by mass, more preferably 85 to 100% by ma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and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When the ratio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그리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는 점에서,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경화 촉진제(c)의 총 함유량에 대한, 상술한 2P4MHZ 및 HIPA로 구성되어 있는 포접 화합물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And, sinc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 adhesive is further increa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clathrate compound composed of 2P4MHZ and HIPA to the total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80-100 mass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85-100 mass %,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충전재(d))(Filling material (d))

필름상 접착제는 충전재(d)를 함유함으로써, 그 열팽창 계수의 조정이 용이해지고, 이 열팽창 계수를 필름상 접착제의 첩부 대상물에 대해 최적화함으로써,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패키지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필름상 접착제가 충전재(d)를 함유함으로써, 경화 후의 필름상 접착제의 흡습율을 저감하거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film-like adhesive contains the filler (d), it becomes easy to adjust its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by optimizing this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f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like adhesive is adhered, the reliability of the package obtained using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 In addition, when the film adhesive contains the filler (d),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of the film adhesive after curing can be reduced or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can be improved.

충전재(d)는 유기 충전재 및 무기 충전재 중 어느 것이어도 되나, 무기 충전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ler (d) may be any of an organic filler and an inorganic filler, but is preferably an inorganic filler.

바람직한 무기 충전재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알루미나, 탤크, 탄산칼슘, 티탄 화이트, 벵갈라, 탄화규소, 질화붕소 등의 분말; 이들 무기 충전재를 구형화한 비즈; 이들 무기 충전재의 표면 개질품; 이들 무기 충전재의 단결정 섬유;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Preferred inorganic fillers include, for example, powders such as silica, alumina, talc, calcium carbonate, titanium white, bengala, silicon carbide and boron nitride; Beads in which these inorganic fillers are spheroidized; Surface modified products of these inorganic fillers; Single crystal fibers of these inorganic fillers; Glass fiber, etc. are mentioned.

이들 중에서도, 무기 충전재는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se,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silica or alumina.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01∼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은 0.01∼0.05㎛여도 된다. 충전재(d)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충전재(d)를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짐과 함께,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1 to 150 µm, more preferably 0.1 to 125 µm, even more preferably 0.5 to 100 µm, and particularly 1 to 75 µm. desirable. As another aspec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may be 0.01 to 0.05 µm.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d) is in such a range, while the effect of using the filler (d) is sufficiently obtained,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구해진 입도 분포 곡선에 있어서의, 적산치 50%에서의 입자 직경(D50)의 값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means the value of the particle diameter (D 50 ) at the integrated value 50%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calculated by the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method, unless otherwise noted. .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충전재(d)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fillers (d)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충전재(d)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 이외의 모든 성분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충전재(d)의 함유량의 비율(즉, 필름상 접착제의 충전재(d)의 함유량)은 5∼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3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충전재(d)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상기 열팽창 계수의 조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When using the filler (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filler (d)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all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that is, the content of the filler (d) of the film adhesive ) Is preferably 5 to 40% by mass, more preferably 10 to 35% by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5 to 30% by mass. When the content of the filler (d) is in such a range, the adjustment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comes easier.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충전재(d)의 총 함유량(총 질량)에 대한, 평균 입자 직경이 0.01∼150㎛인 충전재(d)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filler (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50 µm to the total content (total mass) of the filler (d) is preferably 80 to 100% by mass, , 85 to 100% by mass is more preferable, 90 to 100% by mass is still more preferable, and for example, 95 to 100% by mass may be used. When the ratio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커플링제(e))(Coupling agent (e))

필름상 접착제는 커플링제(e)를 함유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 및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필름상 접착제가 커플링제(e)를 함유함으로써, 그 경화물은 내열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내수성이 향상된다. 커플링제(e)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다. When the film-like adhesive contains the coupling agent (e), the adhesion and adhesion to the adherend ar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film-like adhesive contains the coupling agent (e), the cured product does not impair heat resistance and improves water resistance. The coupling agent (e) ha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n inorganic compound or an organic compound.

커플링제(e)는 중합체 성분(a),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 등이 갖는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 커플링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agent (e)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 functional group possessed by the polymer component (a), an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and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a silane coupling agent.

바람직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닐리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판,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이미다졸실란, 올리고머형 또는 폴리머형 오르가노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Preferred silane coupling agents include, for example,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yloxypropyltriethoxysilane, 3- Glycidyloxymethyldiethoxysilane,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 (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2-aminoethyl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anilinopropyltrimethoxysilane, 3-ureidopropyltriethoxy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ane, methyltrimethoxysilane, methyl Triethoxysilane, vinyl trimethoxysilane, vinyl triacetoxysilane, imidazole silane, oligomeric or polymeric organosiloxane, and the like.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커플링제(e)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coupling agent (e)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하나의 측면으로서, 커플링제(e)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그리고 에폭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aspect, as the coupling agent (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and an oligomeric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epoxy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It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커플링제(e)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커플링제(e)의 함유량은 중합체 성분(a) 및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총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03∼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5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a coupling agent (e) is us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dhesive, the content of the coupling agent (e) is 0.03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and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 mass part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05-10 mass parts,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0.1-5 mass parts.

커플링제(e)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충전재(d)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의 향상이나, 필름상 접착제의 피착체와의 접착성의 향상 등, 커플링제(e)를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가 보다 현저히 얻어진다. 커플링제(e)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아웃 가스의 발생이 보다 억제된다. When the content of the coupling agent (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using the coupling agent (e), such as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d) in the resin, and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film-like adhesive to the adherend, etc. Is obtained more remarkably. When the content of the coupling agent (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the outgassing is further suppressed.

커플링제(e)는 상기 중에서도, 올리고머형 또는 폴리머형 오르가노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머형 또는 폴리머형 오르가노실록산은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 반응하여 형성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올리고머 구조 또는 폴리머 구조를 갖는 오르가노실록산이다. 이러한 올리고머형 또는 폴리머형 오르가노실록산을 사용함으로써, 커플링제(e)를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짐과 함께,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Among the above, the coupling agent (e) is preferably an oligomeric or polymeric organosiloxane. The oligomeric or polymeric organosiloxane is an organosiloxane having an oligomeric structure or a polymeric structure, which can be considered to be form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a polymerizable compound. By using such an oligomeric or polymeric organosiloxane, the effect of using the coupling agent (e) is sufficiently obtained,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urther improved.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에 있어서, 커플링제(e)의 총 함유량에 대한, 상기 올리고머형 또는 폴리머형 오르가노실록산의 함유량의 비율은 8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5∼100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ilm adhesive,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oligomeric or polymeric organosiloxane to the total content of the coupling agent (e) is preferably 80 to 100% by mass, and 85 to 100% by mass. It is more preferabl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100 mass %, and for example, it may be 95-100 mass %. When the ratio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가교제(f))(Crosslinking agent (f))

중합체 성분(a)으로서, 상술한 아크릴계 수지 등의, 다른 화합물과 결합 가능한 비닐기, (메타)아크릴로일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는, 상기 관능기를 다른 화합물과 결합시켜 가교하기 위한 가교제(f)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제(f)를 사용하여 가교함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초기 접착력 및 응집력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using a polymer component (a)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vinyl group, (meth)acryloyl group, an amino group,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etc. that can be bonded to other compounds, such as an acrylic resin described above, is used,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f) for crosslinking by bonding the functional group with another compound. By crosslinking using the crosslinking agent (f), the initial adhesion and cohesive strength of the film-like adhesive can be controlled.

가교제(f)로는, 예를 들면,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다가 이민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즉, 금속 킬레이트 구조를 갖는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즉, 아지리디닐기를 갖는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crosslinking agent (f), for example, an organ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 organic polyvalent imine compound, a metal chelate type crosslinking agent (i.e., a crosslinking agent having a metal chelate structure), an aziridine type crosslinking agent (ie, a crosslinking agent having an aziridinyl group), etc. Can be lifted.

상기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지방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환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이들 화합물을 포괄하여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삼량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및 어덕트체; 상기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과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어덕트체」는, 상기 방향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지방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지환족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반응물을 의미한다. 상기 어덕트체의 예로는, 후술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리폴리머」란, 우레탄 결합을 가짐과 함께, 분자의 말단부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의미한다. As the organ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for example, an arom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 aliph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d an alicycl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hereinafter, these compounds may be included and abbreviated as ``arom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etc.'' in some cases) ; Trimers, isocyanurates, and adducts such as the above arom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s; And a terminal isocyanate urethane prepolymer obtained by reacting the above arom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d the like with a polyol compound. The ``adduct body'' is an arom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 aliphat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or an alicycl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and a low-molecular active hydrogen-containing compound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trimethylolpropane or castor oil. Means reactant. Examples of the adduct body include a xyl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erminal isocyanate urethane prepolymer" means a prepolymer having a urethane bond and an isocyanate group at the terminal portion of the molecule.

상기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산기에,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부가된 화합물;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organ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2,4-tolylene diisocyanate; 2,6-tolylene diisocyanate; 1,3-xyl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4,4'-diisocyanate; Diphenylmethane-2,4'-diisocyanate; 3-methyl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2,4'-diisocyanate; Compounds in which any one or two or more of tol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are added to all or part of the hydroxyl groups of poly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Lysine diisocyanate, etc. are mentioned.

상기 유기 다가 이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시아미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시아미드)트리에틸렌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organic polyvalent imine compound, for example, N,N'-diphenylmethane-4,4'-bis(1-aziridinecarboxyamide), trimethylolpropane-tri-β-aziridinylpropionate , Tetramethylolmethane-tri-β-aziridinylpropionate, N,N'-toluene-2,4-bis(1-aziridinecarboxyamide)triethylene melamine, and the like.

가교제(f)로서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중합체 성분(a)으로는, 수산기 함유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f)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중합체 성분(a)이 수산기를 갖는 경우, 가교제(f)와 중합체 성분(a)의 반응에 의해, 필름상 접착제에 가교 구조를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다. When an organic polyvalent isocyanate compound is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f),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oxyl group-containing polymer as the polymer component (a). When the crosslinking agent (f) has an isocyanate group and the polymer component (a) has a hydroxyl group, the crosslinking structure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film-like adhesive by reac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f) and the polymer component (a).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가교제(f)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crosslinking agents (f)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e, or two or more,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가교제(f)의 함유량은,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부인 것, 즉,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가교제(f)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f)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가교제(f)를 사용한 것에 의한 효과가 보다 현저히 얻어진다. 가교제(f)의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높아진다.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f) is preferably 0 to 5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0 to 3 parts by mass, still more preferably 0 to 1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t is 0 parts by mass, that is,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do not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f).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f)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using the crosslinking agent (f) is more remarkably obtained. Whe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f)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comes higher.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Energy ray curable resin (g))

필름상 접착제는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를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Since the film-like adhesive contains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ts properties can be changed by irradiation with energy rays.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는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중합(경화)하여 얻어진 것이다.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s obtained by polymerizing (curing) an energy ray-curable compound.

