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950A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950A
KR20200128950A KR1020190053173A KR20190053173A KR20200128950A KR 20200128950 A KR20200128950 A KR 20200128950A KR 1020190053173 A KR1020190053173 A KR 1020190053173A KR 20190053173 A KR20190053173 A KR 20190053173A KR 20200128950 A KR20200128950 A KR 2020012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air
opening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재욱
Original Assignee
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욱 filed Critical 변재욱
Priority to KR102019005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950A/en
Publication of KR2020012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ollecting food waste according to adsorption of air within a transfer pipe comprises: a food waste input unit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putt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and regulating airflow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to regulate a transfer of food waste. The food waste input unit includes: a supporting panel having an opening which penetrates in a vertical direction; a hopper unit inserted into the opening, having an upper edge supported by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guiding an input of food waste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 cover unit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art of the hopper unit; a hinge-coupling unit hinge-coupling the cover unit to the hopper unit around a rotary shaft; a torsional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pporting panel, and providing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ry shaft; and a rotary damper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 to reduce a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shaft.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is capable of damping a bump of the cover unit when the cover unit is open.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집단거주 시설에 공동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마련해 두고 각 세대와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간에 이송관으로 연결하여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provides a common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in a collective residence facility, and connects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with a transfer pipe to suck food waste with a vacuum to treat food waste.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라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집단거주 시설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하여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었다가 옥외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투기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food waste volume-based system, in collective residence facilitie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each household collects food waste in a volume-based bag and dumps it into outdoor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ies for the disposal of food waste.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고 투기하는 과정에서 음식쓰레기에서 풍기는 악취나 해충 서식요건의 제공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또 옥외로 들고 나가 버리는 과정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음식물 쓰레기 냄새 등으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disposing of food waste in each household, problems such as odor from food waste and provision of insect habitat requirements occur.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nd disposing of food waste, it is uncomfortable to people around them due to the smell of food waste. Is causing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단거주 시설에 공동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마련해 두고 각 세대와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간에 이송관으로 연결하여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집하하는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mmon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has been established at the collective housing facility, and a central facility that collects food waste into the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by vacuuming the food waste by connecting it with a transfer pipe between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A centralized food waste disposal method has been proposed.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해 특허출원을 진행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In this regard, the applicant has also filed a patent application for a'food waste disposal device' and has been registered.

그런데, 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경우, 각 세대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냄새의 역류 방지를 위해 도어 구조를 정밀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since it is installed in each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design the door structure to prevent reverse flow of the smell of food waste.

또한, 음식물 쓰레기 투하 후 집하시설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의 이동이 일어나고, 이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소음을 소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air is sucked in the collection facility after the food waste is dropped to collect food waste of a household, air is moved from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household to the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suction of the air, and at this time, noise caused by air movement is generated. It may occur,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liminate the nois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9502호(2018년06월20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69502 (announced on June 20, 2018)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덮개부가 열릴 때 덮개부의 덜컹거림을 완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buffering the bumps of the cover portion when the cover por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opened.

또한, 이송관 내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을 소거할 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noise caused by air movement when air is introduced from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of a corresponding household to a transfer pipe according to air suction in the transfer pi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지지되며, 상기 개폐유닛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유도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호퍼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회전 댐퍼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collecting food waste according to suction of air in a transfer pipe, comprising: a food waste input unit into which the food waste is input; An opening/clos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to regulat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and to regulate the transfer of the food waste, wherein the The food waste input unit includes: a support panel having an opening penetrating vertically; A hopper part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upper edge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guiding the food waste into the opening/closing unit; A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end of the hopper part; A hinge coupling part hingedly coupled to the cover part with respect to the hopper part around the rotating shaft; A torsio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support panel, and providing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shaft;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provided, including a rotation damper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영구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자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upling unit includes a permanent magn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food waste input unit includes a magnetic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by sensing the permanent magn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It may contain more.

상기 힌지결합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호퍼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 블록과; 일단이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축지지 블록 사이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는 힌지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upl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upled to the hopper portion, and a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n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hinge connecto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제1 회전 기어가 결합되며, 이 경우, 상기 회전 댐퍼는, 상기 제1 회전 기어에 기어결합되는 제2 회전 기어를 구비하는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rotation gea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in this case, the rotation damper may include a rotary damper having a second rotation gear gear-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gear. .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비틀림 탄성력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부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가 내장될 수 있다.In the cover portion, a weight for adjusting the weight of the cover portion in response to the torsional elastic force may be incorporated.

상기 덮개부는, 하향으로 함입되는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함입부에 내장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을 상면을 커버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recessed downward, and the weight is a lower plate embedded in the recessed portion; It may include an upper plat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과; 상기 호퍼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이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消音材)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 하부의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消音部)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waste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unit housing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 air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hopper portion, and an air inlet flange extending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moving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on the air flow path An air inlet portion disposed; A connection part including a connection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inlet pipe, and a noise material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and reducing noise due to air suction of the transfer pipe, the air It may further include a noise part (消音部)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below the inlet.

상기 소음재는,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부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oise material includes a cylindrical noise material having a through part formed therein, and the noise part has a plurality of second air moving holes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of the noise material, an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art. Further comprising a noise material fix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air moving holes formed and an outer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n inner flange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I can.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음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flange that has a plurality of fourth air moving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and extends from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ilencer.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let flange may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cover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상기 판형 커버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와, 상기 판형 커버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판형 커버 본체가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shaped cover includes a plate-shaped cover body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late-shaped cover body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air inlet flange, so that the plate-shaped cover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moving hole. It may include an elastic portion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The air inlet flange may extend upwardly inclin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inlet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덮개부가 열릴 때 덮개부의 덜컹거림을 완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d por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s opene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ability by buffering the bumps of the lid portion.

