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694A -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694A
KR20200131694A KR1020190056618A KR20190056618A KR20200131694A KR 20200131694 A KR20200131694 A KR 20200131694A KR 1020190056618 A KR1020190056618 A KR 1020190056618A KR 20190056618 A KR20190056618 A KR 20190056618A KR 20200131694 A KR20200131694 A KR 2020013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pened
opening
openabl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102019005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694A/ko
Publication of KR2020013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using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폐가 가능한 캔음료 도면

Description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Openable and Closable Can Container}
본 발명은 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캔 음료 용기에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치 하여 입구를 언제든지 열고 닫을 수 있게 하여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 하고자 한다.
기존의 캔 음료 용기는 한번 입구를 개봉하면 다시 입구를 봉인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안의 내용물을 쏟을 수 있고, 안에 이물질이 들어 갈수 있으며, 한번 개봉 후에 다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그런 불편함을 해소 하고자해 다른 음료용기들처럼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 음료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제품이다. 그리고 그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또한 아주 다양하게 있다.
특히, 그중 캔 음료 용기는 편리함과 간편함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용기들 중 하나 이다.
종래의 캔 음료 용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한번 개봉 후에는 다시 밀폐를 할 수 없다. 그래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 안의 내용물이 밖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다 들고 이동 중이거나 실수로 캔이 쓰러져서 쏟아져 나와 옷에 묻거나 바닥에 흘러 처리하기도 불편하다
또, 입구를 막을 수 없어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 내용물을 버려야 하거나 보관 할 때도 먼 가 찝찝한 느낌이 들 때가 여러 차례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불편함 때문에 보통 그 자리에서 내용물을 모두 비워 내거나 아깝지만 버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 하고자 입구를 언제든지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불편함을 해결 하고자 한다.
종래의 입구를 개폐 가능한 캔 음료 용기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 되어 있다.
구조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1)은 종래의 캔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캔 음료 용기는 입구를 한번 개봉하면 다시 닫을 수 없으며, 아무런 장치가 되어 있지 않다.
그 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면 1)의 종래의 캔 음료 용기에 입구를 개폐 가능한 장치를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입구에 언제든지
개폐가 가능한 장치를 설치하여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 중 이물질이 안에 들어가 내용물을 사용 할 수 없게 하는 점과, 이동 중이나 실수로 안의 내용물을 쏟아 옷이나 바닥에 흘리는 것을 방지 해 언제든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좀 더 편리하고 다양하게 사용 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캔 상부 입구부분에 개폐가 가능한 장치를 설치하여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제품은 입구를 열수 있는 마개가 고정되어 있어 입구를 열수 만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단점을 개선 하고자 열고 닫을 수 있게 설계되어 만들어 진다.
이때 본 발명과 종래의 제품과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실제적인 외부의 모습은 별 다른 점이 없으나 몇 가지 기능적인 부분과 개폐가 가능한 입구 캔 상부 쪽이 차이가 난다.
본래 종래의 캔 음료 용기와 외부적으로 다른 점이 없으며 종래의 제품 캔 상부 측에 개폐 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설치된 개폐장치는 캔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 부분은 종래의 제품의 캔 상부의 설치된 마개와 동일한 자리에 설치 되지만 기능적으로는 회전이 된다는 점이서 다르다.
기존의 제품은 캔 상부 마개가 고정되어 있어 단편적인 기능만 실행하지만 본 발명은 마개는 동일하게 존재하나 회전식으로 설계되어 필요에 따라 회전을 시켜 입구부분을 개봉 밀봉 할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용기 상부에 회전이 되는 마개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종래의 용기처럼 개봉이 가능한 상태이나 개봉 후 입구를 막고자 할 때는 상부의 마개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부를 회전시키면 개봉되어 있던 입구를 열고 닫을수 있게 된다.
캔 상부에 설치된 회전되는 마개는 종래의 캔 상부의 마개와 동일하다. 하지만 본 발명품은
회전이 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로 인해 입구를 막고 열수 있는 차이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캔 음료 용기에 의하면, 평소 입구를 늘 개봉한 상태로 노출되는 캔 음료의 이물질이 들어가 내용물이 오염되어 이용 할 수 없게 되는 점을 해소 할 수 있고, 입구를 언제든지 열고 닫을 수 있어 보관에도 용히 하여 사용자가 급히 내용물을 빨리 비워 내거나 다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일을 줄 일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입구를 막을 수 있어 사용 중 중간 중간에 내용물이 쏟아져 나오는걸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어 옷이나, 바닥 등을 내용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2 : 캔음료 용기
10 : 입구(취식구)
20 : 캔뚜껑
30 : 상부커버
40 : 몸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전체적인 모습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면 1)은 위에서 본
모습이며, 캔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 3)는 측면에서 전체적인 모습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면 4)는 (도면 1)에서 개폐기능을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캔음료 용기(1)는 입구(10)와 캔뚜껑(20) 상부커버(30) 몸통(40)으로 구성된다.

Claims (1)

  1. 캔상부의 커버 부분에 입구를 개폐 할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입구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입구부분에 설치된 장치는 회전이 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평상시에는 평범한 캔음료의 기능을 하지만 만약 입구를 막고자 하면 캔상부를 회전시켜 입구를 막을수 있게 가능한 캔 음료 용기.

KR1020190056618A 2019-05-14 2019-05-14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KR20200131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18A KR20200131694A (ko) 2019-05-14 2019-05-14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18A KR20200131694A (ko) 2019-05-14 2019-05-14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94A true KR20200131694A (ko) 2020-11-24

Family

ID=7367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18A KR20200131694A (ko) 2019-05-14 2019-05-14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6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113A (en) Combined container and drinking vessel
US4090650A (en) Canteen with a straw
JP2017007743A (ja) ボトルのような容器のためのキャップ
US4016998A (en) Drinking vessel
US2724536A (en) Container
MA20315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et de distribution pour recipients a bec verseur
ATE245571T1 (de) Ausgisser mit verschlussstopfen für behälter, insbesondere für flüssigkeiten enthaltende dosen
KR20200131694A (ko)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US8905262B2 (en) Combined container holder opener and cap
US1986271A (en) Closure
KR20200132131A (ko) 개폐가 가능한 캔 음료용기
US2543470A (en) Collapsible pouring spout
GB117558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Containers
US2075776A (en) Container
JPH082118Y2 (ja) 蓋付き注出栓の液跳ね・液垂れ防止装置
CN206494295U (zh) 一种食品保质盒
GB2361860A (en) Improved lid for a container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US1992513A (en) Receptacle
US1729839A (en) Sealing means for liquid containers
US1555591A (en) Dispensing container
GB561707A (en) A non-spillable urine bottle
US4106665A (en) Container closure
KR102048769B1 (ko) 컵의 체결캡
US2675945A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