상기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energy ray-curable compound include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polymerizable double bond in a molecule, and an acrylate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s preferable.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사슬형 지방족 골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리형 지방족 골격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rylate compound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etramethylol methane tetr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 Dipentaerythritol monohydroxypenta (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acrylate, 1,4-butylene glycol di (meth)acrylate, 1,6-hexanedioldi (meth)acrylate Chain aliphatic skeleton-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Cyclic aliphatic skeleton-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dicyclopentanyldi(meth)acrylate; Polyalkylene glycol (meth)acrylate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ligoester (meth)acrylate; Urethane (meth)acrylate oligomers; Epoxy modified (meth)acrylate; Polyether (meth)acrylate other than the polyalkylene glycol (meth)acrylate; Itaconic acid oligomer, etc. are mentioned.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0-30000, and, as fo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0-10000.

접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nly one type,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해,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의 함유량은 1∼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9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8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using an energy ray-curable resin (g), the content of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s preferably 1 to 95% by mass, more preferably 5 to 90%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adhesive composition. ,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85% by mass.

(광중합 개시제(h))(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h))

접착제 조성물은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를 함유하는 경우,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의 중합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광중합 개시제(h)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n order to efficiently advance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it may contain a photoinitiator (h).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h)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벤조산, 벤조인벤조산메틸, 벤조인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 화합물;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 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벤질페닐설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피드 등의 설피드 화합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α-케톨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티타노센 등의 티타노센 화합물; 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화합물; 퍼옥사이드 화합물; 디아세틸 등의 디케톤 화합물; 벤질; 디벤질; 벤조페논; 2,4-디에틸티옥산톤; 1,2-디페닐메탄;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등의 퀴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photoinitiator (h) i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benzoin benzoic acid, benzoin methyl benzoate, Benzoin compounds such as benzoin dimethyl ketal; Acetophenone compounds such as 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and 2,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Acylphosphine oxide compounds such as 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 oxide and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Sulfide compounds such as benzylphenyl sulfide and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Α-ketol compounds such as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Azo compound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Titanocene compounds such as titanocene; Thioxanthone compounds such as thioxanthone; Peroxide compounds; Diketone compounds such as diacetyl; benzyl; Dibenzyl; Benzophenone; 2,4-diethyl thioxanthone; 1,2-diphenylmethane; 2-hydroxy-2-methyl-1-[4-(1-methylvinyl)phenyl]propanone; And quinone compounds such as 1-chloroanthraquinone and 2-chloroanthraquinone.

또한, 광중합 개시제(h)로는, 예를 들면, 아민 등의 광증감제 등도 들 수 있다. Moreover, as a photoinitiator (h), photosensitizers, such as an amine, etc. are also mentioned, for example.

접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광중합 개시제(h)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h)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nly one type,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광중합 개시제(h)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h)의 함유량은,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using a photoinitiator (h),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h) is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energy ray-curable resin (g), and 1 to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 mass parts,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2-5 mass parts.

(범용 첨가제(i))(Universal Additive (i))

범용 첨가제(i)는 공지의 것이면 되며, 목적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범용 첨가제(i)로는, 예를 들면, 가소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염료, 안료), 게터링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general-purpose additive (i) may be any known one, and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 preferable general-purpose additive (i), a plasticizer,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colorant (dye, pigment), a gettering agen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가 함유하는 범용 첨가제(i)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general-purpose additives (i)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ilm-like adhesive may be only one type, or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접착제 조성물 및 필름상 접착제의 범용 첨가제(i)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The cont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general-purpose additive (i) of the film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용매)(menstruum)

접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취급성이 양호해진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solvent.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becomes good handling property.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것으로는,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등의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2-메틸프로판-1-올이라고도 한다), 1-부탄올 등의 알코올;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아미드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red examples include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2-propanol, isobutyl alcohol (also referred to as 2-methylpropan-1-ol), and 1-butanol;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Ketones such as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Ethers such as tetrahydrofuran; And amides (compounds having an amide bond) such as dimethylformamide and N-methylpyrrolidone.

접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용매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nly one type,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접착제 조성물이 함유하는 용매는, 접착제 조성물 중의 함유 성분을 보다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점에서, 메틸에틸케톤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methyl ethyl ketone or the like because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more uniformly mixed.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composition>>

접착제 조성물은 이를 구성하기 위한 각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The adhesive composition is obtained by blending each component for constituting it.

각 성분의 배합시에 있어서의 첨가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의 성분을 동시에 첨가해도 된다. The order of addition at the time of compounding each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added simultaneously.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매를 용매 이외의 어느 배합 성분과 혼합하여, 이 배합 성분을 미리 희석해 둠으로써 사용해도 되고, 용매 이외의 어느 배합 성분을 미리 희석해 두지 않고, 용매를 이들 배합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사용해도 된다. In the case of using a solvent, the solvent may be mixed with any compounding component other than the solvent, and the compounded component may be used by diluting it in advance, and the solvent is not previously diluted with any of the compounding components other than the solvent. You may use by mixing with.

배합시에 각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교반자 또는 교반 날개 등을 회전시켜 혼합하는 방법;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방법; 초음파를 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The method of mixing each component at the time of mix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of mixing by rotating a stirrer or a stirring blade, etc.; Mixing using a mix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suitably from well-known methods, such as a method of adding ultrasonic waves and mixing.

각 성분의 첨가 및 혼합시의 온도와 시간은,, 각 배합 성분이 열화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조절하면 되나, 온도는 1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mperature and time at the time of addition and mixing of each compon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each compounding component does not deteriorate,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but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15 to 30°C.

◇반도체 가공용 시트◇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지지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시트 상에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지지 시트와, 상기 지지 시트 상에 구비된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포함한다.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eet, and the film-like adhesive is provided on the support sheet. That is,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heet and the film-like adhesive provided on the support sheet.

상기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예를 들면, 다이싱 다이 본딩 시트로서 바람직하다.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is preferable as, for example, a dicing die bonding sheet.

상기 필름상 접착제는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보존 안정성이 높고, 보존 중의 특성의 변화가 억제되어, 사용시에 있어서는, 목적으로 하는 작용을 충분히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반도체 패키지는 신뢰성이 높다. 또한, 이러한 보존 안정성이 높은 필름상 접착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반도체 패키지는, 그 보존 중에 있어서도, 필름상 접착제의 특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특성의 변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이 점에 있어서도,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신뢰성이 높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like adhesive has high storage stability, suppresses a change in properties during storage, and can sufficiently exhibit a target action at the time of use. Therefore, a semiconductor package formed by using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nd including the film-like adhesive has high reliability. In addition, in the semiconductor package formed with such a film-like adhesive having high storage stability, the change in properties due to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the film-like adhesive is suppressed even during storage. Therefore, also in this respect, the semiconductor package has high reliability.

<<지지 시트>><<support sheet>>

상기 지지 시트는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지지 시트가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복수층의 구성 재료 및 두께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이들 복수층의 조합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support sheet may be composed of one layer (single layer), or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When the supporting sheet is made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constituent materials and thicknesses of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unles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aired.

바람직한 지지 시트로는, 예를 들면, 기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상에 중간층을 구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Preferred supporting sheets include, for example, those made of only a substrate; It includes a base material, and includes an intermediate layer on the base material.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시트는 기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트여도 되고;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지지 시트여도 된다. That is, the suppor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upport sheet composed of only a base material; A support sheet including a substrate and an intermediate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may be used.

기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 시트는 캐리어 시트 또는 다이싱 시트로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트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필름상 접착제의 지지 시트(즉, 기재)를 구비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1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반도체 웨이퍼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The support sheet composed of only a base material is preferable as a carrier sheet or a dicing sheet.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a supporting sheet composed of only such a base material is a side opposite to the side provided with the supporting sheet (i.e., base material) of a film-like adhesive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ide''). ) Is affix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circuit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formed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back side") and used.

한편,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상에 중간층을 구비한 상기 지지 시트는 다이싱 시트로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시트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도, 필름상 접착제의 지지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 면(제1 면)이, 반도체 웨이퍼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면(이면)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heet having a substrate and having an intermediate layer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e as a dicing sheet.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provided with such a support sheet,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irst side) provided with the support sheet of the film-like adhesive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he back side) on which the circuit of the semiconductor wafer is formed. It is attached and used.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사용 방법은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method of using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하, 지지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layer constituting the support sheet will be described.

<기재><Description>

상기 기재는 시트상 또는 필름상이며, 그 구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각종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substrate is in the form of a sheet or a film, and exampl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include various resins.

상기 수지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노르보르넨 수지 등의 폴리에틸렌 이외의 폴리올레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즉, 모노머로서 에틸렌을 사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즉, 모노머로서 염화비닐을 사용하여 얻어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시레이트, 모든 구성 단위가 방향족 고리기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2종 이상의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폴리아세탈; 변성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페닐렌설피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resin include polyethylene such as low density polyethylene (some abbreviated as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sometimes abbreviated as L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some abbreviated as HDPE); Polyolefins other than polyethylene such as polypropylene, polybutene, polybutadiene, polymethylpentene, and norbornene resin; Ethylene-based copolymers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and ethylene-norbornene copolymer (i.e., copolymer obtained using ethylene as a monomer) coalescence); Vinyl chloride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and vinyl chloride copolymers (that is, resins obtained using vinyl chloride as a monomer); polystyrene; Polycycloolefin;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and wholly aromatic polyesters in which all structural units have an aromatic ring group; A copolymer of two or more of the above polyesters; Poly(meth)acrylic acid ester;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Polyimide; Polyamide; Polycarbonate; Fluororesin; Polyacetal; Modified polyphenylene oxide; Polyphenylene sulfide; Polysulfone; Polyether ketone, etc. are mentioned.

또한, 상기 수지로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그 이외의 수지의 혼합물 등의 폴리머 알로이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그 이외의 수지의 폴리머 알로이는,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수지의 양이 비교적 소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as said resin, polymer alloys, such as a mixture of said polyester and resin other than that, are also mention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mer alloy of the polyester and other resins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in other than polyester.

또한, 상기 수지로는, 예를 들면, 지금까지 예시한 상기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가교된 가교 수지; 지금까지 예시한 상기 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 아이오노머 등의 변성 수지도 들 수 있다. Further, as the resin, for example, a crosslinked resin in which one or two or more of the resins exemplified so far is crosslinked; Modified resins such as ionomers us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resins exemplified so far can also be mentioned.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되며,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조합 및 비율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The number of resins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may be only one type, or may be two or more type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combinations and ratios thereof can be arbitrarily selected.

기재는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복수층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이들 복수층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base material may consist of one layer (single layer),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and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Does not.

기재의 두께는 5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가요성과, 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칩에 대한 첩부성이 보다 향상된다.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0 to 300 µm, more preferably 60 to 150 µm.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within such a range,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nd the adhesion to the semiconductor wafer or semiconductor chip are further improved.

