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81A - 철망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철망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81A
KR20200131981A KR1020190056704A KR20190056704A KR20200131981A KR 20200131981 A KR20200131981 A KR 20200131981A KR 1020190056704 A KR1020190056704 A KR 1020190056704A KR 20190056704 A KR20190056704 A KR 20190056704A KR 20200131981 A KR20200131981 A KR 2020013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receiving frame
loading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024B1 (ko
Inventor
강명순
홍선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상관철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상관철망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상관철망
Priority to KR102019005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8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articles being tilted or inverted prior to depositing
    • B65G57/08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articles being tilted or inverted prior to depositing alternate articles being in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2Conveyors with recipro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교대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기 철망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허리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망 적재장치{Wire mesh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교대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기 철망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허리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철망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패널이나 벽체 또는 바닥 등의 시공시 강성을 부여하거나 경계표시를 위해 설치되는 철망(3)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의 와이어(31)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의 와이어(32)가 격자 형태로 용접되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철망(3)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을 직교시켜 용접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세로철선을 사선방향으로도 용접시켜서 철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철망 제조장치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81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812호 등으로 제안된 철망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철망을 대부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순차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적재되기에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철망 적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나아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된 철망(3)의 부피(H)가 너무 커 운반 및 보관 등이 여의치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철망(3)을 수작업으로 적재하는 과정 중에 작업자가 허리부위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면서 펴기 때문에 허리 디스크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등의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8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교대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기 철망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나아가 작업자에게 허리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철망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종방향의 와이어 상에 복수의 횡방향의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용접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 철망을 이송시키는 철망이송부와; 상기 철망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철망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철망을 상하방향으로 180°회전시켜 뒤집는 철망회전부와; 상기 철망회전부에 의해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상기 철망회전부에 의해 상하 뒤집힌 철망이 교대로 적재되는 철망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철망이송부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망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안착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철망회전부로 상기 철망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기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철망의 관통구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핀 및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상기 철망을 상기 철망회전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상기 철망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용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철망회전부는 상기 철망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철망이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함께 상기 철망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수용프레임의 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철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수용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철망이 통과하는 슬릿이 상기 수용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릿의 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철망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철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내면에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예로, 상기 수용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철망이 통과하는 슬릿이 상기 수용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철망의 관통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이탈방지핀과; 상기 이탈방지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철망적재부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교대로 적재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전측과 후측 및 전측과 후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지지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이 순차적으로 안착지지하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내측으로 교대로 낙하하면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철망회전부에서 상기 철망적재부로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철망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철망공급부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관통구와 뒤집힌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각각 승강운동하여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관통구와 뒤집힌 철망의 관통구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핀 및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상기 철망적재부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철망회전부를 통해 철망적재부에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교대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기 철망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철망을 작업자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렸다 펴면서 수작업으로 적재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허리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수의 종방향의 와이어상에 복수의 횡방향의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용접되어 이루어진 철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망이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망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철망회전부로 철망이 이송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뒤집히지 않은 철망이 철망적재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뒤집히지 않은 철망이 철망적재부내로 낙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철망 회전부로 이송된 철망이 뒤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5는 일예의 이탈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은 일예의 이탈방지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다른예의 이탈방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뒤집힌 철망이 철망적재부로 공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뒤집힌 철망이 철망적재부내로 낙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순차적으로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망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망 적재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철망이송부(10), 철망회전부(20) 및 철망적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철망(도 1의 3)은 상기 철망(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의 와이어(도 1의 31)의 상부에 상기 철망(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의 와이어(도 1의 32)가 격자형태로 용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철망(3)은 일정한 길이로 공지된 샤링기(Shearing Machine)의 철망 절단부(5)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철망이송부(10)는 상기 철망 절단부(5)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망(3)을 상기 철망(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으로 좌우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회전부(20)는 상기 철망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철망(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철망(3)의 양측을 상기 철망(3)의 상하방향으로 180°회전시켜 뒤집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적재부(30)의 내측에는 상기 철망회전부(20)에 의해 뒤집히지 않은 철망(3)과, 상기 철망회전부(20)에 의해 상하 뒤집힌 철망(3)이 교대로 적재된다.
