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417B1 -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 Google Patents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417B1
KR101195417B1 KR1020120022985A KR20120022985A KR101195417B1 KR 101195417 B1 KR101195417 B1 KR 101195417B1 KR 1020120022985 A KR1020120022985 A KR 1020120022985A KR 20120022985 A KR20120022985 A KR 20120022985A KR 101195417 B1 KR101195417 B1 KR 10119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hybrid
biomass
water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최영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417B1/ko
Priority to CN201280004466.8A priority patent/CN103429718B/zh
Priority to PCT/KR2012/006565 priority patent/WO2013129744A1/ko
Priority to JP2014559809A priority patent/JP2015513593A/ja
Priority to AU2012359295A priority patent/AU20123592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10L1/328Oil emulsions containing water or any other hydrophilic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50/00Structural features of fuel components or fuel compositions, either in solid, liquid or gaseous state
    • C10L2250/08Emulsion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Abstract

본 발명은 i) 석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으로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페이스트를 탄화로에 투입하여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하이브리드 석탄을 얻는 단계, iii)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는 슬러리의 석탄농도가 원탄 또는 건조탄으로 제조된 슬러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으므로 습식 분류층 가스화에 적용할 경우 석탄전환율, 냉가스효율 등 가스화 성능이 증가되고 그로 인해 가스화 공정의 CO2 배출량은 저감되리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수분 함량이 높은 저급탄을 이용한 고농도 슬러리 제조가 가능해지므로 복잡한 구조의 건식 가스화기에 대한 습식 가스화기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Method for Manufacturing High-concentration Hybrid Coal Slurry and High-concentration Hybrid Coal Slurry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원탄 또는 건조탄에 존재하는 친수성 표면을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으로 코팅하여 소수성으로 개질한, 석탄 고유의 천연 탄소성분과 바이오매스 유래 인공 탄소성분이 혼성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유가와 원자력 에너지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 등의 원인으로 에너지원으로서의 석탄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2007년 기준으로 전체 화석연료 가채매장량은 현재의 화석연료소비 수준으로 고려할 때 향후 약100년을 더 소비할 수 있는 수준이며 그 중 약 60%를 차지하는 화석연료가 바로 석탄이다. 특히 갈탄과 아역청탄과 같은 저급탄이 차지하는 매장량은 전체 석탄 매장량의 50%에 달하여 저급탄 고부가가치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Yvonne Traa, Chem . Commun ., 2010, 46, 2175] 그러나 저급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일부 중요한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실제로 석탄화력 발전소의 경우에는 고급탄 공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저급탄을 혼소하고 있는데, 저급탄의 높은 고유수분함량(20-65wt%) 때문에 발전효율이 감소되고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이 고급탄에 비해 20%이상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X. Li et al., Energy Fuels, 2010, 24, 160]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급탄을 단순건조, 열수를 이용한 고압건조, 또는 고온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건조 등의 저급탄 건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지만,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 및 건조 후에 수분이 재흡착되어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또한, 건조된 석탄에 수분이 재흡착되면서 자연발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저장된 석탄이 손실되는 문제점도 있다.[M. Morimoto et al., Energy Fuels, 2009, 23, 4533; D.J. Allardice et al., Fuel, 2003, 82, 661]
따라서 저급탄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건조처리된 저급탄에 수분이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량도 유지하고 자연발화도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들 중 상용화가 유력한 기술로는 저급탄을 고압의 분위기에서 고온의 유기용매를 이용해 가열함으로써 석탄의 고유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유기용매를 분리 회수해야 하고, 공정이 비교적 복잡하여 또 다른 에너지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보다 더 간단하고 효과적인 건조탄의 수분 재흡착 억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에너지원으로서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것 중에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저감되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태양광 또는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을 발전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석연료와 비교하면 발전단가 등의 차이로 인하여 획기적인 이용 및 보급이 제한적인 상황이었다.
