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995A -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995A
KR20200128995A KR1020190053308A KR20190053308A KR20200128995A KR 20200128995 A KR20200128995 A KR 20200128995A KR 1020190053308 A KR1020190053308 A KR 1020190053308A KR 20190053308 A KR20190053308 A KR 20190053308A KR 20200128995 A KR20200128995 A KR 20200128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ver
port
lock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9005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995A/ko
Publication of KR2020012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연결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포트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커버홀더; 및 상기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포트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PROTECTIVE STRUCTURE FOR DATA CONNECTION PORT OF EXTERNAL DEVICE AND PRINTER THEREBY}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연결포트의 헐거워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와 같은 전자기기에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연결포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포트에는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접속됨으로써 외부장치와 전자기기의 상호간에 데이터나 전원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는 연결포트에 접속된 상태로 외부환경에 노출되므로 충격 등이 가해지면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단자에 반복적으로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연결포트가 헐거워지면서 접속단자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미국특허 7,066,754호 에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케이블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음링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이음링이 케이블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전자기기에 결합되며, 연결포트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접속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이음링이 케이블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므로 케이블마다 이음링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이음링이 전자기기가 아닌 케이블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속단자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자기기의 연결포트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이음링을 케이블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접속단자를 케이블에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보호하여 외력에 의한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연결포트의 헐거워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연결포트를 보호하는 포트커버와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연결케이블을 연결포트에 접속할 경우에만 연결케이블에 포트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포트커버를 연결케이블에 결합한 상태로 록킹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포트커버가 임의로 전자기기의 커버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포트커버가 커버홀더에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위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포트커버가 전자기기에 부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연결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포트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커버홀더; 및 상기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포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프린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용지가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용지에 정보를 인쇄하여 배출시키는 인쇄유닛이 내장되는 프린터하우징; 상기 프린터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위를 제공하는 연결포트; 상기 프린터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포트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커버홀더; 및 상기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포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포트커버가 전자기기에 형성된 커버홀더에 결합되면서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므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접속단자가 보호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연결포트의 헐거워짐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포트커버를 구성하는 커버본체의 일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케이블관통부 및 단자수용부의 일부분이 개구됨에 따라 연결케이블이 커버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연결케이블을 연결포트에 접속할 경우에만 연결케이블에 커버본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포트커버의 절개부가 록킹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록킹될 수 있으므로 포트커버가 연결케이블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커버홀더 및 포트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 및 걸림후크가 서로 걸려서 결합되므로 포트커버가 커버홀더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센터링돌기 및 센터링홈이 구비될 경우에는 포트커버가 커버홀더에 결합되면서 정위치 상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포트커버에 형성되는 체결밴드가 전자기기 하우징의 체결돌기에 체결되므로 포트커버가 연결케이블이 아닌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로 연결포트를 상시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체결밴드에 장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므로 전자기기에 체결된 포트커버의 움직임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프린터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가 적용된 프린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의 포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록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걸림턱 및 포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가 적용된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의 포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록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걸림턱 및 포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와 같은 전자기기(1)에 구비된 연결포트(1a)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2)에 구비된 접속단자(2a)의 접속 시 외력에 의한 접속단자(2a)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연결포트(1a)의 헐거워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보호구조(10)는 크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홀더(100) 및 포트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홀더(100)는 전자기기(1)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포트커버(200)의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커버홀더(100)는 전자기기(1)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면서 연결포트(1a)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홀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포트커버(200)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홀더(100) 및 포트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홀더(100)의 둘레에는 후술되는 걸림턱(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홀더(100)의 일면에는 후술되는 센터링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커버(200)는 연결포트(1a)에 연결케이블(2)의 접속단자(2a)를 연결할 경우, 커버홀더(1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연결케이블(2)의 접속단자(2a)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포트커버(200)는 연결케이블(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연결케이블(2)에 상시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접속단자(2a)를 연결포트(1a)에 연결할 경우에만 연결케이블(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커버(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210), 케이블관통부(220), 단자수용부(230) 및 절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210)는 전술한 커버홀더(10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연결포트(1a)를 커버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버본체(210)는 커버홀더(100)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커버홀더(1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본체(2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고무재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부(220)는 연결케이블(2)이 이동가능 하도록 관통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커버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연결케이블(2)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자수용부(230)는 연결케이블(2)의 접속단자(2a)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접속단자(2a)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단자수용부(2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관통부(22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2a)에 대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접속단자(2a)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할 수 있다.
