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223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2223A KR20200132223A KR1020190057385A KR20190057385A KR20200132223A KR 20200132223 A KR20200132223 A KR 20200132223A KR 1020190057385 A KR1020190057385 A KR 1020190057385A KR 20190057385 A KR20190057385 A KR 20190057385A KR 20200132223 A KR20200132223 A KR 202001322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humidity
- heat exchanger
- air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F24F2003/166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 건조와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살균을 수행하기 위한 광원의 조사 시간, 세기 등을 최적화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 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운전되거나 난방 운전되는데, 냉방 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 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와 열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 표면과 외기의 온도차이로 인해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습한 환경이 조성되고, 세균이 증식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내부의 살균을 위해 열교환기 표면에 빛을 조사하여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열교환기 표면에 맺힌 응축수가 빛의 투과력을 감소시켜 살균효과가 감소될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써,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의 살균과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공기조화기 내부의 효과적인 살균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표면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 내부의 팬을 운전한 후,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에 따라 열교환기 표면의 건조시간이 달라지므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알고리즘에 의해 살균을 수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와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에 따라 살균을 수행하므로, 살균을 수행하기 위한 광원의 조사 시간, 세기 등을 최적화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원이 공기조화기 내부 부품에 장시간 조사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열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공기조화기 내부의 살균이 수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의 방지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건조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건조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종래의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는 제2구성요소는 제1구송요소로도 명명 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예로써 천장에 부착되어 4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천장형 4-way 에어컨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스탠드형, 천장형 1-way 에어컨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0)는 4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와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5)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1)가 4개의 변을 가진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15)는 상기 다각형 흡입구(11)의 각각 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토출구(15)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각을 조절하거나, 상기 토출구(15)를 개폐하는 베인(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0)의 내부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의 내부에는 도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에 광원(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외부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형 4방향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고 있으므로, 상기 팬은 흡입구(11)의 상면에 위치하며, 열교환기는 상기 팬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열교환기, 살균모듈, 팬, 제어모듈은 공기조화기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와 신호를 송수신 받는 리모컨(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컨(50)은 상기 공기조화기(10)의 구동 여부, 외기온도, 설정온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어모듈(100)은 센싱부(110), 연산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팬 구동부(150), 베인 구동부(160), 살균모듈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10)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기의 주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되어 냉매의 유동이 멈추고,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외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응축수가 맺히게 된다.
위의 그림1 및 그림2의 세로축은 빛의 투과율을 의미하고, 가로축은 물의 높이를 의미하고, 각 선은 위에서부터 DI(Deionized) water, 정수기의 냉수, 수돗물의 냉수를 의미한다.그림1 및 그림2를 참고하면 물의 높이에 따른 빛(254nm, 275nm)의 투과율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데 파장과 관계 없이 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빛이 도달하고자 하는 피대상물까지의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대략 물의 높이가 40mm보다 낮은 경우에는 두 파장대의 빛 모두 80% 이상의 투과율을 보여주고 있고, 상대적으로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 수돗물 냉수의 경우 물의 높이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DI water, 정수기의 냉수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림을 참고하여 열교환기 표면의 응축수를 대비하면, 상기 응축수는 정제되지 않은 물이므로 수돗물의 냉수와 같이 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가파르게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열교환기 표면의 살균효과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110)는 열교환기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연산부(120)에서 상기 센싱부(110)에서 측정된 습도와 기 설정된 습도를 비교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습도는 바람직하게 50%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연산부(120)에서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실시함과 동시에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열교환기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실시한 후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열교환기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 건조단계를 실시하여 상기 열교환기 표면에 맺힌 응축수를 제거한 뒤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열교환기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응축수에 의해 상기 빛의 투과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센싱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확인시킬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리모컨(5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51)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공기조화기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컨(50)의 디스플레이부(51)에 상기 센싱부(110)에서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1)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확인한 뒤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센싱부에 의해 열교환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측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도3의 건조단계를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운전 단계(S100), 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0), 냉방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120), 위생관리모드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40),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S150), 건조단계를 수행하는 단계(S161), 살균모듈을 구동하는 단계(S162), 위생관리모드를 종료하는 단계(S180), 건조단계 및 살균모듈을 구동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방 운전 단계(S100)는 공기조화기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온도를 설정하여 입력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여 냉매가 순환하여 외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냉방을 수행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압축기 구동은 외기온도가 상기 냉방 운전 단계(S100)에서 입력된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가 주기적으로 구동될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방운전(S100)이 수행된 후 상기 외기 온도가 상기 입력된 온도(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10), 상기 외기 온도가 상기 입력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냉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외기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냉방운전은 종료(S120)된다.
상기 냉방운전(S120)의 종료란,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냉매의 순환이 정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냉방운전이 정지되었다고 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정지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방운전이 종료(S120)된 후,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수행되고, 상기 위생관리모드란 공기조화기의 내부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하고 상기 건조는 팬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건조 또는 공기조화기의 베인을 틸팅하여 토출구를 폐쇄하고, 팬을 구동하여 수행되는 건조를 의미하고, 상기 살균은 열교환기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의 판단(S130)은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직접 선택에 의해 판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냉방운전 단계(S100)에서 미리 설정하여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위생관리모드는 냉방운전이 종료(S120)된 후 상기 공기조화기가 종료되기 전까지의 일련의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생관리모드가 실행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S140)에서는 바람직하게 열교환기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습도와 기 설정된 습도를 비교하는 단계(S150)가 수행되며, 상기 단계(S150)에서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 건조 단계 및 살균모듈을 구동하는 단계(S170)가 수행되고, 상기 단계(S150)에서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건조 단계(S161)와 살균모듈을 구동하는 단계(S162)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가 많이 맺히며, 이 때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빛을 조사할 경우, 피살균대상인 열교환기 표면까지 빛이 투과하는 비율이 낮아 살균의 성능이 낮아진다.
