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377A -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 Google Patents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377A
KR20200129377A KR1020190053689A KR20190053689A KR20200129377A KR 20200129377 A KR20200129377 A KR 20200129377A KR 1020190053689 A KR1020190053689 A KR 1020190053689A KR 20190053689 A KR20190053689 A KR 20190053689A KR 20200129377 A KR20200129377 A KR 2020012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collision
arm bush
bush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4761B1 (en
Inventor
김정호
김종원
김재훈
조기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761B1/en
Publication of KR2020012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a lower arm of a vehicle. An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is formed with multiple holes for crash rupture, and crash rupture occurs in the multiple holes for crash rupture when a vehicle crashes.

Description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Lower arm bush for improved crash performance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본 발명은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of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afety by inducing a lower arm fracture during a vehicle collis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vehicle suspension device is an important device for improving ride comfort and driving stability, and mainly performs a function of suppressing or rapidly reducing vibration provided from the wheel while stably supporting the vehicle body from the wheel.

이와 같은 현가장치에는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고 아울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어암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로어암과 같은 운동부나 엔진과 같은 구동부에 설치되는 방진부재 즉, 부시는 서스펜션 또는 엔진의 차체측 연결부위를 받쳐주는 구조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함께 자체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서스펜션이나 엔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 소음 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A lower arm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wheel to the vehicle body is used in such a suspension device, and a vibration isolating member installed on a driving part such as an engine or a moving part such as the lower arm, i.e., a bush, is a suspension or a vehicle body side of the engine. In addition to its structural role in supporting the connection part, it uses its own elastic deformation to absorb shock,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suspension or engine.

최근에는 충돌 법규 추가 강화로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테스트 충돌성능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는 다수의 차량에서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신차 개발시 대책 설계 구조가 검토 중이다.Recently, the demand for collision performance in the Small Over-lap test is increasing due to additional reinforcement of collision laws. This di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in many vehicles, and a countermeasure design structure is under review when developing new vehicles.

상기 스몰 오버랩 테스트에서는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타이어 이탈을 유도하여 승객의 공간 타격을 회피하여 충격 가속도를 저감하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small overlap test, it is advantageous to induce tire separation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void hitting the space of the passenger and reduce the impact acceleration.

도 1은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mprovement part of a vehicle for improving a conventional small overlap tes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 충돌 성능을 충족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되, 먼저 베리어(5)와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위해 ①번 부위인 차량(1)의 서브 프레임(10) 구조를 증가시키는 것이 있으나 서브 프레임(10) 구조가 커지면 베이스 플랫폼 공용화 측면에서 플랫폼 기준차 대비 전폭이 큰 차량은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mprovement parts of the vehicle to meet the conventional small overlap test collision performance are shown. First, for the small overlap test with the barrier 5, the sub-frame 10 of the vehicle 1, which is part ① Although there is an increase in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a vehicle having a larger overall width compared to the standard platform vehicle in terms of common use of the base platform when the structure of the sub-frame 10 is increased.

다음으로 ②번 부위의 로어암(20)에 알루미늄을 적용하여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원가 증대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Next, aluminum was applied to the lower arm 20 in the part ② to induce the lower arm to brea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ut th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increase is large.

이어서 ③번 부위의 타이어(2) 후방 공간(d1)을 증대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는 차량(1)의 실내 공간을 축소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Subsequently, the rear space d1 of the tire 2 at part ③ was increased, but this has a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user convenience by reduc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1.

다른 방법으로 ④번 부위의 에이 필러(40) 개구부를 보강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는 중량 및 원가를 증대시키고 에이 필러의 폭을 증대시켜 시야를 축소시키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As another method, there w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opening of the A-pillar 40 in the area ④, but this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it increases the weight and cost and increases the width of the A-pillar to reduce the field of view.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5-0121437 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12143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이 발생하도록 하여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타이어 이탈을 유도함으로써 승객의 공간 타격을 회피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구조 설계로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양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lower arm is broken when a vehicle crashes, thereby inducing the departure of the tir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effective structure by avoiding hitting the space of the passenger. The design aims to provide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rash performance of a structure that can secure mass production competitiveness by minimizing cost increa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의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다중 홀, 충돌 파단 그루브, 충돌 파단 노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충돌 파단 구조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 arm bush assembled to the lower arm of a vehicle, the lower arm bush includes an inner pipe, a buffer member outside the inner pipe, and an outer pipe surrounding the buffer member, the The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is formed with a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 a collision fracture groove, and a collision fracture notch, so that fracture may occur during a vehicle collision.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외파이프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collision rupture multiple hol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outer pipe.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lision rupture multiple holes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on line of the lower arm bush.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상기 하중 작용선은 지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The load line of action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 방향을 기준으로 로어암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 조립될 수 있다.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may be assembled to the front bush joint among a plurality of bush joints of the lower arm based on the collision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로어암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may be broken at the front bush coupling por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lower arm may be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round the rear bush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 arm bush that is assembled to the lower arm of a vehicle, the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so that fracture may occur during a vehicle collision.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그루브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에서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A collision fracture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so that fracture may occur in the collision fracture groove when a vehicle collides.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는 상기 외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impact fractur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노치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노치에서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 arm bush assembled to the lower arm of a vehicle, a collision rupture notch is formed in an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so that fracture can be made at the collision rupture notch when a vehicle collides. have.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impact breaking notches may be formed in semicircular shapes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impact breaking notches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center from both end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and ends thereof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respectively.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The impact breaking notch may be formed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바퀴가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충격 가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improves passenger safety and reduces cost by inducing the lower arm to break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reducing the impact acceleration by moving the whee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increase.

