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83U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83U
KR20110005783U KR2020090015748U KR20090015748U KR20110005783U KR 20110005783 U KR20110005783 U KR 20110005783U KR 2020090015748 U KR2020090015748 U KR 2020090015748U KR 20090015748 U KR20090015748 U KR 20090015748U KR 20110005783 U KR20110005783 U KR 20110005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collection tank
water
main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호
Original Assignee
조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호 filed Critical 조병호
Priority to KR2020090015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783U/ko
Publication of KR20110005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과 하천 그리고 호수 및 바다에서 퇴적물 및 부유물이 생물학적 오염원을 일으키고 있음으로 부유물에 의한 퇴적물을 수거하는 장치가 필요로 합니다.
이에 부유 오염물질로 침전된 퇴적물을 환경적으로 오염이 적어면서 아주 편리하게 바닥의 토사와 오니 그리고 뻘을 수거하고 그것을 고형 화하여 아주 유용하게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관한 것으로
강과 하천 그리고 호수 및 바다에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 시키지 않고 수거하기 위하여 먼저 선박(10)에 크레인(11)을 설치하여 그곳에 1개의 메인 수거 탱크(30)에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구성되는 메인 수거 장치(50)를 장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 등을 수거 할 현장으로 보내어 고압에어노즐 장치(32)와 퇴적물 부양 장치(46)를 이용하여 메인수거 탱크(30)와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의 하부에 쌓여있는 퇴적물과 부유물을 흡입구(31)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이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들어간다. 보조수거 탱크(40)로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보조수거 탱크(40) 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는 상부 연결라인 호스(43)와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상부로 올라오는 정제된 물을 고압 에어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45-1) 연결되어 고압에어노즐 장치(32)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을 고압에어와 물과 함께 부수거나 비산 때 사용하고, 나머지는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이용 물을 선박(10)의 메인 처리 장치 (20)로 이동 시키고 보조수거 탱크(40)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배출 라인과 밸브(48)를 통해서 슬러지 처리 장치(22)로 퇴적물과 부유물을 이동시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시키지 않고 수거 하도록 하는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Figure P2020090015748
부유물 , 수거장치 , 스트레이너

Description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omitted}
정화를 위한 부유물 및 퇴적물 수거 기술과 처리 방법
부유물 유입과 정화작업
1) 강과 하천 그리고 호수 및 바다에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 시키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수거하는 방법
2) 수거한 퇴적물 및 부유물을 환경의 문제없이 쉽고 편리하게 처리하는 방법
즉 투자비가 적게 들면서 쉽고 편리하게 처리
1) 오니 및 뻘 등을 고압 air jet와 기계장치에 의해서 부상시켜 수거하고 고형 화하여 유용하게 처리하는 기술
2)수거한 오니 등을 1차적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부피를 줄여 단계별 처리 시간과 공정을 줄이는 방법
1) 오니 등 1차 오염원으로 생태계에 악영향 주는 것을 쉽게 수거 및 처리
2) 오염 퇴적 오니 제거 시 부유물에 의한 2차 오염이 없도록 제거에 가장 적합 하다.
상기 목적과 기술과제를 감안하여 개발함에 따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 될 것이며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가지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본 고안의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는
[도3][도4][도5] 같이 강과 하천 그리고 호수 및 바다에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 시키지 않고 수거하기 위하여 먼저 선박(10)에 크레인(11)을 설치하여 그곳에 1개의 메인 수거 탱크(30)에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구성되는 메인 수거 장치(50)를 장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 등을 수거 할 현장으로 보내어 질 때 조절용 밸브(38)을 열어 하부 개방형인 메인 수거 탱크(30)를 완전 개방시켜 수거 현장에 안착토록 만든다.
그리고 수거 할 현장에 도착하면 조절용 밸브(38)을 닫아 메인수거 탱크(30)를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만들고, 먼저 그물 보관 장치(33)에 장착된 그물(34)을 펼치기 위하여 그물(34)에 연결된 줄을 가이드 로울러(35)를 통하여 모터(36)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그물(34)을 펼쳐서 메인수거 탱크(30) 하부에 깔려 있으나 흡입구 (31)로 흡입이 곤란한 부산물을 먼저 수거한 다음, 고압에어노즐 장치(32)와 퇴적물 부양 장치(46)를 이용하여 메인수거 탱크(30)와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의 하부에 쌓여있는 퇴적물과 부유물을 부수거나 비산시켜 메인수거 탱크(30)로 혼탁 물을 보내면, 보조수거 탱크(40)와 연결되는 연결라인(41)에 설치 된 잠수 펌프(42)를 작동시켜 흡입구(31)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이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들어가도록 하는데 이때 CCTV(36-1)을 통해서 수거 사항을 보면서 반복 작업을 하도록 한다.
