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02B1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02B1
KR101869502B1 KR1020180027542A KR20180027542A KR101869502B1 KR 101869502 B1 KR101869502 B1 KR 101869502B1 KR 1020180027542 A KR1020180027542 A KR 1020180027542A KR 20180027542 A KR20180027542 A KR 20180027542A KR 101869502 B1 KR101869502 B1 KR 10186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unit
pipe
sliding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9016A (en
Inventor
변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Priority to KR102018002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02B1/en
Publication of KR2018002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여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과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되는 투입관을 포함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관과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수용되는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제1 개폐유닛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이송관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제2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feeding and collecting food garbage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a conveyance pipe, the apparatus comprising: a charging port into which food garbage is charged; a discharge port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An inlet includ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an air flow connection is intermittently interrupted;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interrupting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transfer pipe, and temporarily storing the food waste;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eight of the food wast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nterrup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conveyance pipe.

Description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본 발명은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food garbage more precisely by eliminating the airflow effect due to aspiration to other households during the aspiration of food garbage to transport the food garbage will be.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쓰레기 배출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그 처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하는 쓰레기 종량제를 적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recently, the government has applied the waste disposal system that differentially imposes the disposal cost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ste disposal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waste disposal amount, and recently the food waste is being expanded.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라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집단거주 시설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하여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었다가 옥외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투기하고 있다. Food was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waste, in a residential facility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each household collects food waste in a special volume bag for the treatment of food waste, and then dumps it to the outdoor food garbage collection facility.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고 투기하는 과정에서 음식쓰레기에서 풍기는 악취나 해충 서식요건의 제공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또 옥외로 들고 나가 버리는 과정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음식물 쓰레기 냄새 등으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In the process of collecting food garbage in bulk bags in each household,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provision of stinking odor or pest tying from food garbage, and in the process of going outdoors, people around the household are exposed to discomfort .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단거주 시설에 공동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마련해 두고 각 세대와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간에 이송관으로 연결하여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집하하는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common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has been provided in a residential institution in the community, and a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is connected between each household and a food waste collection facility to collect food waste by vacuum, A centralized food garbage disposal method has been proposed.

도 1은 집단거주 시설(100)의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을 간략히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집하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한 세대(102)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104)에 투입하고 이송버튼을 누르면 개폐 밸브(106)가 열림과 동시에 다른 세대(102)의 개폐 밸브(106)가 닫힌 상태에서 흡인기(112)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이송관(108)을 진공상태를 만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집하시설(110)로 이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collecting food garbage will be described. In one household 102,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04 Closing valve 106 is opened and the suction tube 112 is sucked in the suction tube 112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06 of the other generation 102 is closed to make the transfer tube 108 in a vacuum state, The garbage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facility 110.

이러한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가 적용되어 각 세대(102) 별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기량을 계측할 필요가 있는데,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함에 따라 이송관(108)으로 연결된 타 세대(102)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세대(102)별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centralized food garbage disposal system,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mount of food garbage to be consumed by each household 102 by applying a food garbage amount system. When food garbage is sucked by vacuum, another household 102 ),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by each household 102. In addi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807호(2011. 12. 12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89807 (issued Dec. 12, 2011)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food garbage more precisely by eliminating the air flow effect caused by aspiration of the food garbage during the aspiration of the food garbage to transport the food garbag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여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과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되는 투입관을 포함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관과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수용되는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제1 개폐유닛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이송관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제2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feeding and collecting food garbage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a conveyance pipe, the apparatus comprising: a charging port into which food garbage is charged; a discharge port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An inlet includ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an air flow connection is intermittently interrupted;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interrupting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transfer pipe, and temporarily storing the food waste;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eight of the food wast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nterrup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conveyance pipe.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2 개폐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losed.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총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산정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to measure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1 개폐유닛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load cell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measuring a weigh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는 본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을 관통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개폐유닛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될 수 있다.A main body housing in which a space is defined;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상기 제1 개폐유닛 및 상기 제2 개폐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내부에 실장공간이 구획되며,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이 관통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유입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유입관의 하단의 연통을 단속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직선 왕복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크(rack)와;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includes a valve housing in which a mounting space is defined and through which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ipe pass; A sliding plat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inflow pipe and disposed in a later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and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ning and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according to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 rack formed on the sliding plate in the linear reciprocating direction;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inion.

상기 제1 개폐유닛 및 제2 개폐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튜브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밀폐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승강링 본체와, 상기 승강링 본체의 상단에 상기 단턱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승강링 본체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승강링과; 상기 승강링이 하향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승강링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단턱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재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승강링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comprises: a sealing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valve housing so that the inlet tube is located inside; A ring-shaped lifting ring body located inside the closed tube so that the inflow pip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ing body so as to face the step, An elevating ring including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pposite to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A first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ring such that the lifting ring is pressed downward; A first seal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tep; And a second sealing member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In this case, when the sliding ring is linearly reciprocated, As shown in Fig.

