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06A -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06A
KR20200129606A KR1020190054272A KR20190054272A KR20200129606A KR 20200129606 A KR20200129606 A KR 20200129606A KR 1020190054272 A KR1020190054272 A KR 1020190054272A KR 20190054272 A KR20190054272 A KR 20190054272A KR 20200129606 A KR20200129606 A KR 20200129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 signal
switching
switching control
touch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츠
Priority to KR102019005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606A/ko
Publication of KR2020012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지시, 터치 모니터의 베젤(bezel)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에 연결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은, 터치 모니터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A display switching system for touch monitor}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에 미리 연결해 놓은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선택된 하나의 장치가 상기 터치 모니터를 구성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지시, 터치 모니터의 베젤(bezel)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에 연결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일정한 영상처리 장치에서 공급하는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가 손이나 인식 가능한 수단을 표면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출력은 물론 지시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터치 모니터(터치 스크린)의 크기는 커지고 있으며, 하나의 터치 모니터에 복수의 다양한 영상처리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영상처리장치를 개인용 컴퓨터(PC)와 스마트폰으로 한정하고 설명한다.
하나의 터치 모니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PC와 하나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OSD(On Screen Display) 버튼이나 모니터 제어용 리모콘을 사용하거나, 사용 중인 PC와 터치 모니터를 연결하고 있던 USB 커넥터를 제거하고 스마트폰과 터치 모니터를 연결하는 USB 커넥터를 재설치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78129(2014년06월25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지시, 터치 모니터의 베젤(bezel)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에 연결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은, 터치 모니터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모니터는 연결된 장치에서 공급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터치 동작을 처리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는 보드 바디와 상기 보드 바디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포트로 이루어지며,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 포트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터치 모니터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선택영역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미리 정한 일정한 패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할 때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지시, 터치 모니터의 베젤(bezel)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에 설치된 선택버튼에 인가하는 지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시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에 연결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모니터와 연결된 장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연결되어 있던 커넥터를 해제하고 다른 커넥터를 연결하는 과정을 이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터치 모니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은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의 일 실시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100)은, 터치 모니터(110) 및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를 포함한다.
터치 모니터(110)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외부장치(130, 140) 중 선택된 하나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외부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PC, 130) 및 스마트폰(140)으로 한정한다.
터치 모니터(110)는 커넥터(121)로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와 연결되고, PC(130)와 스마트폰(140)은 각각의 2개의 커넥터(122, 123)로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100)의 핵심 아이디어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장치(130, 14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터치 모니터(110)에 연결하도록 하며, 스위칭 제어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터치 모니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모니터(110)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 터치 제어부(112), 베젤(113) 및 제1 선택버튼(114)을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한편으로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130, 140) 중 선택된 장치에서 공급하는 영상을 재생하며, 특히, 인터페이스 스위칭 선택영역(미도시)을 디스플레이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에서 인가하는 터치 동작을 터치 제어부(112)에 전달한다.
터치 제어부(112)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인가하는 터치 동작을 처리하며, 특히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스위칭 선택영역(미도시)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면 이에 응답하여 제1 스위칭 제어신호(SC1)를 생성한다. 이외에도 미리 선정해 놓은 패턴을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에 인가할 때 제1 스위칭 제어신호(SC1)가 생성되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베젤(113)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일면에 누르면 제2 스위칭 제어신호(SC2)가 생성되는 제1선택버튼(114, 도 1의 원의 내부)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는, 보드 바디(121), 연결 포트(122) 및 제2 선택버튼(123)을 포함한다.
연결 포트(122)는 보드 바디(121)에 복수 개 설치되며, 연결 포트로는 USB 포트가 그 예로 들 수 있다. 일 단이 터치 모니터(110)와 연결된 커넥터(121)의 반대 단이 복수의 연결 포트(122) 중 하나에 연결되고, 일 단이 PC(130)와 연결된 커넥터(122)의 반대 단이 복수의 연결 포트(122) 중 비어 있는 포트 중 하나에 연결되며, 일 단이 스마트폰(140)에 연결된 커넥터(123)의 반대 단이 복수의 연결 포트(122) 중 비어 있는 포트 중 하나에 연결될 것이다.
제2 선택버튼(123)은 보드 바디(121)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르면 제3 스위칭 제어신호(SC3)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3가지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터치 모니터(110)의 구성,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의 구성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제1선택버튼(114) 및 제2 선택버튼(123)이 없을 때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선택영역을 통해 제1 스위칭 제어신호(SC1)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선택버튼(114)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SC1)와 제1 선택버튼(114)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SC2)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면 되고, 제2 선택버튼(123)이 설치되어 있을 때에도 동일한 논리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
활성화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은 토글(toggle) 방식, 로터리(rotary)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장치의 수가 2개일 때에는 토글 방식을 적용하여 한 번 활성화되면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고 이어서 활성화되면 다른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면 될 것이다. 외부 장치의 수가 3개 이상일 때에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마다 장치를 순서대로 선택하면 된다.
만일, 스위칭 제어신호에 일정한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해당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장치 중 지명된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110)에 연결되는 외부장치가 새롭게 변경되었을 때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재생되는 영상이 새롭게 변경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로 변경하여 재생되는 것은 당연하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터치 모니터(110)에 연결되는 외부장치가 새롭게 변경되었을 때,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현재 활성화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된 장치의 종류를 문자, 아이콘 등 그림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터치 모니터
111: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112: 터치 제어부
113: 베젤 114: 제1 선택버튼
120: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
121: 보드 바디 122: 연결 포트
123: 제2 선택버튼
130: PC
140: 스마트폰