우리나라도 화석연료의 고갈과 더불어 국제조약인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이 대두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가 거론되기 시작한 이래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가 도입됨으로써 에너지 사업자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신재생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하고,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따르기 위하여는 신재생에너지원의 개발 및 사용이 필수적이라 할 것인데, 그 중에서도 최근 바이오매스는 고갈의 염려가 없고 에너지원으로서의 기술개발이 용이하여 기타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우드 펠릿 또는 우드 칩 등의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면 정책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받는데 힘입어 석탄 등과 혼합하여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요가 증가하리라 예상되나, 우드 펠릿 또는 우드 칩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석탄 발전소의 CO2 배출저감을 목적으로 혼합해야만 하는 바이오매스 연료의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석탄 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E.D. Larson et al., Energy Environ . Sci ., 2010, 3, 28]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특허출원 전에 이미 상기 언급한 제반 문제점 및 시대적 상황들을 인식하여 특허출원 제10-2012-0021413호에서 저급탄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 신재생에너지원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시키고자 저급탄에 존재하는 친수성 표면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탄소성분으로 코팅하여 소수성으로 개질함으로써 건조 후에도 수분의 재흡착이 억제된, 석탄 고유의 천연 탄소성분과 인공 탄소성분이 혼성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 제10-2012-0021413호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석탄은 고형 연료로서 발전소용 미분연료로 그대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최근에 환경친화적이며 효율이 높아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서 석탄을 습식가스화하여 가연성 가스인 합성가스(Syngas)를 생산하고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를 통한 전기 생산, CTL(Coal To Liquid)을 통한 합성석유 생산 및 다양한 화학원료(chemicals)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고농도의 석탄 슬러리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아직까지 습식석탄 가스화의 경우에는 고농도의 슬러리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분류층 석탄 가스화는 건식 분류층과 습식 분류층으로 구분되는데, 습식 분류층 가스화는 건식에 비해 장치건설 비용이 저렴하고, 장치구조와 운전방법이 간단하며, 석탄 슬러리의 공급이 고압에서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습식의 경우 습식가스화 원료로 사용되는 슬러리 제조에 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됨으로서 석탄 슬러리의 발열량이 원탄을 사용하는 건식의 경우보다 낮아 가스화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농도의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급탄의 경우에는 고유수분 함량이 높아 석탄 슬러리의 농도가 낮은 것이 더 심각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급탄에 존재하는 친수성 표면을 탄소성분으로 코팅하여 소수성으로 개질함으로써 건조 후에도 수분의 재흡착이 억제된, 석탄 고유의 천연 탄소성분과 인공 탄소성분이 혼성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 석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으로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페이스트를 탄화로에 투입하여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하이브리드 석탄을 얻는 단계, iii)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석탄은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탄은 고유수분함량이 5~70 중량%의 원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탄은 고유수분함량이 5 중량% 이하의 건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사탕수수 원액 또는 당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목질계의 리그노셀룰로오스로부터 전환된 당류 또는 전분계를 효소분해 하여 얻게 되는 당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또는 갈락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당류는 슈크로스, 말토스 또는 락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당류는 녹말 또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석탄의 고위발열량은 4000 kcal/k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에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석탄 중량 대비 0.1~50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에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 용액 제조시 물 또는 유기용매/석탄의 중량비를 0.1~5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에서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 단계에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는 150~900℃에서 0.1~10 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i) 단계에서 물/알코올 분산매는 알코올/물의 중량비가 0.01~0.9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i) 단계에서 물/알코올 분산매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i)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는 CWM1002(formaldehyde condensate of sodium naphthalene sulfonate), CWM1001(polymer sulfonate), Na-CMC(carboxymethyl cellulose), Na-DBS(Alkylbenzene sulfate), Na-LS(alkylsulfate sodium salt), NP1020(alkylphenol ethyleneoxide(10)), NP1060(alkylphenol ethyleneoxide(50)), CA1053(casteroil ethyleneoxide(50)), ATLOX4913(methyl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cetyltrimethylammonium brimide 또는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이 석탄의 친수성 표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ii)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온, 상압 분위기에서 상기 페이스트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5~24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하이브리드 석탄 성형을 위한 바인더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석탄의 친수성 표면에 침투시켜 탄화하여 친수성 표면에 소수성인 탄소가 코팅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첨가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는 슬러리의 석탄농도가 원탄 또는 건조탄을 이용해 만든 슬러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습식 분류층 가스화에 적용할 경우 석탄전환율, 냉가스효율 등 가스화 성능이 증가되고 그로 인해 가스화 공정의 CO2 배출량은 저감되리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수분 함량이 높은 저급탄을 이용한 고농도 슬러리 제조가 가능해지므로 복잡한 구조의 건식 가스화기에 대한 습식 가스화기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 제조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석탄 중량 대비 0.1~50 중량%를 첨가하기 때문에 습식 석탄가스화 장치에 본 발명의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원천적인 바이오매스 사용에 따른 CO2의 추가적인 저감 효과가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급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고급화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개념도.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하이브리드 석탄과 단순 건조탄의 소수성 평가실험 결과.
