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982B1 -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 Google Patents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9982B1 KR101329982B1 KR1020130106901A KR20130106901A KR101329982B1 KR 101329982 B1 KR101329982 B1 KR 101329982B1 KR 1020130106901 A KR1020130106901 A KR 1020130106901A KR 20130106901 A KR20130106901 A KR 20130106901A KR 101329982 B1 KR101329982 B1 KR 101329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ain body
- dog
- snack
- bowel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NJIEGIFACGWOD-UHFFFAOYSA-N ethanethiol Chemical compound CCS DNJIEGIFACGW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9/00—Animal husbandry
- Y10S119/905—Breaking or training meth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견의 배변 훈련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g training dog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g training dog training training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dog training.
일반적으로 애완견은 배변훈련이 잘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불, 침대 등을 비롯하여 아무 곳이나 배뇨, 배변을 하기 때문에 키워지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심지어는 버려지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실내에서 키우는 애완견의 경우 배변 훈련은 매우 중요하다.Generally, when dogs are not well trained, dogs, bedding, etc. can cause urination, defecation, or difficulties in breeding, and even when they are discarded, Is very important.
어린 애완견의 경우, 실내에서 생활하기 위한 배변 훈련기간이 지능지수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보통의 경우 2개월 정도이며, 애완견이 배변 훈련을 마치기 위해서는 애완견 주인의 많은 정성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In the case of young dogs,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Q index for the training period for living indoors, but it is usually about two months. In order to finish the training of the dog, the pet owner needs much care and effort .
종래의 애완견 배변 훈련은 신문지를 3-4장 정도 겹쳐 깔아 놓고, 애완견을 관찰하다 배변 기미를 보이면 빠르게 신문지를 펼쳐 깔아 놓은 장소에 애완견을 올려놓고서 애완견이 배변을 마칠 때까지 기다리게 되며,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애완견이 신문지 위에 배변하는 습관을 길들이게 된다. 이때, 신문지를 대신하여 배변판이나 배변패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conventional dog training, dogs are laid over three to four sheets. When they see dogs, they spread the newspaper quickly. When they put their dogs on the floor, they wait until they finish their bowel movements. To breed habits of pet dogs on the newspaper. At this time, a bowel plate or a bowel pad may be used instead of a newspaper.
한편 신문지를 여러 장 겹쳐 놓는 것은 아래 신문지로 애완견의 소변이 젖게 하여 신문지에 소변 냄새를 묻혀두기 위함이며, 추후 배변 시 애완견이 신문지에 묻은 자신의 소변 냄새를 맡고서 배변 장소로 오도록 유도하기 위함이지만, 이러한 배변 훈련 방법은 애완견 주인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원활한 배변 훈련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to stack multiple newspapers is to put the smell of urine in the newspapers by wetting the pet's urine with the following newspaper, and in order to induce the dog to smell his own urine in the newspaper to come to the stool afterwards However, this method of defecation training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by the owner of the do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 training for the defecation.
또한 종래의 배변판을 이용하는 경우 애완견의 대변이나 소변을 바로 치우지 않으면, 집안에 변 냄새로 가득차게 되며, 수시로 애완견 주인이 신경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종래의 배변패드를 이용하는 경우 패드의 교체를 위하여 패드를 매번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증가를 동시에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bowel plate, if the dog's feces or urine is not immediately removed, the house is filled with stench, and the owner of the dog often has to worry about it. It is necessary to purchase the pad every time and the cost increas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039199호의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를 제시한 바 있는데, 이는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로서, 설치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고, 애완견이 올라와서 대변을 보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에 일측으로 틸팅되도록 결합되는 배변플레이트;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 또는 수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저면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틸팅수단; 상기 틸팅수단에 의해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 시 상기 배편플레이트 내의 대변이 이동하여 수거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대변수거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애완견의 간식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식배출부;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중량센서; 및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서 상기 배변플레이트 상에 애완견이 떠나고 대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틸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대변이 상기 대변수거부에 수거되도록 하고, 상기 간식배출부를 제어하여 간식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Korean Patent No. 10-1039199 entitled "Dog Training Machine for Dogs ", which is a dog training machine for dogs. A defecation plat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a place for a dog to come up and see a feces, and to be til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 tilting means composed of a cylinder hinged to bo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plate so that the defecation plate is tilted or horizontal and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 faucet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a faucet in the dispatch plate is moved and collected when the defecation plate is tilted by the tilting means; A snack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snack of the dog to the outside;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body for sensing a weight of the defecation plat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ilting means so that the faeces is collected in the faucet rejection when the pet is left on the defecation plate upon receipt of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weight sensor, Thereby allowing the snack to be discharged.