보조수거 탱크(40)로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보조수거 탱크(40) 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는 상부 연결라인 호스(43)와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위로 올라오는 정제된 물을 고압 에어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45-1) 연결되어 고압에어 노즐장치(32)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을 고압에어와 물과 함께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사용하고, 나머지는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이용 물을 선박(10)의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 시키는데 이때 보조수거 탱크(40) 상부에 모이는 공기는 공기 벤트 라인과 밸브(47)에 의해서 바깥으로 배출시키고, 보조수거 탱크(40)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배출 라인과 밸브(48)를 통해서 슬러지 처리 장치(22)로 퇴적물과 부유물을 이동시키며, 보조 수거 탱크 하부 차단 판(49)에 의해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시키지 않고 수거 하도록 하는 메인 수거 장치(50);
[도1][도2][도4]와 같이 즉 메인 수거 탱크(30)를 이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이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연속적으로 수거 될 때 이렇게 모인 퇴적물과 부유 물은 보조수거 탱크(40)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는 상부 연결라인 호스(43)와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위로 올라오는 정제된 물을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탱크용 펌프(37)이용 선박(10)의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되어 필터 장치(27)에 의해 1차 걸러지고, 1차 걸러진 물은 펌프(24)를 통해서 보조 처리 장치(21)로 이동하고 다시 필터장치(27)에 의해서 걸러지는데, 이 필터장치(27)는 공기분사장치(28)에 의해서 청소 되며, 이 걸러져 모인 물은 펌프(24)를 통해 이동 후 스트레이너(26)를 통과 후 고압 펄스 장치(25)가 설치된 탱크로 모여지고 이 고압 펄스 장치(25)에 의해서 세균과 불순물이 파괴되고 없어져서 하천으로 방류 될 수 있게 하는 메인 처리 장치(20) 및 보조 처리 장치(21);
[도1][도2][도4]와 같이 메인 수거 장치(50)를 선박(10) 위에 이동시킨 후 혹은 보조 수거 탱크(40)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배출 라인과 밸브(48)를 통해서 슬러지 처리 장치(22)로 퇴적물과 부유물을 이동 시키면 슬러지 처리 장치(22)의 천공판 필터 장치(29)에 의해서 1차적으로 물과 퇴적물과 부유물을 분리하고 1차 걸러진 물은 보조 처리 장치(21)로 이동되고 보조 처리 장치(21)의 필터 장치(27)에 의해서 2차로 걸러져 펌프(24)와 스트레이너(26) 통과 후 고압 펄스 장치(25)가 설치된 탱크로 모여지고, 천공판 필터장치(29)에 의해서 분류된 퇴적물과 부유물은 따로 수거되어 펌프(24)를 통해서 따로 저장되고 그 저장된 퇴적물과 부유물은 3단계 분리 장치(23) 의해서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고 저장되게 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22)및 3단계 분리 장치(23);
[도 6]같이 심해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수거 할 경우나 혹은 강이나 하천 혹 은 넓은 호수에서 심해용 메인 수거 장치(50-1)를 물 위에 띄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 개방형인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60)를 심해의 바닥으로 내려 보내어 수거를 하는 경우, 심해로 보낼 때 수거 탱크용 밸브(67-1)를 열고 천천히 하강시켜 퇴적물의 부상으로 인하여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강 시켜, 바닥에 장착 할 때 수밀 팩킹 과 고무판(63)의해서 바닥과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60)는 기밀을 유지하게 한다.