여기서, 「기재의 두께」란, 기재 전체의 두께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두께란, 기재를 구성하는 모든 층의 합계의 두께를 의미한다. Here, "thickness of a base material" means the thickness of the whole base material, an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a base materia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yers means the total thickness of all layers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기재는 두께의 정밀도가 높은 것, 즉, 부위에 상관없이 두께의 편차가 억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 재료 중, 이러한 두께의 정밀도가 높은 기재를 구성하는데 사용 가능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이외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has high accuracy in thickness, that is, the variation in thickness is suppressed regardless of the portion. Amo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materials, examples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construct a substrate with such a high accuracy in thickness include polyethylene, polyolefins other than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the like.

기재는 상기 수지 등의 주된 구성 재료 이외에, 충전재, 착색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유기 윤활제, 촉매, 연화제(가소제) 등의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The base material may contain various known additives such as fillers, colorants, antistatic agents, antioxidants, organic lubricants, catalysts, softeners (plasticizers), in addition to the main constituent materials such as the resin.

기재는 투명해도 되고, 불투명해도 되며, 목적에 따라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층이 증착되어 있어도 된다. The substrate may be transparent or opaque, may be colored depending on the purpose, or may be deposited with another layer.

기재는 그 위에 형성되는 중간층 등의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샌드 블라스트 처리, 용제 처리 등에 의한 요철화 처리나, 코로나 방전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자외선 조사 처리, 화염 처리, 크롬산 처리, 열풍 처리 등의 산화 처리 등이 표면에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other layers such as an intermediate layer formed thereon, the substrate is uneven treatment, corona discharge treatment, electron beam irradiation treatment, plasma treatment, ozone/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flame treatment, etc. The surface may be subjected to oxidation treatment such as treatment, chromic acid treatment, or hot air treatment.

또한, 기재는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may have been subjected to a primer treatment on the surface.

또한, 기재는 대전 방지 코트층;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중첩하여 보존할 때, 기재가 다른 시트에 접착하는 것이나, 기재가 흡착 테이블에 접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층 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is an antistatic coating layer; Whe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is superimposed and stored, the substrate may be adhered to another sheet, or may have a layer that prevents the substrate from adhering to the adsorption table.

기재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는, 상기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substrate can be manufactur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base material containing a resin can be produced by mold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in.

<중간층><Middle floor>

상기 중간층은 기재와 필름상 접착제 사이에 배치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intermediat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film-like adhesive and exhibits its function.

중간층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한쪽 면이 박리 처리되어 있는 박리성 개선층을 들 수 있다. As the intermediate layer,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peelability improving layer in which one side is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is mentioned.

○박리성 개선층○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상기 박리성 개선층은 시트상 또는 필름상이다. The peelability improving layer is in the form of a sheet or a film.

박리성 개선층으로는, 예를 들면,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에 형성된 박리 처리층을 구비하여 구성된,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반도체 가공용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 개선층은 그 박리 처리층이 필름상 접착제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Examples of the peelability improving layer include a resin layer and a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comprising a peeling treatment layer formed on the resin layer.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s for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the peeling treatment layer is disposed toward the film-like adhesive side.

박리성 개선층 중, 상기 수지층은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Among the peelability improving layers, the resin layer can be produced by mold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그리고, 박리성 개선층은 상기 수지층의 한쪽 면을 박리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And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can be manufactured by peeling-processing one side of the said resin layer.

상기 수지층의 박리 처리는 예를 들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왁스계 등의, 공지의 각종 박리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The peeling treatment of the resin layer can be performed with various known release agents such as alkyd-based, silicone-based, fluorine-based, unsaturated polyester-based, polyolefin-based, or wax-based, for example.

상기 박리제는 내열성을 갖는 점에서는, 알키드계,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박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heat resistance, the release agent is preferably an alkyd-based, silicone-based, or fluorine-based release agent.

상기 수지층의 구성 재료인 수지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sin which i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esin lay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수지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틸렌(PE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PP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Preferred examples of the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some abbreviated as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sometimes abbreviated as PEN),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some abbreviated as PBT). ), polyethylene (some abbreviated as PE), polypropylene (some abbreviated as PP), and the like.

상기 수지층은 1층(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복수층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되고, 이들 복수층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sin layer may be composed of one layer (single laye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and when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combination of these plurality of layers is particularly Not limited.

박리성 개선층의 두께(수지층 및 박리 처리층의 합계의 두께)는 10∼2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1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12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박리성 개선층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박리성 개선층의 작용이 보다 현저해지고, 또한, 박리성 개선층의 절단 등의 파손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박리성 개선층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후술하는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픽업시, 밀어올리는 힘이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에 전달되기 쉬워져, 픽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eelability improving layer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and the peeling treatment layer) is preferably 10 to 2000 nm, more preferably 25 to 15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 to 1200 nm. When the thickness of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is more than the above lower limit, the effect of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becomes more remarkable,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breakage such as cutting of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becomes higher. When the thickness of the peelability improvement lay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upper limit, when picking up a semiconductor chip with a film-like adhesive to be described later, the pushing force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film-like adhesive is formed, and pickup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have.

이어서,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예를 지지 시트의 종류별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each type of support shee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설명된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그 설명된 도면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after FIG. 2,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the previously 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illustrated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여기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A)는 지지 시트(10)를 구비하고, 지지 시트(10) 상에 필름상 접착제(1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시트(10)는 기재(11)만으로 이루어지고, 반도체 가공용 시트(1A)는 다시 말하면, 기재(11)의 한쪽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1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11a) 상에 필름상 접착제(13)가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1A)는 추가로 필름상 접착제(13) 상에 박리 필름(15)을 구비하고 있다. The sheet 1A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here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sheet 10, and the film-like adhesive 13 is provided on the support sheet 10. The support sheet 10 consists of only the substrate 11, and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A is,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substrate 11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urface'') 11a ) On the film-like adhesive 13 has a laminated configuration. Moreover, the sheet|seat 1A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is equipped with the peeling film 15 on the film adhesive 13 further.

반도체 가공용 시트(1A)에 있어서는, 기재(11)의 제1 면(11a)에 필름상 접착제(13)가 적층되고, 필름상 접착제(13)의, 기재(11)를 구비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1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13a)의 일부, 즉, 주연부 근방의 영역에 지그용 접착제층(16)이 적층되며,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 중, 지그용 접착제층(16)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과, 지그용 접착제층(16) 중, 필름상 접착제(13)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면(16a)(상면 및 측면)에 박리 필름(15)이 적층되어 있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A, a film adhesive 13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and the side of the film adhesive 13 provided with the substrate 11 is A jig adhesive layer 16 is laminated on a part of the opposite side (in this specific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urface'') 13a, that is, in the area near the periphery, and the film-like adhesive 13 Of the first surface 13a, a surface on which the jig adhesive layer 16 is not laminated, and of the jig adhesive layer 16, a surface 16a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lm adhesive 13 (the upper surface and The release film 15 is laminated on the side surface).

여기서, 기재(11)의 제1 면(11a)은 지지 시트(10)의 제1 면(10a)으로도 칭한다. Here,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base material 11 is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support sheet 10.

박리 필름(15)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박리 필름(151) 또는 제2 박리 필름(152)과 동일한 것이다. The release film 15 is the same as the first release film 151 or the second release film 152 shown in FIG. 1.

지그용 접착제층(16)은 예를 들면, 접착제 성분을 함유하는 단층 구조인 것이어도 되고, 심재가 되는 시트의 양면에 접착제 성분을 함유하는 층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인 것이어도 된다. The jig adhesive layer 16 may have, for example, a single-layer structure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or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layers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ar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a sheet serving as a core material.

반도체 가공용 시트(1A)는 박리 필름(15)이 제거된 상태로,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에 반도체 웨이퍼(도시 생략)의 이면이 첩부되고, 또한, 지그용 접착제층(16)의 면(16a) 중 상면이 링 프레임 등의 지그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A, with the release film 15 removed,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not shown) is affixed to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film-like adhesive 13, and the jig adhesive layer Among the surfaces 16a of (16),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a jig such as a ring frame and used.

도 3은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B)는 지그용 접착제층(16)을 구비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A)와 동일하다. 즉, 반도체 가공용 시트(1B)에 있어서는, 기재(11)의 제1 면(11a)(지지 시트(10)의 제1 면(10a))에 필름상 접착제(13)가 적층되고,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의 전체면에 박리 필름(15)이 적층되어 있다. The sheet 1B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here is the same as the sheet 1A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jig adhesive layer 16 is not provided. That is, in the sheet 1B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the film adhesive 13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support sheet 10), and the film adhesive The release film 15 is lamin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3a of (13).

다시 말하면, 반도체 가공용 시트(1B)는 기재(11), 필름상 접착제(13), 및 박리 필름(15)이 이 순서로, 이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sheet 1B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the substrate 11, the film-like adhesive 13, and the release film 15 a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도 3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B)는 도 2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A)의 경우와 동일하게, 박리 필름(15)이 제거된 상태로,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 중, 중앙측 일부의 영역에 반도체 웨이퍼(도시 생략)의 이면이 첩부되고, 또한, 필름상 접착제(13)의 주연부 근방의 영역이 링 프레임 등의 지그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The sheet 1B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3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sheet 1A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2, with the release film 15 removed, and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film-like adhesive 13 ),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not shown) is affixed to a partial region on the center side, and the region near the periphery of the film-like adhesive 13 is affixed to a jig such as a ring frame and used.

도 4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C)는 기재(11)와, 필름상 접착제(13) 사이에 추가로, 중간층(12)을 구비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A)와 동일하다. 지지 시트(10)는 기재(11) 및 중간층(12)의 적층체이며, 반도체 가공용 시트(1C)도, 지지 시트(10)의 제1 면(10a) 상에 필름상 접착제(13)가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The sheet 1C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here is the same as the sheet 1A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2 except that an intermediate layer 12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11 and the film-like adhesive 13 Do. The support sheet 10 is a laminate of the substrate 11 and the intermediate layer 12, and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1C is also laminated with a film-like adhesive 13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support sheet 10 Has a configuration.

반도체 가공용 시트(1C)에 있어서는, 기재(11)의 제1 면(11a)에 중간층(12)이 적층되고, 중간층(12)의, 기재(11)측과는 반대측 면(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1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12a)의 전체면에 필름상 접착제(13)가 적층되며,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의 일부, 즉, 주연부 근방의 영역에 지그용 접착제층(16)이 적층되고, 필름상 접착제(13)의 제1 면(13a) 중, 지그용 접착제층(16)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과, 지그용 접착제층(16) 중, 필름상 접착제(13)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면(16a)(상면 및 측면)에 박리 필름(15)이 적층되어 있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C, the intermediate layer 12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and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bstrate 11 side (in this specification, The film-like adhesive 13 is lamin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12a, and a part of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film-like adhesive 13, that is, a region near the periphery The jig adhesive layer 16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film adhesive 13, the surface on which the jig adhesive layer 16 is not laminated, and the jig adhesive layer 16 , The release film 15 is laminated on the surface 16a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lm-like adhesive 13.