이와 같은 종래의 애완견 배변 훈련기는 애완견의 배변 훈련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 주인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애완견의 배변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뛰어난 장점을 가지는 반면, 컴팩트한 구조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불편하고, 설치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면서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Such a conventional dog training machine for dog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time and effort of the owner of the dog by allowing the training of the pet training of the dog to be carried out automatically, It has become necessary to make it difficult to carry or store, to take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to improve reliability of operation while meeting these requirements.
또한 종래의 애완견 배변 훈련기는 배변플레이트를 세척 등을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og training dog defecatio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bowel movements from the body for washing, etc.,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that cause inconvenienc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견의 배변 훈련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 주인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애완견의 배변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며,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배변플레이트를 본체로부터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time and effort of the dog owner by allowing the dog's bowel training is automatically carried out, and to efficiently perform the dog's bowel training, and further compact Having a structure is intended to facilitate transport or storage,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and to be easily removable from the body bowel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수평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승하여 회전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애완견이 올라와서 대변을 보는 장소를 제공하는 배변플레이트;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회전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축지지스프링;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되거나 수평으로 복귀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틸팅구동부;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시 상기 배변플레이트 상의 대변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수거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배변수거용기; 상기 본체 내에 애완견의 간식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간식배출부; 상기 배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중량센서; 및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변플레이트 상에 애완견이 떠나고 대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틸팅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변이 상기 대변수거용기에 수거되도록 하고, 상기 간식배출부를 제어하여 간식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g training apparatus for a dog, comprising: a body placed on a mounting surface; A bowel movement plate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tilted so that one end is raised and rotated, the bowel plate providing a place where a pet dog comes up to view a stool; An axial support spring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bowel movement plate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through the rotational axis to allow the rotational axi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 tilting driv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for the bowel movement plate to be tilted or returned horizontally; A variable variable contain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stool on the defecation plate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collected when the defecation plate is tilted; A snack discharg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snacks of the dog to the outside;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body for sensing a weight applied to the defecation plat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weight sensor, and when the dog is left on the bowel plat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feces are present, the tilting driver is controlled to collect the feces into the large variable container and to control the snack discharge unit. Dog training dog training tha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the snack is provided.
상기 본체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배변수거용기와 상기 간식배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회전축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배변수거용기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간식배출부가 애완견의 간식을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간식배출부와 일렬로 애완견의 간식을 보관하기 위한 간식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 상기 간식배출부와 상기 간식보관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커버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main body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formed with inclined portions inclined downward with both ends going outward, the bast /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snack discharge por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tion plate, And a snack storage space for storing a snack of a pet dog in line with the snack discharge unit is formed in the snack discharge unit so that the snack discharge unit discharges snacks of the dog,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nack discharging part and the snack storage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inclined part, respectively.
상기 배변플레이트는 상부에 홀이 다수로 형성되는 다공플레이트; 및 상기 다공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애완견의 소변을 수집하여 틸팅시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수집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fecation plate has a plurality of hole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urine collecting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plate, for collecting urine of the pet dog and discharging it downward when tilted.
상기 축지지스프링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 부근에 마련된 스프링장착부에 고정되고, 끝단에 연결부가 상기 배변플레이트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장착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되게 절곡되어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 끝단에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 타측의 회전축이 상기 본체의 장착홀로부터 빠지지 못하도록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이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haft support spring is fixed to the spring mounting portion provided near the rotation axis of the bowel plate one side in the main body,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o the bowel plate side at the end; A locking groove formed to lock the spring mounting portion to the fixing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part which is bent vertically from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be opposed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plate, and the rotation shaft of one side of the defecation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mounting hol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by the elastic support.