도 3은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건조탄과 원탄 슬러리의 점도 측정 결과.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건조탄과 원탄 슬러리의 점도변화에 대한 슬러리 발열량의 변화.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저급탄에 존재하는 친수성 표면을 탄소성분으로 코팅, 소수성으로 개질함으로써 건조 후에도 수분의 재흡착이 억제된, 석탄 고유의 천연 탄소성분과 인공 탄소성분이 혼성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고농도의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급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고급화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 석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으로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페이스트를 탄화로에 투입하여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로부터 석탄 친수성 표면에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얻었다.
여기서 석탄은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저급탄을 대상으로 석탄 친수성 표면에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석탄 제조방법은 고급탄을 대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석탄은 고유수분함량이 5~70 중량%의 원탄 또는 고유수분함량이 5 중량% 이하의 건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사탕수수 원액 또는 당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탄소성분을 코팅할 수 있는 이유는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에 포함된 당류 때문이므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사탕수수 원액 또는 당밀외에도 목질계의 리그노셀룰로오스로부터 전환된 당류나 옥수수와 같은 전분계를 효소분해하여 얻게되는 당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당류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또는 갈락토스 중에서 선택되고, 이당류는 슈크로스, 말토스 또는 락토스 중에서 선택되며, 다당류는 녹말 또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석탄의 고위발열량은 4000 kcal/k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석탄 중량 대비 0.1~50 중량% 첨가함으로써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탄 중량 대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석탄의 친수성 표면 내에 침투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양이 미미하여 석탄의 친수성 표면을 충분하게 코팅할 수 없어 석탄의 친수성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페이스트 성상을 얻기 어려워 가공성이 떨어진다.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 용액 제조시 물 또는 유기용매/석탄의 중량비를 0.1~5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 또는 유기용매/석탄의 중량비가 0.1미만이면 바이오매스 유래물질이 석탄의 친수성 표면으로 침투되기가 어려워 친수성 표면의 소수성 개질이 어려워지고, 물 또는 유기용매/석탄의 중량비가 5 이상이 되면 건조 및 탄화공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페이스트가 형성되면, 그 형성된 페이스트를 탄화로에 투입하여 건조 및 탄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150~900℃에서 0.1~10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탄화 공정의 온도가 150℃, 0.1시간 미만이면 물 등의 유기용매를 완전히 건조하기도 어렵거니와 바이오매스 유래물질이 완전히 탄화되지 않고, 900℃, 10 시간을 초과하면 고온에서 장시간 건조 및 탄화 공정을 수행함에 따른 에너지 비용의 증대로 효율성이 저해된다.
또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이 석탄의 친수성 표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ii)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온, 상압 분위기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5~24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석탄의 친수성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사용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하이브리드 석탄 성형시 바인더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성형가공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개념도에서 보는 것처럼 고발열량의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함으로써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는 것으로, 물/알코올을 분산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코올/물의 중량비는 0.01~0.99가 되도록 하였다.