반도체 가공용 시트(1C)에 있어서는, 중간층(12)이 상기 박리성 개선층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중간층(12)의 기재(11)측의 층이 상기 수지층(도시 생략)이 되고, 중간층(12)의 필름상 접착제(13)측의 층이 상기 박리 처리층(도시 생략)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중간층(12)의 제1 면(12a)은 박리 처리면이 된다. 이러한 중간층(12)은 후술하는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픽업시에 있어서, 필름상 접착제(도 4 중의 필름상 접착제(13)가 절단된 것)의 박리가 용이하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C, when the intermediate layer 12 is the above-described peelability improving layer, for example, the layer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11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becomes the resin layer (not shown), The layer on the side of the film-like adhesive 13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becomes the above-described peeling treatment layer (not shown).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first surface 12a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becomes a peeling treatment surface. This intermediate layer 12 is easily peeled off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film-like adhesive 13 in Fig. 4 is cut off) at the time of pickup of the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film-like adhesive described later is formed.

도 4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C)는 박리 필름(15)이 제거된 상태로, 필름상 접착제(13) 제 1면(13a)에 반도체 웨이퍼(도시 생략)의 이면이 첩부되고, 또한 지그용 접착제층(16)의 면(16a) 중 상면이 링 프레임 등의 지그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C shown in Fig. 4, the back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not shown) is affixed to the first surface 13a of the film-like adhesive 13, with the release film 15 removed, and further for a jig.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16a of the adhesive layer 16 is attached to a jig such as a ring frame and used.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는 지그용 접착제층(16)을 구비하지 않고, 또한 필름상 접착제의 형상이 상이한 점 이외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C)와 동일하다. 즉,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는 기재(11)를 구비하고, 기재(11) 상에 중간층(12)을 구비하며, 중간층(12) 상에 필름상 접착제(2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시트(10)는 기재(11) 및 중간층(12)의 적층체이며,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도, 지지 시트(10)의 제1 면(10a) 상에 필름상 접착제(23)가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The sheet 1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here is the same as the sheet 1C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4 except that the jig adhesive layer 16 is not provided and the shape of the film-like adhesive is different. That is, the sheet 1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is provided with the base material 11, the intermediate layer 12 is provided on the base material 11, and the film adhesive 23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layer 12. The support sheet 10 is a laminate of the substrate 11 and the intermediate layer 12, and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1D is also laminated with a film adhesive 23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support sheet 10 Has a configuration.

반도체 가공용 시트(1D)에 있어서는, 기재(11)의 제1 면(11a)에 중간층(12)이 적층되고, 중간층(12)의 제1 면(12a)의 일부, 즉, 중앙측 영역에 필름상 접착제(23)가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층(12)의 제1 면(12a) 중, 필름상 접착제(23)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필름상 접착제(23) 중, 중간층(12)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면(23a)(상면 및 측면) 상에 박리 필름(15)이 적층되어 있다.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D, the intermediate layer 12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and a part of the first surface 12a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that is, a film on the center side region. The upper adhesive 23 is laminated. And, of the first surface 12a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a region in which the film adhesive 23 is not laminated, and of the film adhesive 23, a surface 23a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layer 12 The release film 15 is laminated on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를 상방으로부터 내려다보아 평면에서 볼 때, 필름상 접착제(23)는 중간층(12)보다 표면적이 작고, 예를 들면, 원 형상 등의 형상을 갖는다. Whe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D is viewed from above and viewed in a plan view, the film adhesive 23 has a smaller surface area than the intermediate layer 12, and has a shape such as a circle shape.

도 5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는 박리 필름(15)이 제거된 상태로, 필름상 접착제(23)의 면(23a) 중 상면에 반도체 웨이퍼(도시 생략)의 이면이 첩부되고, 또한, 중간층(12)의 제1 면(12a) 중, 필름상 접착제(23)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링 프레임 등의 지그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In the sheet 1D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 5, with the release film 15 removed, the back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not shown) is af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s 23a of the film-like adhesive 23, and Of the first surface 12a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a region in which the film-like adhesive 23 is not laminated is affixed to a jig such as a ring frame and used.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1D)에 있어서는, 중간층(12)의 제1 면(12a) 중, 필름상 접착제(23)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지그용 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도시 생략). 이러한 지그용 접착제층을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1D)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경우와 동일하게, 지그용 접착제층의 면 중 상면이 링 프레임 등의 지그에 첩부되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D shown in FIG. 5, in the region in which the film-like adhesive 23 is not laminated, among the first surface 12a of the intermediate layer 12, as shown in FIGS. 2 and 4 Similarly, a jig adhesive layer may be laminated (not show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1D provided with such a jig adhesive layer is us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jig adhesive layer affixed to a jig such as a ring frame, as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shown in FIGS. 2 and 4. do.

이와 같이,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지지 시트 및 필름상 접착제가 어떠한 형태여도, 지그용 접착제층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단, 통상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용 접착제층을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로는, 필름상 접착제 상에 지그용 접착제층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may have any form of the supporting sheet and the film-like adhesive or provided with a jig adhesive layer. However, usually as shown in Figs. 2 and 4, as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a jig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a jig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a film adhesive.

본 발명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도 2∼도 5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도 2∼도 5에 나타내는 것의 일부의 구성이 변경 또는 삭제된 것이나, 지금까지 설명한 것에 또 다른 구성이 추가된 것이어도 된다.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s shown in Figs. 2 to 5, and parts of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2 to 5 have been changed or delet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configuration may be added to the one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기재, 중간층, 필름상 접착제, 및 박리 필름 이외의 층이 임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For example,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shown in Figs. 2 to 5, a base material, an intermediate layer, a film-like adhesive, and a layer other than a release film may be formed at arbitrary locations.

또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에 있어서는, 박리 필름과, 이 박리 필름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층 사이에 일부 간극이 생성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 partial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release film and the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lease film.

또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에 있어서는, 각 층의 크기나 형상은 목적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the size and shape of each laye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사용 방법◇How to use film adhesive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본 발명의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제조를 거쳐,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The film adhesive and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package and a semiconductor device through the production of a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film adhesive is formed.

지지 시트를 구비하지 않은 필름상 접착제는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첩부된 후,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박리 필름이 제거되고, 그 노출면(다시 말하면, 반도체 웨이퍼에 첩부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 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제2 면」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다이싱 시트가 첩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다이싱 시트,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웨이퍼가 이 순서로, 이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는 이 후, 공지의 다이싱 공정에 제공된다. 한편, 다이싱 시트 및 필름상 접착제의 적층 구조는 다이싱 다이 본딩 시트로 간주할 수 있다. After the film-like adhesive without the supporting sheet is af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for example, the release film is removed as necessary, and the exposed surface (that is,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affixed to the semiconductor wafer. In this specification, a dicing sheet is affixed to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The thus obtained dicing sheet, film adhesive, and semiconductor wafer a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ir thickness direction, and a laminated structure is then subjected to a known dicing step. On the other hand, the laminated structure of a dicing sheet and a film adhesive can be regarded as a dicing die bonding sheet.

다이싱 공정을 행함으로써, 반도체 웨이퍼는 복수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할됨과 함께, 필름상 접착제도 반도체 칩의 외주를 따라 절단되고, 이 절단 후의 필름상 접착제를 이면에 구비한 반도체 칩(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얻어진다. By performing the dicing process, the semiconductor waf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and the film adhesive is also cu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semiconductor chip (film adhesive is It may be referred to as a formed semiconductor chip).

한편, 상기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이미 다이싱 다이 본딩 시트로서의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가공용 시트가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에 첩부된 단계에서, 반도체 가공용 시트(다이싱 시트,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웨이퍼가 이 순서로, 이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를 얻은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시트를 구비하지 않은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 제2 면에 다이싱 시트를 첩부한 경우와 동일 방법으로, 이후,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이 얻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lready has a structure as a dicing die bonding sheet. Therefore, in the step in which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is af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wafer, after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dicing sheet, film-like adhesive) and the semiconductor wafer are obtained in this order, a laminated structure stacked in their thicknes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 semiconductor chip with a film adhesive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a dicing sheet is affixed to the second surface using a film adhesive not provided with a support sheet.

반도체 웨이퍼의 다이싱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dic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any known metho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반도체 웨이퍼의 바람직한 다이싱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방법(즉, 블레이드 다이싱), 레이저 조사에 의해 행하는 방법(즉, 레이저 다이싱), 연마제를 포함하는 물의 분사에 의해 행하는 방법(즉, 워터 다이싱) 등의, 반도체 웨이퍼를 절삭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Preferred dicing methods for semiconductor wafers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using a blade (ie, blade dicing), a method performed by laser irradiation (ie, laser dicing), and a method performed by spraying water containing an abrasive. A method of cutting a semiconductor wafer, such as (that is, water dicing), is mentioned.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한 경우에도,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은 이 후, 다이싱 시트로부터 분리되고(픽업 되고), 필름상 접착제에 의해 기판의 회로 형성면에 다이 본딩된다. 이후는 종래법과 동일 방법으로,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장치가 제조된다. Even when either a film adhesive or a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is used, the semiconductor chip on which the obtained film adhesive is formed is then separated from the dicing sheet (picked up) and die-bonded to the circuit formation surface of the substrate by the film adhesive. do. Thereafter, a semiconductor package and a semiconductor device a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이 다이 본딩된 반도체 칩에 추가로 반도체 칩을 적어도 1개 적층하고, 와이어 본딩을 행한 후, 얻어진 것 전체를 수지에 의해 봉지 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가 제작된다. 그리고, 이 반도체 패키지를 사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작된다. For example, if necessary, at least one semiconductor chip is further laminated on the die-bonded semiconductor chip, wire bonding is performed, and then the entire obtained product is sealed with a resin to produce a semiconductor package. And using this semiconductor package, a target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본 발명의 필름상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반도체 패키지는 신뢰성이 높은 것이 된다. By using the film-lik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tained semiconductor package becomes highly reliable.

하나의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필름상 접착제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이다: In one aspect, the film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1)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0으로 했을 때, (I-1) When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T 168 , and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T 0 ,

상기 T168이 50∼78℃이며, The T 168 is 50 to 78°C,

상기 T0이 59∼71℃이고, The T 0 is 59 to 71°C,

상기 T168과 상기 T0의 차 △T168이 0∼7℃이며; The difference between the T 168 and the T 0 △ T 168 is 0~7 ℃ and;

(II-1)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겔분율을 W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II-1)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W 168 ,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is W 0 ,

상기 W168이 9∼12%이며, W 168 is 9 to 12%,

상기 W0이 3∼8% 또는 5∼8%이고, W 0 is 3 to 8% or 5 to 8%,

상기 W168과 상기 W0으로부터 구해지는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113∼150%이며; 또한 The rate of change RW 168 of the gel fraction determined from W 168 and W 0 is 113 to 150%; In addition

(III-1)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0으로 했을 때, (III-1) Th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61:1994 after storage at 40° C. for 168 hours of the film adhesive is F 168 , and measurement according to JIS K7161:1994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hen one breaking elongation is F 0 ,

상기 F168이 0∼23%, 또는 5∼23%이며, F 168 is 0 to 23%, or 5 to 23%,

상기 F0이 700∼800%이고, The F 0 is 700 to 800%,

상기 F168과 상기 F0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560∼700%이다. The reduction ratio RF 168 of the breaking elongation calculated from F 168 and F 0 is 560 to 700%.