상기 승강링은, 상기 승강링 본체의 외주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동링과; 상기 가동링의 외측에서 연장되며 양단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경사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2 경사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lifting ring includes: a ring-shaped movable ring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ring body; The slid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clined block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movable ring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t both ends thereof.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may be inclined upward And a second inclined block in which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both ends.

상기 제1 개폐유닛 및 상기 제2 개폐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유입관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scraper)와;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includes a ring-shaped scraper which wip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 And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craper so that the scrap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valve housing and guid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so that the inflow pipe is located in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by eliminating the air flow effect caused by the suction to the other household during the suction process of the food waste to transport the food waste.

도 1은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가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ntralized food garbage disposal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3 is a front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unit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opening / closing unit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opening / closing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가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n opening / closing unit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of Fig.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opening / closing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는, 음식물 쓰레기(10), 이송관(11), 투입구(12), 투입관(14), 투입부(16), 본체하우징(18), 연결관(20), 연결슬리브(22), 제1 개폐유닛(24), 중량측정부(26), 로드셀(28), 제2 개폐유닛(30), 유입관(32), 유출관(34), 실장공간(36), 밸브하우징(38), 슬라이딩 플레이트(40), 개구부(42), 래크(rack)(44), 피니언(pinion)(46), 단턱(48), 밀폐튜브(50), 승강링 본체(52), 제1 고정부(54), 제2 고정부(56), 가동링(58), 승강링(60), 제1 경사면(61), 제1 경사블록(62), 제1 탄성부재(64), 제1 실링재(66), 제2 실링재(68), 제2 경사면(69), 제2 경사블록(70), 제2 탄성부재(72), 스크레이퍼(scraper)(74), 가이드튜브(76)가 도시되어 있다.2 to 6 show a state in which the food waste 10, the feed pipe 11, the feed inlet 12, the feed pipe 14, the feed unit 16, the main body housing 18, the connection pipe 20,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2,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the load cell 28,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the inlet pipe 32, the outlet pipe 34, The valve housing 38, the sliding plate 40, the opening 42, the rack 44, the pinion 46, the step 48, the sealing tube 50, the lifting ring body 52, The first fixing portion 54, the second fixing portion 56, the movable ring 58, the lift ring 60, the first inclined surface 61, the first inclined block 62, the first elastic member 64 A first sealing member 66, a second sealing member 68, a second inclined surface 69, a second inclined block 70, a second elastic member 72, a scraper 74, a guide tube (not shown) 76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이송관(11)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10)를 이송하여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는 투입구(12)와, 상기 투입구(12)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11)과 기류적(氣流的)이 단속(斷續)되는 투입관(14)을 포함하는 투입부(16)와; 상기 투입관(14)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관(14)과 상기 이송관(11)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임시 수용되는 제1 개폐유닛(24)과; 상기 제1 개폐유닛(24)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26)와; 상기 제1 개폐유닛(24)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폐유닛(24)과 상기 이송관(11)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제2 개폐유닛(30)을 포함한다.The foo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oo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for feeding and collecting food garbage 10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the feed pipe 11, A charging unit 16 including a charging port 12 and a charging pipe 14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2 and intermittently intermittently flowing air from the charging pipe 11; ;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4) and interrupting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and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food waste (10); A weight measuring unit (26)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3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and interrup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and the conveying pipe (11).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10)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10)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food waste disposing device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moves the airflow effect caused by aspiration of the food waste 10 during the aspiration of the food waste 10 in order to transport the food waste 10, 10) can be measured.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집단거주 시설이 각 세대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세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하는 흡인기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에 각각 연결된다.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한 흡인기의 작동에 따라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가 집하시설로 이송된다.The food garbage disposer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 each household, and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stalled in each household can be installed in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aspirator located in the central collecting facilit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spirator located at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food waste of each household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facility.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를 중앙 집하시설로 이송하는 방법은, 다른 세대의 이송관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인기를 작동시키켜 이송관 내를 공기를 흡인하여 진공상태로 만들면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방되면서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관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 집하시설로 이동하게 된다.One method of transferring food garbage from one household to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is to operate the aspirator in the closed state of the other household's conveying pipe and suck the air in the conveying pipe to make it into a vacuum state so that the household garbage disposal device The food garbage of the household moves along the transfer pipe and moves to the central collection facility.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투입부(16)는,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는 투입구(12)와, 투입구(12)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이송관(11)과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되는 투입관(14)을 포함한다. 투입구(12)는 각 세대의 싱크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구(12)로 투입된다. 투입구(12)의 하단에는 파이프 형태의 투입관(14)이 연결되고, 투입관(14)은 이송관(11)과 기류적 연결이 단속된다. The charging unit 16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12 into which the food waste 10 is charged and a charging port 16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12 and is interrupted intermittently with the conveyance pipe 11 And includes a charging tube (14). The inlet 12 may be coupled to the sink of each household and the food waste 10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2. A pipe-shaped injection pipe 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port 12, and the injection pipe 14 is interlocked with the transfer pipe 11 and the airflow connection.