알코올/물의 중량비가 0.01 미만이면 분산성이 떨어져 슬러리 형성이 어렵고,알코올/물의 중량비가 0.99를 초과하면 습식가스화 반응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알코올/물의 중량비는 0.01~0.99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는 알코올 대신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물/계면활성제의 분산매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슬러리 제조시 분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CWM1002(formaldehyde condensate of sodium naphthalene sulfonate), CWM1001(polymer sulfonate), Na-CMC(carboxymethyl cellulose), Na-DBS(Alkylbenzene sulfate), Na-LS(alkylsulfate sodium salt), NP1020(alkylphenol ethyleneoxide(10)), NP1060(alkylphenol ethyleneoxide(50)), CA1053(casteroil ethyleneoxide(50)), ATLOX4913(methyl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cetyltrimethylammonium brimide 또는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등이 바람직하며, 그 첨가량은 슬러리가 양호하게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라면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슬러리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물/알코올/계면활성제의 분산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물/알코올 분산매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몽골지역의 시베오부 원탄 500g을 준비하였다. 당밀 32g을 물 280g에 용해시킨 당밀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시베오부 원탄에 당밀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시베오부 원탄과 당밀 수용액의 복합체를 페이스트 형태로 얻었다.
상기 얻어진 페이스트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250℃의 반응기에 넣고 5 시간 건조 및 탄화 과정을 거쳐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이브리드 석탄을 200 mesh로 시빙으로 하여 7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샘플만을 수집한다. 75 마이크로미터 이하 하이브리드 석탄을 중량비가 0.1인 에탄올/물의 혼합용매에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석탄의 농도가 건조탄 기준으로 28 중량%, 30 중량%, 32 중량%, 34 중량%, 36 중량%, 38 중량%, 40 중량%, 42 중량%가 되는 슬러리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페이스트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350℃의 반응기에 넣고 5 시간 건조 및 탄화 과정을 거쳐 하이브리드 석탄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슬러리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몽골지역의 시베오부 석탄을 110℃ 오븐에서 12 시간 건조한 석탄 500g을 준비하였다. 상기 시베오부 건조탄을 200 mesh로 시빙으로 하여 7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샘플만을 수집한다. 75 마이크로미터 이하 시베오부 건조탄을 중량비가 0.1인 에탄올/물의 혼합용매에 첨가하여 석탄의 농도가 건조탄 기준으로 28 중량%, 30 중량%, 32 중량%, 34 중량%, 36 중량%, 38 중량%, 40 중량%, 42 중량%가 되는 슬러리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시베오부 건조탄을 시베오부 원탄으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슬러리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부터 석탄 슬러리를 제조하기 전 상태인 하이브리드 석탄과 단순 건조탄의 소수성을 평가하기 위한 간단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 50g에 하이브리드 석탄 3g을 첨가하고 spatular를 이용해서 강하게 교반한다. 비교를 위해서 물 50g에 시베오부 건조탄 3g을 첨가하고 spatular를 이용해서 강하게 교반한 시료도 준비한다. 교반 후 각각의 시료의 사진을 도 2 에 나타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질 전 시베오부 단순 건조탄의 경우에는 양친성 때문에 쉽게 물을 흡수하면서 분산이 되었지만, 개질 후 하이브리드 석탄의 경우에는 소수성에 의해 강한 교반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수면위에 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하이브리드 석탄의 친수성 기공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수분의 재흡착이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석탄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석탄 슬러리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또한 비교예 1 및 2의 시베오부 단순 건조탄과 원탄으로부터 제조한 슬러리를 이용하여서도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 슬러리 점도에서 석탄농도는 하이브리드 석탄>건조탄>원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석탄의 경우에는 슬러리의 석탄농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 슬러리의 농도를 3000 cP를 기준으로 했을 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드 석탄은 시베오부 원탄과 비교했을 때는 9.4 wt%, 시베오부 건조탄과 비교했을 때는 5.5 wt% 높은 슬러리 농도를 보여주었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드 석탄은 시베오부 원탄과 비교했을 때는 8.1 wt%, 시베오부 건조탄과 비교했을 때는 4.2 wt% 높은 슬러리 농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첨가한 물이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탄소성분으로 코팅되어 소수성으로 개질된 친수성 표면으로 스며드는 것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분기공과 같은 친수성 표면을 채우고 있는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인공 탄소성분이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유효부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물의 흡수량이 감소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 각각의 샘플에 대한 슬러리 점도변화에 따른 슬러리 발열량 변화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석탄이 비교예 1의 시베오부 건조탄 및 비교예 2의 시베오부 원탄에 비해서 같은 점도조건에서 월등히 높은 슬러리 발열량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습식 분류층 가스화에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이용하면 원탄이나 건조탄 슬러리를 이용했을 때보다 가스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i) 석탄을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으로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페이스트를 