그런 후 수거 탱크용 밸브(67-1)를 닫고 심해용 고압 에어 노즐 장치(62)를 이용하여 물과 고압 공기로 바닥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발생하는 공기는 공기 배출 라인과 밸브(67)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시키고, 압축 웨이트(65)를 웨이트 가이드 로드(64)에 따라 내려오게 하면서 퇴적물 배출 펌프와 밸브(66) 이용하여 바닥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퇴적물 흡인 라인(61)을 따라서 퇴적물 수거 탱크 입구와 밸브(66-1)을 통해서 2 차 보조 수거 탱크(40-1)로 수거 된 퇴적물과 부유물은 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위로 올라오는 정제된 물은 고압 에어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45-1) 연결되어 심해용 고압에어노즐장치(62)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을 고압에어와 물과 함께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사용하고, 나머지는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시켜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 시키며, 2차 보조수거 탱크(40-1)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퇴적물 배출 출구와 밸브(68-2)와 연결된 퇴적물 이송 관(68)을 통해서 퇴적물 저장소(69)로 이동시켜 슬러지 처리 장치(22)와 3단계 분리 장치(23)를 이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을 처리하는 심해용 메인수거 장치(50-1);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심해용 메인수거 장치(50-1)를 이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을 수거 할 경우 여러 대의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60)을 이용함으로 생산성이 높고 그리고 일차적으로 수거한 퇴적물과 부유물을 정제 즉 물의 함수율을 줄여서 이송 관(68)을 통해서 퇴적물 저장소(69)로 이동시켜 슬러지 처리 장치(22)와 3단계 분리 장치(23)를 이용하여 분리, 수거함으로 작업성과 처리 방법이 단순하고 작업장의 장소 문제도 해결된다.
[도 1 ] 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2 ] 은 본 고안의 상세도
[도 3 ] 은 본 고안의 상세도
[도 4 ] 은 본 고안의 상세도
[도 5 ] 은 본 고안의 상세도
[도 6 ] 은 본 고안의 상세도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1 ] [ 도 2 ]
(10) : 선박
(11) : 크레인
(20) : 메인 처리장치
(21) : 보조 처리장치
(22) : 슬러지 처리장치
(23) : 3단계 분리장치
(24) : 펌프
(25) : 고압 펄스 장치
(26) : 스트레이너 (STRAINER)
(27) : 필터 장치
(28) : 공기 분사장치
(29) : 천공판 필터장치
[ 도 3 ] [ 도 4 ] [ 도 5 ]
(30) : 메인 수거 탱크
(31) : 흡입구
(32) : 고압 에어노즐 장치
(33) : 그물 보관 장치
(34) : 수거용 그물 네트
(35) : 가이드 로울러
(36) : 모터
(36-1): CCTV
(37) :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
(38) : 조절용 밸브
(39) : 수거 탱크 하부 차단 판
(40) : 보조 수거 탱크
(41) : 하부 연결 라인
(42) : 잠수 펌프
(43) : 상부 연결 라인 호스
(44) : 이동용 필터 장치
(45) : 물 펌핑 입구
(45-1) : 고압 에어 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
(46) : 퇴적물 부양 장치
(47) : 에어 벤트 라인과 밸브
(48) : 배출 라인과 밸브
(49) : 보조 수거 탱크 하부 차단 판
(50) : 메인 수거 장치
[ 도 6 ]
(30-1) : 2차 메인 수거 탱크
(36-1): CCTV
(37) :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
(37-1) : 물 펌핑 라인
(40-1) : 2 차 보조 수거 탱크
(45-1) : 고압 에어 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
(50-1) : 심해용 메인수거 장치
(60) :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
(61) : 퇴적물 흡입 라인
(62) : 심해용 고압 에어 노즐 장치
(63) : 수밀 팩킹 과 고무 판
(64) : 웨이트 가이드 로드 (WEIGHT GUIDE ROD)
(65) : 압축 웨이트
(66) : 퇴적물 배출 펌프와 밸브
(66-1) : 퇴적물 수거 탱크 입구와 밸브
(67) : 공기 배출 라인과 밸브
(67-1) : 수거 탱크용 밸브
(68) : 퇴적물 이송 관
(68-1) : 이송 관용 부표
(68-2) : 퇴적물 배출 출구와 밸브
(69) : 퇴적물 저장소

Claims (2)

  1. 강과 하천 그리고 호수 및 바다에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 시키지 않고 수거하기 위하여 먼저 선박(10)에 크레인(11)을 설치하여 그곳에 1개의 메인 수거 탱크(30)에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구성되는 메인 수거 장치(50)를 장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 등을 수거 할 현장으로 보내어 질 때 조절용 밸브(38)을 열어 하부 개방형인 메인 수거 탱크(30)를 완전 개방시켜 수거 현장에 안착토록 만든다.
