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793A - 식물 생장 재배상 - Google Patents

식물 생장 재배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793A
KR20200129793A KR1020190054723A KR20190054723A KR20200129793A KR 20200129793 A KR20200129793 A KR 20200129793A KR 1020190054723 A KR1020190054723 A KR 1020190054723A KR 20190054723 A KR20190054723 A KR 20190054723A KR 20200129793 A KR20200129793 A KR 2020012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plant growth
plate
plant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579B1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김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열 filed Critical 김동열
Priority to KR102019005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5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생장에 최적화된 재배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식물 생장 재배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식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재배 및 재배효율이 향상된 식물 생장 재배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실로 온풍을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된 배출구의 하부에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부재의 폭 조절에 의해 유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 편리 및 재배효율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식물 생장 재배상{Plant Growth and Growth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생장에 최적화된 재배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식물 생장 재배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식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재배 및 재배효율이 향상된 식물 생장 재배상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먹거리 식재료 중에서 채소는 거의 매일 섭취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우리의 음식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건강을 위한 채식문화가 점차 확대되면서 친환경 채소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식물 또는 채소를 재배함에 있어서도, 노지 또는 별도의 재배시설인 비닐하우스 등에서 키우는 고정관념이 우리 일상의 상식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 또는 특정 소규모 단위 시설에서 소소하게 가꾸어 먹기를 원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소형 재배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산업도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소형 재배장치는 먹거리에 대한 불안 해소 및 연속재배가 가능하며 밤, 낮의 길이, 온도나 습도를 포함하는 최적의 환경을 갖출 수 있어 토지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자연 재배 대비 수확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식물이 생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은 온도, 습도 및 조도이며,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상태에 따라 식물의 성장 속도 및 발육 상태가 달라지고, 이들 조건들이 식물에 얼마나 균일하게 영향을 주느냐에 따라 식물의 발육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습도 및 조도의 조건은 물을 공급하거나 널리 공지된 LED광원 등을 통해 쉽게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게 하나, 온도 조건은 온풍을 공급하면서 재배실 온도를 센싱하여 설정한 온도를 맞춤으로써 식물을 재배하게 되는데, 단순히 온풍을 공급하게 되면 재배실의 공간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없어, 동일한 재배실 내에서도 온풍기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식물과 먼 쪽에 위치하는 식물의 생장 상태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94184호(2012.08.24. 공개)의 식물 재배 챔버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가정내에서 손쉽게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온풍 공급으로는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다단으로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상태가 균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식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재배 및 재배효율이 향상된 식물 생장 재배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내부로 온풍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벽에는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된 온풍을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양 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하판 및 후판을 매개로 형성되는 재배실과, 상기 재배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측면판의 유입구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온풍기; 상기 재배실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수납하는 수납판; 및 상기 측면판의 공기통로 내부에서 각 배출구의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부 유입구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배출구를 통해 재배실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되, 상기 재배실의 상하측에서 균일하게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져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배실의 상측에는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부재는 폭 조절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물의 발육 상태에 따라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부재는 양측에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과 연통되는 슬롯이 양측벽에 형성된 바디; 상기 레일홈으로 결합되며, 양측에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폭 조절 및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각도 조절되는 이동체; 및 상기 힌지축에 체결되어 바디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실로 온풍을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된 배출구의 하부에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부재의 폭 조절에 의해 유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재배실 공간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이 균일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 편리 및 재배효율이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의 "가" 내지 "다"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재배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재배상(10)은 크게 본체(100), 온풍기(200), 레일(300), 수납판(400) 및 조절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측면판(110), 재배실(120) 및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측면판(110)은 내부에 공기통로(112)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내부 공기통로(112)로 온풍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14)가 형성되며, 내벽에는 상기 공기통로(112)로 