탄화로에 투입하여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하이브리드 석탄을 얻는 단계, iii) 하이브리드 석탄을 물/알코올, 물/계면활성제 또는 물/알코올/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매에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ii)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온, 상압 분위기에서 페이스트를 5~240 시간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은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은 고유수분함량이 5~70 중량%의 원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은 고유수분함량이 5 중량% 이하의 건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사탕수수 원액 또는 당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목질계의 리그노셀룰로오스로부터 전환된 당류 또는 전분계를 효소분해 하여 얻게 되는 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또는 갈락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당류는 슈크로스, 말토스 또는 락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녹말 또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석탄의 고위발열량이 4000 kcal/k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석탄 중량 대비 0.1~50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용액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 용액 제조시 물 또는 유기용매/석탄의 중량비는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의 건조 및 탄화는 150~900℃에서 0.1~10 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물/알코올 분산매는 알코올/물의 중량비가 0.01~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물/알코올 분산매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CWM1002(formaldehyde condensate of sodium naphthalene sulfonate), CWM1001(polymer sulfonate), Na-CMC(carboxymethyl cellulose), Na-DBS(Alkylbenzene sulfate), Na-LS(alkylsulfate sodium salt), NP1020(alkylphenol ethyleneoxide(10)), NP1060(alkylphenol ethyleneoxide(50)), CA1053(casteroil ethyleneoxide(50)), ATLOX4913(methyl methacrylate graft copolymer), cetyltrimethylammonium brimide 또는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은 하이브리드 석탄 성형을 위한 바인더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23. 제1항 내지 제19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KR1020120022985A 2012-02-29 2012-03-06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KR10119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85A KR101195417B1 (ko) 2012-03-06 2012-03-06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CN201280004466.8A CN103429718B (zh) 2012-02-29 2012-08-17 涂覆有生物质衍生的碳成分的高发热混合煤、高浓度混合煤浆体及其制备方法
PCT/KR2012/006565 WO2013129744A1 (ko) 2012-02-29 2012-08-17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및 그들의 제조방법
JP2014559809A JP2015513593A (ja) 2012-02-29 2012-08-17 バイオマス由来炭素成分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発熱量ハイブリッド石炭、高濃度ハイブリッド石炭スラリ、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AU2012359295A AU2012359295B2 (en) 2012-02-29 2012-08-17 High-calorific hybrid coal coated with biomass-derived carbon source, high concentration hybrid coal slurry,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85A KR101195417B1 (ko) 2012-03-06 2012-03-06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417B1 true KR101195417B1 (ko) 2012-10-30

Family

ID=4728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985A KR101195417B1 (ko) 2012-02-29 2012-03-06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4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28B1 (ko) 2012-09-21 2012-1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KR20160022191A (ko) 2014-08-19 2016-02-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이용 에탄올 생산공정을 연계한 소수성 그래뉼 형태 혼합연료,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81027A (ko) 2014-12-30 2016-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그닌을 포함하는 표면 소수성 석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097B1 (ko) * 2016-05-19 2017-12-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석탄 혼합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93054A1 (ko) * 2016-11-17 2018-05-24 박지혜 파래 기반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8007A (ko) 2018-12-21 2020-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및 습식 연료 공급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가스화장치 및 운전방법
WO2020163256A3 (en) * 2019-02-04 2020-10-01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US11447576B2 (en) 2019-02-04 2022-09-20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derived from recycled plastic content syng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517A (ja) * 2009-03-25 2010-10-07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ガス化システム及びガス化方法
JP2011093998A (ja) * 2009-10-29 2011-05-12 Jfe Steel Corp バイオマスを用いた石炭の改質方法
JP2011205933A (ja) * 2010-03-29 2011-10-20 Aichi Prefecture 高濃度糖化液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517A (ja) * 2009-03-25 2010-10-07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ガス化システム及びガス化方法