도 5 및 도 6은 철망회전부로 철망이 이송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이송부(10)는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레일(110), 가이드핀(120), 승강부재(130) 및 이송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상기 철망(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상기 철망절단부(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일측부는 상기 철망절단부(5)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 전측 상부 및 타측부 후측 상부에 각각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망(3)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안착지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상기 철망회전부(20)로 상기 철망(3)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20)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안착된 상기 철망(3)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된 관통구(33)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철망(3)의 관통구(33)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130)는 이송판(131)과 액추에이터(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131)은 상기 철망(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131)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 각각 상기 가이드핀(120)이 승강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32)는 상기 가이드핀(12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판(131)의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방식으로 수직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핀(120)을 승강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120) 및 상기 승강부재(130)와 함께 상기 철망(3)을 상기 철망회전부(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140)는 상기 이송판(131)을 상기 철망(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선형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선형액추에이터 또는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등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이송부재(140)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부재(14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 등의 지지프레임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0) 사이에는 상기 철망(3)의 중간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용 가이드레일(40)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처짐 방지용 가이드레일(40)의 일측부는 상기 철망절단부(5)의 타측부 중간부 상부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판(131)은 상기 처짐 방지용 가이드레일(40)과 상기 이송부재(140) 사이에서 왕복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회전부(20)는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용프레임(210), 승강부재(220) 및 회전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210)은 사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일측부 전측과 일측부 후측 및 타측부 전측과 타측부 후측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타측부 상부에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용홈(111)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일측부 중간부와 타측부 중간부에는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이 통과하는 슬릿(211)이 상기 철망(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망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철망(3)은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슬릿(211)내에 수평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철망회전부(20)의 승강부재(220)와 회전부재(230)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뒤집히지 않은 철망이 철망적재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회전부(20)에서 상기 철망적재부(30)로 뒤집히지 않은 철망(3)을 공급하는 철망공급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망공급부(50)는 도 3,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핀(510), 승강부재(520) 및 공급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510)은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슬릿(211)에 수용된 상태로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구(33)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의 관통구(33)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20)는 승강판(521)과 액추에이터(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521)은 상기 철망(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521)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핀(51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522)는 상기 승강판(52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판(521)의 하부에 편심상태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승강판(521)과 함께 상기 가이드핀(510)을 승강운동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50)는 상기 철망이송부(10)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하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50)는 상기 승강부재(520)의 액추에이터(522)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핀(510) 및 상기 승강부재(520)와 함께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을 상기 철망적재부(30)로 수평공급하는 실린더 등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공급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급부재(5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 등의 지지프레임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뒤집히지 않은 철망이 철망적재부내로 낙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적재부(30)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적재프레임(310), 지지레일(320) 및 회전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프레임(310)은 바닥프레임(311)과 지지다리(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311)의 각 모서리부위에 상기 지지다리(312)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311)의 상부에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이 수평으로 적재될 수 있다.
단면형상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지지레일(320)이 상기 철망(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311)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전후대칭된 상태로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다리(312) 사이에 상기 지지레일(320)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32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지지레일(320)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지지다리(31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일(320)은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의 전측과 후측을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30)는 상기 지지레일(320)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다리(312)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된 상태에서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이 상기 적재프레임(310)의 지지다리(312)의 내측방향에 위치한 바닥프레임(311)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철망 회전부로 이송된 철망이 뒤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철망적재부(30)의 적재프레임(310)에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철망회전부(20)는 상기 철망이송부(10)를 통해 상기 철망회전부(20)로 이송된 다른 철망(3)을 상하방향으로 180°회전시켜 뒤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상술한 상기 철망회전부(20)의 승강부재(220)는 승강몸체(221)와 액추에이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221)는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221)의 상부에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전측 중간부와 후측 중간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22)는 상기 승강몸체(22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몸체(221)의 하부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수용프레임(210)과 함께 상기 철망(3)을 승강시키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전측 중간부 및 후측 중간부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승강몸체(221)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수용프레임(2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0)에 의해 상기 수용프레임(210)과 함께 다른 상기 철망(3)이 상승된 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30)에 의해 상기 수용프레임(210)과 함께 다른 상기 철망(3)이 상하방향으로 180°회전되어 다른 상기 철망(3)이 뒤집힐 수 있다.
상기 수용프레임(210)과 함께 뒤집힌 다른 상기 철망(3)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0)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도 15는 일예의 이탈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30)에 의해 상기 수용프레임(210)과 함께 다른 상기 철망(3)이 상하방향으로 180°회전되어 뒤집히는 과정 중에 상기 수용프레임(210)으로부터 다른 상기 철망(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방지부(6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슬릿(211)의 내면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다른 상기 철망(3)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무 등의 탄성력을 지닌 이탈방지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일예의 이탈방지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수용프레임(210)으로부터 다른 상기 철망(3)이 이탈되는 것을 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60)의 이탈방지패드의 내면에 경사면(6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01)은 상기 이탈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이탈방지패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내측으로 하향경사(α)질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다른예의 이탈방지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이탈방지부(60)는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핀(610)과 승강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핀(610)은 다른 상기 철망(3)의 관통구(33) 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다른 상기 철망(3)의 관통구(33)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620)는 상기 수용프레임(210)의 일측 상부 중간부 또는 타측 상부 중간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이탈방지핀(610)을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620)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부재(620)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승강판(621)이 수평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21)의 일측이 상기 승강부재(620)의 상부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621)의 타측 하부에 상기 승강판(621)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상기 이탈방지핀(61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판(621)의 타측이 상기 승강부재(620)의 상부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621)의 일측 하부에 상기 승강판(621)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상기 이탈방지핀(61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뒤집힌 철망이 철망적재부로 공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뒤집힌 철망이 철망적재부내로 낙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순차적으로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뒤집힌 상기 철망(3)은 상기 철망공급부(50)에 의해 앞서 상술한 뒤집히지 않은 상기 철망(3)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철망적재부(30)로 공급되어 도 19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철망적재부(30)내로 낙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9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철망회전부(20)를 통해 상기 철망적재부(30)에 뒤집히지 않은 철망(3)과, 뒤집힌 다른 철망(3)을 교대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기 철망(3)의 부피(H)가 1/2로 줄어들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철망(3)을 작업자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구부렸다 펴면서 수작업으로 적재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허리디스크 등의 직업병이 유발될 우려가 없어 작업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철망이송부, 20; 철망회전부,
30; 철망적재부.