유입된 온풍을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116)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양 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재배실(12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판(110) 사이에 설치되는 상/하판(122,124) 및 후면을 막음하는 후판(126)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재배실(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구획된 다수의 재배실(120)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재배실(1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식물 생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시창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재배실(120) 상부 혹은 측면에 조명등을 구비하여 내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온풍기(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양 측면판(110)의 유입구(114)에 덕트(210)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타입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레일(300)은 상기 재배실(120)의 양 측을 형성하는 측벽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수납판(400)의 양 단을 안치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판(40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수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절부재(500)는 상기 측면판(110)의 공기통로(112) 내부에서 각 배출구(116)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부 유입구(114)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배출구(116)를 통해 재배실(12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되, 상기 재배실(120)의 상하측에서 균일하게 온풍이 유입되어 재배실(120) 전체 공간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5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하여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재배실(120)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결국, 다단 형성된 각 배출구(116)에서 온풍이 유입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조절부재(500)의 폭을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 온풍이 최초 유입되는 곳에 근접한 배출구(116) 즉, 최상층 배출구(116)에 설치된 조절부재(500)(w)는 그 아래로 설치된 다른 조절부재(500)의 폭(w′,w′′,w′′′,w′′′′,w′′′′′)보다 좁게 형성하게 된다. 결국, 온풍기(200)에서 먼 쪽 즉, 하층으로 갈수록 공기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조절부재(500)의 폭(w′,w′′,w′′′,w′′′′,w′′′′′)을 점차 넓게 형성하여 유입량을 늘려 각 배출구(116)에서 배출되는 압력이 동일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재배실(120) 전체 공간이 균등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온풍기(200)의 작동 제어 혹은 온도 설정 및 조명 온/오프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고, 재배실(120)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온도센스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재배상(1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재배상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수납판(400)에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올려놓고 본체(100)의 재배실(120)에 구비된 레일(300)에 수납판(400)을 안치하여 재배실(120) 내부로 인입시켜 놓고, 여기서는 미도시 하고 있으나 도어(130)를 닫게 된다.
그런 뒤, 본체(100)의 재배실(120) 상부에 구비되는 조명등(700)을 켜 조명을 실시함과 동시에 온풍기(200)를 가동시켜 재배실(120) 내부 온도를 셋팅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유입구(114)로 유입되는 온풍은 측면판(110)의 공기통로(112)로 유입되어서 화살표와 같이 하향되는데, 다단으로 형성된 각 배출구(116)의 하부에 구비된 조절부재(500)에 부딪히면서 일부는 배출구(116)를 통해 재배실(12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6)에 구비된 조절부재(500)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온풍이 최초 유입되는 입구 측에서는 온풍 유입량을 줄이고, 먼 쪽으로 갈수록 유입량을 점차 늘려 모든 배출구(116)에서 배출되는 온풍의 압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재배실(116) 전체 공간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생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식물은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조건에 의해 균등한 발육이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재배효율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온풍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500)는 미리 계산된 폭으로 형성되어 각 배출구(116)에 부착될 수 있으나, 식물의 생장 상태 혹은 주변 여건에 따라 온풍 유입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이는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의 "가" 내지 "다"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500')는 바디(510), 이동체(520) 및 고정너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510)는 양측에 레일홈(512)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512)과 연통되는 슬롯(514)이 양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520)는 양측이 상기 레일홈(512)을 따라 결합되며, 양측에 상기 슬롯(514)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힌지축(522)이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폭 조절 및 힌지축(522)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일홈(512)은 이동체(520)가 슬라이딩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여유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 고정너트(530)는 상기 힌지축(52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디(510)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체(520)가 폭 조절된 상태 혹은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500')는 도 6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면이 측면판(110)의 공기통로(112) 내부에서 배출구(116) 하부에 설치되며,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520)를 배출구(116) 반대쪽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폭 조절이 되고,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축(522)을 매개로 이동체(5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고정너트(530)를 체결하여 바디(510)에 밀착시키게 되면 폭 조절 혹은 각도 조절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조절부재(500')를 가변식 혹은 소정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타입으로 구성하게 되면 온풍의 유입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균일한 생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식물 생장 재배상 100 : 본체
110 : 측면판 112 : 공기통로
114 : 유입구 116 : 배출구
120 : 재배실 122 : 상판
124 : 하판 126 : 후판
130 : 도어 200 : 온풍기
210 : 덕트 300 : 레일
400 : 수납판 500,500' : 조절부재
510 : 바디 512 : 레일홈
514 : 슬롯 520 : 이동체
522 : 힌지축 530 : 고정너트
600 : 제어부 700 : 조명등

