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57A -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457A
KR20200133457A KR1020190058654A KR20190058654A KR20200133457A KR 20200133457 A KR20200133457 A KR 20200133457A KR 1020190058654 A KR1020190058654 A KR 1020190058654A KR 20190058654 A KR20190058654 A KR 20190058654A KR 20200133457 A KR20200133457 A KR 2020013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nger
cylinder
link
fing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737B1 (ko
Inventor
조주현
Original Assignee
조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현 filed Critical 조주현
Priority to KR102019005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3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21K27/02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 B21K27/04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allowing successive work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가 개시된다. 소재가 인입되는 측의 로더와, 취출되는 측의 언로더를 포함하고, 로더와 언로더 각각은, 실린더,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링크 운동하는 링크부, 링크부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핑거부 및 핑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파지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핑거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 및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를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고,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LOADING-UNLOADING DEVICE FOR FORGED PRESS OF TRANSFER}
본 발명은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조프레스공정에서 피성형물을 전단(前段)공정에서 후단(後段)공정으로 순차로 송출하는 장치로서, 한쌍의 평행한 피드바를 이용한 트랜스퍼 피더가 알려져 있다. 양측의 피드바는 상기 피성형물을 양측에서 조이도록 마주보는 폴부재를 포함하고, 이 양측의 피드바가 평행상태로 접근하고 피드바의 거리를 점차 좁혀 상기 피성형물을 붙잡고 그대로 상승하여 단조 공정이 완료된 금형에서 꺼내어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한 후, 다시 하강하여 양측의 피드바를 벌려 다음 단조 공정이 진행되는 금형으로 피성형물을 전달하고, 그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종래의 트랜스퍼 피더의 경우, 3차원 구동을 위해 각 방향 별 어긋남이나 위치 결정을 위한 복잡한 구성이 필요했으며, 이로 인해 장비의 체적이 크고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72636, 공개일자 2013년07월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55527, 등록일자 2004년10월21일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으면서도 3차원 구동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는 소재가 인입되는 측의 로더와, 취출되는 측의 언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링크 운동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핑거부; 및 상기 핑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파지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 및 상기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는 실린더 암; 일측이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핑거바와 연결되는 제1클램프 암; 일측이 상기 실린더 암의 타측과 연결되는 링크; 및 일측이 상기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핑거바와 연결되는 제2클램프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암은 상기 실린더 로드와 핀 결합되는 제1체결부; 상기 제1클램프 암과 핀 결합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링크와 핀 결합되는 제3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램프 암은 상기 실린더 암과 핀 결합되는 제4체결부; 상기 제1핑거바와 핀 결합되는 제5체결부; 및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6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실린더 암과 핀 결합되는 제7체결부; 및 상기 제2클램프 암과 핀 결합되는 제8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7체결부는 클램프 베이스에 상기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클램프 암은 상기 링크와 핀 결합되는 제9체결부; 상기 제2핑거바와 핀 결합되는 제10체결부; 및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1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핑거바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 및 상기 제2핑거바에 배치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소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함몰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의 함몰부와 상기 제2클램프의 함몰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의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링크부와 상기 핑거부의 일측을 수납하는 클램프 베이스; 및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상기 제1방향의 직교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의 직교방향인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의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상기 실린더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고정하는 실린더 브라켓; 상기 링크부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링크부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고, 체적이 작으면서도 3차원 구동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가 장착된 단조 프레스의 도면(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가 장착된 단조 프레스의 작업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의 로더의 도면(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부분의 확대도로,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의 이격거리가 최대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표시부분의 확대도로,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의 이격거리가 최소인 상태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이하 로딩-언로딩 장치로 기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로딩-언로딩 장치가 장착된 단조 프레스(100)의 도면(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로딩-언로딩 장치가 장착된 단조 프레스(100)의 작업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딩-언로딩 장치의 로더(200)의 도면(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부분의 확대도로,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격거리가 최대인 상태를, 도 5는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격거리가 최소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딩-언로딩 장치는 동일한 구성의 로더(200)와 언로더(300)를 포함하므로, 도 3 및 도 4는 로더(200)의 도면이자 언로더(300)의 도면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로딩-언로딩 장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100)에 슈트(500)를 통해 이송된 소재(M)를 순차적으로 인입하고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딩-언로딩 장치는 소재(M)가 인입되는 측에 배치되는 로더(200)와, 취출되는 측에 배치되는 언로더(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더(200)와 언로더(300)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딩-언로딩 장치가 장착된 단조 프레스(100)는, 슈트(500)를 통해 인입된 소재(M)를 로더(200)가 파지하기 용이하게 끔 정렬시키는 소재 정렬기(400)와, 모든 단조 공정을 완료한 소재(M)가 언로더(300)에서 파지 해제된 후 단조 프레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로더(200) 및 언로더(300)(이하 로더로 표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로더(200)는 실린더(210), 링크부(220), 핑거부(230), 클램프부(240), 실린더와 링크부(220)와 핑거부(230)의 일측을 수납하는 클램프 베이스(250) 및 클램프 베이스(250)를 이동시키는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핑거부(230)의 구동방향을 제1방향(D1)으로, 제1방향(D1)의 직교방향이자 소재(M)의 진행방향을 제2방향(D2)으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의 직교방향을 제3방향으로 정의한다.