도 1은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에서 작용하는 힘을 정면에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D-D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E-E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mprovement part of a vehicle for improving a conventional small overlap test.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llision example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rce acting in a crash example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from the fro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pipe taken along line D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pipe taken along line E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chematic drawings for easy explan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implementation form.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이하에서 충돌 파단 구조라 함은 도 2내지 도5의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 도 6의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 도 7의 충돌 파단 노치(310, 320)를 각각 나타낸다.Hereinafter, the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refers to the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s 110 and 120 of FIGS. 2 to 5, the collision fracture grooves 210 and 220 of FIG. 6, and the collision fracture notches 310 and 320 of FIG. 7,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에서 작용하는 힘을 정면에서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llision of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rce acting in a collision example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from the front.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차량(1)의 서브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로어암(20)을 연결하는 A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로어암(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와 G점 부시(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는 타이어(2)와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together with FIG. 1, a lower arm bush 100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arm 20 for connection with a subframe of the vehicle 1. It is located in the A part that connects. Further, the lower arm 20 is connected by the lower arm bush 100 and the G-point bush 50, and is connected to the tire 2 at one side.

상기 차량(1)이 배리어(5)와의 충돌시에 상기 로어암 부시(100)와 G점 부시(50)는 동일한 축(C1) 상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1 collides with the barrier 5, the lower arm bush 100 and the G-point bush 50 ar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C1.

이어서 상기 차량(1)이 충돌한 경우에 로어암(20)에 충격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의 외파이프가 파단되면서 로어암(20)이 G점 부시(50)를 축으로 차량(1)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바퀴(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vehicle 1 collides, an impact load acts on the lower arm 20, and the outer pipe of the lower arm bush 100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ken, As 20 rotate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1 around the G-point bush 50, the wheel 2 moves to the right.

따라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1)의 충돌전 바퀴의 중심축이(C2)인 경우에 충돌 후에는 바퀴(2)의 중심축(C3)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entral axis of the pre-collision wheel of the vehicle 1 is (C2) based on the plane, after the collision, the vehicle 1 moves to the central axis C3 of the wheel 2.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D-D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pipe taken along line D-D.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에 위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102)를 포함하며 로어암(20)에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S. 1 to 4, a lower arm bush 100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ipe, a buffer member located outside the inner pipe, and the buffer member. It includes an outer pipe 102 that surrounds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arm 20.

이해를 위해 상기 외파이프(102)에 대해서 설명하면 D-D선에 따른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외파이프(102)에는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understanding, when the outer pipe 102 is described, the outer pipe 102 of the lower arm bush 100 along the DD line is formed with multiple holes for collision fractures 110 and 120, so that when the vehicle 1 collides It is configured to break in the collision-breaking multiple holes 110 and 120.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외파이프(102)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 즉 도면에서 X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중 작용선은 로어암(2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collision rupture multi-holes 110 and 120 are formed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of the outer pipe 102, and the collision rupture multi-holes 110 and 120 are the lower arm bush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ng line of ), that is, in the Y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 action lin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lower arm 20.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중심축에 평행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collision rupture multiple holes 110 and 12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arm bush 10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차량(1)의 충돌 방향을 기준으로 로어암(20)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전방측 부시 결합부(A부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1)이 전방으로부터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A부분)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로어암(20)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는 G점 부시(50)를 중심으로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the lower arm bush 100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front bush joint (part A) among a plurality of bush joints of the lower arm 20 based on the collision direction of the vehicle 1 It is preferable that when the vehicle 1 collides from the front, a break occurs in the front bushing coupling portion (part A) and the lower arm 20 is attached to the rear bushing coupling portion. The center rotate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E-E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pipe taken along line E-E.

도 6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S. 2 to 5, the outer pipe 202 of the lower arm bush 200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so that when the vehicle 1 collides Breakage occurs in the

또한 상기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에는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에는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pipe 202 of the lower arm bush 200 has collision fracture grooves 210 and 220 formed in the outer pipe 202 of the lower arm bush 200 to cause the collision fracture when the vehicle 1 collides. Breaking occurs in the grooves 210 and 220.