여기서,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된다는 의미는, 투입관(14)과 이송관(11) 사이에는 서로 연통(連通)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이 배치되고 개폐유닛의 개방에 따라 투입관(14)과 이송관(11)이 연통되어 기류적으로 연결되거나, 개폐유닛이 닫힌 경우에는 투입관(14)과 이송관(11)이 연통이 끊겨 기류적인 연결이 끊기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intermittent air flow connection means that an open / close unit for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and the open / This means that when the inlet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are air-flow-connected o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losed, the air supply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do.

제1 개폐유닛(24)은, 투입관(14)에 연결되어 투입관(14)과 이송관(11)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음식물 쓰레기(10)가 임시 수용된다. 제1 개폐유닛(24)은 투입부(16)의 투입관(14)과 이송관(11)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개폐에 따라 투입관(14)과 이송관(11)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한다.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4 and interrupts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so that the food waste 10 is temporarily accommodate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interposed between the charging pipe 14 of the charging unit 16 and the transfer pipe 11 and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pipe 14 and the transfer pipe 11 I will crack down.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부(16)로 투입되면, 제2 개폐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10)는 투입관(14)을 통해 제1 개폐유닛(24) 내부로 유입되며, 제1 개폐유닛(24)의 개방에 따라 투입관(14)이 이송관(11)과 기류적으로 연결되면서 제1 개폐유닛(24)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10)가 후술할 제2 개폐유닛(30)을 거쳐 이송관(11)으로 이송되게 된다.When the food garbage 10 is introduced into the charging unit 16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the food garbage 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rough the inlet pipe 14 And the inlet pipe 14 is connected to the feed pipe 11 in an air stream conne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so that the food garbage 10 insid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is conveyed to the conveyance pipe 11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unit 30.

중량측정부(26)는, 제1 개폐유닛(24)의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한다. 투입부(16)를 통해 제1 개폐유닛(24)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10)는 중량측정부(26)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다. 중량측정부(26)로는 로드셀(28)(load cell)이 적용될 수 있는데, 로드셀(28)은 외부하중에 따라 로드셀(28)의 스트레인(strain)를 측정하여 이를 통해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The weight measuring section 26 measures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rough the charging unit 16 is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 A load cell 28 may be used as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The load cell 28 measures the strain of the load cell 28 according to an external load and measures the weight thereof.

제2 개폐유닛(30)은, 제1 개폐유닛(24)의 후단에 연결되며 제1 개폐유닛(24)과 이송관(11)과의 연결을 단속한다. 제2 개폐유닛(30)은 제1 개폐유닛(24)의 후단에 연결되며 제2 개폐유닛(30)의 개폐에 따라 이송관(11)과의 연결이 단속된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interrup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the conveying pipe 11.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nveying pipe 11 is interrupt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한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부(16)에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10)는 투입관(14)을 통해 제1 개폐유닛(24)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중량측정부(26)는 제1 개폐유닛(24)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때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10)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11)의 내부가 일시적으로 진공상태가 되면서 이송관(11)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10) 처리장치에 기류적으로 영향을 미쳐 음식물 쓰레기(10)의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방해하게 된다.The food waste 1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rough the inlet pipe 14 and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ening /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measured. However, when the food waste 10 is transferred from another household when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of one household is measured,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11 connected to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each household is temporarily So that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food wastes 10 is interfered wit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ir current on the food wastes 10 of each generation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veyance pipe 11 while being in a vacuum stat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10)의 이송 중에도 음식물 쓰레기(10) 중량 측정에 기류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개폐유닛(24)의 후단에 제2 개폐유닛(30)을 배치하여 제2 개폐유닛(30) 이 닫힌 상태에서 제1 개폐유닛(24)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3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to minimize the airflow influence on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10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food waste 10 of another generation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whil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중량측정부(26)는, 제2 개폐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한다. 제2 개폐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는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10)의 이송이 이루어지더라도 이송관(11)과 제1 개폐유닛(24)의 기류적 연결이 끊겨 있기 때문에 제1 개폐유닛(24)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section 26 measures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Even if the food waste 10 is transferred from another househol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transfer pipe 11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disconnect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in the food waste 24.