    그리고 수거 할 현장에 도착하면 조절용 밸브(38)을 닫아 메인수거 탱크(30)를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만들고, 먼저 그물 보관 장치(33)에 장착된 그물(34)을 펼치기 위하여 그물(34)에 연결된 줄을 가이드 로울러(35)를 통하여 모터(36)를 이용하여 잡아당겨 그물(34)을 펼쳐서 메인수거 탱크(30) 하부에 깔려 있으나 흡입구(31)로 흡입이 곤란한 부산물을 먼저 수거한 다음, 고압에어노즐 장치(32)와 퇴적물 부양 장치(46)를 이용하여 메인수거 탱크(30)와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의 하부에 쌓여있는 퇴적물과 부유물을 부수거나 비산시켜 메인수거 탱크(30)로 혼탁 물을 보내면, 보조수거 탱크(40)와 연결되는 연결라인(41)에 설치 된 잠수 펌프(42)를 작동시켜 흡입구(31)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이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들어가도록 하는데 이때 CCTV(36-1)을 통해서 수거 사항을 보면서 반복 작업을 하도록 한다.
    보조수거 탱크(40)로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보조수거 탱크(40) 하부로 침 전되고 상부에는 상부 연결라인 호스(43)와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정제된 물을 고압 에어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45-1) 연결되어 고압 에어 노즐장치(32)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을 고압에어와 물과 함께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사용하고, 나머지는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이용 물을 선박(10)의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 시키는데 이때 보조수거 탱크(40) 상부에 모이는 공기는 공기 벤트 라인과 밸브(47)에 의해서 바깥으로 배출시키고, 보조수거 탱크(40)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배출 라인과 밸브(48)를 통해서 슬러지 처리 장치(22)로 퇴적물과 부유물을 이동시켜 처리토록 하는 그리고 보조 수거 탱크 하부 차단 판(49)에 의해서 퇴적물 및 부유물을 주위에 오염시키지 않고 수거 하도록 하는 메인 수거 장치(50);
    메인 수거 탱크(30)를 이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이 4개의 보조수거 탱크(40)로 연속적으로 수거 될 때 이렇게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보조수거 탱크(40)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는 상부 연결라인 호스(43)와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부유물은 하부로, 정제된 물을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 이용 선박(10)의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되어 필터 장치(27)에 의해 1차 걸러지고 1차 걸러진 물은 펌프(24)를 통해서 보조 처리 장치(21)로 이동하고 다시 필터장치(27)에 의해서 걸러지는데, 이 필터장치(27)는 공기 분사 장치(28)에 의해서 청소되며 이 걸러져 모인 물은 펌프(24)를 통해 이동 후 스트레이너(26)를 통과 후 고압 펄스 장치(25)가 설치된 탱크로 모여지고 이 고압 펄스 장치(25)에 의해서 세균과 불순물이 파괴되고 없어져서 하천으로 방류 될 수 있 게 하는 메인 처리 장치(20) 및 보조 처리 장치(21);
    메인 수거 장치(50)를 선박(10) 위에 이동시킨 후 혹은 보조수거 탱크(40)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배출 라인과 밸브(48)를 통해서 슬러지 처리 장치(22)로 퇴적물과 부유물을 이동 시키면 슬러지 처리 장치(22)의 천공판 필터장치(29)에 의해서 1차적으로 물과 퇴적물과 부유물을 분리하고 1차 걸러진 물은 보조 처리 장치(21)로 이동되고 보조 처리 장치(21)의 필터 장치(27)에 의해서 2차로 걸러져 펌프(24)와 스트레이너(26) 통과 후 고압 펄스 장치(25)가 설치된 탱크로 모여지고, 천공판 필터장치(29)에 의해서 분류된 퇴적물과 물은 따로 수거되어 펌프(24)를 통해서 분리 저장되고 그 저장된 퇴적물과 부유물은 3단계 분리 장치(23) 의해서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고 저장되게 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22)및 3단계 분리 장치(23);
    심해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수거 할 경우나 혹은 강이나 하천 혹은 넓은 호수에서 심해용 메인 수거 장치(50-1)를 물 위에 띄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 개방형인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60)를 심해의 바닥으로 내려 보내어 수거를 하는 경우에 수거 탱크용 밸브(67-1)를 열고 천천히 하강시켜 퇴적물의 부상으로 인하여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면서 하강 시키는데 이 때 수밀 팩킹 과 고무판(63)의해서 바닥과 심해용 메인 수거 탱크(60)는 기밀을 유지하게 한다.