JP2011093998A (ja) * 2009-10-29 2011-05-12 Jfe Steel Corp バイオマスを用いた石炭の改質方法
JP2011205933A (ja) * 2010-03-29 2011-10-20 Aichi Prefecture 高濃度糖化液の製造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928B1 (ko) 2012-09-21 2012-12-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KR20160022191A (ko) 2014-08-19 2016-02-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이용 에탄올 생산공정을 연계한 소수성 그래뉼 형태 혼합연료,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81027A (ko) 2014-12-30 2016-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그닌을 포함하는 표면 소수성 석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097B1 (ko) * 2016-05-19 2017-12-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석탄 혼합 슬러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93054A1 (ko) * 2016-11-17 2018-05-24 박지혜 파래 기반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8007A (ko) 2018-12-21 2020-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및 습식 연료 공급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가스화장치 및 운전방법
WO2020163256A3 (en) * 2019-02-04 2020-10-01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US11286436B2 (en) 2019-02-04 2022-03-29 Eastman Chemical Company Feed location for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US11312914B2 (en) 2019-02-04 2022-04-26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to produce organic compounds
US11370983B2 (en) 2019-02-04 2022-06-28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US11447576B2 (en) 2019-02-04 2022-09-20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derived from recycled plastic content syngas
US11802251B2 (en) 2019-02-04 2023-10-31 Eastman Chemical Company Feed location for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US11939546B2 (en) 2019-02-04 2024-03-26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to produce organic compounds
US11939547B2 (en) 2019-02-04 2024-03-26 Eastman Chemical Company Gasification of plastics and solid fossil fu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417B1 (ko)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농도 하이브리드 석탄 슬러리
KR101195416B1 (ko)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Lignocellulosic biomass as sustainable feedstock and materials for power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Senthil et al. Biomass-derived biochar materials as sustainable energy source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Zhu et al. The rational design of biomass-derived carbon materials towards next-generation energy storage: A review
Cai et al.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tobacco stalk for fuel application
Wang et al. Rice husk-derived carbon an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195418B1 (ko) 2단계 건조공정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이 코팅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Titirici et al.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CN111994907A (zh) 一种生物质制备高比表面积硼掺杂多孔碳材料的方法
Yin et al. Recent insights in synthesis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of porous carbon derived from biomass waste: A review
Kamal et al. Preparation and synthesis of synthetic graphite from biomass waste: A review
CN112010302A (zh) 一种生物质制备多级孔磷掺杂碳材料的方法
Liang et al. Physical and combustion properties of binder-assisted hydrochar pellets from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tobacco stem
Mishra et al. A review of the next-generation biochar production from waste biomass for material applications
KR101210928B1 (ko)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글리세롤이 함침된 고발열량 하이브리드 석탄
KR20160081027A (ko) 리그닌을 포함하는 표면 소수성 석탄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biomass-derived porous carbon materials in energy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remediation
Zhong et al. Self-nitrogen-doped porous carbon prepared via pyrolysis of grass-blade without additive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Panwar et al.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a review
Liu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mineral matter on the combustion of coal blended with biomass
CN109003828A (zh) 小麦秸秆衍生的多孔生物质炭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Zhao et al. Lignocellulosic biomass-energized fuel cells: cases of high-temperature conversion
Wang et al. Production of biomass-based carbon materials in hydrothermal media: A review of process parameters, activation treatmen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U2012359295B2 (en) High-calorific hybrid coal coated with biomass-derived carbon source, high concentration hybrid coal slurry,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