또한, 이송관 내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을 소거할 수 있다.In addition, noise caused by air movement can be eliminated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port pipe from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the household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the transport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회전 샤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회전 댐퍼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결합 사시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ood waste input por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shaf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on damper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or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ar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par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verlapp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회전 샤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회전 댐퍼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damper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see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or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는, 개폐유닛(10′, 10″),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 연결슬리브(14), 이송관(16), 본체 하우징(18), 중량 측정부(20), 음식물 쓰레기(22), 개구부(24), 지지패널(26), 호퍼부(28), 덮개부(30), 회전 샤프트(32), 힌지결합부(34), 회전 댐퍼(36), 볼트(38), 비틀림 탄성부재(40), 제1 회전 기어(42), 제2 회전 기어(44), 영구 자석(46), 자석 센서(48), 로터리 댐퍼(50), 고정 지그(52), 함입부(54), 무게추(56), 하판(58), 상판(60), 강화유리(62), 걸림쇠(64), 축지지 블록(66), 힌지연결구(68)가 도시되어 있다.In Figures 1 to 6,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10 ″),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the connection sleeve 14, the transfer pipe 16, the main body housing 18,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Food waste (22), opening (24), support panel (26), hopper (28), lid (30), rotating shaft (32), hinge coupling (34), rotary damper (36), bolts ( 38), torsion elastic member 40, first rotation gear 42, second rotation gear 44, permanent magnet 46, magnet sensor 48, rotary damper 50, fixing jig 52, The recessed portion 54, the weight 56, the lower plate 58, the upper plate 60, the tempered glass 62, the brace 64, the shaft support block 66, and the hinge connector 68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이송관(16)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22)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22)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개재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24)가 형성되는 지지패널(26)과; 개구부(24)에 삽입되어 상단 가장자리가 개구부(24)의 내주에 지지되며, 개폐유닛으로 음식물 쓰레기(22)의 투입을 유도하는 호퍼부(28)와; 호퍼부(28)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30)와; 회전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호퍼부(28)에 대해 덮개부(30)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34)와; 일단이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패널(26)에 결합되며 회전 샤프트(32)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탄성부재(40)와; 회전 샤프트(3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회전 댐퍼(36)를 포함한다.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at collects the food waste 22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the transfer pipe 16, and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into which the food waste 22 is inserted. )Wow;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section 12 and the transfer pipe 16 to regulate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section 12 and the transfer pipe 16, and transfer the food waste 22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 support panel 26 having an opening 24 penetrating vertically; A hopper part 28 inserted into the opening 24 so that the upper edge is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24, and guides the input of the food waste 22 to the opening/closing unit; A cover part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hopper part 28; A hinge coupling portion 34 that hinges the lid portion 30 with respect to the hopper portion 28 around the rotation shaft 32; A torsion elastic member 4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26 and providing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shaft 32; It includes a rotation damper 36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32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shaft 32.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집단거주 시설이 각 세대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세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하는 흡인기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16)에 각각 연결된다.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한 흡인기의 작동에 따라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집하시설로 이송된다.In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ollective residence facility may be installed in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stalled in each household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transfer pipe 16 connected to an aspirator located at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Conn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achine located in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the food waste 22 of each household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facility.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를 중앙 집하시설로 이송하는 방법은, 다른 세대의 이송관(16)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인기를 작동시켜 이송관(16) 내를 공기를 흡인하여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방되면서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이송관(16)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 집하시설로 이동하게 된다.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food waste 22 of one household to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is to operate an aspirator with the transfer pipe 16 of the other household closed to suck air into the transfer pipe 16 to draw the food of the household. As the garbage disposal device is opened, the food waste 22 of the household moves along the transfer pipe 16 and moves to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두 개의 개폐유닛(10′, 10″)을 상하로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FIG. 1, there is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by arranging two opening and closing units 10' and 10″ up and down.

개폐유닛(10′, 10″)을 상하로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22)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22)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하의 개폐유닛을 각각 제1 개폐유닛(10′)과 제2 개폐유닛(10″)이라고 한다.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by arrang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10′, 10″) up and down, the airflow effect due to suction on other households during the suction process of the food waste 22 to transport the food waste 22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by remov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and lower opening and closing units are referred to a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0″, respectively.

본체 하우징(18)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제1 개폐유닛(10′), 제2 개폐유닛(10″), 중량측정부(20) 등이 내부에 내장된다.The main body housing 18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includes a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10″, a weight measuring part 20, and the like.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본체 하우징(18)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본체 하우징(18)의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이송관(16)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騷音)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The food waste input unit 12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18, and the food waste 22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housing 18 through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In additio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lso serves to remove noise generated by the suction of air in the transfer pipe 16.

본체 하우징(18)의 상부에 위치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연결슬리브(14)를 통해 제1 개폐유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슬리브(14)는 벨로우즈 관이나 고무관과 같이 플렉서블한 관으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제1 개폐유닛(10′)의 유입관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플렉서블한 연결슬리브(14)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ood waste input unit 12 located above the main body housing 1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 through a connection sleeve 14. The connection sleeve 14 is composed of a flexible tube such as a bellows tube or a rubber tube, so that the flexible connection sleeve 14 is flexibl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inlet tube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is changed. Can be easily connected by

제1 개폐유닛(10′)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음식물 쓰레기(22)가 임시 수용된다. 한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22)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제1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중량측정부(20)는 제1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is connected to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to regulate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and the food waste 22 is temporarily accommodated. do. When the food waste 22 is put into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in one household, the food waste 22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 through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weighing The part 20 measures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

음식물 쓰레기(22)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1 개폐유닛(10′)과 제2 개폐유닛(10″)이 동시에 개방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가 이송관(16)과 기류적으로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제2 개폐유닛(10″)을 거쳐 이송관(16)으로 이송되게 된다.In order to transport the food waste 22,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are simultaneously opened, and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pipe 16 in an airflow manner. As air is introduced into the garbage input unit 12, the food waste 22 insid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0″.