즉, 커버본체(210)는 케이블관통부(220)를 통해 연결케이블(2)에 결합된 후, 연결케이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단자수용부(230)에 접속단자(2a)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40)는 연결케이블(2)이 케이블관통부(220)에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절개부(240)는 커버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됨으로써 케이블관통부(220) 및 단자수용부(230)의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본체(210)는 개구부(240)를 통해 연결케이블(2)에 결합되면서 케이블관통부(220)에 연결케이블(2)을 수용할 수 있으며, 연결케이블(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속단자(2a)를 단자수용부(230)에 수용할 수 있다.
한편, 포트커버(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안내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안내부(280)는 접속단자(2a)를 단자수용부(230)로 안내하여 수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단자안내부(280)는 단자수용부(230)의 선단에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커버본체(210)가 연결케이블(2)을 따라 이동할 경우 접속단자(2a)를 단자수용부(23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안내부(280)는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속단자(2a)의 크기가 단자수용부(230)보다 큰 경우에도 접속단자(2a)를 단자수용부(230)로 안내하여 수용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포트커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250)는 전술한 절개부(240)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절개부(240)의 선택적인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록킹부재(250)는 한 쌍을 이루면서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에 각각 암수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맞물리면서 절개부(240)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하거나 서로 분리되면서 절개부(24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록킹부재(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251) 및 록킹홈(2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돌기(251)는 절개부(240)에 의해 분할된 커버본체(210)의 양면 중 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홈(252)은 절개부(240)에 의해 분할된 커버본체(210)의 양면 중 다른 하나의 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록킹돌기(251)가 끼워져 걸릴 수 있다.
여기서, 록킹돌기(251)는 록킹홈(25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걸리면서 절개부(240)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록킹홈(252)에서 분리되면서 절개부(24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커버본체(210)는 록킹부재(250)에 의해 절개부(240)가 폐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연결케이블(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록킹부재(250)는 록킹돌기(251) 및 록킹홈(252)의 구성 이외에도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암수구조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홀더(253) 및 록킹밴드(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록킹돌기홀더(253)는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의 외주면 일측에 구멍이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록킹밴드(254)는 록킹돌기홀더(253)에 끼워져 걸리면서 절개부(240)를 폐쇄된 상태로 록킹하는 구성요소로, 가요성을 갖는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에 록킹돌기(254a)가 돌출형성되어 록킹돌기홀더(253)에 끼워져 걸릴 수 있다.
즉, 록킹밴드(254)는 록킹돌기홀더(254a)를 통해 록킹돌기홀더(253)에 끼워져 걸리면서 커버본체(210)의 개구부를 폐쇄된 상태로 록킹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록킹돌기홀더(253)에서 분리되면서 절개부(24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구조로 서로 결합되는 록킹후크(255) 및 록킹버클(2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후크(255)는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의 외주면 일측에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록킹버클(256)은 절개부(240)를 중심으로 커버본체(210)의 타측에 가요성을 갖는 버클형태로 형성되어 록킹후크(255)에 결합되면서 커버본체(210)의 개구부를 폐쇄된 상태로 록킹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커버홀더(100) 및 포트커버(200)에는 각각 걸림턱(310) 및 걸림후크(320)가 제각기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10)은 커버홀더(100)의 둘레를 따라 단턱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걸림후크(320)는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걸림턱(310)에 걸릴 수 있다.
즉, 커버본체(210)는 커버홀더(100)에 끼워지면서 걸림후크(320) 및 걸림턱(310)이 서로 걸려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걸림턱(310)은 커버홀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후크(320)는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걸림턱(310)에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다.