중량측정부(26)는, 제1 개폐유닛(24)에 결합되어 제1 개폐유닛(24)의 총 중량을 측정하고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산정한다. 제1 개폐유닛(24)에 음식물 쓰레기(10)가 유입되면 중량측정부(26)는 음식물 쓰레기(10)가 유입된 제1 개폐유닛(24)의 총량을 측정한 후 그 값에서 제1 개폐유닛(24) 자체의 중량을 뺀 값을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1 개폐유닛(24)의 하부를 로드셀(28)이 지지하도록 하여 로드셀(28)이 제1 개폐유닛(24)의 총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unit 26 is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o measure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When the food waste 10 flows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measures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nto which the food waste 10 flow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unit 24 itself from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can be calculated. When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is measured in such a manner, the load cell 28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so that the load cell 28 can measure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Measurement can be configur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는 본체하우징(18)과; 일단이 투입관(14)과 연결되며, 본체하우징(18)을 관통하는 연결관(20)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개폐유닛(24)은 연결관(20)에 연결될 수 있다.2, the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8 in which a space is defined; And a connection pipe 20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4 at one end and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housing 18. At this time,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20.

본체하우징(18)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투입부(16)를 제외한 기타 개폐유닛(24, 30), 중량측정부(26) 등이 내부에 내장된다. 본체하우징(18)의 관통하여 외측에 위치한 연결관(20)의 일단은 투입부(16)의 투입관(14)과 연결되며, 본체하우징(18)의 내부에 위치한 연결관(20)의 타단은 후술할 제1 개폐유닛(24)에 결합된다. The body housing 18 constitute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other open / close units 24 and 30, a weight measuring unit 26, and the like except the charging unit 16 are built in.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2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18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ipe 14 of the charging unit 16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20 located inside the main housing 18 Closing unit 24 to be described later.

투입관(14)과 연결관(20)의 연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관(14)과 연결관(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슬리브(22)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슬리브(22)는 벨로우즈 관이나 고무관과 같이 플렉서블한 관으로 구성되어 투입관(14)과 연결관(20)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플렉서블한 연결슬리브(22)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14 and the connecting pipe 20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sleeve 22 into which the inlet pipe 14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20 are inserted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sleeve 22 may be a flexible tube such as a bellows tube or a rubber tube so that the connection sleeve 22 can be easily connected by the flexible connection sleeve 22 even if the position of the inlet tube 14 and the connection tube 20 is reversed.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개폐유닛(24, 30)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제1 개폐유닛(24)와 그 후단에 연결되는 제2 개폐유닛(3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개폐유닛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described below.

개폐유닛(24, 30)은, 내부에 실장공간(36)이 구획되며, 유입관(32) 및 유입관(32)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34)이 관통하는 밸브하우징(38)과; 유입관(32)에 상응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되고, 유입관(32)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개구부(42)와 유입관(32)의 하단의 연통을 단속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0)와; 직선 왕복이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래크(44)(rack)와; 래크(44)에 치합되는 피니언(46)(pinion)과; 피니언(46)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are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36 and a valve housing 38 through which the outflow pipe 34 positioned below the inflow pipe 32 and the inflow pipe 32 passes, ; An opening portion 42 corresponding to the inflow pipe 32 is formed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so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ning portion 42 and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is interrupted A sliding plate (40); A rack 44 formed in the sliding plate 40 in a linear reciprocating direction; A pinion 46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44;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rotating the pinion 46.

밸브하우징(38)은 개폐유닛(24, 30)의 외관을 구성하며, 각 구성부품이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에 배치된다. 밸브하우징(38)의 상측과 이에 대향하는 하측에는 유입관(32) 및 유출관(34)이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유입관(32)은 음식물 쓰레기(10)가 유입되는 입구이고, 유출관(34)은 음식물 쓰레기(10)가 유출되는 출구를 구성한다. The valve housing 38 constitutes the appeara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and each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An inlet pipe 32 and an outlet pipe 34 are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an upper side of the valve housing 38 and a lower side opposite to the valve housing 38. The inlet pipe 32 is an inlet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10 flows, 34 constitute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10 flows out.

본 개폐유닛이 투입관(14)이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개폐유닛(24)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연결슬리브(22)에 의해 투입관(14)이 유입관(32)과 연결된다.When the opening / closing unit constitutes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rging pipe 14, the charging pipe 14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32 by the connecting sleeve 22.

슬라이딩 플레이트(40)는 유입관(32)의 하단과 유출관(34)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유입관(32)의 하단과 유출관(34)의 상단의 연통을 단속한다. 즉, 슬라이딩 플레이트(40)에는 유입관(32)에 상응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유입관(32)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개구부(42)와 유입관(32)의 하단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벗어나면서 서로의 연통을 단속한다. The sliding plate 4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and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34 and linearly reciprocates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and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34 . That is, the sliding plate 4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42 corresponding to the inflow pipe 32, and the sliding plate 40 is disposed laterally at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The opening 42 of the sliding plate 40 and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32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래크(44)(rack)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이동을 위하여 직선 왕복이동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에 형성되고, 피니언(46)(pinion)은 래크(44)에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부에 의한 피니언(46)의 회전에 따라 래크(44)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직선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구동부(미도시)로는 모터가 이용될 수 있고, 모터와 피니언(46) 사이에 회전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어가 배치될 수 잇다.The rack 44 is formed in the sliding plate 40 in the linear reciprocating direction for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40 and the pinion 46 is engaged with the rack 44 The sliding plate 40 having the rack 44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46 by the driving unit makes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 motor may be used as the driving unit (not shown), and a gea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pinion 46.

