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520A -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520A
KR20200129520A KR1020190054065A KR20190054065A KR20200129520A KR 20200129520 A KR20200129520 A KR 20200129520A KR 1020190054065 A KR1020190054065 A KR 1020190054065A KR 20190054065 A KR20190054065 A KR 20190054065A KR 20200129520 A KR20200129520 A KR 20200129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glycerol
impregnated
sulfuric acid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800B1 (ko
Inventor
오동훈
김읽음
최영찬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9005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2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chem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4Raw material of mineral origin to be used; Pre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26After-treatment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2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54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63Sulphur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22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improving fuel economy or fuel effici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2Impregnation or immersion of a fuel component or a fuel as a wh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글리세롤과 황산 혼합액을 저급탄에 함침시켜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석탄의 반탄화 과정을 진행하여도 석탄에 함침된 글리세롤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량이 더욱 향상된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할 수 있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을 혼합하는 단계(S20)와;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에 석탄을 함침시키는 단계(S30)와;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함침된 석탄을 건조시키는 단계(S40)와; 건조된 석탄을 질소조건 하에서 반탄화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glycerol-impregnated modified hybrid coal}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글리세롤과 황산 혼합액을 저급탄에 함침시켜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석탄의 반탄화 과정을 진행하여도 석탄에 함침된 글리세롤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량이 더욱 향상된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할 수 있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유가와 원자력 에너지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 등의 원인으로 에너지원으로서의 석탄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석탄은 화석연료 중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서 지구 온난화 문제를 감안하면 경쟁력이 취약한 에너지원인 셈이다. 따라서 현재 에너지원으로서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것 중에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저감되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태양광 또는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을 발전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석연료와 비교하면 발전단가 등의 차이로 인하여 획기적인 이용 및 보급이 제한적인 상황이었다.
우리나라도 화석연료의 고갈과 더불어 국제조약인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이 대두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가 거론되기 시작한 이래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가 도입됨으로써 에너지 사업자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발전사에서는 석탄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축시키는 노력으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IGCC)] 및 바이오매스 혼소 등을 시도하고 있지만, IGCC는 기존의 석탄 화력 발전시설을 이용할 수 없고, 1기당 약 1조 3천억원 규모의 막대한 건설비용이 필요하며,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하여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설비[Carbon Capture and Storage(CCS)]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기술로서 경제적인 부담이 매우 크다. 그리고 바이오매스 혼소의 경우에는 석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발열량의 바이오매스를 연소함에 따른 발전효율 감소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최근 역청탄과 같은 고급탄의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발전사에서도 저급탄을 불가피하게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저급탄의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저급탄을 혼소할 경우 발전성능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CO2 발생량이 고급탄에 비해 20%이상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저급탄이 전체 석탄 매장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저급탄의 고부가가치화는 저급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저급탄을 단순건조, 열수를 이용한 고압건조, 또는 고온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건조 등의 저급탄 건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지만,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 및 건조 후에 수분이 재흡착되어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또한, 건조된 석탄에 수분이 재흡착되면서 자연발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저장된 석탄이 손실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 건류 생성물 중의 타르를 석탄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저급탄을 고품질로 개질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으나, 수분의 재흡착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최근에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글리세롤을 자원화하는 기술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이러한 글리세롤을 재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화합물에 대한 높은 수율을 확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고압의 반응조건이 필요하여 공정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특정 화합물에 대한 높은 수율이 요구되지 않고, 고비용의 생산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 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글리세롤을 그대로 자원화 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는바, 유기성 슬러지와 폐글리세롤을 혼합 및 가열 건조하여 고형 연료를 제조한 예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유기성 슬러지와 폐글리세롤을 단순히 혼합 및 가열건조하여 성형한 것으로 건조시 함수율에 따른 발열량만 고려했을 뿐, 건조 후 수분의 재흡착에 대한 평가와 표면의 소수성에 대한 평가는 역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국특허등록 제10-1210928호에서 석탄에 글리세롤을 함침시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한 바 있으나, 그러나 저급탄의 발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반탄화 공정이 필요하지만 반탄화 공정이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글리세롤을 건조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글리세롤과 황산 혼합액을 저급탄에 함침시켜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석탄의 반탄화 과정을 진행하여도 석탄에 함침된 글리세롤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량이 더욱 향상된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할 