그런데,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때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16)의 내부가 일시적으로 진공상태가 되면서 이송관(16)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기류적으로 영향을 미쳐 음식물 쓰레기(22)의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방해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of one household is measured and the food waste 22 is transferred from another household,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16 connected to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of each household is While temporarily in a vacuum state, airflow affects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each househol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16, thereby preventing accurat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따라서, 다른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 중에도 음식물 쓰레기(22) 중량 측정에 기류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개폐유닛(10′)의 후단에 배치된 제2 개폐유닛(10″)을 닫아 제1 개폐유닛(10′)과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절시킨 상태에서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개폐유닛(10″)이 닫힌 상태에서는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지더라도 이송관(16)과 제1 개폐유닛(10′)의 기류적 연결이 끊겨 있기 때문에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airflow effect on the weight measurement of the food waste 22 eve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food waste 22 of another generatio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By closing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and the transfer pipe 16, more accurate food waste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insid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The weight of (22) can be measured. When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0″ is closed, even if the food waste 22 is transported in another household,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transport pipe 16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0' is disconnected.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2 inside the opening/closing unit 10 ′ can be accurately measur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유닛(10′, 10″)을 포함한다.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i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interposed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 10″).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각 세대의 싱크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투입된다. 개폐유닛(10′, 10″)은 음식물 쓰레기(22)의 임시 저장과 이송을 위하여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한다.The food waste input unit 12 may be coupled to the sink of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22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s put into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10′, 10″) are opened and closed for temporary storage and transfer of the food waste 22, and in this process,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Crack down on

여기서,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된다는 의미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서로 연통(連通)을 단속하는 개폐유닛(10′, 10″)이 배치되고 개폐유닛(10′, 10″)의 개방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이 연통되어 기류적으로 연결되거나, 개폐유닛(10′, 10″)이 닫힌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과 이송관(16)이 연통이 끊겨 기류적인 연결이 끊기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 it means that the airflow connection is interrupted, the opening/closing units 10′ and 10″ that intermitt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 Is arranged and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closing units 10′ and 10″, and are connected in an airflow manner, or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10′ and 10″ are closed. In this case, it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nd the transfer pipe 16 is disconnected and the airflow connection is disconnected.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22)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22)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22)는 개폐유닛(10′)에 임시 수용된다. When the user puts the food waste 22 through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to treat the food waste 22, the food waste 22 is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opening/closing unit 10'.

음식물 쓰레기(22)가 개폐유닛(10′)에 임시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22) 처리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22) 장치를 작동시키면 개폐유닛(10′, 10″)이 개방되면서 이송관(16)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음식물 쓰레기(22)가 수거된다.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이송관(16)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일어나고 유입된 공기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22)가 이송관(16)을 통해 집하시설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에서의 공기 유입 과정에서 소음(騷音)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food waste 22 device to treat the food waste 22 while the food waste 22 is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10', 10″ are opened and the transfer pipe As the air in (16) is sucked, the food waste (22) is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ction of air inside the transfer pipe 16,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food waste input section 12 of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22 together with the introduced air. Transfer is made to the collection facility through the transfer pipe (16). At this time,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air inflow process from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도 2 내지 도 6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부(28)와 냄새의 역류 방지를 위한 덮개부(30)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지지패널(26)과, 호퍼부(28)와, 덮개부(30)와, 힌지결합부(34) 및 회전 댐퍼(36)를 포함한다.2 to 6 illustrate a coupling structure of a hopper part 28 into which food waste is put in the food waste input part 12 and a cover part 30 for preventing backflow of odors. The food waste input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anel 26, a hopper part 28, a cover part 30, a hinge coupling part 34, and a rotation damper 36. .

지지패널(26)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싱크대 상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조로서,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지지패널(26)의 상면은 싱크대 등에 노출되는 면으로 미감을 위하여 강화유리로 덮힐 수 있다.The support panel 26 is a support structure for fixing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on the sink, and an opening 24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26 is a surface exposed to a sink or the like, and may be covered with tempered glass for aesthetic purposes.

호퍼부(28)는, 지지패널(26)의 개구부(24)에 삽입되어 지지패널(26)에 결합되는데, 호퍼부(28)의 상단의 가장자리가 개구부(24)의 내주에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호퍼부(28)는 상하가 관통되는 종단면이 V자 형태의 용기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호퍼부(28)에 투입하면, 호퍼부(28)를 통해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22)의 투입이 유도된다. The hopper unit 28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4 of the support panel 26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26, and the upper edge of the hopper unit 28 is coup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24. . The hopper unit 28 is a container having a V-shaped longitudinal section through which the top and bottom are penetrated, and when food waste is put into the hopper unit 28, the food waste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0 ′ through the hopper unit 28. 22) is induced.

덮개부(30)는, 호퍼부(28)의 상단을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닫힘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22)의 냄새가 해당 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부(30)가 닫힌 상태에서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진다.The cover part 3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hopper part 28 and, when closed, prevents the smell of the food waste 22 from flowing into the household. When the cover part 30 is closed, air is sucked inside the transfer pipe 16 to transfer the food waste 22.