실린더(21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로드의 노출량 변화로 링크부(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실린더(210)는 로드가 일측으로 형성된 단동 실린더일 수 있으며, 박형 실린더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더(200)는 실린더(210)와 링크부(220)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인 실린더 연결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연결부재(225)는 일측이 실린더(210)의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이 링크부(220)와 핀 결합되어, 실린더(210)의 직선운동을 링크부(220)의 링크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링크부(220)는 실린더(210)와 연결 구성되어, 실린더(210)의 구동에 의해 링크 운동할 수 있다. 링크부(220)는 실린더 암(221), 제1클램프 암(222), 링크(223), 제2클램프 암(22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암(221)은 일측이 실린더(210)의 로드 즉, 실린더 연결부재(225)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실린더(210)의 로드 즉, 실린더 연결부재(225)의 타측과 핀 결합되는 제1체결부(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A1)에는 제1핀(P1)이 체결되어 실린더 로드 즉, 실린더 연결부재(225)의 타측과 실린더 암(221)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린더 암(221)은 타측이 링크(22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223)의 일측과 핀 결합되는 제3체결부(A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체결부(A3)는 후술할 제2고정부(280)의 LM가이드(281)의 이동블록(미도시)과 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체결부(A3)에는 실린더 암(221)의 타측과, 링크(223)의 일측과, 제2고정부(280)의 LM가이드(281)의 이동블록(미도시)이 동시에 제3핀(P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클램프 베이스(250)에 제2방향(D2)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실린더 암(221)은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된 형상에는 제1클램프 암(222)과 핀 결합되는 제2체결부(A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A2)에는 제2핀(P2)이 체결되어 제1클램프 암(222)의 일측과 실린더 암(221)의 절곡된 형상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클램프 암(222)은 일측이 실린더 암(2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실린더 암(221)의 절곡된 형상 부분과 핀 결합되는 제4체결부(A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체결부(A4)는 실린더 암(221)의 제2체결부(A2)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 중심축은 제2핀(P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더(200)는 링크부(220)와 핑거부(230)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구성은 제1클램프 암(222)과 제1핑거바(231)를 연결하는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클램프 암(224)과 제2핑거바(232)를 연결하는 제2핑거 브라켓(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 및 제2핑거 브라켓(234)은 제1방향(D1)으로 관통된 제1가이드 홀(H1)과 제2가이드 홀(H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 및 제2핑거 브라켓(234)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클램프 암(222)은 타측이 제1핑거바(231) 즉, 제1핑거 브라켓(23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핑거 브라켓(233)과 핀 결합되는 제5체결부(A5)를 포함할 수 있다.
제5체결부(A5)에는 제5핀(P5)이 체결되어 제1핑거 브라켓(233)에 제1클램프 암(222)의 타측을 회전 및 제2방향(D2)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클램프 암(222)은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된 형상에는 후술할 제1고정부(270)의 제1고정바(271)의 일측과 핀 결합되는 제6체결부(A6)가 형성될 수 있다.
제6체결부(A6)에는 제6핀(P6)이 체결되어 제1고정바(271)에 제1클램프 암(222)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링크(223)는 일측이 실린더 암(221)의 타측과 핀 결합되는 제7체결부(A7)를 포함할 수 있다.