Claims (4)

  1. 내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내부로 온풍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벽에는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된 온풍을 내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양 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 하판 및 후판을 매개로 형성되는 재배실과, 상기 재배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측면판의 유입구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온풍기;
    상기 재배실의 양 측벽에 구비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수납하는 수납판; 및
    상기 측면판의 공기통로 내부에서 각 배출구의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부 유입구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배출구를 통해 재배실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되, 상기 재배실의 상하측에서 균일하게 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져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재배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의 상측에는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재배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폭 조절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물의 발육 상태에 따라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재배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양측에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과 연통되는 슬롯이 양측벽에 형성된 바디;
    상기 레일홈으로 결합되며, 양측에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폭 조절 및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각도 조절되는 이동체; 및
    상기 힌지축에 체결되어 바디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재배상.
KR1020190054723A 2019-05-10 2019-05-10 식물 생장 재배상 KR10220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23A KR102207579B1 (ko) 2019-05-10 2019-05-10 식물 생장 재배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23A KR102207579B1 (ko) 2019-05-10 2019-05-10 식물 생장 재배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793A true KR20200129793A (ko) 2020-11-18
KR102207579B1 KR102207579B1 (ko) 2021-01-25

Family

ID=7369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23A KR102207579B1 (ko) 2019-05-10 2019-05-10 식물 생장 재배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994A (ko) 2022-09-28 2024-04-04 증안리약초마을 협동조합 누룽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86U (ko) 2021-08-13 2023-02-21 조남강 수경재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767A (ko) * 2009-07-15 2011-01-21 (주)코지스테크 배양대
KR20130089393A (ko) * 2012-02-02 2013-08-1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가정용 냉장고형 채소 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JP2016140248A (ja) * 2015-01-29 2016-08-0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多段式栽培装置
KR20160126249A (ko) * 2015-04-23 2016-11-02 김동열 식물조직 배양대
KR20180052229A (ko) * 2016-11-10 2018-05-18 김영선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90502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767A (ko) * 2009-07-15 2011-01-21 (주)코지스테크 배양대
KR20130089393A (ko) * 2012-02-02 2013-08-1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가정용 냉장고형 채소 재배장치
KR101422636B1 (ko) * 2013-03-21 2014-07-24 김동열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JP2016140248A (ja) * 2015-01-29 2016-08-0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多段式栽培装置
KR20160126249A (ko) * 2015-04-23 2016-11-02 김동열 식물조직 배양대
KR20180052229A (ko) * 2016-11-10 2018-05-18 김영선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90502A (ko) * 2017-02-03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994A (ko) 2022-09-28 2024-04-04 증안리약초마을 협동조합 누룽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579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579B1 (ko) 식물 생장 재배상
KR101422636B1 (ko)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US41965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growth with artificial light
CN104206213B (zh)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KR101234587B1 (ko) 웰빙형 엘이디 식물 재배 장치
US20140318012A1 (en) Plant growing device
WO2016180017A1 (zh) 一种植物生长箱
RU2688371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фотобиореакторов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водорослей
KR102048183B1 (ko) 곤충 생태관
CN108024510A (zh) 栽培装置以及栽培方法
US20220174890A1 (en) Method of operating a lighting system for an indoor garden center
KR20240039608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048146B1 (ko) 곤충 생태관
CA3019472A1 (en) Cultivation shelf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KR101693419B1 (ko) 식물조직 배양대
KR20190102617A (ko) 자동 식물재배장치
KR101533828B1 (ko) 가변형 식물재배 장치
JP4169925B2 (ja) 植物の環境装置
CN107258394A (zh) 智能植物生长实验装置及其温度调控方法
KR102480385B1 (ko) 밀폐형 구조의 소형 수경 재배장치
CN104604664A (zh) 一种多功能培养箱
RU2739604C1 (ru) Климатическая камер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05830677U (zh) 一种带环境控制功能的芽苗菜培植机
JP6248256B2 (ja) 完全人工光型植物栽培設備
JP5873286B2 (ja) 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