힌지결합부(34)는, 회전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호퍼부(28)에 대해 덮개부(30)를 힌지결합하는 구성으로서, 호퍼부(28)와 덮개부(30) 사이에 개재된다. 회전 샤프트(32)를 중심으로 덮개부(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호퍼부(28)의 상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The hinge coupling portion 34 is a configuration that hinges the lid portion 30 to the hopper portion 28 around the rotation shaft 32,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hopper portion 28 and the lid portion 30. . While the cover part 30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shaft 32, the upper end of the hopper part 28 is closed or opened.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부(34)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호퍼부(28)의 일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회전 샤프트(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 블록(66)이 형성되고, 회전 샤프트(32)는 한 쌍의 축지지 블록(66)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부(30)는 힌지연결구(68)를 매개로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되는데, 덮개부(30)를 열거나 닫음에 따라 축지지 블록(66)에 결합된 회전 샤프트(32)의 회전이 일어난다. 도 3을 참조하면, 힌지연결구(68)의 일단은 덮개부(3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되는데, 회전 샤프트(32)의 측단이 힌지연결구(68)의 타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38)로 나사결합하여 힌지연결구(68)와 회전 샤프트(32)를 결합한다.3 shows the structure of the hinge coupling part 3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one side of the hopper part 28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ng shaft 32. A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66 are formed, and the rotation shaft 32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66. The cover part 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2 via the hinge connector 68,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2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block 66 when the cover part 30 is opened or closed. This happens. Referring to Figure 3, one end of the hinge connector 6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3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32, the side end of the rotary shaft 32 is the hinge connector 68 The hinge connector 68 and the rotating shaft 32 are coupled by screwing with a bolt 38 whil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비틀림 탄성부재(40)는, 그 일단이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패널(26)에 결합되며 회전 샤프트(32)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torsional elastic member 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26 to provide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shaft 32.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30)는 개방 시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형태로 감긴 비틀림 탄성부재(40)에 회전 샤프트(32)의 타단부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탄성부재(40)의 일단을 회전 샤프트(32)의 측단에 결합하고 타단을 지지패널(26)에 결합한다. The cover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opened by a torsional elastic force when opened. As shown in FIG. 4,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2 is wound on a torsion elastic member 40 wound in a coil shape. In the through state, one end of the torsion elastic member 40 is coupled to the side end of the rotating shaft 32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26.

덮개부(30)의 걸림쇠(64)가 지지패널(26)에 락킹(locking)되어 비틀림 탄성부재(40)에 비틀림이 가해진 상태로 덮개부(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개방 버튼이나 개방 신호에 따라 걸림쇠(64)의 락킹이 해제되면 비틀림 탄성부재(40)의 비틀림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덮개부(30)가 열리게 되는 구조이다. 덮개부(30)의 열림에 따라 축지지 블록(66)에 결합된 회전 샤프트(32)의 회전이 일어난다.The clasp 64 of the cover part 30 is locked to the support panel 26 so that the cover part 30 remains closed while the torsion elastic member 40 is twisted, and the open button or open When the locking of the locking bracket 64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ignal,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torsional elastic member 40 is restored, and the cover 30 is opene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2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block 66 occurs as the cover 30 is opened.

회전 댐퍼(36)는, 회전 샤프트(3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한다. 회전 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함에 따라 비틀림 탄성부재(40)에 의한 덮개부(30)의 개방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The rotation damper 36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32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32.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shaft 32 is reduced, the opening speed of the cover 30 by the torsion elastic member 40 may be reduced.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가 호퍼부(28)의 상단에 떨어질 수 있는데, 덮개부(30)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덮개부(30)가 호퍼부(28)의 상단에 달라붙을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30)가 호퍼부(28)에 달라붙은 상태에서도 덮개부(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비틀림 탄성력이 강한 비틀림 탄성부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틀림 탄성력이 강한 비틀림 탄성부재(40)를 사용하는 경우 덮개부(30)의 개방 시 강한 비틀림 탄성력으로 인해 덮개부(30)의 급격한 개방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소음이나 불안감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isposing of food waste, some of the food waste may fall on the top of the hopper unit 28. When a certain time passes while the cover unit 30 is closed, the food waste is dried, and the cover unit 30 becomes the hopper unit ( 28) can stick to the top. In this case, a torsional elastic member 40 having a strong torsional elasticity may be used so that the cover unit 30 is opened even in a state where the cover unit 30 is attached to the hopper unit 28. However, when the torsional elastic member 40 having a strong torsional elastic force is used, the cover unit 30 is rapidly opened due to the strong torsional elastic force when the cover unit 30 is opened, thereby inducing noise or anxiety to the user.

회전 댐퍼(36)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일어나는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덮개부(30)의 개방 시 덮개부(30)의 급격한 개방을 방지한다. The rotation damper 36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2 where rotation occurs by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shaft 32, so that when the cover 30 is opened, the cover 30 is rapidly opened. Prevent.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댐퍼(36)는, 회전이 일어나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로터리 댐퍼(50)(rotary damper)를 포함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2)의 일단부에 제1 회전 기어(42)를 결합하고, 로터리 댐퍼(50)의 회전축에 제2 회전 기어(44)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2 회전 기어(44)가 제1 회전 기어(42)에 치합되도록 로터리 댐퍼(50)를 배치하면, 회전 샤프트(32)가 로터리 댐퍼(50)의 회전축과 링크되어 회전 샤프트(32)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지그(52)에 로터리 댐퍼(50)가 고정되고, 로터리 댐퍼(50)의 제2 회전 기어(44)가 회전 샤프트(32)의 제1 회전 기어(42)에 맛물리도록 고정 지그(52)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The rotation damper 3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tary damper 50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al shaft at which rotation occurs, and as shown in FIG. 3, one end of the rotational shaft 32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gear 42 is coupled to the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gear 44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ry damper 50, the second rotation gear 44 engages the first rotation gear 42. When the rotary damper 50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32 is link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ry damper 50,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32 may be reduced. 5, the rotary damper 50 is fixed to the fixing jig 52, and the second rotary gear 44 of the rotary damper 50 is tasted on the first rotary gear 42 of the rotary shaft 32. The position of the fixing jig 52 is set so as to be engaged.