즉, 걸림후크(32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걸림턱(310)에 단계적으로 걸림으로써 커버본체(210)를 커버홀더(100)에 점진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접속단자(2a)를 연결포트(1a)에 점진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걸림턱(310)은 커버홀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후크(320)는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후크(320)는 수평상태인 걸림턱(310)과는 달리 경사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커버본체(210)가 커버홀더(100)에 결합될 경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커버본체(210)의 탄성변형에 의해 수평상태로 변형하면서 걸림턱(310)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본체(210)는 걸림후크(320)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걸림턱(310)에 결합되므로 좀 더 견고하게 커버홀더(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포트커버(200) 및 커버홀더(100)에는 각각 센터링돌기(410) 및 센터링홈(420)이 제각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링돌기(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돌출되면서 커버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센터링홈(420)은 센터링돌기(410)와 마주하는 커버홀더(100)의 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센터링돌기(410)의 끼움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센터링돌기(410)는 커버본체(210)가 커버홀더(100)에 끼워질 경우 센터링홈(420)에 끼워지면서 커버본체(210)를 커버홀더(100)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포트커버(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0)에 의해 전자기기(1)의 하우징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500)는 체결돌기(510) 및 체결밴드(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의 하우징에 돌출형성되며, 선단부에 단턱(51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밴드(520)는 포트커버(200)에 구비되어 체결돌기(51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밴드(520)는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일부분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고정되며, 가요성을 갖도록 밴드형태로 형성되면서 체결공(521)이 형성되어 체결돌기(5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밴드(520)는 체결돌기(510)에 끼워져 결합된 후 체결돌기(510)의 단턱(511)에 걸리게 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본체(210)는 체결밴드(520) 및 체결돌기(510)의 결합을 통해 전자기기(1)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밴드(5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521)이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체결공(5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즉, 커버본체(210)는 체결밴드(520)를 통해 체결돌기(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돌기(510)를 중심으로 유동하면서 커버홀더(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체결공(521)의 길이만큼 유동범위가 확장됨으로써 원활하게 유동하면서 커버홀더(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530) 및 후크밴드(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530)는 전자기기(1)의 하우징에 구멍이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후크밴드(540)는 포트커버(200)에 구비되어 걸림부(53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포트커버(20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210)의 일부분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고정되며, 가요성을 갖도록 밴드형태로 형성되면서 단부에 후크(541)가 형성되어 걸림부(53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후크밴드(540)는 후크(541)를 통해 걸림부(530)에 끼워져 결합된 후 걸리게 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10)에 의한 연결포트(1a)의 보호과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10)는, 인쇄용지가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용지에 정보를 인쇄하여 배출시키는 인쇄유닛이 내장되는 프린터하우징(1) 및 프린터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장치 연결케이블의 접속부위를 제공하는 연결포트(1a)의 구성을 포함하는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
커버본체(210)는 평상 시 커버홀더(100)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연결포트(1a)를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후크(320)가 커버홀더(100)에 형성된 걸림턱(310)에 걸림에 따라 커버홀더(10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장치에 연결된 연결케이블(2)의 접속단자(2a)를 전자기기(1)의 연결포트(1a)에 연결할 경우, 커버본체(21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커버홀더(100)에서 분리된 후 연결케이블(2) 및 접속단자(2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절개부(240)의 개방을 통해 연결케이블(2)이 케이블관통부(2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절개부(240)에 형성된 록킹돌기(251) 및 록킹홈(252)는 서로 결합되면서 절개부(240)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접속단자(2a)는 사용자에 의해 케이블관통부(220)에서 인출되면서 연결포트(1a)에 접속된 후, 커버본체(21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연결케이블(2)을 따라 이동하여 커버홀더(100)에 결합되면서 접속단자(2a)를 단자수용부(230)에 수용함으로써 접속단자(2a)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2a)가 단자수용부(230)보다 큰 경우에도 단자안내부(280)를 통해 접속단자(2a)가 단자수용부(230)로 안내되면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커버본체(210)는 커버홀더(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센터링돌기(410)가 센터링홈(420)에 끼워짐으로써 커버홀더(100)에 용이하게 정위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후크(320)가 커버홀더(100)의 걸림턱(310)에 걸림으로써 커버홀더(10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10)에 의하면, 포트커버(200)가 전자기기(1)에 형성된 커버홀더(100)에 결합되면서 연결케이블(2)의 접속단자(2a)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므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접속단자(2a)가 보호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포트(1a)의 헐거워짐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버홀더
200 : 포트커버
210 : 커버본체
220 : 케이블관통부
230 : 단자수용부
240 : 절개부
250 : 록킹부재
251 : 록킹돌기
252 : 록킹홈
280 : 단자안내부
310 : 걸림턱
320 : 걸림후크
410 : 센터링돌기
420 : 센터링홈
500 : 체결부재
510 : 체결돌기
511 : 단턱
520 : 체결밴드
521 : 체결공
1 : 전자기기
1a : 연결포트
2 : 연결케이블
2a : 접속단자

Claims (14)

  1.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연결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포트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커버홀더; 및
    상기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포트커버를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커버는,