본 개폐유닛(24, 30)은,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48)이 형성되는 밀폐튜브(50)와;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50)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승강링 본체(52)와, 승강링 본체(52)의 상단에 단턱(48)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부(54)와, 승강링 본체(52)의 하단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고정부(56)를 포함하는 승강링(60)과; 승강링(60)이 하향으로 가압되도록 승강링(60)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64)와; 제1 고정부(54)에 고정되며, 제1 고정부(54)와 단턱(48)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재(66)와; 제2 고정부(56)에 고정되며, 제2 고정부(56)와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재(68)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개폐유닛(24, 30)이 닫힌 상태에서 투입관(14)의 내부를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are provided with a sealing tube 3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so that the inflow pipe 32 is located inside, (50); A ring-shaped lift ring main body 52 located inside the hermetically sealed tube 50 such that the inlet pipe 3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ring shaped ring 50, An elevating ring (60) including a fixing portion (54) and a second fixing portion (5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ring body (52) so as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 first elastic member (64)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ring (60) so that the lifting ring (60) is pressed downward; A first sealing member 66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54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54 and the step 48; And a second sealing member 68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56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ortion 5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From these constructions,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side of the charging tube 14 in a clos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units 24, 30 are closed.

밀폐튜브(50)는, 밸브하우징(38)의 내부로 연장되는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48)이 형성된다. The sealing tube 50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so that the inflow pipe 32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valve housing 38 is located inside, The stepped portion 48 is formed inwardly.

승강링(60)은,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50)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승강링 본체(52)와, 승강링 본체(52)의 상단에 밀폐튜브(50)의 단턱(48)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부(54)와, 승강링 본체(52)의 하단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고정부(56)로 구성된다. 승강링(60)은 제1 탄성부재(64)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진다.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60 includes a ring-shaped lifting ring main body 52 located inside the hermetically sealed tube 50 so that the inflow pipe 32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And a second fixing portion 56 form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ing main body 52. The first fixing portion 54 is formed to face the step 48 of the sliding plate 40, . 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6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64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40.

링 형상의 승강링 본체(52)는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50)와 유입관(32)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링 형상의 승강링 본체(52)의 상단에는 외주를 따라 밀폐튜브(50)의 단턱(48)에 대향하여 제1 고정부(54)가 연장되어 있고, 승강링 본체(52)의 하단에는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 대향하는 제2 고정부(56)가 연장되어 있다. The ring-shaped lifting ring main body 52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tube 50 and the inflow pipe 32 so that the inflow pipe 32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The first fixing portion 54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 ring main body 52 so as to face the step 48 of the hermetically sealed tube 50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nd the fixing portion 56 is extended.

제1 고정부(54)에는 링 형상의 제1 실링재(66)의 고정되며, 제1 실링재(66)가 밀폐튜브(50)의 단턱(48)과 제1 고정부(54)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56)에는 링 형상의 제2 실링재(68)가 고정되며, 제2 실링재(68)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과 제2 고정부(56)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제1 실링재(66)와 제2 실링재(68)에 의해 개폐유닛(24, 30)이 닫힌 상태에서 투입관(14)의 내부가 밀폐된다.A ring-shaped first sealing member 66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54 and a first sealing member 66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p 48 of the sealing tube 50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54 . A ring-shaped second sealing member 68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56 and a second sealing member 68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56. Thus, the inside of the inlet pipe 14 is sealed by the first sealing member 66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68 while the opening / closing units 24 and 30 are closed.

제1 탄성부재(64)는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의 상면과 승강링(60)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제1 탄성부재(64)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링(60)이 하부로 가압되면서 승강링(60)의 제1 실링재(66)와 제2 실링재(68)가 밀폐튜브(50)의 단턱(48)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탄성부재(64)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64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and the lift ring 60.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64 prevents the lift ring 60 The first sealing member 66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68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60 press the step 48 of the sealing tube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to maintain the sealed state do. As the first elastic member 64, a coil spring may be used.

이러한 승강링(60)은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른 개폐유닛(24, 30)의 개폐에 따라 승강링(6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개폐유닛(24, 30)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1 탄성부재(64)가 승강링(60)을 가압하면서 투입관(14)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유닛(24, 30)이 열리는 상태에서는 승강링(6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투입관(14)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The lift ring 60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40. That is, the lift ring 6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40. 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The elastic member 64 pressurizes the lifting ring 6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charging tube 14.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are opened, the lifting ring 60 moves upward, 14 are released from the sealed state.