상기 틸팅구동부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틸팅구동모터; 상기 틸팅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하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반원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반원기어를 기어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시키는 종동기어; 및 상기 반원기어에 마련되고, 상기 반원기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변프레이트가 틸팅되도록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ilting drive unit includes a tilting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drive gear rotated by the tilting drive motor; Semi-circle gear is installed to rotate on the lower side of the bowel plate; A driven gear that connects the drive gear and the semi-circle gear to each other by gear coupling; And a support provided on the semi-circular gear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wel movement plate so that the bowel movement plate is tilted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mi-circular gear.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시, 상기 틸팅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수평되게 복귀되도록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과정에서 상기 중량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대변의 존재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tilting driver to rotate the bowel movement plate to be tilted and then rotates to return horizontally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bowel movement plate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in the process. The presence of the stoo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stool.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용 배변 훈련기에 의하면, 애완견의 배변 훈련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애완견 주인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애완견의 배변 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나아가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변플레이트를 본체로부터 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g defec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ining the dog's defecation training is automatically carried out to minimize the time and effort of the dog owner,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dog's defecation training, and further by carrying a compact structure In addition, the storage can be convenient,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can be minimize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bowel plat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틸팅구동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틸팅구동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틸팅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축지지스프링의 장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축지지스프링의 분리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축지지스프링의 장착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배변수거용기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간식배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g training do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ing driver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appearance of the shaft support spring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shaft support spring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appearance of the shaft support spring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parabolic giant container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nack discharge portion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in a way tha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g training do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g training do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100)는 본체(110), 배변플레이트(120), 축지지스프링(190), 틸팅구동부(130), 배변수거용기(140), 간식배출부(150), 중량센서(160) 그리고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dog training
본체(110)는 설치면에 놓여지고, 애완견이 오르내리는데 무리가 없는 높이를 가지고, 일례로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11,112)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애완견의 출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117)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118)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에 설치되는 배변플레이트(120)를 사이에 두고 전,후측에 배변수거용기(140)와 간식배출부(1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The
본체(110)는 배변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 도 6에 도시)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변수거용기(140)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간식배출부(150)가 애완견의 간식을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며, 애완견의 간식을 보관하기 위한 간식보관공간(113; 도 10에 도시)이 간식배출부(150)와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경사부(112)에 간식배출부(150)와 간식보관공간(113; 도 10에 도시)을 각각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커버(114,115)가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배변플레이트(120)는 본체(110) 상에 수평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승하여 회전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애완견이 올라와서 대변을 보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배변플레이트(12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상부에 홀이 다수로 형성되는 다공플레이트(123)와, 다공플레이트(123)의 하측에 결합되고, 애완견의 소변을 수집하여 틸팅시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수집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변수집플레이트(124)는 기울어지는 측, 즉 틸팅시 하방을 향하는 측을 제외한 부분에 소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공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와 끼움 등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틸팅구동부(130)는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되거나 수평으로 복귀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본체(110)에 설치된다. 또한 틸팅구동부(13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틸팅구동모터(131)와, 틸팅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32)와, 배변플레이트(120)의 하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반원기어(133)와, 구동기어(132)와 반원기어(133)를 기어 결합에 의해 연결시키는 종동기어(134,135,136)와, 반원기어(133)에 마련되고, 반원기어(133)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배변프레이트(120)가 틸팅되도록 배변플레이트(1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37)에 의한 배변플레이트(120)의 지지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의 틸팅 동작이 원활하도록 한다.3 to 5, the