제7체결부(A7)는 실린더 암(221)의 제3체결부(A3)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 중심축은 제3핀(P3)일 수 있다.
링크(223)는 타측이 제2클램프 암(224)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클램프 암(224)의 일측과 핀 결합되는 제8체결부(A8)를 포함할 수 있다.
제8체결부(A8)에는 제4핀(P4)이 체결되어 제2클램프 암(224)의 일측과 링크(223)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결합할 수 있다.
제2클램프 암(224)은 일측이 링크(2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223)의 타측과 핀 결합되는 제9체결부(A9)를 포함할 수 있다.
제9체결부(A9)는 링크(223)의 제8체결부(A8)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 중심축은 제4핀(P4)일 수 있다.
제2클램프 암(224)은 타측이 제2핑거바(232) 즉, 제2핑거 브라켓(234)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핑거 브라켓(234)과 핀 결합되는 제10체결부(A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체결부(A10)에는 제7핀(P7)이 체결되어 제2핑거 브라켓(234)에 제2클램프 암(224)의 타측을 회전 및 제2방향(D2)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클램프 암(224)은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된 형상에는 제1고정부(270)의 제1고정바(271)의 타측과 핀 결합되는 제11체결부(A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1체결부(A11)에는 제8핀(P8)이 체결되어 제1고정바(271)에 제2클램프 암(224)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핑거부(230)는 링크부(220)와 연결 구성되어, 링크부(220)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D1)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핑거부(23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를 제1방향(D1)으로 가이드하는 LM가이드(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핑거바(231)는 제1핑거 브라켓(233)에 결합되어 링크부(220) 즉, 제1클램프 암(222)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방향(D1)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고, 제2핑거바(232)는 제2핑거 브라켓(234)에 결합되어 링크부(220) 즉, 제2클램프 암(224)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방향(D1)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동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은 핑거부(23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단조 공정에 의해 변형된 소재(M)의 형상에 따라 링크부(220)의 제원을 변경하여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격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LM가이드(235)는 제1방향(D1)으로 배치된 레일과 두 개의 이동블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부(240)는 제1핑거바(231)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241)와 제2핑거바(232)에 배치되는 제2클램프(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램프(241)와 제2클램프(242)는 소재(M)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함몰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제1클램프(241)와 제2클램프(242)는 함몰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는 평면이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조 공정 시 형성되는 소재(M)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단조 가공의 특성 상 공정을 진행할수록 소재(M)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로더(200)의 클램프부(240)의 함몰부의 직경 또는 면적이 언로더(300)의 클램프부(240)의 함몰부의 직경 또는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부(240)가 소정 강도의 파지력을 구현하도록 소재(M)의 둘레의 1/4 이상이 함몰부에 수용되고, 클램프부(240)가 소재(M)를 파지 시 함몰부가 소재(M)의 둘레의 1/2 이상을 감싸도록 함몰부의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형태로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부(240)의 형상 및 제원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 베이스(250)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형상일 수 있다.