한편, 강한 비틀림 탄성력을 갖는 비틀림 탄성부재(40)를 사용하는 경우 회전 댐퍼(36)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덮개부(30)의 개방 속도가 적절한 정도로 감속되지 않거나, 덮개부(30)의 닫힘 시 강한 비틀림 탄성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0)의 내부에 덮개부(30)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56)를 내장시켜 비틀림 탄성력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rsional elastic member 40 having a strong torsional elastic force is used, the opening speed of the cover 30 is not decelerated to an appropriate degree despite the installation of the rotation damper 36, or when the cover 30 is closed. The user's feeling of use may deteriorate due to the strong torsional elasticity. In order to control this, as shown in FIG. 6, a weight 56 for adjusting the weight of the cover 30 may be embedded in the cover 30 to correspond to the torsional elastic force.

무게추(56)의 내장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30)는, 하향으로 함입되는 함입부(54)가 형성되며, 무게추(56)가 함입부(54)에 내장되는 하판(58)과; 하판(58)을 상면을 커버하는 상판(6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하판(58)에는 하향으로 함입되는 함입부(54)가 마련되고 함입부(54) 내에는 무게추(56)가 내장된다. 무게추(56)가 함입부(54)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판(60)을 덮어 고정한다. 상판(60)의 상면에는 미감을 위해 강화유리(62)가 덮힐 수 있다. For the interior of the weight 56, the cover porti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essed portion 54 that is recessed downwardly, and a lower plate in which the weight 56 is embedded in the recessed portion 54 ( 58) and; It includes an upper plate 6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58. Referring to FIG. 6, the lower plate 58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54 that is recessed downward, and a weight 56 is embedded in the recessed portion 54. While the weight 56 is embedded in the recessed portion 54, the upper plate 60 is covered and fixe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0 may be covered with a tempered glass 62 for aesthetics.

도 6을 참고하면, 4개의 무게추(56)가 내장되어 있으나 비틀림 탄성력에 따라 무게추(56)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덮개부(30)의 내부에 무게추(56)가 내장됨에 따라 힌지결합부(34)를 중심으로 비틀림 탄성력에 대응되는 모멘트력이 발생하게 됨으로, 무게추(56)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비틀림 탄성력과 대응되는 모멘트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lthough four weights 56 are embedded, the number of weights 56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orsional elasticity. As the weight 56 is embedded in the cover part 30, a moment force corresponding to the torsional elastic force is generated around the hinge coupling part 34, and the torsional elastic force by adjusting the number of weights 56 The magnitude of the moment force corresponding to and can be adjusted.

한편, 회전 샤프트(32)의 회전을 감지하여 덮개부(30)의 열림과 닫힘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덮개부(30)의 열림이나 닫힘에 따라 회전 샤프트(3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일어나고, 회전 샤프트(3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 샤프트(32)에 결합된 영구 자석(46)이 자석 센서(48)에 마주하거나 이격되는데, 영구 자석(46)이 마주할 때 자석 센서(48)가 영구 자석(46)의 자력을 인지하여 덮개부(30)의 열림이나 닫힘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2 to recogniz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30. When the cover 30 is opened or closed, the rotation shaft 32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he permanent magnet 46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2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32. It faces or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sensor 48, so that when the permanent magnet 46 faces, the magnet sensor 48 recogniz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6 to recognize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ver part 30. It is compos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2)의 타단부에 영구 자석(46)을 결합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2)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패널(26)에는 영구 자석(46)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석 센서(48)를 배치하여, 덮개부(30)가 닫힌 상태에서 지지패널(26)에 결합되는 자석 센서(48)에 영구 자석(46)이 마주하도록 영구 자석(46)을 회전 샤프트(32)에 결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permanent magnet 46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2 as shown in FIG. 4, and the support panel 26 located above the rotating shaft 32 as shown in FIG. 2 A magnet sensor 48 capable of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6 is disposed, and the permanent magnet 46 is attached to the magnet sensor 48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26 while the cover part 30 is closed. The permanent magnet 46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 to face this.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결합 사시도이다.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waste input uni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ise par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par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1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 호퍼부(28), 덮개부(30), 공기 유로(70), 투입부 하우징(72), 공기 유입관(74), 제1 공기이동공(76), 공기유입 플랜지(78), 공기 유입부(80), 소음부(82), 연결관(84), 연결부(85), 소음재(86), 관통부(87), 소음재 고정부(90), 원통부(92), 제2 공기이동공(94), 제3 공기이동공(96), 외부 플랜지(100), 내부 플랜지(102), 제4 공기이동공(104), 연결부 플랜지(106), 판형 커버(108), 판형 커버 본체(110), 탄성부(112)가 도시되어 있다.7 to 11, the food waste input portion 12, the hopper portion 28, the cover portion 30, the air flow path 70, the input portion housing 72, the air inlet pipe 74,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air inlet flange (78), air inlet (80), noise part (82), connection pipe (84), connection part (85), sound material (86), through part (87), noise Re-fixing part 90, cylindrical part 92, second air moving hole 94, third air moving hole 96, outer flange 100, inner flange 102, fourth air moving hole 104 ), a connection flange 106, a plate-shaped cover 108, a plate-shaped cover body 110, and an elastic portion 112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내부에 공기 유로(70)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72)과; 호퍼부(28)의 하단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74)과,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78)를 포함하며,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80)와; 공기 유입관(74)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84)을 포함하는 연결부(85)와, 연결관(84)의 외주에 배치되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86)를 포함하며, 공기 유입부(80) 하부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housing 72 in which an air flow path 70 is formed; The air inlet pipe 74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hopper unit 28 and the air inlet pipe 74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y, and a plurality of first air moving holes 76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74. An air inlet 80 disposed on the air passage 70 and including an air inlet flange 78 formed; A connecting portion 85 including a connecting pipe 8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inlet pipe 74, and a noise material that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ipe 84 and reduces noise due to air suction of the conveying pipe ( 86), and may further include a noise part 82 disposed on the air passage 70 below the air inlet 80.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이송관(16)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일어나고 유입된 공기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22)가 이송관(16)을 통해 집하시설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에서의 공기 유입 과정에서 소음(騷音)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이러한 소음을 소거하면서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구성되었다.In accordance with the suction of air inside the transfer pipe 16,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food waste input section 12 of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22 together with the introduced air. Transfer is made to the collection facility through the transfer pipe (16). At this time,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air inflow process from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The food waste input uni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moothly move air inflow while eliminating such noise.

