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59A -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59A
KR20200129859A KR1020190054901A KR20190054901A KR20200129859A KR 20200129859 A KR20200129859 A KR 20200129859A KR 1020190054901 A KR1020190054901 A KR 1020190054901A KR 20190054901 A KR20190054901 A KR 20190054901A KR 20200129859 A KR20200129859 A KR 2020012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ne
fine plastic
inlet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수
김서하
이현서
Original Assignee
이연수
이현서
김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수, 이현서, 김서하 filed Critical 이연수
Priority to KR102019005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59A/ko
Publication of KR2020012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는: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대상물을 유입하는 유입부와;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MICROPLASTICS}
본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이나 호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할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으로 처음부터 미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 제품이 부서지면서 생성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치약, 세정제, 스크럽 등에 포함되어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너무 작아 하수처리시설에 걸러지지 않고, 바다와 강으로 그대로 유입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이 포함된 석유화합물이기 때문에 오염 물질과 만나 새로운 환경 문제를 야기하게 되며, 또 버려진 플라스틱이 시간이 지나면서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하기도 한다.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을 파괴하는 것은 물론 인간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해 먹은 강 · 바다의 생물들을 결국 인간이 섭취하게 되기 때문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에너지 할당 감소, 성장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미세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는 법안들이 통과되고 있으나, 이미 강이나 바다, 호수 등에 남아 있는 미세 플라스틱은 이와 같은 규제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중국 공개특허 106525516 A (2017.03.2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강이나 바다 등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할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는: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대상물을 유입하는 유입부(120)와; 상기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분리부(130); 및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는(130), 유입된 대상물이 통과되는 입구부(131)와; 상기 입구부(131)를 통해 유입된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32); 및 이동된 상기 대상물에서 미세 플리스틱을 분리하는 제1분리부(1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분리부(135)에서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분리이동부(15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수부(160)는 대전체(16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수부(160)로부터 수집된 미세 플라스틱을 가공하는 가공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를 부유시키는 부유부(1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입부(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는, 바다나 강물, 호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하여 동물들을 미세 플라스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는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경 파괴로부터 인간을 보호할 수 있고, 인간이 생물들을 섭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하여 이를 재가공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는 유입부(120)와 분리부(130) 및 회수부(160)를 포함한다.
유입부(120)는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대상물을 유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물이 강이나 바다, 호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유입부(120)는 미세 플라스틱이 함유된 바닷물을 유입한다. 유입부(120)는 개구된 형태의 관일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어느 정도 길이를 갖는 호스 형태일 수도 있다. 대상물은 펌프와 같은 장치에 의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40)는 유입부(12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40)는 대상물이 유입되는 범위를 다양하게 하고 유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입부(120)의 단부가 소정 반경을 이루며 회전되도록 유입부(1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분리부(130)는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는(130), 유입된 대상물이 통과되는 입구부(131)와, 입구부(131)를 통해 유입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32), 및 이동된 대상물에서 미세 플리스틱을 분리하는 제1분리부(135)를 포함한다. 입구부(131)는 유입부(120)와 연통된다. 이동부(132)는 입구부(131)를 통해 대상물을 펌프 등을 이용하여 제1분리부(135)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물을 끌어올려 제1분리부(135)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부(131)를 통과한 대상물을 유입관 형태의 이동부(132)를 통해 제1분리부(135)로 이동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분리부(135)는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분리부(135)가 망 형태의 벨트 형태를 갖는다. 제1분리부(135)는 미세 플라스틱 보다는 간격이 좁게 형성되며, 이동부(132)를 통해 이동된 대상물이 제1분리부(135)로 이동되면 미세 플라스틱은 제1분리부(135)에 남고 액체 성분은 제1분리부(135)를 통과한다.
분리이동부(150)는 제1분리부(135)에서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부(160)로 이동시킨다. 분리이동부(150)는 제1분리부(135)와 일체로 형성된 관통된 벨트일 수 있다. 즉, 분리이동부(150)와 제1분리부(135)는 관통되게 형성된 망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 측에 배치된 풀리에 의해 무한궤도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수부(160)는 분리이동부(150)로부터 이동된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회수부(160)는 대전체(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되는 미세 플라스틱을 -로 대전시키고, 대전체(165)를 +로 대전시키면 미세 플라스틱이 대전체(165)에 달라부터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플라스틱이나 대전체(165)를 대전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와 같이 대전체(165)에 수집된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시키기 위해 대전체(165)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즉, 대전체(165)를 흔들어 대전체(165)에 붙은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대전체(165)에 바람을 공급하여 풍압을 이용하여 미세 플라스틱을 대전체(165)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가공부(170)는 상기 회수부(160)로부터 회수 또는 수집된 미세 플라스틱을 가공한다. 가공부(170)는 미세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덩어리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고, 미세 플라스틱을 태우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공부(170)로부터 가공된 미세 플라스틱은 덩어리 형태로 압축되고, 이를 선박(195) 등을 통해 이동하여 재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는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의 본체(110)를 부유시키는 부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는 바다나 강 또는 호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가 주입된 튜브 형태의 부유부(180)가 본체(1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100)의 본체(110)에는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110: 본체 120: 유입부
130: 분리부 131: 입구부
132: 이동부 135: 제1분리부
140: 구동부 150: 분리이동부
160: 회수부 165: 대전체
170: 가공부 180: 부유부