수 있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은, 석탄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을 혼합하는 단계(S20)와;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에 석탄을 함침시키는 단계(S30)와;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함침된 석탄을 건조시키는 단계(S40)와; 건조된 석탄을 질소조건 하에서 반탄화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혼합하는 단계에서 석탄의 다수의 기공에 글리세롤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의 혼합액은 석탄을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의 혼합비는 1:0.1~1:0.5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석탄의 건조단계는 80~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석탄의 반탄화 단계는 200~25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반탄화된 석탄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탄에 글리세롤과 함께 사용되는 황산에 의해서 발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진행되는 반탄화 과정을 수행하여도 글리세롤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화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안정적인 투-인-원 연료(Two-in-one fuel)의 연소 특징으로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어도, 다단연소가 일어나지 않아 미연소탄소가 적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은 저급탄에서 고발열량을 증가시켜 고급탄을 대체하여 저급탄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글리세롤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충적시키면서도 에너지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과정에 대한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의 연소특성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과 비교예의 활성화에너지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2,3과 비교예의 UBC 배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2,3과 비교예의 황화수소 배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원탄 또는 건조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의 부산물인 글리세롤을 함침시키고 건조하여 소수성으로 개질함으로써 건조 후에도 수분의 재흡착이 현저하게 억제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으로부터 저급탄을 고급화하는 기술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은 석탄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을 혼합하는 단계(S20)와;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에 석탄을 함침시키는 단계(S30)와;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함침된 석탄을 건조시키는 단계(S40)와; 건조된 석탄을 질소조건 하에서 반탄화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때, 반탄화된 석탄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단계의 석탄은 표면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갈탄, 아역청탄과 같이 수분 함량, 예컨대 20 내지 60 중량%로 높은 저급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석탄의 준비단계에서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 S30단계의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은 석탄이 함침되면서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글리세롤은 바이오디젤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상온에서 액상의 물질로서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함침된다. 석탄의 친수성 표면은 석탄의 회분 표면이거나 -COOH(카르복실기), -NH2(아민기), -OH(하이드록실기) 기능기를 갖는 석탄의 고정탄소 및 휘발분 표면일 수도 있다. 글리세롤은 바이오매스의 생산공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글리세롤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수득되는 글리세롤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은 석탄 중량 대비 5~8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글리세롤의 첨가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 내에 침투하는 글리세롤의 양이 미미하여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충분하게 함침될 수 없어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기 어렵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페이스트 성상을 얻기 어려워 가공성이 떨어진다.
황산은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상에서 석탄에 함침된 글리세롤이 반탄화 단계에 휘발되지 않도록 사용된다. 이때, 글리세롤에 대하여 황산의 혼합량은 1:0.1~1: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산의 혼합비가 0.1 중량비 미만이면 탄화시에 글리세롤의 휘발을 방지하기 어려워지고, 혼합량의 중량비가 5 이상이 되면 다량의 황산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S40단계에서 석탄이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함침되면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의 이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코팅되도록 글리세롤의 휘발온도 이하에서 건조시킨다. 건조온도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과정에 의해서 글리세롤-황산 혼합물이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달라붙으면서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어 수분의 재흡착을 감소시키게 된다.
S50단계에서 석탄의 건조과정을 통해서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달라붙으면 질소분위기에서 200~250℃로 가열하여 반탄화시킨다. 이때, 글리세롤에 혼합된 황산에 의해 반탄화 온도가 글리세롤이 휘발온도인 180~200℃에서 진행되더라도 글리세롤이 휘발되지 않고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남아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반탄화 과정을 통해 석탄의 친수성 기공 및 친수성 표면에 달라붙은 글리세롤에 새로운 기능기(C=C)가 생성되고, 친수성 기능기들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수분의 재흡수율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석탄의 발열량을 유지하고 수송, 저장 시 비용 절감과 더불어 수분에 의한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60단계에서 반탄화된 석탄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반탄화된 석탄에 남아 있는 황산을 추가로 제거하여 황산화물의 발생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러한 S50단계 또는 S60단계를 통해 석탄의 반탄화 과정을 거친 이후에 펠렛 등으로 성형하여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반탄화 과정을 거친 하이브리드 석탄은 안정적인 투-인-원 연료(Two-in-one fuel)의 연소 특징을 보인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은 고위발열량은 원탄에 비하여 약 1,100 kcal/kg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은 저급탄을 활용하여 고급탄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급탄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3, 비교예 1~2)
글리세롤 10g 및 황산 1g의 혼합액에 입자크기가 75 μm이하인 건조된 아역청탄(BC) 100g를 혼합하여 갈탄에 글리세롤 10%를 함침시켰다. 그리고, 120℃에서 6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질소분위기 하에서 250℃에서 1 시간 동안 반탄화 과정을 수행하여 실시예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였다(BC-10).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글리세롤 20g 및 황산 2g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갈탄에 글리세롤 20%를 함침시켜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였으며(BC-20), 실시예 3은 글리세롤 30g 및 황산 3g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갈탄에 글리세롤 30%를 함침시켜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였다(BC-30).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BC-10)을 물에 세척하고, 120℃에서 6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BC-10-washing).