또한, 상기 필름상 접착제는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In addition, the film adhesive is formed of a film adhesive composition,

상기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은 중합체 성분(a),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 경화 촉진제(c), 충전재(d), 및 커플링제(e)를 포함하며; The film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component (a), an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a curing accelerator (c), a filler (d), and a coupling agent (e);

상기 중합체 성분(a)은 The polymer component (a) is

아크릴산n-부틸(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부), 아크릴산메틸(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70∼80질량부), 메타크릴산글리시딜(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5질량부), 및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20질량부)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N-butyl acrylate (preferably 10 to 15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methyl acrylate (preferably 70 to 8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 glycidyl methacrylate (preferably 2 to 5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and 2-hydroxyethyl acrylat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 Preferably 15 to 2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or

아크릴산n-부틸(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50질량부), 아크릴산에틸(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30질량부), 아크릴로니트릴(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4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글리시딜(상기 중합체 성분(a)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5질량부)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이고; N-butyl acrylat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preferably 40 to 50 parts by mass), ethyl acrylat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preferably 20 to 30 parts by mass) ), acrylonitril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preferably 20 to 40 parts by mass), and glycidyl methacrylat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preferably Is an acrylic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ing 2 to 5 parts by mass);

상기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는 에폭시 수지(b1)와 열경화제(b2)로 이루어지며;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s composed of an epoxy resin (b1) and a thermosetting agent (b2);

상기 에폭시 수지(b1)는 The epoxy resin (b1) is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다관능 방향족형(트리페닐렌형) 에폭시 수지이고,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이며;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and polyfunctional aromatic type (triphenylene type) epoxy resin, or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and dicyclopentadiene type epoxy resin;

상기 열경화제(b2)는 o-크레졸형 노볼락 수지이고; The thermosetting agent (b2) is an o-cresol-type novolac resin;

상기 경화 촉진제(c)는The curing accelerator (c) is

5-히드록시이소프탈산(HIPA) 1분자와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2P4MHZ) 2분자의 포접 화합물, 또는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이며; Inclusion compound of 1 molecule of 5-hydroxyisophthalic acid (HIPA) and 2 molecules of 2-phenyl-4-methyl-5-hydroxymethylimidazole (2P4MHZ), or 2-phenyl-4,5-dihydroxymethyl Imidazole;

상기 충전재(d)는 구상 실리카(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직경이 0.01∼0.05㎛)이고; 또한 The filler (d) is spherical silica (preferably,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0.01 to 0.05 μm); In addition

상기 커플링제(e)는 에폭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이며, 또는 에폭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인 The coupling agent (e) is an oligomeric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epoxy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or an oligomeric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epoxy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and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hosphorus

필름상 접착제여도 된다. It may be a film adhesive.

또한, 상기 필름상 접착제는 In addition, the film-like adhesive

상기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이, 상기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의 총 함유량(즉, 상기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해, 7∼12질량%이고; The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is 7 to 12%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content of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lm-like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the total mass of the film-lik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메타크릴산글리시딜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중합체 성분(a)을 구성하는 구성 단위의 전체량에 대해, 2∼5질량%이며; The ratio of the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is 2 to 5%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structural unit constituting the polymer component (a);

상기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함유량이, 상기 중합체 성분(a)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600∼1000질량부이고; The content of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is 600 to 100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component (a);

상기 경화 촉진제(c)의 함유량이, 상기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1∼2질량부이며;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c) is 0.1 to 2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상기 충전재(d)의 함유량이, 상기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의 총 함유량(즉, 상기 필름상 접착제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해, 15∼30질량%이고; 또한 The content of the filler (d) is 15 to 30%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content of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lm-like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the total mass of the film-like adhesive composition); In addition

상기 커플링제(e)의 함유량이, 상기 중합체 성분(a) 및 상기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의 총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0.1∼5질량부인The content of the coupling agent (e) is 0.1 to 5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content of the polymer component (a) and the epoxy-based thermosetting resin (b).

필름상 접착제여도 된다. It may be a film adhesive.

실시예Example

이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t all limited to the examples shown below.

<모노머><Monomer>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약기하고 있는 모노머의 정식 명칭을 이하에 나타낸다. In the present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official names of the abbreviated monomers are shown below.

BA: 아크릴산n-부틸BA: n-butyl acrylate

MA: 아크릴산메틸MA: methyl acrylate

HEA: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2-hydroxyethyl acrylate

GMA: 메타크릴산글리시딜GMA: Glycidyl methacrylate

EA: 아크릴산에틸EA: ethyl acrylate

AN: 아크릴로니트릴AN: Acrylonitrile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원료><Materials for manufacturing adhesive composition>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 원료를 이하에 나타낸다. In the present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raw materials used for produc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shown below.

[중합체 성분(a)][Polymer component (a)]

(a)-1: BA(10질량부), MA(70질량부), GMA(5질량부), 및 HEA(15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중량 평균 분자량 350000, 유리 전이 온도 -1℃)(a)-1: Acrylic resi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350000,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btained by copolymerizing BA (10 parts by mass), MA (70 parts by mass), GMA (5 parts by mass), and HEA (15 parts by mass)- 1℃)

(a)-2: BA(40질량부), EA(25질량부), AN(30질량부), 및 GMA(5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중량 평균 분자량 700000, 유리 전이 온도 -14℃)(a)-2: Acrylic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ation of BA (40 parts by mass), EA (25 parts by mass), AN (30 parts by mass), and GMA (5 parts by mas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700000,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4℃)

(a)-3: BA(55질량부), MA(10질량부), GMA(20질량부), 및 HEA(15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중량 평균 분자량 800000, 유리 전이 온도 -28℃)(a)-3: Acrylic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ing BA (55 parts by mass), MA (10 parts by mass), GMA (20 parts by mass), and HEA (15 parts by mas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800000,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28℃)

(a)-4: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스테르(도요보사 제조 「바일론 220」, 중량 평균 분자량 35000, 유리 전이 온도 53℃)(a)-4: Thermoplastic resin, polyester (Toyobo Corporation "Vylon 220",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35000,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53 degreeC)

[에폭시 수지(b1)][Epoxy resin (b1)]

(b1)-1: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JER828」, 에폭시 당량 184∼194g/eq)(b1)-1: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JER82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poxy equivalent 184 to 194 g/eq)

(b1)-2: 다관능 방향족형(트리페닐렌형) 에폭시 수지(닛폰 화약사 제조 「EPPN-502H」, 에폭시 당량 167g/eq, 연화점 54℃, 중량 평균 분자량 1200)(b1)-2: Polyfunctional aromatic type (triphenylene type) epoxy resin ("EPPN-502H" manufactured by Nippon Explosives Co., Ltd., epoxy equivalent 167 g/eq, softening point 54°C,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200)

(b1)-3: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YL983U」, 에폭시 당량 170g/eq)(b1)-3: Bisphenol F-type epoxy resin ("YL983U"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poxy equivalent 170 g/eq)

(b1)-4: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닛폰 화약사 제조 「XD-1000-L」, 에폭시 당량 248g/eq)(b1)-4: Dicyclopentadiene type epoxy resin ("XD-1000-L" manufactured by Nippon Explosives Co., Ltd., epoxy equivalent 248 g/eq)

(b1)-5: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아크릴 고무 미립자의 혼합물(닛폰 화약사 제조 「BPA328」, 에폭시 당량 235g/eq)(b1)-5: A mixture of liqui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and acrylic rubber fine particles ("BPA328" manufactured by Nippon Explosives Co., Ltd., epoxy equivalent 235 g/eq)

(b1)-6: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DIC사 제조 「에피클론 HP-7200HH」, 에폭시 당량 255∼260g/eq)(b1)-6: Dicyclopentadiene type epoxy resin ("Epiclon HP-7200HH" manufactured by DIC, epoxy equivalent 255 to 260 g/eq)

[열경화제(b2)][Thermal Curing Agent (b2)]

(b2)-1: o-크레졸형 노볼락 수지(DIC사 제조 「페놀라이트 KA-1160」)(b2)-1: o-cresol-type novolac resin ("Phenolite KA-1160" manufactured by DIC)

(b2)-2: 노볼락형 페놀 수지(o-크레졸형 이외의 노볼락 수지, 쇼와 전공사 제조 「BRG-556」)(b2)-2: novolac-type phenolic resin (novolac resin other than o-cresol-type, Showa Electric Corporation ``BRG-556'')

(b2)-3: 디시안디아미드(ADEKA사 제조 「아데카하드너 EH-3636AS」, 고체 분산형 잠재성 경화제, 활성 수소량 21g/eq)(b2)-3: Dicyandiamide ("Adeka Hardener EH-3636AS" manufactured by ADEKA, solid dispersion type latent curing agent, active hydrogen amount 21 g/eq)

[경화 촉진제(c)][Hardening accelerator (c)]

(c)-1: 5-히드록시이소프탈산(HIPA) 1분자와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2P4MHZ) 2분자의 포접 화합물(닛폰 소다사 제조 「HIPA-2P4MHZ」)(c)-1: Inclusion compound of 1 molecule of 5-hydroxyisophthalic acid (HIPA) and 2 molecules of 2-phenyl-4-methyl-5-hydroxymethylimidazole (2P4MHZ) (manufactured by Nippon Soda Corporation ``HIPA- 2P4MHZ」)

(c)-2: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시코쿠 화성공업사 제조 「큐어졸 2PHZ-PW」)(c)-2: 2-phenyl-4,5-dihydroxymethylimidazole (Shikoku Chemical Industry Co., Ltd. "Curesol 2PHZ-PW")

[충전재(d)][Filling material (d)]

(d)-1: 에폭시기로 수식된 구형 실리카(아드마텍스사 제조 「아드마나노 YA050C-MKK」, 평균 입자 직경 50㎚)(d)-1: spherical silica modified with an epoxy group ("Admanano YA050C-MKK" manufactured by Admatex, average particle diameter 50 nm)

(d)-2: 실리카 필러(아드마텍스사 제조 「SC2050MA」, 에폭시계 화합물로 표면 수식된 실리카 필러, 평균 입자 직경 500㎚)(d)-2: Silica filler ("SC2050MA" manufactured by Admatex, a silica filler surface-modified with an epoxy compou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0 nm)

[커플링제(e)][Coupling agent (e)]

(e)-1: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BM-403」, 실란 커플링제, 메톡시 당량 12.7mmol/g, 분자량 236.3)(e)-1: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Silicone Co., Ltd., silane coupling agent, methoxy equivalent 12.7 mmol/g, molecular weight 236.3)