틸팅구동모터(131)는 기어박스(131a)에 의해 구동기어(132)에 연결됨으로써 구동기어(132)을 회전시킨다. 구동기어(132)는 기어박스(131a)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어 결합되는 종동기(134)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양측에 이탈방지부(132a)가 마련될 수 있다. 종동기어(134,135,136)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기어(132)의 회전력을 반원기어(133)에 전달하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다수의 기어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평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110) 내에 고정된 케이싱(미도시)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축(134a,135a,136a)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어느 하나의 종동기어(134)는 감속을 위한 감속기어(134b)가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어축(134a,135a,136a)은 ABS 수지로 제작되어, 변형될 수 있는 배변플레이트(120)가 종동기어(134,135,136) 등의 맞물림에 의해 정확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137)는 틸팅구동모터(131)의 회전력을 구동기어(132), 종동기어(134,135,136)를 통해서 전달받은 반원기어(133)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의 저면을 들어올림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수평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한편 구동기어(132)와 중동기어(134,135,136)는 기어어셈블리 내지 기어박스로 대체될 수 있다. The tilting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축지지스프링(190)은 배변플레이트(120)의 회전축(121)이 본체(11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본체(110)에 설치되고, 회전축(121)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회전축(121)이 본체(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축지지스프링(190)은 일례로 사용자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 일측의 회전축(121)을 통해 회전축(121)의 길이방향으로 인가되는 압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 타측의 회전축(121)이 본체(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중에는 축지지스프링(190)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 일측의 회전축(121)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 타측의 회전축(121)이 본체(110)에 형성되는 장착홀(119)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장착홀(119)은 상부플레이트(117)와 하부플레이트(118) 사이에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배변플레이트(12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축(121)이 끼워지되, 배변플레이트(120)가 회전축(121)의 길이 방향으로 제한됨 범위에서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가 회전축(1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축지지스프링(190)을 가압함으로써 회전축(121)이 장착홀(119)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되어,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6 to 8, the
축지지스프링(190)은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한 탄성을 가지도록 금속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고정부(191), 걸림홈(193) 그리고 탄성지지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91)는 본체(110)에서 배변플레이트(120) 일측의 회전축(121) 부근에 마련된 스프링장착부(180)의 안착부(181)에 고정될 수 있고, 끝단에 연결부(191a)가 배변플레이트(120)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91)는 스프링장착부(180)의 안착부(181)에 형성되는 체결홈(183)에 고정볼트(195)로 체결되도록 체결홀(19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가장자리가 안착부(181) 주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84)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홈(193)은 고정부(191)에 스프링장착부(180)의 고정돌기(182)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94)는 연결부(191a)로부터 수직되게 절곡되어 배변플레이트(120) 일측의 회전축(121) 끝단에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축지지스프링(190)은 배변플레이트(120) 타측의 회전축(121)이 본체(110)의 장착홀(119)로부터 빠지지 못하도록 배변플레이트(120) 일측의 회전축(121)이 탄성지지부(19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가 회전축(1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축지지스프링(190)의 탄성지지부(194)를 가압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 타측의 회전축(121)이 본체(110)의 장착홀(119)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배변플레이트(120)와 본체(110)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배변플레이트(120)와 본체(110)의 결합은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The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배변수거용기(140)는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시 배변플레이트(120) 상의 대변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수거되기 위하여, 본체(110) 내에 상방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배변수거용기(140)는 본체(11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에 형성되는 개구(116)를 통해서 상방이 개방되어 배변플레이트(120)로부터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배변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배변의 처리를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개구(116)는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시 개방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4 and 9, the bowel movement