투입부 하우징(72)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유로(70)가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일어나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 유입부(80)를 통해 연결관(8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폐유닛(10)을 거쳐 이송관(16)으로 공기가 유입된다.The inlet housing 72 is configur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food waste inlet 12, and an air passage 70 through which ai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erein. Referring to FIG. 9, when air is sucked inside the transfer pipe 16, air is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flow passage 70 of the input unit housing 72 to the upper portion, and then connected through the air inlet unit 80. As air is introduced into the pipe 84,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opening/closing unit 10.

공기 유입부(80)는,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이송관(16)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기 유입관(74)과,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78)를 포함한다. The air inlet 80 is disposed on the air flow passage 70 of the inlet housing 72 to introduce air that is moved through the air passage 70 of the inlet housing 72 into the transfer pipe 16. As a configuration for, an air inlet pipe 74 and an air inlet flange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74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moving holes 76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74 ( 78).

공기 유입관(74)은, 호퍼부(28)의 하단과 후술할 연결관(84)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과한 공기가 공기 유입관(74)을 통해 연결관(84)으로 이동된다.The air inlet pipe 74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hopper unit 28 and the connection pipe 8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is pass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74. It is moved to the connector 84.

공기유입 플랜지(78)는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며,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해 공기 유입관(74)으로 유입된다. 공기유입 플랜지(78)는 후술할 호퍼부(28)의 외면에 상응하여 공기 유입관(74)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룬 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The air inlet flange 78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74, and a plurality of first air moving holes 76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74. Air moving upward through the air flow path 70 of the inlet housing 72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ipe 74 through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of the air inlet flange 78. The air inlet flange 78 may extend in a cone shape inclined upward from the top of the air inlet pipe 74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pper unit 28 to be described lat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6)에서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면서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관통하여 이송관(16)과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5)로 유입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9, as air is sucked in the conveying pipe 16, air is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flow passage 70 of the inlet housing 72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air flow passage in the inlet housing 72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70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of the air inlet flange 78 and flows into the connection part 85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16 in an airflow manner.

한편, 공기유입 플랜지(78)는,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108)를 포함하는데, 판형 커버(108)가 제1 공기이동공(76)을 폐쇄함에 따라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inlet flange 78 includes a plate-shaped cover 108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as the plate-shaped cover 108 closes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It can prevent the odor from flowing back.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커버(10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110)와, 판형 커버 본체(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공기유입 플랜지(78)에 결합되어 판형 커버 본체(110)가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12)를 포함한다.The plate-shaped cover 10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and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It extends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air inlet flange 78 and includes an elastic portion 112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탄성부(112)의 탄성력에 의해 판형 커버 본체(110)가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가압하여 덮은 상태로 있다가, 이송관(16) 내의 공기를 흡입하면 소음부(82)에서 소음이 소거된 공기가 탄성부(11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판형 커버 본체(110)를 들어올리면서 연결관(84)으로 유입된다. 공기의 흡인이 멈추면 탄성부(112)의 탄성력에 의해 판형 커버 본체(110)가 다시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덮개 된다. 판형 커버 본체(110)의 외주를 따라 실링 처리하여 냄새의 역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presses and covers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12, when air in the transfer pipe 16 is sucked, the noise part 82 The air from which the noise is eliminated is introduced into the connector 84 while lifting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112. When the suction of air is stopped,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again covers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112. By sealing treatmen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ate-shaped cover body 110,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revent backflow of odor.

소음부(82)(消音部)는, 공기 유입부(80)와 개폐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 유입에 따른 소음(騷音)을 소거하기 구성으로서, 연결부(85)와 소음재(86)(消音材)를 포함한다. The noise part 82 is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let part 80 and the opening/closing unit to eliminate noise caused by air inflow, and the connection part 85 and the noise material 86 (消音材).

연결부(85)는, 공기 유입부(80)의 공기 유입관(74)과 개폐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관(84)이 공기 유입관(74)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다. 연결관(84)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22)가 개폐유닛으로 투입된 후 공기 흡인에 따라 연결관(84)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85 is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air inlet pipe 74 of the air inlet portion 80 and th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connecting pipe 84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inlet pipe 74. After the food waste 22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closing unit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4,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ipe 84 according to air suction, and the food waste 22 is transferred.