(e)-2: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BE-403」, 실란 커플링제, 메톡시 당량 8.1mmol/g, 분자량 278.4)(e)-2: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KBE-403" manufactured by Shin-Etsu Silicone Co., Ltd., silane coupling agent, methoxy equivalent 8.1 mmol/g, molecular weight 278.4)

(e)-3: 에폭시기, 메틸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올리고머형 실란 커플링제(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X-41-1056」, 에폭시 당량 280g/eq)(e)-3: An oligomeric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n epoxy group, a methyl group, and a methoxy group ("X-41-1056" manufactured by Shin-Etsu Silicone Co., Ltd., epoxy equivalent 280 g/eq)

(e)-4: 트리메톡시[3-(페닐아미노)프로필]실란(도레이·다우사 제조 「SZ6083」, 실란 커플링제)(e)-4: Trimethoxy[3-(phenylamino)propyl]silane ("SZ6083" manufactured by Toray Dow, silane coupling agent)

(e)-5: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부가시킨 실리케이트 화합물(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MKC 실리케이트 MSEP2」)(e)-5: Silicate compound to which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was added ("MKC silicate MSEP2"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가교제(f)][Crosslinking agent (f)]

(f)-1: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도요 켐사 제조 「BHS8515」)(f)-1: Tolylene diisocyanate trimer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BHS8515" manufactured by Toyo Chem)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g)][Energy ray curable resin (g)]

(g)-1: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아크릴레이트(닛폰 화약사 제조 「KAYARAD R-684」, 자외선 경화성 수지, 분자량 304)(g)-1: Tricyclodecanedimethylol diacrylate ("KAYARAD R-684" manufactured by Nippon Explosives, UV-curable resin, molecular weight 304)

[광중합 개시제(h)][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h)]

(h)-1: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사 제조 「IRGACURE(등록상표) 184」)(h)-1: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184" manufactured by BASF)

(h)-2: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BASF사 제조 「IRGACURE(등록상표) 369」)(h)-2: 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butanone-1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369" manufactured by BASF))

[실시예 1][Example 1]

<<필름상 접착제의 제조>><<Manufacture of film adhesive>>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중합체 성분((a)-1)(10질량부), 에폭시 수지((b1)-1)(20질량부), 에폭시 수지((b1)-2)(25질량부), 열경화제((b2)-1)(25질량부), 경화 촉진제((c)-1)(0.3질량부), 충전재((d)-1)(20질량부), 커플링제((e)-1)(0.3질량부), 커플링제((e)-2)(0.4질량부), 및 커플링제((e)-3)(0.5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23℃에서 교반함으로써, 고형분 농도가 55질량%인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여기에 나타내는 메틸에틸케톤 이외의 성분의 배합량은 모두 고형분 환산값이다. Polymer component ((a)-1) (10 parts by mass), epoxy resin ((b1)-1) (20 parts by mass), epoxy resin ((b1)-2) (25 parts by mass), thermosetting agent ((b2) )-1) (25 parts by mass), curing accelerator ((c)-1) (0.3 parts by mass), filler ((d)-1) (20 parts by mass), coupling agent ((e)-1) (0.3 Parts by mass), coupling agent ((e)-2) (0.4 parts by mass), and coupling agent ((e)-3) (0.5 parts by mass) are dissolved or dispersed in methyl ethyl ketone and stirred at 23°C, A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55% by mass was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blending amounts of components other than methyl ethyl ketone shown here are all values in terms of solid content.

<필름상 접착제의 제조><Production of film adhesiv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필름의 한쪽 면이, 실리콘 처리에 의해 박리 처리되어 있는 박리 필름(린텍사 제조 「SP-PET381031H」, 두께 38㎛)의 상기 박리 처리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고, 100℃에서 2분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20㎛의 필름상 접착제를 형성했다.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as peeled off by a silicone treatment, on the peeling-treated side of a release film (“SP-PET381031H” manufactured by Lintec, a thickness of 38 μm) It was coated and dried by heating at 100° C. for 2 minutes to form a film-lik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제조>><Production of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의, 박리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 표면(노출면)에, 기재로서 폴리에틸렌제 필름(두께 100㎛)을 첩합함으로써, 기재, 필름상 접착제 및 박리 필름이 이 순서로, 이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되어 구성된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얻었다. By bonding a polyethylene film (thickness 100 μm) as a base material to the surface (exposed surface) of the film adhesive obtained above, opposite to the side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the base material, the film adhesive and the release film are in this order. As a result,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as obtained by laminating in these thickness directions.

<<필름상 접착제의 평가>><<Evaluation of film adhesive>>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차 △T168의 산출><Calculation of the initial detected temperature difference △ T 168 of melt viscosity>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직경 10㎜, 높이 20㎜의 원주 형상 시험편을 제작했다. From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a columnar test piece having a diameter of 10 mm and a height of 20 mm was produced immediately.

캐필러리 레오미터(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CFT-100D」)의 측정 개소에, 이 제작 직후의 시험편을 세트하고, 시험편에 5.10N(50kgf)의 힘을 가하면서, 시험편을 승온 속도 10℃/min으로 50℃에서 120℃까지 승온시켰다. 그리고, 다이에 형성된 직경 0.5㎜, 높이 1.0㎜의 홀로부터의, 시험편의 압출이 개시되었을 때, 즉, 시험편의 용융 점도의 검출이 개시된 온도(초기 검출 온도 T0)(℃)를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t the measuring point of the capillary rheometer ("CFT-100D"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the test piece immediately after this production was set, and while applying a force of 5.10 N (50 kgf) to the test piece, the test piece was heated at a heating rate of 10°C/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50°C to 120°C in min. Th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tection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test piece was started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T 0 ) (° C.) was obtained when extrusion of the test piece was started from the hole formed in the die with a diameter of 0.5 mm and a height of 1.0 mm. Table 1 shows the results.

별도로,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를 그 제작 직후부터, 공기 분위기하의 어두운 곳에 두고, 40℃에서 168시간(1주간) 정치 보존했다. Separately,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was placed in a dark place in an air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its production, and left still at 40°C for 168 hours (1 week).

이 보존 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상기와 동일한 원주상 시험편을 제작했다. From the film-like adhesive after storage, the same columnar test piece as described above was immediately produced.

그리고, 상기 제작 직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제작한 시험편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 보존 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제작한 시험편에 대해, 용융 점도의 검출이 개시된 온도(초기 검출 온도 T168)(℃)를 구했다. 또한, T168과 T0의 차 △T168(℃)을 산출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n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test piece produc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immediately after the production, for the test piece produc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after storag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tection of the melt viscosity was started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T 168 ) (° C.) Saved. Further, the difference ΔT 168 (°C) between T 168 and T 0 was calculated. Table 1 shows these results.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의 산출><Calculation of the change rate RW 168 of the gel fraction>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크기가 2.5㎝×4.0㎝×600㎛인 시트상 시험편(0.5g)을 제작했다. From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a sheet-like test piece (0.5 g) having a size of 2.5 cm x 4.0 cm x 600 µm was produced immediately.

폴리에스테르제 #200 메시에 의해, 이 제작 직후의 시험편을 감싸고, 이 상태의 시험편을 23℃의 메틸에틸케톤(300㎖) 중에 24시간 침지했다. The test piece immediately after this production was wrapped with a polyester #200 mesh, and the test piece in this state was immersed in methyl ethyl ketone (300 ml) at 23°C for 24 hours.

이어서, 메틸에틸케톤 중에서 메시와 함께 시험편을 꺼내고, 메시를 제거한 시험편을 120℃에서 1시간 건조시켰다. Next, the test piece was taken out together with the mesh in methyl ethyl ketone, and the test piece from which the mesh was removed was dried at 120° C. for 1 hour.

이 건조 후의 시험편을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 보존한 후,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 측정값과, 침지 전의 시험편의 질량(0.5 g)으로부터, 겔분율 W0(%)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fter the dried test piece was allowed to stand still for 24 hours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elative humidity, the mass of the test piece was measured. And the gel fraction W 0 (%) was calculated from this measured value and the mass (0.5 g) of the test piece before immersion. Table 1 shows the results.

별도로,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를 그 제작 직후부터, 공기 분위기하의 어두운 곳에 두고, 40℃에서 168시간(1주간) 정치 보존했다. Separately,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was placed in a dark place in an air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its production, and left still at 40°C for 168 hours (1 week).

이 보존 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상기와 동일한 시트상 시험편을 제작했다. 그리고, 상기 제작 직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제작한 시험편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 보존 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제작한 시험편에 대해, 겔분율 W168(%)을 산출했다. 또한, 상기 식 (i)에 따라, 시험편의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을 산출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rom the film-like adhesive after storage, a sheet-like test piece similar to the above was produced immediately. And the gel fraction W 168 (%) was calculated for the test piece produc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after storag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test piece produc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immediately after the above produc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i), the rate of change RW 168 (%) of the gel fraction of the test piece was calculated. Table 1 shows these results.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의 산출><Calculation of RF 168 , the rate of decrease in elongation at break>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즉시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제작 직후의 시험편에 대해, 파단 신도 F0(%)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ccording to JIS K7161:1994, a test piece was immediately produc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and the elongation at break F 0 (%) was measured for the test piece immediately after the production. Table 1 shows the results.

별도로,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상 접착제를 그 제작 직후부터, 공기 분위기하의 어두운 곳에 두고, 40℃에서 168시간(1주간) 정치 보존했다. Separately, the film-like adhesive obtained above was placed in a dark place in an air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its production, and left still at 40°C for 168 hours (1 week).

이어서, 즉시, JIS K7161:1994(ISO 527-1:1993)에 준거하여, 이 보존 후의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시험편에 대해, 파단 신도 F168(%)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식 (ii)에 따라, 시험편의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을 산출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Subsequently, immediately, according to JIS K7161:1994 (ISO 527-1:1993), a test piece was prepar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after storage, and the elongation at break F 168 (%) was measured for this test piece. 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ii), the decrease rate RF 168 (%) of the fracture elongation of the test piece was calculated. Table 1 shows these results.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의 평가><Evaluation of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package>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의 제조)(Manufacture of semiconductor chips with film-like adhesives)

테이프 첩합 장치 (린텍사 제조 「RAD3510」)를 이용하여, 상온하에서, 8인치 실리콘 미러 웨이퍼(두께 720㎛)의 미러면에 표면 보호 테이프(린텍사 제조 「Adwill E-3125KN)를 첩부했다. 그리고, 그라인더(DISCO사 제조 「DFG8760」)를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의, 이 표면 보호 테이프를 첩부한 면과는 반대측 면(즉, 이면)을 연삭했다. 이 때의 연삭은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50㎛가 될 때까지 행하고, 연삭면을 드라이 폴리쉬 마감으로 했다. A surface protection tape ("Adwill E-3125KN" manufactured by Lintec) was affixed to the mirror surface of an 8-inch silicon mirror wafer (720 µm in thickness) at room temperature using a tape bonding apparatus ("RAD3510" manufactured by Lintec). Then, using a grinder ("DFG8760" manufactured by DISCO Corporation), the side surface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 silicon wafer opposite to the surface to which this surface protection tape was affixed was ground. Grinding at this time was performed until the thickness of the silicon wafer became 50 µm, and the grinding surface was made into a dry polish finish.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반도체 가공용 시트에 있어서, 박리 필름을 제거했다. 그리고, 이 실리콘 미러 웨이퍼의 연삭면(이면)에 라미네이트 장치(타이세이 라미네이터사 제조 「VA-400」)를 이용하여,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그 필름상 접착제에 의해 첩부했다. 이 때, 반도체 가공용 시트는 60℃로 가열하고, 첩부 속도 0.6m/min, 첩부 압력 0.5MPa의 조건으로 첩부했다. Next,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obtained above,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The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as affixed to the grinding surface (back surface) of this silicon mirror wafer using a laminating apparatus ("VA-400" manufactured by Taisei Laminator) with the film-like adhesive. At this time,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as heated at 60°C, and affixed under the conditions of an affixing speed of 0.6 m/min and an affixing pressure of 0.5 MPa.