이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 운동과 승강링(60)의 승강 운동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승강링(60)은, 승강링 본체(52)의 외주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동링(58)과; 가동링(58)의 외측에서 연장되며 양단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61)이 형성되는 제1 경사블록(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61)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69)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2 경사블록(70)이 결합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60 includes a ring-shaped movable ring 58 (not show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ring body 52 to interlock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4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lifting ring 60, )and; The sliding plate 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clined block 62 exten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movable ring 58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61 inclined downward at both ends thereof. The second inclined block 7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61 so that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9 is inclined upward.

가동링(58)은 링 형상으로서 승강링 본체(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링 본체(52)의 외주에 결합된다. 제1 경사블록(62)은 가동링(58)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며, 제1 경사블록(62)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에는 제1 경사면(61)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69)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2 경사블록(70)이 결합된다.The movable ring 58 is ring-shaped and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ring body 52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ring body 52 is inserted. The first inclined block 62 is extended from the outside of the movable ring 58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inclined block 62 to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61 inclined downward. A second inclined block 7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nd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69 inclined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61.

가동링(58)이 승강링(6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링(58)의 상하 운동에 연동되어 승강링(6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movable ring 58 is coupled to the lifting ring 60, the lifting ring 60 moves upward and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vable ring 58. [

도 5 및 도 6은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가동링(58)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승강링(60)의 승강에 연동되는 가동링(58)의 승강 운동을 자세히 살펴 보면, 개폐유닛(24, 30)을 개방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경사블록(7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동링(58)의 제1 경사블록(62)의 제1 경사면(61)이 제2 경사블록(70)의 제2 경사면(69)을 타고 올라가면서(도 5 참고) 제1 경사블록(62)이 제1 경사블록(62) 위에 놓이게 되면서 가동링(58)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6 참고).5 and 6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ing 58 moves upward according 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40. Referring to FIGS. 5 and 6,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60 is moved up and down The sliding plate 4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so that the second inclina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61 of the first inclined block 62 of the movable ring 58 ascends alo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9 of the second inclined block 70 while the block 70 moves to the right 5). The first inclined block 62 is placed on the first inclined block 62, and the movable ring 58 is moved upward (see FIG. 6).

이후, 개폐유닛(24, 30)을 닫기 위해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가동링(58)의 제1 경사블록(62)이 제2 경사블록(70)을 타고 내려 오면서 올라갔던 가동링(58)이 하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은 가동링(58)의 승강으로 인해 승강링(60)이 투입관(14)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유지하거나 밀폐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sliding plate 40 is moved to the left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units 24 and 30, the first inclined block 62 of the movable ring 58 ascends and descends on the second inclined block 70 The movable ring 58 descends downward. Du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ovable ring 58, the lifting ring 60 keeps the inside of the charging tube 14 in the closed state or releases the sealed state.

한편, 본 개폐유닛(24, 30)은, 유입관(32)이 내부로 삽입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74)(scraper)와; 스크레이퍼(74)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을 가압하도록 스크레이퍼(74)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을 닦아낼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30 include a ring shaped scraper 74 that wip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in response to the linear reciprocation of the sliding plate 40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32, a scrap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7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craper 74 so that the scraper 74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From these configuration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can be wiped off.

제1 개폐유닛(24)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면 투입관(14) 및 유입관(32)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 놓이게 되는데 사용 과정에서 각종 음식물 쓰레기(10)의 찌꺼기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에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직선 왕복운동과정에서 스크레이퍼(74)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을 닦아 내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e food waste 10 is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through the inlet pipe 14 and the inlet pipe 32. In the process of using the food waste 10, The debris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ccordingly, the scraper 74 is configured to wipe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40.

스크레이퍼(74)는 유입관(3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을 향하는 스크레이퍼(74)의 하단에 날이 서도록 외면에 하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2 탄성부재(72)는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의 상면과 스크레이퍼(74)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레이퍼(74)의 하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4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스크레이퍼(74)를 탄성지지한다. The scraper 74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insert the end of the inflow pipe 32 and has a downward sloped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a blad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aper 74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and the upper end of the scraper 7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craper 74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74 are elastically supported.