반대의 경우 즉,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가 적게 맺히며, 이 때 건조 단계를 수행한 후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빛을 조사할 경우, 적은 양의 응축수를 건조시키기 위해 불필요하게 팬의 구동 또는 베인의 틸팅이 수행될 수 있어 비효율적이고, 열교환기 표면에서 응축수가 완전히 건조된 경우에는 살균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공기조화기 내부 부품의 열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살균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양, 세기를 제어해야 하고, 또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여 살균의 대상이 되는 성분의 감소량을 측정하여 살균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양, 세기가 제어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건조단계가 수행(S161)되는 시간은 건조단계 수행 및 살균모듈이 구동 단계(S170)에서 수행되는 건조단계의 수행 시간과 일치하고, 상기 살균모듈이 구동(S162)되는 시간은 상기 건조단계 수행 및 살균모듈이 구동 단계(S170)에서 수행되는 살균모듈의 구동 시간과 일치하여 기존의 공기조화기에 별도의 추가부품 없이 공기조화기의 운전 로직 변경에 의해 종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소량의 응축수가 맺혀있는 상태이고, 이 경우 소량의 응축수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표면에 빛을 조사하여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열화문제를 해결하고, 전력소모를 최소화 하며 살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살균모듈의 구동 단계(S162) 또는 건조단계 수행 및 살균모듈 구동 단계(S170) 이후에는 위생관리모드가 종료(S180)되고, 이 후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종료된다.
덧붙여 상기 위생관리모드가 실행된 이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40),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송풍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베인을 틸팅하여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폐쇄하고(S1611), 팬을 구동하여(S1612)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인을 틸팅하여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폐쇄하고, 팬을 구동하여 내부를 건조시킬 경우, 상기 단계(S1611, 1612)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어 베인이 틸팅하여 토출구가 폐쇄되면서 팬이 구동하여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230)는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S120)에 수행되고,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S231)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단계(S231)가 수행된 이후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S140)가 수행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사용자는 선택에 의해 위생관리모드의 실행을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공기조화기
11 : 흡입구
13 : 베인 15 : 토출구
30 : 압축기 50 : 리모컨
51 : 디스플레이부
100 : 제어모듈
13 : 베인 15 : 토출구
30 : 압축기 50 : 리모컨
51 : 디스플레이부
100 : 제어모듈
Claims (7)
-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관리모드가 실행된 이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고,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베인을 틸팅하여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베인,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와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위생관리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를 수행한 후,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뒤, 상기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관리모드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조화기 내부의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살균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385A KR20200132223A (ko) | 2019-05-16 | 2019-05-16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385A KR20200132223A (ko) | 2019-05-16 | 2019-05-16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223A true KR20200132223A (ko) | 2020-11-25 |
Family
ID=7364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7385A KR20200132223A (ko) | 2019-05-16 | 2019-05-16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3222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11069A (zh) * | 2020-12-18 | 2021-04-06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4811889A (zh) * | 2021-01-29 | 2022-07-29 |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杀菌控制方法、杀菌控制系统和空调器 |
-
2019
- 2019-05-16 KR KR1020190057385A patent/KR202001322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11069A (zh) * | 2020-12-18 | 2021-04-06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4811889A (zh) * | 2021-01-29 | 2022-07-29 | 广州联动万物科技有限公司 | 一种杀菌控制方法、杀菌控制系统和空调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260493A (zh) | 运行控制方法及控制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8539788B2 (en) |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2102831B1 (ko) | 실내 정원을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 |
KR101866211B1 (ko) | 공기조화기 | |
WO2020258633A1 (zh) | 空调器及其清洁杀菌方法 | |
US20220178575A1 (en) | Ventilation system,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00132223A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CN106152373A (zh) | 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及空调室内机 | |
WO2021065414A1 (ja) | 空気調和機 | |
KR101129910B1 (ko) | 수영장제습공조기 | |
KR20200132222A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CN111397119A (zh) | 一种多联机 | |
JP2013072582A (ja) | 浴室暖房乾燥装置 | |
CN111536586A (zh) | 一种空调器及杀菌消毒方法 | |
KR100673710B1 (ko) | 사우나 공기조화 시스템 | |
JP6523015B2 (ja) | 貯湯式給湯装置 | |
JP4938536B2 (ja) | 空気調和機 | |
KR20130097457A (ko) |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 |
KR200312201Y1 (ko) | 고압 분무방식의 항온항습기 | |
CN111536585B (zh) | 一种空调器及杀菌消毒方法 | |
KR101236170B1 (ko) |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 |
KR101636917B1 (ko) | 저온 저장고의 살균 장치 | |
KR20220081254A (ko) | 환기 시스템, 통합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6851256B2 (ja) | 床暖房システム | |
JP4402433B2 (ja) | 空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