이어서, 실리콘 미러 웨이퍼에 첩부한 후의 반도체 가공용 시트 중, 기재를 필름상 접착제로부터 제거했다. 그리고, 새로 생긴 필름상 접착제의 노출면에 라미네이트 장치(타이세이 라미네이터사 제조 「VA-400」)를 이용하여, 익스팬드 테이프(린텍사 제조 「ADWILL DG889SO5」)를 첩부했다. 이 때, 익스팬드 테이프는 상온하에서 첩부 속도 0.6m/min, 첩부 압력 0.5 MPa의 조건으로 첩부했다. Next, in th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fter affixing to the silicon mirror wafer, the substrate was removed from the film-like adhesive. Then, an expanded tape ("ADWILL DG889SO5" manufactured by Lintec) was affix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newly formed film-like adhesive using a laminating device ("VA-400" manufactured by Taisei Laminator). At this time, the expanded tape was affixed under the conditions of an affixing speed of 0.6 m/min and an affixing pressure of 0.5 MPa under normal temperature.

이어서, 익스팬드 테이프 중, 필름상 접착제에 첩부되어 있지 않은 주연부 근방의 노출면에, 링 프레임 고정용 양면 테이프(린텍사 제조 「ADWILL G-01DF*」)를 첩부했다. 그리고, 익스팬드 테이프, 필름상 접착제, 및 실리콘 미러 웨이퍼가 이 순서로, 이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된 제1 적층 구조체를, 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링 프레임에 고정했다. Next, a double-sided tape for fixing a ring frame ("ADWILL G-01DF*" manufactured by Lintec) was affix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expand tape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al portion not adhered to the film-like adhesive. Then, the expanded tape, the film-like adhesive, and the silicon mirror wafer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the first laminated structure was fixed to the ring frame by this double-sided tape.

이어서, 실리콘 미러 웨이퍼의 미러면으로부터, 상기 표면 보호 테이프를 제거하고, 다이싱 장치(Disco사 제조 「DFD6361」)를 이용하여 다이싱함으로써, 실리콘 미러 웨이퍼를 분할함과 함께, 필름상 접착제도 절단하여, 크기가 8㎜×8㎜인 실리콘 칩을 얻었다. 이 때의 다이싱은 다이싱 블레이드의 이동 속도를 50㎜/sec, 다이싱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40000rpm으로 하고, 익스팬드 테이프에 대해, 그 필름상 접착제의 첩부면으로부터 20㎛의 깊이까지 다이싱 블레이드로 절삭함으로써 행했다. Subsequently, the surface protection tape is removed from the mirror surface of the silicon mirror wafer and diced using a dicing device ("DFD6361" manufactured by Disco) to divide the silicon mirror wafer and cut the film adhesive. Thus, a silicon chip having a size of 8 mm x 8 mm was obtained. In this case, dicing is performed with the dicing blade moving speed of 50 mm/sec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dicing blade at 40000 rpm. For the expanded tape, dicing to a depth of 20 μm from the affixed surface of the film-like adhesive. It was done by cutting with a blade.

이상에 의해, 이면에 절단 후의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복수개의 실리콘 칩(다시 말하면, 복수개의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실리콘 칩)이, 필름상 접착제에 의해 익스팬드 테이프 상에 정렬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제2 적층 구조체를 얻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ilicon chips (that is, a silicon chip on which a plurality of film-like adhesives are formed) having a film-like adhesive after cutting on the back surface is fixed in a state aligned on the expand tape by the film-like adhesive. A second laminated structure was obtained.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Manufacture of semiconductor package)

기판으로서, 구리박 피복 적층판(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HL832NX-A」)의 구리박(두께 18㎛)에 회로 패턴이 형성되고, 이 회로 패턴 상에 솔더 레지스트(타이요 잉크사 제조 「PSR-4000 AUS308」)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시마 전자사 제조 「LN001E-001 PCB(Au) AUS308」)을 준비했다. As a substrate, a circuit pattern was formed on a copper foil (18 µm thick) of a copper foil-clad laminate ("HL832NX-A"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and a solder resist ("PSR-4000 AUS308 manufactured by Taiyo Ink Co., Ltd." The substrate on which the layer was formed ("LN001E-001 PCB (Au) AUS308" manufactured by Shima Electronics Co., Ltd.) was prepared.

한편, 픽업·다이 본딩 장치(캐논 머시너리사 제조 「BESTEM D02」)의 익스팬드 유닛에 상기에서 얻어진 제2 적층 구조체를 설치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aminated structure obtained above was installed in the expand unit of the pickup die bonding apparatus ("BESTEM D02" manufactured by Canon Machinery Co., Ltd.).

이어서, 5개의 핀에 의해, 밀어올림 속도 300㎜/min, 밀어올림량 200㎛의 조건으로, 제2 적층 구조체를 그 익스팬드 테이프측으로부터 밀어올리고, 또한, 크기가 8㎜×8㎜인 콜릿을 이용하여,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실리콘 칩을 익스팬드 테이프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픽업했다. Subsequently, the second laminated structure was pushed up from the expand tape side under conditions of a push-up speed of 300 mm/min and a push-up amount of 200 µm using five pins, and a collet having a size of 8 mm×8 mm Using, the silicon chip on which the film-like adhesive was formed was picked up by separating it from the expand tape.

이어서, 픽업한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실리콘 칩을 상기 기판에 본딩했다. 이 때의 본딩은 120℃로 가열한 필름상 접착제가 형성된 실리콘 칩에 대해, 2.45N(250gf)의 힘을 0.5초 가함으로써 행했다. Next, the silicon chip on which the picked up film-like adhesive was formed was bonded to the substrate. Bonding at this time was performed by applying a force of 2.45 N (250 gf) for 0.5 seconds to the silicon chip on which the film adhesive was formed heated at 120°C.

이어서, 봉지 장치(아픽 야마다사 제조 「MPC-06M TriAl Press」)를 이용하여, 본딩 후의 실리콘 칩 상에 봉지 수지(교세라 케미컬사 제조 「KE-G1250」)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이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고, 두께 400㎛의 봉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봉지 기판을 얻었다. 이 때의 봉지 수지의 경화는, 175℃로 가열한 봉지 수지에 7MPa의 압력을 2분 가함으로써 행했다. Next, a layer made of a sealing resin ("KE-G1250" manufactured by Kyocera Chemical) was formed on the silicon chip after bonding using a sealing device ("MPC-06M TriAl Press" manufactured by Apic Yamada). Then, this sealing resin was cured and a seal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0 µm was formed to obtain a sealing substrate. The curing of the sealing resin at this time was performed by applying a pressure of 7 MPa to the sealing resin heated at 175°C for 2 minutes.

이어서, 이 봉지 기판에 다이싱 테이프(린텍사 제조 「adwill D-510T」)를 첩부하고, 다이싱 장치(Disco사 제조 「DFD6361」)를 이용하여, 다이싱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4000rpm으로 하여, 이 봉지 기판을 다이싱함으로써, 크기가 15㎜×15㎜인 반도체 패키지를 얻었다. Next, a dicing tape ("adwill D-510T" manufactured by Lintec Co., Ltd.) was affixed to this sealing substrat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dicing blade was set to 4000 rpm using a dicing device ("DFD6361" manufactured by Disco Corporation), By dicing this sealing substrate, a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 size of 15 mm x 15 mm was obtained.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의 평가)(Evaluation of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package)

상기에서 얻어진 반도체 패키지에 대해, 즉시, 최고 온도를 260℃로 하여 1분간 가열하는 IR 리플로우를 3회 행했다. 이 때의 IR 리플로우는 탁상 리플로우 오븐(센쥬 금속 공업사 제조 「STR-2010N2M」)을 이용하여 행했다. With respect to the semiconductor package obtained above, IR reflow was performed three times immediately by heating for 1 minute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60°C. IR reflow at this time was performed using a tabletop reflow oven ("STR-2010N2M" manufactured by Senju Metal Industries, Ltd.).

이어서, 초음파 현미경(Sonoscan사 제조 「D-9600」)을 이용하여, 이 IR 리플로우 후의 반도체 패키지를 관찰하고, 접합부의 들뜸의 유무, 접합부의 박리의 유무, 및 패키지 크랙의 유무를 확인했다. 그리고, 접합부의 들뜸, 접합부의 박리, 및 패키지 크랙 전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A」로 판정하고, 어느 쪽이든 1개 이상이 확인된 경우에는 「B」로 판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Next, the semiconductor package after this IR reflow was observed using an ultrasonic microscope ("D-9600" manufactured by Sonosca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fting of the joi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eling of the joi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ckage crack were confirmed. In addition, when lifting of the bonding portion, peeling of the bonding portion, and all of the package cracks were not confirmed, it was determined as "A", and when one or more of them were confirmed, it was determined as "B". Table 1 shows the results.

별도로, 상기에서 얻어진 반도체 패키지를 JEDEC Level 2에 준거하여, 85℃, 상대 습도 60%의 습열 조건하에 있어서, 168시간(1주간) 정치 보존함으로써 흡습시켰다.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JEDEC Level 2, the semiconductor package obtained above was subjected to moisture absorption by standing still for 168 hours (1 week) under moist heat conditions at 85°C and 60% relative humidity.