비교예 1은 건조된 갈탄을 사용하였다(BC-D).
(실시예 5~7, 비교예 2)
실시예 4~7은 실시예1~3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갈탄(KC)을 사용하여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였다(KC-10, KC-20, KC-30).
비교예 2는 건조된 아역청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KC-D)
<글리세롤의 연소특성 확인>
실시예 1~7 및 비교예 1~2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의 연소온도 및 원단의 연소 특성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리세롤은 200℃에서 휘발되지만,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글리세롤의 연소패턴이 사라지고 기존 석탄의 연소패턴과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공특성확인>
실시예 1~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과 비교예 1의 단순 건조한 원탄의 기공 크기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ET 비표면적
(m2/g)
기공면적
(m2/g)
기공표면적
(m2/g)
총기공부피
(cm3/g)
기공부피
(cm3/g)
비교예1
(BC-D )
12.04 1.84 10.2 0.0214 0.000694
실시예1
(BC-10)
0.68 0.55 0.95 0.0032 0.000212
실시예2
(BC-20)
0.61 0.33 0.34 0.0027 0.000124
실시예3
(BC-30)
0.49 0.21 0.27 0.0018 0.00008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글리세롤이 석탄 기공속으로 함침되어 있어 비표면적, 기공면적 등이 비교예2의 원탄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활성화에너지 확인>
실시예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과 비교예 1의 원탄의 활성화에너지를 확인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인 원탄의 활성화에너지가 9.68Kcal/mol이였지만 실시예 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7.44Kcal/mol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활성화에너지에 의해서 빠른 점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빠른 점화는 UBC(Unburned Carbon)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UBC 배출 확인>
실시예 1,2,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 및 비교예 1의 원탄을 연소시켜 UBC(Unburned Carbon) 배출을 확인하여 도 5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소시 배출되는 UBC가 비교예 1의 원탄에서는 37.87%였지만, 실시예 1,2,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에서는 각각 27.44% 29.99%, 24.61%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UBC(Unburned Carbon)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의 Two-in-one fuel 연소 특성과 빠른 점화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글리세롤의 함침량이 많을수록 UBC 배출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 재흡착율 확인>
실시예1,2,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 및 원탄을 과량의 물에 담가 10분간 교반하면서 기공내로 물이 흡착되게 한 후, 20분간 여과하여 외부 수분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한다. 외부수분이 제거된 석탄은 다시 105℃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기공 내의 수분까지 제거한다. 수분 재흡착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수분 재흡착율(wt%) = (Cwet - Cdry)/Cwet * 100[Cwet 는 여과 후의 석탄 무게, Cdry는 오븐 건조 후의 석탄 무게]
비교예1
(BC-D)
실시예1
(BC-10 )
실시예2
(BC-20)
실시예3
(BC-30)
수분 재흡수율 53.89% 12.86% 10.31% 8.5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원탄에서는 수분 재흡수율을 53.89%이였지만, 실시예 1,2,3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에서는 수분 재흡수율을 12.86%, 10.31%, 8.55%로 각각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반탄화 과정을 글리세롤에 새로운 기능기(C=C)가 생성되고, 친수성 기능기들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석탄의 수분 흡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황산화물발생 확인>
실시예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BC-10), 실시예 4의 세척한 하이브리드 석탄(BC-10-washing) 및 비교예 1의 원탄(BC-D)을 연소시켜 황산화물의 배출을 확인하여 도 6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후에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에서는 제조과정에서 황산이 추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SOX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4와 같이 세척할 경우 비교예 1의 원탄과 비슷한 수준의 황산화물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열량 확인>
실시예 1 내지 7의 글리세롤이 함침된 하이브리드 석탄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원탄의 공업분석 결과와 발열량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공업분석(wt%)   인수식
발열량
(kcal/kg) 
참 발열량
(kcal/kg)
수분 휘발분 회분 고정탄소
비교예1
(BC-D)
18.99 36.35 5.69 38.97 5,023 4,679
실시예1
(BC-10)
2.01 44.64 7.54 45.81 6,095 5,868
실시예2
(BC-20)
1.77 44.44 7.9 45.89 6,208 6,000
실시예3
(BC-30)
0.93 42.82 7.93 48.32 6,281 6,084
실시예4
(BC-10-washing)
6,035 5,803
비교예2
(KC-D)
31.12 30.18 5.18 33.52 3,754 3,419
실시예5
(KC-10)
0.54 45.32 8.17 45.97 5,520 5,319
실시예6
(KC-20)
0.41 45.21 8.31 46.07 5,617 5,446
실시예7
(KC-30)
0.35 43.49 9.24 46.92 5,710 5,547
상기 표 3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갈탄을 사용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KC-10, KC-20, KC-30)은 비교예 1의 원탄에 비해 참 발열량(고유수분의 증발잠열을 고려한 경우)은 약 1,766 ~ 1,956 kcal/kg이 더 높았고, 발전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수식 발열량의 경우는 약 1,900 ~ 2,128 kcal/kg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4~6의 아역청탄을 사용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BC-10, BC-20, BC-30)도 비교예 2의 원탄에 비해 참 발열량은 약 1,072 ~ 1,258 kcal/kg 더 높았고, 발전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수식 발열량의 경우는 약 1,189 ~ 1,124 kcal/kg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7과 같이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세척된 하이브리드 석탄((BC-10-washing)도 참 발열량은 1,012 kcal/kg 더 높았고, 인수식 발열량도 1,124 kcal/kg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원탄보다 매우 높게 발열량이 향상되어 저급탄도 고급탄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글리세롤이 함침되고 반탄화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원탄에 비하여 수분의 함량을 현저하게 낮게 유지할 수 있고, 휘발분과 고정탄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석탄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을 혼합하는 단계(S20)와;