클램프 베이스(250)는 실린더, 링크부(220), 핑거부(230), 제1고정부(270) 및 제2고정부(28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클램프 베이스(250)의 상부는 생략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클램프 베이스(250)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부(261)와 클램프 베이스(250)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부(262)와, 실린더 로드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제3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소재(M)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제1제어부(261)를 이용하여 클램프 베이스(250)를 이동시키고, 제2제어부(262)를 이용하여 클램프 베이스(250)의 높이를 조절하고, 제3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린더 로드의 노출량을 조절하여 링크부(220)와 핑거부(230)를 구동시켜 최종적으로 클램프부(240)가 소재(M)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로더(200)는 실린더(210)를 클램프 베이스(250)에 고정하는 실린더 브라켓(211), 링크부(220)를 클램프 베이스(2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고정부(270), 링크부(220)를 클램프 베이스(250)에 상기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고정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브라켓(211)은 실린더(210)의 일측 즉, 실린더(210) 로드의 반대측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부(270)는 클램프 베이스(250)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271)를 포함하고, 제1고정바(271)는 핑거부(230)의 LM가이드(231)와 평행한 방향 즉, 제1방향(D1)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바(271)의 일측에는 제6핀(P6)이 체결되어 제1클램프 암(222)을 제1고정바(271) 즉, 클램프 베이스(2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제1고정바(271)의 타측에는 제8핀(P8)이 체결되어 제2클램프 암(224)을 제1고정바(271) 즉, 클램프 베이스(2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고정부(280)는 LM가이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281)는 제2방향(D2)으로 배치되는 레일과 하나의 이동블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블록(미도시)에는 제3핀(P3)이 체결되어 실린더 암(221)의 제3체결부(A3)와 링크(223)의 제7체결부(A7)의 이동 경로를 제2방향(D2)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표시부분의 확대도로,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격거리가 최대인 상태와 최소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 각각은 일측이 제1클램프 암(222)과 제2클램프 암(224)에 체결되고, 타측이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에 체결될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 각각의 일측의 상부에는 제2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 홀(H1)과 제2가이드 홀(H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 홀(H1)과 제2가이드 홀(H2)의 길이는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의 이격 거리가 최대값일 때와 최소값일 때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일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 각각의 일측의 하부는 핑거부(230)의 LM가이드(231)의 이동블록(미도시) 각각에 고정되어 링크부(220)의 링크 운동을 핑거부(2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 각각의 타측은 제1핑거바(231)와 제2핑거바(232)와 볼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핑거 브라켓(233)과 제2핑거 브라켓(234) 각각의 일측은 제1클램프 암(222)의 타측과 제2클램프 암(224)의 타측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되, 제6핀(P6)과 제8핀(P8)이 제1가이드 홀(H1)과 제2가이드 홀(H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220)의 구동에 의해 제1핑거바(231)와 제1클램프 암(222)의 거리가 변경되어도 제6핀(P6)이 제1가이드 홀(H1)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클램프 암(222)과 제1핑거 브라켓(233)은 분리되지 않아 제1핑거바(231)를 제1방향(D1)으로 직선이동 시킬 수 있고, 링크부(220)의 구동에 의해 제2핑거바(232)와 제2클램프 암(224)의 거리가 변경되어도 제8핀(P8)이 제2가이드 홀(H2)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2클램프 암(224)과 제2핑거 브라켓(234)은 분리되지 않아 제2핑거바(232)를 제1방향(D1)으로 직선이동 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부(220)의 모든 구성이 동일한 방향 즉, 제3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특징과, 링크부(220)의 이동경로를 제2방향(D2)으로 한정하는 특징과, 핑거부(230)의 이동경로를 제1방향(D1)으로 한정하는 특징을 포함하여 장치의 체적을 최소화면서도 정확한 3차원 조정이 가능한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조 프레스
200: 로더
300: 언로더
400: 소재 정렬기
500: 슈트
210: 실린더
220: 링크부
230: 핑거부
240: 클램프부
250: 클램프 베이스
260: 제어부
270: 제1고정부
280: 제2고정부
211: 실린더 브라켓
221: 실린더 암
222: 제1클램프 암
223: 링크
224: 제2클램프 암
225: 실린더 연결부재
231: 제1핑거바
232: 제2핑거바
233: 제1핑거 브라켓
234: 제2핑거 브라켓
235: LM가이드
241: 제1클램프
242: 제2클램프
261: 제1제어부
262: 제2제어부
271: 제1고정바
281: LM가이드
M: 소재
D1: 제1방향
D2: 제2방향
H1: 제1가이드 홀
H2: 제2가이드 홀
P1~P8: 제1 ~ 제8핀
A1~A11: 제1 ~ 제11체결부

Claims (9)

  1. 소재가 인입되는 측의 로더와, 취출되는 측의 언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링크 운동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구동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핑거부; 및
    상기 핑거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소재를 파지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 및 상기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이드하는 LM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핑거바와 제2핑거바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는 실린더 암;
    일측이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핑거바와 연결되는 제1클램프 암;
    일측이 상기 실린더 암의 타측과 연결되는 링크; 및
    일측이 상기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핑거바와 연결되는 제2클램프 암;을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암은,
    상기 실린더 로드와 핀 결합되는 제1체결부;
    상기 제1클램프 암과 핀 결합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링크와 핀 결합되는 제3체결부;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 암은,
    상기 실린더 암과 핀 결합되는 제4체결부;
    상기 제1핑거바와 핀 결합되는 제5체결부; 및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6체결부;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실린더 암과 핀 결합되는 제7체결부; 및
    상기 제2클램프 암과 핀 결합되는 제8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7체결부는
    클램프 베이스에 상기 제1방향의 직교방향인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 암은,
    상기 링크와 핀 결합되는 제9체결부;
    상기 제2핑거바와 핀 결합되는 제10체결부; 및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1체결부;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제1핑거바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 및
    상기 제2핑거바에 배치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소재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함몰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프의 함몰부와 상기 제2클램프의 함몰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링크부와 상기 핑거부의 일측을 수납하는 클램프 베이스; 및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상기 제1방향의 직교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클램프 베이스를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의 직교방향인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와 상기 언로더 각각은,
    상기 실린더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고정하는 실린더 브라켓;
    상기 링크부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링크부를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의 로딩-언로딩 장치.