이어서, 즉시, 이 흡습 후의 반도체 패키지에 대해, 상기 제조 직후의 반도체 패키지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IR 리플로우를 3회 행하고, IR 리플로우 후의 반도체 패키지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Then, immediately, the semiconductor package after moisture absorption was subjected to IR reflow three tim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immediately after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and the semiconductor package after IR reflow was evaluated. Table 1 shows the results.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의 제조, 그리고 필름상 접착제의 평가>> <Production of film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nd evaluation of film adhesives>

[실시예 2, 비교예 1∼2][Example 2, Comparative Examples 1 to 2]

접착제 조성물의 함유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이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도록,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제조하고, 필름상 접착제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Except for changing either or both of the type and amount of the compounded component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so that the type and content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as shown in Table 1, the same as in Example 1 In the same manner, a film adhesive and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ere produced, and the film adhesive was evaluated. Table 1 shows the results.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2에 있어서는, △T168이 7℃ 이하(0∼7℃)이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용융 점도는 안정되어 있었다. 또한, W0이 8%이고, 또한 RW168이 150% 이하(113∼150%)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전의 겔분율이 낮고, 또한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겔분율이 안정되어 있었다. 또한, RF168이 22.8% 이하(22.2∼22.8%)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파단 신도는 안정되어 있었다. As is clear from the above results, in Examples 1 to 2, ΔT 168 was 7°C or less (0-7°C), and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melt viscosity was stable. In addition, W 0 was 8%, RW 168 was 150% or less (113 to 150%),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as low, and the gel fraction was stable during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 Further, RF 168 was 22.8% or less (22.2 to 22.8%), and the elongation at break was stable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이와 같이, 실시예 1∼2의 필름상 접착제는 그 보존 중의 용융 점도, 겔분율, 및 파단 신도가 안정되어 있어,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높았다. In this way, the film adhesives of Examples 1 to 2 had stable melt viscosity, gel fraction, and elongation at break during storage,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 adhesive was high.

그리고, 이들의 결과를 반영하여, 실시예 1∼2에 있어서는, 제조 직후 및 흡습 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높았다. And reflecting these results, in Examples 1 to 2,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was high both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and after moisture absorption.

이에 비해, 비교예 1에 있어서는, △T168이 14℃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용융 점도가 안정되지 않고, 현저히 증대되어 있었다. 또한, W0이 8%이며, 또한 RW168이 300%이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전의 겔분율이 낮기는 했으나,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겔분율이 안정되지 않고, 현저히 증대되어 있었다. 또한, RF168이 85.4%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파단 신도는 안정되지 않고, 현저히 저하되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ΔT 168 was 14°C, and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melt viscosity was not stable and was remarkably increased. Further, W 0 was 8%, RW 168 was 300%,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as low, but during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the gel fraction was not stabilized and increased remarkably. In addition, RF 168 was 85.4%, and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elongation at break was not stabl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이와 같이, 비교예 1의 필름상 접착제는 그 보존 중의 용융 점도, 겔분율, 및 파단 신도가 안정되지 않아,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이 낮았다. Thus, the film adhesive of Comparative Example 1 did not stabilize the melt viscosity, gel fraction, and elongation at break during storage,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ilm adhesive was low.

그리고, 이들의 결과를 반영하여,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제조 직후의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은 높았으나, 흡습 후의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은 일전하여 낮았다. And, in view of these results,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was high, but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after moisture absorption was all at a low level.

비교예 2에 있어서는, △T168이 1℃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용융 점도는 안정되어 있었다. 한편, W0이 18%이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전의 겔분율이 높았다. RW168은 117%이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겔분율은 안정되어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겔분율이 높은 상태인 채로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RF168은 12.5% 이하이고,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중, 그 파단 신도는 안정되어 있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2, ΔT 168 was 1°C, and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melt viscosity was stable. On the other hand, W 0 was 18%, and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 adhesive was high. RW 168 was 117%, and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the gel fraction was stable, but this was merely a state with a high gel fraction. RF 168 was 12.5% or less, and the elongation at break was stable during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이와 같이, 비교예 2의 필름상 접착제는 겔분율이 초기(제조 직후)부터 일관되게 높아, 보존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없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like adhesive of Comparative Example 2 had a consistently high gel fraction from the initial stage (right after production), and it could not be determined that the storage stability was high.

그리고, 이들의 결과를 반영하여,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제조 직후 및 흡습 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이 낮았다. And reflecting these results, in Comparative Example 2, either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or after moisture absorption,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package was low.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높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 가능한 필름상 접착제, 및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구비한 반도체 가공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이용 가능하므로,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ilm adhesive capable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high storage stability and high reliability based on this, and 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rovided with the film adhesive, and thus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 Very useful in industry.

1A, 1B, 1C, 1D…반도체 가공용 시트,
10…지지 시트,
12…중간층,
13, 23…필름상 접착제
1A, 1B, 1C, 1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10… Support sheet,
12... Middle floor,
13, 23... Adhesive on film

Claims (4)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용융 점도의 초기 검출 온도를 T0으로 했을 때,
상기 T168과 상기 T0의 차 △T168이 10℃ 미만이며, 또한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 C. for 168 hours is T 168 ,
When the initial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film-like adhesive before storage is T 0 ,
And the T 168 and T 0 the difference △ T 168 of less than 10 ℃, also
(II) When the gel fraction before storing the said film adhesive at 40 degreeC is W 0 , the film adhesive which W 0 is 15% or less.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겔분율을 W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보존 전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168과 상기 W0으로부터 구해지는 겔분율의 변화율 RW168이 200% 이하이며, 또한,
(II') 상기 겔분율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is W 168 ,
When the gel fraction before storage of the film-like adhesive is W 0 ,
The rate of change RW 168 of the gel fraction determined from W 168 and W 0 is 200% or less, and
(II') A film adhesive having the gel fraction W 0 of 15% or less.
이하의 특성을 갖는 필름상 접착제:
(I")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40℃에서 168시간 보존 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168로 하고,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상기 보존 전의 JIS K7161:1994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도를 F0으로 했을 때,
상기 F168과 상기 F0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단 신도의 저하율 RF168이 30% 미만이며, 또한
(II") 상기 필름상 접착제를 40℃에서 보존하기 전의 상기 필름상 접착제의 겔분율을 W0으로 했을 때, 상기 W0이 15% 이하인 필름상 접착제.
A film adhesive having the following properties:
(I") Th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after storage at 40°C for 168 hours of the film-like adhesive is F 168 ,
When th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61:1994 of the film-like adhesive before storage was F 0 ,
The rate of decrease in breaking elongation RF 168 obtained from F 168 and F 0 is less than 30%, and
(II")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film adhesive before storing the film adhesive at 40°C is W 0 , the W 0 is 15% or less.
지지 시트와, 상기 지지 시트 상에 구비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상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도체 가공용 시트.A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comprising a support sheet and the film adhesiv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provided on the support sheet.
KR1020207016393A 2018-03-23 2019-03-20 Film-like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KR1026378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7006 2018-03-23
JP2018057006 2018-03-23
PCT/JP2019/011659 WO2019182001A1 (en) 2018-03-23 2019-03-20 Film-like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717A true KR20200133717A (en) 2020-11-30
KR102637855B1 KR102637855B1 (en) 2024-02-16

Family

ID=6798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393A KR102637855B1 (en) 2018-03-23 2019-03-20 Film-like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82076B2 (en)
KR (1) KR102637855B1 (en)
CN (1) CN111670231B (en)
TW (1) TWI798390B (en)
WO (1) WO201918200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6130A1 (en) * 2019-03-22 2020-10-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TWI829890B (en) * 2019-03-22 2024-01-2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Film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JP7471879B2 (en) * 2020-03-18 2024-04-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Film-like adhesive and dicing die bonding sheet
JP7471880B2 (en) * 2020-03-18 2024-04-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Film-like adhesive and dicing die bonding she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90A (en) * 1999-12-16 2001-06-26 Nippon Nsc Ltd Hot melt adhesive
JP2005089575A (en) * 2003-09-16 2005-04-07 Sekisui Chem Co Ltd Adhesive sheet for card or tag
JP2008244464A (en) 2007-03-01 2008-10-09 Nitto Denko Corp Heat curing die bond film
JP2011103440A (en) 2009-10-14 2011-05-26 Nitto Denko Corp Thermosetting die bonding film
JP2016020476A (en) * 2014-06-20 2016-02-04 日東電工株式会社 Thermosetting adhesion sheet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247B2 (en) * 1999-11-30 2006-09-2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wiring board for semiconductor mounting,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5026547A (en) * 2003-07-04 2005-01-27 Hitachi Chem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dhesive sheet to be used for semiconductor device
JP5003090B2 (en) * 2006-10-06 2012-08-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2011216774A (en) * 2010-04-01 2011-10-27 Sumitomo Bakelite Co Ltd Semiconductor bonding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CN105027273B (en) * 2013-03-07 2019-01-22 住友电木株式会社 Adhesive film, laminated body and its solidfied material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5199616A (en) * 2014-06-20 2015-12-30 日东电工株式会社 Heat-curable adhesive sheet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substrate
TWI712670B (en) * 2014-08-22 2020-12-1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Sheet for form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p having protective film
JP2017045934A (en) * 2015-08-28 2017-03-02 日立化成株式会社 Adhesive film
JP6662074B2 (en) * 2016-02-05 2020-03-11 日立化成株式会社 Adhesive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590A (en) * 1999-12-16 2001-06-26 Nippon Nsc Ltd Hot melt adhesive
JP2005089575A (en) * 2003-09-16 2005-04-07 Sekisui Chem Co Ltd Adhesive sheet for card or tag
JP2008244464A (en) 2007-03-01 2008-10-09 Nitto Denko Corp Heat curing die bond film
JP2011103440A (en) 2009-10-14 2011-05-26 Nitto Denko Corp Thermosetting die bonding film
JP2016020476A (en) * 2014-06-20 2016-02-04 日東電工株式会社 Thermosetting adhesion sheet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8390B (en) 2023-04-11
CN111670231B (en) 2022-06-03
TW202003735A (en) 2020-01-16
WO2019182001A1 (en) 2019-09-26
KR102637855B1 (en) 2024-02-16
JP7282076B2 (en) 2023-05-26
JPWO2019182001A1 (en) 2021-03-11
TW202325809A (en) 2023-07-01
CN111670231A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855B1 (en) Film-like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CN108884244B (en) Protective film-forming film and composite sheet for forming protective film
WO2017145979A1 (en) Film-shaped adhesive composit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7596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12703239A (en) Film for forming thermosetting protective film, composite sheet for form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hip
JP7155245B2 (en) Die bonding film, dicing die bondi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KR102387943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00130235A (en) Composite sheet for forming a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chip with a protective film
KR102541134B1 (en) A kit of a thermosetting resin film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forming film, a thermosetting resin film, a sheet for forming a first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for forming a first protective film for semiconductor wafers
KR102534927B1 (en) Thermosetting resin film, sheet for forming the first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orming the first protective film
WO2020196138A1 (en) 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O2020196130A1 (en) Film adhesive and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KR20210041490A (en) Film for protective film formation and composite sheet for protective film formation
TWI836931B (en) Film adhesive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sheet
JP7413356B2 (en) Film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JP7291310B1 (en) Thermosetting film, composit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7471880B2 (en) Film-like adhesive and dicing die bonding sheet
JP7471879B2 (en) Film-like adhesive and dicing die bonding sheet
WO2023058303A1 (en) Thermosetting film, composit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I837327B (en) Film adhesives and sheet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WO2022210087A1 (en) Filmy adhesive, dicing/die bonding sheet,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use of filmy adhesive, use of dicing/die bonding sheet, and method for reworking semiconductor wafer
KR20210041497A (en) Film for protective film formation and composite sheet for protective film 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