    글리세롤 황산 혼합액에 석탄을 함침시키는 단계(S30)와;
    글리세롤-황산 혼합액이 함침된 석탄을 건조시키는 단계(S40)와;
    건조된 석탄을 질소조건 하에서 반탄화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함침단계에서 석탄의 다수의 기공에 글리세롤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의 혼합액은 석탄을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글리세롤과 황산용액의 혼합비는 1:0.1~1:0.5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석탄의 건조단계는 80~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석탄의 반탄화 단계는 200~25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반탄화된 석탄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KR1020190054065A 2019-05-09 2019-05-09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KR10227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65A KR102271800B1 (ko) 2019-05-09 2019-05-09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65A KR102271800B1 (ko) 2019-05-09 2019-05-09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20A true KR20200129520A (ko) 2020-11-18
KR102271800B1 KR102271800B1 (ko) 2021-07-01

Family

ID=7369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65A KR102271800B1 (ko) 2019-05-09 2019-05-09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28B1 (ko) * 2012-09-21 2012-1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KR20140129563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체 바이오매스가 함침된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0005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4919B1 (ko) * 2014-06-09 2014-11-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상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슬러지 혼합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28B1 (ko) * 2012-09-21 2012-1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KR20140129563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체 바이오매스가 함침된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0005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64919B1 (ko) * 2014-06-09 2014-11-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상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슬러지 혼합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 학술논문, Ju-Hyoung Park 등, SUSTAINABLE CHEM. ENG. 2019, 7, pp.4637-4646 (2019.02.0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00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iari et al. Biomass derived chars for energy applications
Sakhiya et al. Production, activation, and applications of biochar in recent times
Lee et al. Review of the use of activated biochar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KR101195416B1 (ko)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Rice husk-derived carbon an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195418B1 (ko) 2단계 건조공정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Chellappan et al. Experimental validation of biochar based green Bronsted acid catalysts for simultaneous esterific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in biodiesel production
Akdemir et al. Ruthenium modified defatted spent coffee catalysts for supercapacitor and methanolysis application
Osman et al. Optimizing biomass pathways to bioenergy and biochar application in electricity generation, biodiesel production, and biohydrogen production
KR101195417B1 (ko)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KR101210928B1 (ko)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Parsimehr et al. Energy harvesting/storage and environmental remediation via hot drinks wastes
CN108821283B (zh) 一种利用杉木树皮微波辅助水热制备活性炭的方法
KR102271800B1 (ko) 글리세롤이 함침된 개질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Lim et al. Critical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biomass waste as precursor for carbon material as electrocatalysts for metal-air batteries
CN110518243B (zh) 木质素在制备锂电池石墨负极材料中的应用
CN109110758B (zh) 一种超级电容器用多孔炭电极材料的制备方法
Zhou et al. Influence of the grinding media applying in the soft coal and waste biomass on the carbothermic reduction process of silica
CN111187648A (zh) 一种清洁成型燃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15043401A (zh) 湿生物质热解制备氮掺杂多级孔生物炭及其应用
CN110028069A (zh) 一种用于超级电容器的多级孔先进碳电极材料的制备方法
Lee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brid coal using sugar impurities extracted from pitch pine
KR101580621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석탄 및 그 제조방법
Kara et al.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of biomass energy in Turkey
KR20210122540A (ko) 초본계 바이오매스에서 추출된 혼합바이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