제2 탄성부재(72)에 의해 스크레이퍼(74)의 하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스크레이퍼(74)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0) 상면의 음식물 쓰레기(10) 찌꺼기를 닦아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부재(72)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형태를 제시한다.The scraper 74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as the sliding plate 40 linearly reciprocates while the lower end of the scraper 74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40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The food waste (10) will be wiped off the residue. In this embodiment, a coil spring is used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한편, 제1 탄성부재(64)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과 제2 탄성부재(72)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을 분리하면서 제1 및 제2 탄성부재(64, 72)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튜브(76)가 유입관(3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하우징(38)의 실장공간(36)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72)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은 유입관(32)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튜브(76) 내부에 배치되어 그 하단에 있는 스크레이퍼(74)의 상단을 탄성지지하게 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40)가 직선 왕복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을 가이드하게 된다. 가이드튜브(76)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1 탄성부재(64)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가 가이드튜브(76)에 끼워져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64)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을 동시에 가이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separating the coil spring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64 and the coil spring used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the compression of the coil spring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64 and 72 The guide tube 76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36 of the valve housing 38 so that the inflow pipe 32 is located inside to guide the restoration. The coil spring used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72 is disposed inside the guide tube 76 so as to insert the inlet pipe 32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craper 74 at the lower end thereof, Thereby guiding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f the coil spring that occurs dur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 coil spring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64 is disposed in the guide tube 76 so that the guide tube 76 is located inside and thereby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f the coil spring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64 Guide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weig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개폐유닛(24)과 제2 개폐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 투입부(16)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10)는 투입관(14)을 통해 제1 개폐유닛(24)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제2 개폐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개폐유닛(24)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한다. 제1 개폐유닛(24)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10)의 이송이 일어나더라도 제2 개폐유닛(30)이 닫혀 있기 때문에 제1 개폐유닛(24)과 이송관(11)이 기류적 연결이 단절되어 있어 중량측정부(26)에서 제1 개폐유닛(24) 내부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10)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제2 개폐유닛(30)과 제1 개폐유닛(24)이 개방되면서 흡인기에 의한 이송관(11)의 공기 흡인에 따라 제1 개폐유닛(24)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10)가 제2 개폐유닛(30)과 이송관(11)을 거쳐 중앙 집하시설로 이송된다.When the food waste 1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16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are closed, the food garbage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pipe 14, And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unit 24. 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measured whil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Sinc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closed even if the food waste 10 is conveyed from another household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 and the transfer pipe 11 is disconnected, so that the weight of the in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can be accurately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26. After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10 is measure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 are op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24 and 24 are opened according to the air suction of the conveyance pipe 11 by the aspirator, The food waste 10 i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4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collecting facility via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30 and the conveying pipe 1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음식물 쓰레기 11: 이송관
12: 투입구 14: 투입관
16: 투입부 18: 본체하우징
20: 연결관 22: 연결슬리브
24: 제1 개폐유닛 30: 제2 개폐유닛
26: 중량측정부 28: 로드셀
32: 유입관 34: 유출관
36: 실장공간 38: 밸브하우징
40: 슬라이딩 플레이트 42: 개구부
44: 래크(rack) 46: 피니언(pinion)
48: 단턱 50: 밀폐튜브
52: 승강링 본체 54: 제1 고정부
56: 제2 고정부 58: 가동링
60: 승강링 61: 제1 경사면
62: 제1 경사블록 64: 제1 탄성부재
66: 제1 실링재 68: 제2 실링재
69: 제2 경사면 70: 제2 경사블록
72: 제2 탄성부재 74: 스크레이퍼(scraper)
76: 가이드튜브
10: Food waste 11: Transfer pipe
12: inlet 14: inlet tube
16: input portion 18: main housing
20: connector 22: connecting sleeve
24: first open / close unit 30: second open /
26: Weighing part 28: Load cell
32: inlet pipe 34: outlet pipe
36: mounting space 38: valve housing
40: sliding plate 42: opening
44: rack 46: pinion
48: Step 50: Closed tube
52: lifting ring body 54: first fixing part
56: second fixing portion 58: movable ring
60: lift ring 61: first inclined surface
62: first inclination block 64: first elastic member
66: first sealing material 68: second sealing material
69: second inclined surface 70: second inclined block
72: second elastic member 74: scraper
76: guide tube