KR1020190058654A 2019-05-20 2019-05-20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KR10220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4A KR102200737B1 (ko) 2019-05-20 2019-05-20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4A KR102200737B1 (ko) 2019-05-20 2019-05-20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57A true KR20200133457A (ko) 2020-11-30
KR102200737B1 KR102200737B1 (ko) 2021-01-11

Family

ID=7364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54A KR102200737B1 (ko) 2019-05-20 2019-05-20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314B1 (ko) 2022-01-17 2023-08-25 최이규 프레스 연동형 소재 이송 장치
KR102555158B1 (ko) 2022-01-17 2023-07-12 최이규 프레스 연동형 소재 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27B1 (ko) 1998-01-05 2005-05-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단조프레스용트랜스퍼피더
KR200385074Y1 (ko) * 2005-03-09 2005-05-24 이종국 단조가공용 소재 이송장치
JP2012006023A (ja) * 2010-06-23 2012-01-12 Sugihara Press Kenkyusho:Kk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フィード装置のクランプ機構
KR20130072636A (ko) 2011-12-22 2013-07-02 (주)영창로보테크 단조제품의 프레스 공정에서 로봇을 이용한 트랜스퍼 병용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27B1 (ko) 1998-01-05 2005-05-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단조프레스용트랜스퍼피더
KR200385074Y1 (ko) * 2005-03-09 2005-05-24 이종국 단조가공용 소재 이송장치
JP2012006023A (ja) * 2010-06-23 2012-01-12 Sugihara Press Kenkyusho:Kk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フィード装置のクランプ機構
KR20130072636A (ko) 2011-12-22 2013-07-02 (주)영창로보테크 단조제품의 프레스 공정에서 로봇을 이용한 트랜스퍼 병용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737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737B1 (ko) 단조 프레스용 트랜스퍼 로딩-언로딩 장치
CN107530887B (zh) 机器人抓握器、联动装置及用于机器人抓握的方法
US10112309B2 (en) Gripping device attached to robot
US8939487B2 (en) Gripping device
WO2017113364A1 (zh) 多工位传递机械手机构
US11338452B2 (en) Robot h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rippers and a method of handling a wire harness using a robot hand
US20200023526A1 (en) Automatic Pick-Up Equipment
CN102729245A (zh) 一种机械手
EP1810762A1 (en) Bending device
CN110536764B (zh) 引线矫正装置
CN213382624U (zh) 螺母上料机械手及螺母嵌件注塑上料机构
CN109016343A (zh) 机械手、机器人及镶件设备
US4779334A (en) Apparatus for inserting terminals on the ends of wires into cavities in an electrical connector
US116732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ipping cylindrical objects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CN112752635A (zh) 机器人系统
US20200068719A1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07062534B4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Gepäckstücken, Gepäckhandhabungssystem und Verfahren zum Aufnehmen und Umladen von Gegenständen bzw. Gepäckstücken
WO2022267204A1 (zh) 一种录波仪用的移栽装置及其方法
WO2005009690A3 (en) Cartesian coordinates type robot
CN217509360U (zh) 一种夹爪吸嘴装置及包含该装置的活塞式贴插设备
US10668580B2 (en) Cell for inserting components into a workpiece
EP3930969A1 (en) Robotized handling assembly
CN112894452A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自动定位装置
CN207884047U (zh) 多种端子供给装置及复式压接装置
CN211346566U (zh) 铆接机上料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