이때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는 상기 외파이프(202)의 내주면, 즉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내면으로부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는 단면이 반원 또는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파이프(202)에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가 형성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impact fracture grooves 210 and 22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pe 202, that is, a vertical cross section. Here, the impact fracture grooves 210 and 220 have a semi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Since the collision fracture grooves 210 and 220 are formed in the outer pipe 202,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s 110 and 120 are formed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300)의 외파이프(302)에는 충돌 파단 노치(310, 320)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노치(310, 3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S. 2 to 6, collision fracture notches 310 and 320 are formed in the outer pipe 302 of the lower arm bush 300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collision of (1), fracture is performed in the collision fracture notches 310 and 320.

상기 충돌 파단 노치(310, 320)는 상기 로어암 부시(300)의 길이 방향, 즉 중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노치의 형상은 원형 또는 선형 이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The impact breaking notches 310 and 320 are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300, that is,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are centered in a straight line form from both ends. It is formed toward the end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toward the other end from one en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mpact fracture notch may be a shape other than circular or linea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ly,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lower arm to break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minimizing an increase in cost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selected and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 among various possible embodiments to help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presented embodiments. Rather, it is revealed that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량 2: 바퀴
5: 배리어 10: 서브 프레임
20: 로어암 40: 에이 필러
50: G점 부시
100, 200, 300: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110, 120: 충돌 파단 다중 홀
210, 220: 충돌 파단 그루브
310, 320: 충돌 파단 노치
1: vehicle 2: wheels
5: barrier 10: sub frame
20: lower arm 40: a filler
50: G-point bush
100, 200, 300: Lower arm bush for improved collision performance
110, 120: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s
210, 220: impact fracture groove
310, 320: impact break notch

Claims (9)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의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구조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외파이프의 파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In the lower arm bush assembled to the lower arm of the vehicle,
The lower arm bush includes an inner pipe, a buffer member outside the inner pipe and an outer pipe surrounding the buffer member,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is formed in the outer pipe so that the outer pipe is fractured when a vehicle crash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상기 외파이프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wherein the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is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outer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wherein the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on line of the lower arm bu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충돌 파단 다중 홀, 충돌 파단 그루브, 충돌 파단 노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ision fracture structure is a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 a collision fracture groove, and a collision fracture notc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ollision fracture multiple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로어암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차량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 조립되어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로어암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the collision performance is assembled to the front bush joint of the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bush joints of the lower arm.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는 상기 외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wherein the collision fracture groove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i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arm bush for improving collision performance, wherein the collision fracture notches are formed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The method of claim 4,
The impact breaking notch is formed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in a straight line shap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rm bush, and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KR1020190053689A 2019-05-08 2019-05-08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KR102654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en) 2019-05-08 2019-05-08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en) 2019-05-08 2019-05-08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77A true KR20200129377A (en) 2020-11-18
KR102654761B1 KR102654761B1 (en) 2024-04-04

Family

ID=7369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en) 2019-05-08 2019-05-08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76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4A (en) * 2001-06-05 2002-12-18 Nissan Motor Co Ltd Suspension arm mounting structure
KR20050121437A (en) 2004-06-22 2005-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ometry bush of lower arm for vehicle
JP2007069742A (en) * 2005-09-07 2007-03-22 Yamashita Rubber Co Ltd Torque rod
JP2015157539A (en) * 2014-02-24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20160001855A (en) * 2014-06-27 2016-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ub frame mounting bus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4A (en) * 2001-06-05 2002-12-18 Nissan Motor Co Ltd Suspension arm mounting structure
KR20050121437A (en) 2004-06-22 2005-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ometry bush of lower arm for vehicle
JP2007069742A (en) * 2005-09-07 2007-03-22 Yamashita Rubber Co Ltd Torque rod
JP2015157539A (en) * 2014-02-24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KR20160001855A (en) * 2014-06-27 2016-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ub frame mounting b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761B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3612B (en) A kind of subframe mount point structure
KR101391643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CN204713217U (en) Car bonnet stay bearing plate, hood assembly and vehicle
KR102654761B1 (en)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JP2018514463A (en) Hybrid lower arm
KR20150118668A (en) Trailing arm bush
JP2000071734A (en) Vehicle suspension support structure
KR100921810B1 (en) Insulator for bush
KR20120045894A (en) Sub-frame of vehicle
JP2008143328A (en) Suspension device
KR20130000874A (en) Breaking type tm mount bracket for improving crashworthiness
CN110450615B (en) Torsion-resistant pull rod
CN206501674U (en) Beam structure for rear torsion beam suspension
KR20110060562A (en) Lower arm bush unit for vehicle
JP6881143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102097145B1 (en) Suspension arm for a motor vehicle intended to absorb a side impact
JP4654859B2 (en) Suspension device
CN211543187U (en) Mounting bracket of suspension stabilizer bar
KR20170064273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KR101592418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JP2005170269A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130005761A (en)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KR20130017601A (en) Mounting structure of subframe
JP2005162112A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and its member
JP6311567B2 (en) Vehicle low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