Claims (8)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여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과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되는 투입관을 포함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관과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수용되는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제1 개폐유닛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폐유닛과 상기 이송관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제2 개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유닛 및 제2 개폐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내부에 실장공간이 구획되며,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이 관통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유입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유입관의 하단의 연통을 단속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직선 왕복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크(rack)와;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튜브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밀폐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승강링 본체와, 상기 승강링 본체의 상단에 상기 단턱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승강링 본체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승강링과;
상기 승강링이 하향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승강링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단턱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실링재와;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승강링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feeding and collecting food garbage according to the suction of air in a transfer pipe,
A charging unit including a charging port into which food garbage is charged and a charging pipe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 and intermittently interrupting air flow connection with the conveying pipe;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interrupting the air flow connec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transfer pipe, and temporarily storing the food waste;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eight of the food wast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nterrup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conveyance pip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
A valve housing in which a mounting space is defined and through which an in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ipe pass;
A sliding plat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inflow pipe and disposed in a later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and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ning and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according to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 rack formed on the sliding plate in the linear reciprocating direction;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inion;
A sealing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valve housing such that the inflow tube is located inside;
A ring-shaped lifting ring body located inside the closed tube so that the inflow pip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ing body so as to face the step, An elevating ring including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pposite to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A first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ring such that the lifting ring is pressed downward;
A first seal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tep;
And a second sealing member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Wherein the lifting ring reciprocates upward an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2 개폐유닛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ing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is measured while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1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총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ing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weight of the food garb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제1 개폐유닛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1 개폐유닛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eighing unit may include:
And a load cell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는 본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하우징을 관통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유닛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body housing in which a space is defined;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t one end and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은,
상기 승강링 본체의 외주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동링과;
상기 가동링의 외측에서 연장되며 양단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경사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이 양단에 형성되는 제2 경사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ring
A ring-shaped movable ring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ring body;
And a first inclined block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movable ring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t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sliding plate is coupled to a second inclined block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t both end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유닛 및 상기 제2 개폐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유입관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scraper)와;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nd the second opening /
A ring-shaped scraper for wip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in accordance with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craper so that the scrap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alve housing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guide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valve housing to guide the second elastic member so that the inlet pipe is located inside.
KR1020180027542A 2018-03-08 2018-03-08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KR101869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42A KR101869502B1 (en) 2018-03-08 2018-03-08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42A KR101869502B1 (en) 2018-03-08 2018-03-08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260A Division KR20170093619A (en) 2016-02-05 2016-02-05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16A KR20180029016A (en) 2018-03-19
KR101869502B1 true KR101869502B1 (en) 2018-06-20

Family

ID=619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42A KR101869502B1 (en) 2018-03-08 2018-03-08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0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733B1 (en) 2018-09-10 2019-01-15 김광민 The gate valve for waste transfer device
KR102065642B1 (en) * 2019-02-26 2020-01-13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Food waste discharge apparatus
KR102162866B1 (en) 2019-05-07 2020-10-0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162867B1 (en) 2019-05-07 2020-10-0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00128950A (en) 2019-05-07 2020-11-1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10000950A (en) * 2019-06-26 2021-01-06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09A (en) 2018-12-26 2020-07-06 정진아 Device and method for disposing garbage with enhanced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93A (en) * 2010-05-11 2011-11-17 허한빈 Waste collection container apparatus using rfid
KR101164394B1 (en) * 2012-04-02 2012-07-09 이해우 Receiving device of food waste
KR101208374B1 (en) * 2010-06-29 2012-12-05 주식회사 이메닉스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by specific duty in the waste transportation systems of pipe type
KR101282543B1 (en) * 2012-08-21 2013-07-04 이진혁 Device for receiving food was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807B1 (en) 2008-04-04 2011-12-1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kitchen waste collection apparatus for house h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93A (en) * 2010-05-11 2011-11-17 허한빈 Waste collection container apparatus using rfid
KR101208374B1 (en) * 2010-06-29 2012-12-05 주식회사 이메닉스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by specific duty in the waste transportation systems of pipe type
KR101164394B1 (en) * 2012-04-02 2012-07-09 이해우 Receiving device of food waste
KR101282543B1 (en) * 2012-08-21 2013-07-04 이진혁 Device for receiving food wast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733B1 (en) 2018-09-10 2019-01-15 김광민 The gate valve for waste transfer device
KR102065642B1 (en) * 2019-02-26 2020-01-13 주식회사 유로파이앤씨 Food waste discharge apparatus
KR102162866B1 (en) 2019-05-07 2020-10-0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162867B1 (en) 2019-05-07 2020-10-0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00128950A (en) 2019-05-07 2020-11-17 변재욱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10000950A (en) * 2019-06-26 2021-01-06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KR102229690B1 (en) * 2019-06-26 2021-03-17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16A (en)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502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KR20170093619A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weight of food wastes
CN113226142B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01909499B (en) Portable hard surface vacuum
US20210045600A1 (en) Base Station for Stationary Emptying of a Dirt Space of a Mobile Cleaning Apparatus,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110327001A (en) Cleaning plant, device for clearance, clean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CN106284584A (en) A kind of intelligence urine examination urinating bucket and urine examination method
CN116296604B (en) Flour detects sampling device
KR102162867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N211299771U (en) Cleaning system
CN216367830U (en) Quantitative powder adding device
CN113716338B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for mobile phone shell production
CN208525070U (en) A kind of surgical waste liquor garbage collection processing system
CN210913902U (en) Garbage can for recycling domestic waste paper
CN211504879U (en) Adjustable sampling tool for atmospheric pollution detection
KR102162866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N208388556U (en) A kind of garbage recovery device on water basin dish-washing machine
CN215098418U (en) Device is taken to polyacrylamide
KR101523642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of food garbage processor
CN107235264B (en) Garbage compression box
CN110002020A (en) Chest cover board places machine
CN107934896B (en) Urine conveying device
CN206798334U (en) A kind of theatre sister is with portable refuse disposal installation
CN215357701U (en) Efficient stop valve automatic assembly device
CN212232940U (en) Small-size dried bean curd automatic production assembl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