한편, 연결부(8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84)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104)이 형성되며 연결관(84)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소음재(86)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106)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85,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fourth air moving holes 104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84 and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84 It includes a connection flange 106 located at the top of the 86.

소음재(86)는, 공기 유입부(80) 하부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어 공기 유입에 따른 소음을 소거하는 구성으로서, 연결관(84)의 외주에 배치되며 이송관(16) 내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송관(16) 내부의 공기의 흡인이 이루어지면, 외부의 공기가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이송관(16) 내부로 유입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에 소음재(86)를 배치하여 공기의 이동 과정에서 소음을 소거한다. 소음이 소거된 공기는 공기 유입부(80)를 통해 연결관(84)을 거쳐 이송관(16)으로 이동한다.The silencer 86 is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70 under the air inlet 80 to eliminate noise caused by air inflow,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84 and the transfer pipe 16 Reduces the noise caused by air suction inside. When the air inside the transfer pipe 16 is sucke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air flow path 70 of the inlet housing 72, as shown in FIG. 9, A noise material 86 is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70 of the inlet housing 72 to eliminate noise during the movement of air. The air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eliminated moves to the transfer pipe 16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4 through the air inlet 80.

소음재(86)는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이나 복잡한 공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이동 속도를 늦추어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부재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등을 발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noise material 86 is a member capable of removing noise by slowing the air movement speed in the process of passing air by forming a plurality of air layers or complicated air movement paths therein, and is composed of polyester, polystyrene,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It can be formed by foaming and the like.

도 10 및 도 1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부(82)가 도시되어 있는데, 소음부(82)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소음부(82)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94)이 형성되고, 소음재(86)의 관통부(87)에 삽입되는 원통부(92)와, 원통부(92)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96)이 형성되며 원통부(9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100)와, 연결관(84)이 삽입되도록 원통부(9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102)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 and 11 show the noise part 8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configure the noise part 82 in a modular form, the noise part 82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air moving holes 94 ) Is formed, a cylindrical portion 92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87 of the noise material 86, and a plurality of third air moving holes 96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9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A noise material fixing portion including an outer flange 100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92, and an inner flange 102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92 so that the connector 84 is inserted ( 9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0를 참조하면, 연결부(85)는, 연결관(84)과, 연결관(84)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플랜지(106)로 구성되고, 소음재 고정부(90)는, 원통부(92)와, 원통부(9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100)와, 원통부(9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102)로 구성되며, 소음재(86)는 내부에 관통부(87)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connection part 85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ipe 84 and a connection part flange 106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84, and the silencer fixing part 90, Consisting of a cylindrical portion 92, an outer flange 100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92, and an inner flange 102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92, and a noise material ( 86)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through part 87 is formed therein.

소음재(86)의 관통부(87)에 소음재 고정부(90)의 원통부(9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부(85)의 연결관(84)을 소음재 고정부(90)의 내부 플랜지(102)의 관통시킨 후 볼트 등으로 연결부(85)와 소음재 고정부(90)를 체결하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듈 형태의 소음부(82)가 구성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portion 92 of the noise material fixing part 9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87 of the noise material 86, the connector 84 of the connection part 85 is inserted into the sound material fixing part 90. After passing through the inner flange 102, the connection part 85 and the noise material fixing part 90 are fastened with bolts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1, a noise part 82 in the form of a module is configured.

도 9를 참조하여 소음부(82)에서의 공기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면, 소음재 고정부(90)의 외부 플랜지(100)의 제3 공기이동공(96)와, 원통부(92)의 제2 공기이동공(9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음재(86)를 관통하면서 소음이 소거되어 연결부 플랜지(106)의 제4 공기이동공(104)으로 유출된다. 제4 공기이동공(104)에서 유출된 소음이 소거된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해 연결관(84)으로 이동하게 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air movement in the noise part 82 with reference to FIG. 9, when air is sucked inside the transfer pipe 16, the third air movement of the outer flange 100 of the silencer fixing part 90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96 and the second air moving hole 94 of the cylindrical part 92, and the introduced air penetrates the silencer 86 and the noise is eliminated, thereby reducing the connection part flange 106. 4 It flows out to the air moving hole 104. The air from which the noise leaked out from the fourth air moving hole 104 has been eliminated is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84 through the first air moving hole 76 of the air inlet flange 78.

모듈 형태의 소음부(82)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의 공기 유입부(80)의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구성할 수 있다.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by arranging the noise part 82 in the form of a module at the lower end of the air inlet 80 on the air flow path 70 of the inlet housing 72, as shown in FIG. 9 Part 12 can be configu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it can be changed.