Claims (11)

  1. 복수의 종방향의 와이어 상에 복수의 횡방향의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용접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는 철망을 이송시키는 철망이송부와;
    상기 철망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철망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철망을 상하방향으로 180°회전시켜 뒤집는 철망회전부와;
    상기 철망회전부에 의해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상기 철망회전부에 의해 상하 뒤집힌 철망이 교대로 적재되는 철망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이송부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망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안착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철망회전부로 상기 철망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기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철망의 관통구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핀 및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상기 철망을 상기 철망회전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상기 철망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용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회전부는 상기 철망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철망이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함께 상기 철망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수용프레임의 중심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프레임이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철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철망이 통과하는 슬릿이 상기 수용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릿의 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철망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프레임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수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철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내면에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탈방지패드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철망이 통과하는 슬릿이 상기 수용프레임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철망의 관통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이탈방지핀과;
    상기 이탈방지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적재부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교대로 적재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전측과 후측 및 전측과 후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지지하는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이 순차적으로 안착지지하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내측으로 교대로 낙하하면서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회전부에서 상기 철망적재부로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철망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공급부는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관통구와 뒤집힌 철망의 관통구방향으로 각각 승강운동하여 뒤집히지 않은 철망의 관통구와 뒤집힌 철망의 관통구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가이드핀 및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뒤집히지 않은 철망과 뒤집힌 철망을 상기 철망적재부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적재장치.
KR1020190056704A 2019-05-15 2019-05-15 철망 적재장치 KR10222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04A KR102221024B1 (ko) 2019-05-15 2019-05-15 철망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04A KR102221024B1 (ko) 2019-05-15 2019-05-15 철망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81A true KR20200131981A (ko) 2020-11-25
KR102221024B1 KR102221024B1 (ko) 2021-02-26

Family

ID=7364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04A KR102221024B1 (ko) 2019-05-15 2019-05-15 철망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6646A1 (de) * 1985-10-28 1987-05-21 Acor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von metallgittern zwecks bildung von regelmaessigen stapeln
JPH0710281A (ja) * 1993-06-22 1995-01-13 Noboru Fujita 鉄筋積み重ね装置
KR200392812Y1 (ko) 2005-05-18 2005-08-17 정광희 철망 제조장치
KR20170024346A (ko) * 2015-08-25 2017-03-07 백주현 용접 철망 적층장치
KR101862189B1 (ko) * 2018-03-08 2018-06-29 조용식 자동 적재부가 구비된 와이어메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6646A1 (de) * 1985-10-28 1987-05-21 Acor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von metallgittern zwecks bildung von regelmaessigen stapeln
JPH0710281A (ja) * 1993-06-22 1995-01-13 Noboru Fujita 鉄筋積み重ね装置
KR200392812Y1 (ko) 2005-05-18 2005-08-17 정광희 철망 제조장치
KR20170024346A (ko) * 2015-08-25 2017-03-07 백주현 용접 철망 적층장치
KR101862189B1 (ko) * 2018-03-08 2018-06-29 조용식 자동 적재부가 구비된 와이어메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24B1 (ko)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3720B2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2013146547A (ja) 複合昇降ステージ
WO2022089103A1 (zh) 一种床垫码垛机
CN108033267A (zh) 金属板材搬运工艺
CN101288935B (zh) 一种集装箱门端组装台
KR102221024B1 (ko) 철망 적재장치
KR102221026B1 (ko) 철망 적재장치
CN207013885U (zh) 用于焊制金属网状物的自动化龙门焊机
KR101700559B1 (ko)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CN104805815B (zh) 桩腿的齿条安装方法以及齿条安装装置
CN207615916U (zh) 托盘焊接装置
CN207013884U (zh) 用于金属网焊接的龙门焊机的焊接装置及龙门焊机
CN207013891U (zh) 改进型自动焊接机
CN210419105U (zh) 垂直升降装置
KR102603155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2603230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KR101951609B1 (ko) 시트커버 결합장치
CN220667428U (zh) 移动人字梯
KR102603231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US3696489A (en) Die assembly and disassembly bench
KR102603149B1 (ko) 차량용 시트 조립장치
CN205587969U (zh) 双层升降工作台
CN209335028U (zh) 用于钢管束附件焊接的工件翻转总成
CN220196675U (zh) 一种镍丝网焊接机步进式输送线
CN220844094U (zh) 一种轨排生产用摆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