Claims (4)

  1. 연결된 장치에서 공급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는 터치 동작을 처리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모니터; 및
    보드 바디와 상기 보드 바디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포트로 이루어지며,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 포트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터치 모니터로 스위칭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 를 구비하며,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 선택영역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미리 정한 일정한 패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할 때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터치 모니터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싸며 일면에 누르면 제2 스위칭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제1선택버튼이 설치된 베젤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보드 바디는 누를 때 제3 스위칭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제2선택버튼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보드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및 상기 제3 스위칭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연결 포트는 USB 포트인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KR1020190054272A 2019-05-09 2019-05-09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KR20200129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72A KR20200129606A (ko) 2019-05-09 2019-05-09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72A KR20200129606A (ko) 2019-05-09 2019-05-09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06A true KR20200129606A (ko) 2020-11-18

Family

ID=7369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72A KR20200129606A (ko) 2019-05-09 2019-05-09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6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29A (ko) 2012-12-17 2014-06-25 정홍구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을 위한 독과 실행을 위한 위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29A (ko) 2012-12-17 2014-06-25 정홍구 스마트폰 컴퓨터 연결을 위한 독과 실행을 위한 위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336B2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US80638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an input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WO2015043485A1 (zh)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24413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181068A (ja) リモコン装置
CN102498457A (zh) 输入装置和输入装置的控制方法
US20170285813A1 (en) Touch-Input Support for an External Touch-Capable Display Device
CN100420360C (zh) 带有显示屏的电子装置
JP200024237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10035033A (ko)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운영 시스템
KR102123306B1 (ko) 리모컨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KR20200129606A (ko) 터치 모니터 화면 전환시스템
KR201000523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1597A (ko) 데이터 실행 장치
CA3181648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vid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one or more connected computing devices and an interactive display
US907543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7016299A (ja) コンソールシステム
KR20210001818A (ko) 제어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저장 매체
JP522771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352791B1 (ko) 이미지 소스들을 스위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운영 시스템
TWI389007B (zh) 多電腦切換器及其設定方法
KR20070087444A (ko) 듀얼 뷰 모니터 화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3441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23003213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335312A (zh) 多计算机装置的连接接口切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