    상기 커버홀더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커버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포트를 커버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이 관통상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관통부;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홈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케이블관통부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단자수용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케이블관통부 및 상기 단자수용부의 일부분을 개구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케이블의 결합을 허용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커버는,
    암수형태의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본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절개부를 폐쇄된 상태로 고정하고,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절개부의 개방을 허용하는 록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구멍이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록킹돌기홀더; 및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본체의 타측에 가요성을 갖는 밴드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홀더에 끼워져 걸리는 록킹돌기가 단부에 형성되는 록킹밴드를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커버는,
    상기 단자수용부의 선단에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단자수용부로 안내하는 단자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조는,
    상기 커버홀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형성하는 걸림턱; 및
    상기 포트커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상기 포트커버의 분리를 억제시키는 걸림후크를 더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포트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포트커버를 상기 커버홀더에 밀착시키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커버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림후크는,
    상기 포트커버의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포트커버의 탄성변형에 의해 수평상태로 변형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조는,
    상기 포트커버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돌출되면서 상기 포트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센터링돌기; 및
    상기 커버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링돌기의 끼움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커버를 상기 커버홀더에 정위치시키는 센터링홈을 더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조는,
    상기 포트커버의 일부분을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체결돌기; 및
    가요성을 갖는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포트커버의 일부분에 동일체로 고정되고, 장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구멍이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부; 및
    가요성을 갖는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포트커버의 일부분에 동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걸리는 후크가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밴드를 포함하는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13. 인쇄용지가 인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용지에 정보를 인쇄하여 배출시키는 인쇄유닛이 내장되는 프린터하우징;
    상기 프린터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장치의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위를 제공하는 연결포트;
    상기 프린터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포트의 외곽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커버홀더; 및
    상기 연결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용하는 포트커버를 포함하는 프린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커버는,
    상기 커버홀더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커버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포트를 커버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케이블이 관통상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관통부;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홈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케이블관통부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단자수용부; 및
    상기 커버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케이블관통부 및 상기 단자수용부의 일부분을 개구시킴으로써 상기 연결케이블의 결합을 허용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프린터.
KR1020190053308A 2019-05-07 2019-05-07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KR20200128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08A KR20200128995A (ko) 2019-05-07 2019-05-07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08A KR20200128995A (ko) 2019-05-07 2019-05-07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95A true KR20200128995A (ko) 2020-11-17

Family

ID=7364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308A KR20200128995A (ko) 2019-05-07 2019-05-07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9410B1 (en) Connector with trigger locking feature, and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9823425B2 (en) Dust-proof apparatus an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EP0175788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optical fibers
US494640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ealing arrangement
US496310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0617926B2 (ja) 複式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20180095226A1 (en) Protection cap for optical connector plug
JP7207233B2 (ja) コネクタ
US10761273B2 (en) Snap in fiber optic ferrule adapter
US6520796B1 (en) Codable kink protection and coding means
TW201733224A (zh) 連接器系統
KR20200138357A (ko) 플러그 장치
CN111650696A (zh) 插头用工具、滑块、插头以及带插头的电缆
US115524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ble clip
WO2017104156A1 (ja) コネクタ内蔵プラグ
US9279944B1 (en) Communication connectors having tethered protective caps
JP2002082256A (ja) 光ケーブル用アダプタ又はコネクタ
KR20200128995A (ko) 외부장치 연결포트용 보호구조 및 이에 의한 프린터
ES2279071T3 (es) Conector electrico.
CN212359409U (zh) 锁具、解锁钥匙和穿戴设备
JP2020013010A (ja) 光コネクタ
JP7189822B2 (ja) コネクタ構造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JP2004102072A (ja) 光ファイバコード用の光コネクタ
KR20150146243A (ko)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