    그런 후 수거 탱크용 밸브(67-1)를 닫고 심해용 고압 에어 노즐 장치(62)를 이용하여 물과 고압 공기로 바닥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발생하는 공기는 공기 배출 라인과 밸브(67)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시키고, 압축 웨이트 (65)를 웨이트 가이드 로드(64)에 따라 내려오게 하면서 퇴적물 배출 펌프와 밸브(66) 이용하여 바닥의 퇴적물과 부유물을 퇴적물 흡인 라인(61)을 따라서 퇴적물 수거 탱크 입구와 밸브(66-1)을 통해서 2 차 보조 수거 탱크(40-1)로 수거 된 퇴적물과 부유물은 하부로 침전되고, 상부에 연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용 필터 장치(44)에 의해서 부유물에서 정제된 물은 고압 에어라인과 물 라인 연결구(45-1) 연결되어 심해용 고압 에어노즐 장치(62)를 통해서 퇴적물과 부유물을 고압에어와 물과 함께 부수거나 비산 시킬 때 사용하고, 나머지는 물 펌핑 입구(45)와 연결된 보조 수거 탱크용 펌프(37)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시켜 메인 처리 장치(20)로 이동 시키며, 2차 보조수거 탱크(40-1) 하부에 모인 퇴적물과 부유물은 퇴적물 배출 출구와 밸브(68-2)와 연결된 퇴적물 이송 관(68)을 통해서 퇴적물 저장소(69)로 이동시켜 슬러지 처리 장치(22)와 3단계 분리 장치(23)를 이용하여 퇴적물과 부유물을 처리하는 심해용 메인수거 장치(50-1);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2. 제 1항에 있어서 심해용 메인수거 장치(50-1) 물 위에 띄우고 여러 대의 심해용 메인수거 탱크(60)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방법과 수거한 퇴적물과 부유물을 1차 정제하는 즉 물의 함수율을 줄여서 이송 관(68)을 통해서 퇴적물 저장소(69)로 이동시켜 슬러지 처리 장치(22)와 3단계 분리 장치(23)를 이용하여 분리 및 수거토록 하는 "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
KR2020090015748U 2009-12-04 2009-12-04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KR201100057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48U KR20110005783U (ko) 2009-12-04 2009-12-04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48U KR20110005783U (ko) 2009-12-04 2009-12-04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83U true KR20110005783U (ko) 2011-06-10

Family

ID=4929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48U KR20110005783U (ko) 2009-12-04 2009-12-04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7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12B1 (ko) * 2013-11-07 2014-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퇴적물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12B1 (ko) * 2013-11-07 2014-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퇴적물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6432303B1 (en) Contaminated sediment excavator for subsurface sediment removal
CN106284260B (zh) 一种水面漂浮微生物回收处理装置
KR102197606B1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KR101371405B1 (ko) 조류수거방법
US20120012535A1 (en) Oil skimmer conveyor
KR200242302Y1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퇴적물 수거장치
ZA200507095B (en) Saltwater intrusion prevention system
CN205737977U (zh) 一种船舶江水/海水总管防泥沙装置
US9199249B2 (en) Suction float and collecting device, and collection vessel
KR101789070B1 (ko)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JP6084897B2 (ja) 浮体式懸濁物質回収装置及び方法
KR100797564B1 (ko) 진공흡입식 스컴제거장치
CN201873554U (zh) 一种气提式油水分离装置
KR100542338B1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KR20110005783U (ko) 퇴적 오염물 수거장치
CN110341899B (zh) 一种智能海上垃圾回收船
CN105239546A (zh) 回流阻隔式水面薄油膜回收分离装置
CN207259289U (zh) 一种含油污水水质净化环保处理设备
KR20100118046A (ko) 유류 제거용 선박
JP2021050528A (ja) 水底堆積物回収設備及び水底堆積物回収方法
JP4266735B2 (ja) 浮き取水管方式アオコ回収装置
CN110344383A (zh) 一种能浮于水面上浮油浮渣的清理装置
CN1603521A (zh) 水面清污工作船的清污方法
CN1231390C (zh) 舱底用分离微小浮游物质的油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