10′, 10″: 개폐유닛 12: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
14: 연결슬리브 16: 이송관
18: 본체 하우징 20: 중량 측정부
22: 음식물 쓰레기 24: 개구부
26: 지지패널 28: 호퍼부
30: 덮개부 32: 회전 샤프트
34: 힌지결합부 36: 회전 댐퍼
38: 볼트 40: 비틀림 탄성부재
42: 제1 회전 기어 44: 제2 회전 기어
46: 영구 자석 48: 자석 센서
50: 로터리 댐퍼 52: 고정 지그
54: 함입부 56: 무게추
58: 하판 60: 상판
62: 강화유리 64: 걸림쇠
66: 축지지 블록 68: 힌지연결구
70: 공기 유로 72: 투입부 하우징
74: 공기 유입관 76: 제1 공기이동공
78: 공기유입 플랜지 80: 공기 유입부
82: 소음부 84: 연결관
85: 연결부 86: 소음재
87: 관통부 90: 소음재 고정부
92: 원통부 94: 제2 공기이동공
96: 제3 공기이동공 100: 외부 플랜지
102: 내부 플랜지 104: 제4 공기이동공
106: 연결부 플랜지 108: 판형 커버
110: 판형 커버 본체 112: 탄성부
10′, 10″: opening and closing unit 12: food waste input unit
14: connection sleeve 16: transfer pipe
18: main body housing 20: weight measuring unit
22: food waste 24: opening
26: support panel 28: hopper portion
30: cover part 32: rotating shaft
34: hinge coupling portion 36: rotation damper
38: bolt 40: torsional elastic member
42: first rotation gear 44: second rotation gear
46: permanent magnet 48: magnetic sensor
50: rotary damper 52: fixing jig
54: depression 56: weight
58: lower plate 60: upper plate
62: tempered glass 64: brace
66: shaft support block 68: hinge connector
70: air flow path 72: inlet housing
74: air inlet pipe 76: first air moving hole
78: air inlet flange 80: air inlet
82: noise part 84: connector
85: connection part 86: noise material
87: through part 90: noise material fixing part
92: cylindrical part 94: second air moving hole
96: third air moving hole 100: outer flange
102: inner flange 104: fourth air moving hole
106: connection flange 108: plate cover
110: plate-shaped cover body 112: elastic portion

Claims (12)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지지되며, 상기 개폐유닛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유도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호퍼부에 대해 상기 덮개부를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탄성부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회전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collects food waste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the transfer pipe,
A food waste input unit into which food waste is input;
An opening/clos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to regulate the airflow connection between the food wast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pipe, and to regulate the transfer of the food waste,
The food waste input unit,
A support panel having an opening penetrating vertically;
A hopper part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upper edge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guiding the food waste into the opening/closing unit;
A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end of the hopper part;
A hinge coupling part hingedly coupled to the cover part with respect to the hopper part around the rotating shaft;
A torsio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support panel, and providing a tors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shaft;
And a rotation damper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영구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덮개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자석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inge coupling part,
It includes a permanent magn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he food waste input unit,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by detecting the permanent magn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호퍼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 블록과;
일단이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축지지 블록 사이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는 힌지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inge coupling part,
A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hopper unit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n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inge connecto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blocks,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제1 회전 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댐퍼는,
상기 제1 회전 기어에 기어결합되는 제2 회전 기어를 구비하는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rotation gea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he rotation damp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damper (rotary damper) having a second rotation gear gear-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gear,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비틀림 탄성력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부의 중량을 조절하는 무게추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over part,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to adjust the weight of the cover in response to the torsional elastic force is built-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향으로 함입되는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함입부에 내장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을 상면을 커버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part,
A lower plate having a recessed portion recessed downwardly and the weight added to the recessed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plat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과;
상기 호퍼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이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消音材)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 하부의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消音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waste input unit,
An inlet housing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 air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hopper portion, and an air inlet flange extending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moving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ir inlet pipe, on the air flow path An air inlet portion disposed;
A connection part including a connection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inlet pipe, and a noise material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and reducing noise due to air suction of the transfer pipe, the air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ise part (消音部)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below the inl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재는,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부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noise material,
It includes a cylindrical sound material having a through part formed therein,
The noise part,
An outer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ir moving holes formed therein, a cylindrical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silencer, and a plurality of third air moving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noise material fixing portion including an inner flange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ipe is inserted,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음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fourth air mov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flang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noise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inlet flange,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late-shaped cover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ement h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커버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와, 상기 판형 커버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판형 커버 본체가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te-shaped cover,
A plate-shaped cover body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able hole,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late-shaped cover body, one side is coupled to the air inflow flange, so that the plate-shaped cover body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air movable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imparting an elastic forc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inlet flang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an upward slope from the top of the air inlet pipe.
KR1020190053173A 2019-05-07 2019-05-0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001289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73A KR20200128950A (en) 2019-05-07 2019-05-0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73A KR20200128950A (en) 2019-05-07 2019-05-0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50A true KR20200128950A (en) 2020-11-17

Family

ID=7364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73A KR20200128950A (en) 2019-05-07 2019-05-0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9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13A1 (en) * 2022-08-29 2024-03-07 이남원 Food waste dispo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2B1 (en)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2B1 (en)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13A1 (en) * 2022-08-29 2024-03-07 이남원 Food waste dispo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189B2 (en) Trash collector
KR20200128950A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039199B1 (en) Toilet training for pet dog
CA2841720C (en) Accessible bathtub and drain
KR102145998B1 (en) Sterilizer apparatus for toilet bowl
KR101329982B1 (en)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KR101913725B1 (en) Garbage discharge appratus
WO1998001727A1 (en) Measuring instrument improving fittability and removability of hopper
KR20140102824A (en) Toilet training for pet dog
KR101598254B1 (en) Sweeping Robot for Outdoor
CN207329003U (en) A kind of medicine bottle automatic packing device
CN107719798A (en) A kind of medicine bottle automatic packing device
KR20200015193A (en) Apparatus for cleaning excretion of pet
KR102162867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N107155918A (en) Automatic pet feeding device
KR20090127471A (en) Automatic waste input apparatus
KR20150137934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CN102171731B (en) Device for processing valuable documen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KR102332832B1 (en) Sterilization device for toilet bowl
KR101994633B1 (en) Measuring module for common throw gate of garbage bag in each stair
KR102095117B1 (en) Door assembly for food garbage disposal device
KR102065642B1 (en) Food waste discharge apparatus
CN110820239B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2162866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486270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