Claims (8)

  1.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대상물을 유입하는 유입부(120);
    상기 대상물로부터 미세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분리부(130); 및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회수부(160)를 포함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130),
    유입된 대상물이 통과되는 입구부(131);
    상기 입구부(131)를 통해 유입된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32); 및
    이동된 상기 대상물에서 미세 플리스틱을 분리하는 제1분리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부(135)에서 분리된 미세 플라스틱을 이동시키는 분리이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이동부(150)로부터 이동된 미세 플라스틱을 수집하는 회수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160)는 대전체(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160)로부터 수집된 미세 플라스틱을 가공하는 가공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를 부유시키는 부유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KR1020190054901A 2019-05-10 2019-05-10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KR20200129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01A KR20200129859A (ko) 2019-05-10 2019-05-10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01A KR20200129859A (ko) 2019-05-10 2019-05-10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59A true KR20200129859A (ko) 2020-11-18

Family

ID=7369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01A KR20200129859A (ko) 2019-05-10 2019-05-10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5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8733A (zh) * 2021-09-12 2022-03-01 河海大学 一种河湖底泥中微塑料的清除装置及方法
KR102445705B1 (ko) 2021-08-20 2022-09-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액상 시료 운반 장치
KR20220133435A (ko) * 2021-03-25 2022-10-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 분리 방법
KR102467306B1 (ko) * 2021-12-27 2022-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입자 농축 분리 장치
KR20230020098A (ko) 2021-08-03 2023-02-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정량 분석 방법
KR20230113910A (ko) * 2022-01-24 2023-08-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입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입자 분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516A (zh) 2016-12-20 2017-03-22 广东工业大学 一种采集大气源中微塑料的自动采集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516A (zh) 2016-12-20 2017-03-22 广东工业大学 一种采集大气源中微塑料的自动采集仪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35A (ko) * 2021-03-25 2022-10-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 분리 방법
KR20230020098A (ko) 2021-08-03 2023-02-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정량 분석 방법
KR102445705B1 (ko) 2021-08-20 2022-09-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액상 시료 운반 장치
CN114108733A (zh) * 2021-09-12 2022-03-01 河海大学 一种河湖底泥中微塑料的清除装置及方法
KR102467306B1 (ko) * 2021-12-27 2022-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입자 농축 분리 장치
KR20230099621A (ko) * 2021-12-27 2023-07-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축장치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입자 농축 분리 방법
KR20230113910A (ko) * 2022-01-24 2023-08-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입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입자 분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9859A (ko) 미세 플라스틱 회수장치
JP4186523B2 (ja) 排水浄化装置および排水浄化システム
US10029190B2 (en) Oil-water separator
US10240312B2 (en)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WO2005084189A3 (en) Aircraft rinse system
WO2005074508A3 (en) Molecular separator
US10384215B2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fluid stream
CN106284260A (zh) 一种水面漂浮微生物回收处理装置
KR20200075977A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US10293278B2 (en) Self-contained water and oil separator
CN111254897A (zh) 一种针对近海漂浮垃圾清理的无人船及清理方法
CN107215992A (zh) 一种厨房污水处理用振动式隔油池
CN209652895U (zh) 一种主动诱导收集式清漂无人船
CN104083905A (zh) 一种自动油水分离装置及方法
US20200115868A1 (en) Hybrid water filtering cleaning and quality monitoring device
EP36520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an underwater surface and material removed from it
CA2677666C (en) Method for recovering suspended solids from residual effluents
CN110397010A (zh) 一种垃圾分类高效处理方法
WO2022085582A1 (ja) 浮遊汚染物質回収装置及び浮遊汚染物質回収システム
CN114541353A (zh) 一种水下垃圾清理机器人
CN110341899B (zh) 一种智能海上垃圾回收船
US11148078B2 (en) Filtering device
US11697126B2 (en) Granular litter cleaning apparatus and process
KR20110005783U (ko)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CN211417542U (zh) 一种河道清污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