도 10을 참조하면, 간식배출부(150)는 본체(110) 내에 애완견의 간식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된다. 간식배출부(15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본체(110) 내에 애완견의 간식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간식저장공간(151)과, 간식저장공간(151)으로부터 본체(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52)를 통해 애완견의 간식을 배출시키도록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루(153)와, 이송스크루(153)를 회전시키도록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이송모터(154)와, 배출구(152) 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출구(152)를 차단한 상태에서 이송스크루(153)에 의해 배출되는 간식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구(152)를 개방시키는 배출커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모터(154)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루(153)의 회전량에 따라 배출구(152)를 통한 애완견의 간식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이송스크루(153)는 외주면에 나선형태의 스크루가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애완견의 간식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시킨다. 또한 개폐커버(155)는 일례로 배출구(152) 측에 끼움 등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56)의 텐션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구(152)를 차단하도록 하거나, 다른 예로서 자중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구(152)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센서(160)는 배변플레이트(120)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고, 일례로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일례로 본체(110) 내에 상방을 향하도록 수직되게 고정되고, 상면에 센서브라켓(161)을 매개로 센서수평프레임(162)이 설치되고, 센서수평프레임(162)의 모서리마다 각각 고정되어 배변플레이트(120)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117)의 관통홀(미도시)을 여유롭게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고정핀(163) 각각이 소변수집플레이트(124)의 저면 모서리 각각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소변수집플레이트(124)는 저면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돌출핀(125)이 고정핀(163)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가 고정핀(163)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변플레이트(120)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이 고정핀(163)과 센서수평프레임(162)을 통해서 중량센서(160)에 인가됨으로써 중량센서(160)가 배변플레이트(120)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mall
고정핀(163)은 센서수평프레임(162)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 후 수평으로 복원시, 돌출핀(125)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수평프레임(162)은 배변플레이트(120) 상의 용변의 중량을 감지할 때 중량센서(160)에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넓은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측 중심부가 센서프라켓(161)에 볼트나 스크루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브라켓(161)은 센서수평프레임(162)과 중량센서(160)가 최소 1mm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되어야 중량센서(160)가 중량을 감지할 수 있기에 중량센서(160)와 센서수평프레임(162) 사이에 위치하여 중량센서(160)와 센서수평프레임(162)이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xing
제어부(170)는 중량센서(1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서 배변플레이트(120) 상에 애완견이 떠나고 대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틸팅구동부(130)를 제어하여 대변이 대변수거용기(140)에 수거되도록 하고, 간식배출부(150)를 제어하여 간식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PCB 형태로 이루어져서 본체(110) 내에 고정될 수 있고,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과 예측되는 대변의 중량을 합한 중량의 범위가 미리 설정됨으로써, 중량센서(160)를 통해서 측정된 중량이 이러한 중량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배변플레이트(120)에 애완견이 없으나 대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틸팅구동부(130)와 간식배출부(15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시, 예컨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가 연결시, 틸팅구동부(130)의 틸팅구동모터(131)를 제어하여 배변플레이트(120)가 틸팅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수평되게 복귀되도록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중량센서(160)가 측정하는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을 기준으로 배변플레이트(120) 상에 위치하는 대변의 존재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110)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 예컨대 바닥의 평탄도, 바닥의 재질 등에 따라 중량센서(160)가 측정하는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어부(170)는 설치 장소에 새로이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시, 틸팅플레이트(120)가 업/다운을 수행하도록 틸팅구동부(130)를 제어하여 변경된 설치 장소에서의 배변플레이트(120)에 대한 중량을 중량센서(160)에 의해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된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을 기준으로 배변플레이트(120)에 대변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정하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본체(110)의 외측면, 예컨대 경사부(111)에는 스위치(171)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171)는 틸팅구동부(130)의 틸팅구동모터(131)와 간식배출부(150)의 이송모터(154) 구동을 비상시, 정지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스위치(171)의 스위칭 신호를 수신받으면 틸팅구동부(130)의 틸팅구동모터(131)와 간식배출부(150)의 이송모터(154)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171)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100)의 동작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위치(171)의 스위칭 신호 반복에 따라 제어부(170)는 틸팅구동부(130)의 틸팅구동모터(131)와 간식배출부(150)의 이송모터(154)의 동작을 온(on)과 오프(off)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171)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기판(172)이 스위치(171)에 인접하도록 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A
제어부(170)는 틸팅구동모터(131)와 이송모터(154)의 회전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들의 회전량을 각각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를 가지거나, 이와 달리 틸팅구동모터(131)와 이송모터(154)가 스텝핑 모터나 서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애완견이 배변플레이트(120)에서 대변을 누고, 배변플레이트(120)에서 내려오면,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을 측정하던 중량센서(160)가 배변플레이트(120)와 함께 대변의 중량을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170)는 중량센서(160)의 감지신호를 통해서 배변플레이트(120)의 중량이 정해진 중량의 범위에 도달하면, 배변플레이트(120)에 대변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틸팅구동부(13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플레이트(120)를 틸팅시켜서 배변플레이트(120) 상의 대변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개구(116)를 통해서 대변수거용기(140)에 수거되도록 한다. The
또한 제어부(170)는 애완견이 배변플레이트(120)에 대변을 놓고 내려오면, 배변플레이트(120)의 틸팅 전이나 틸팅 후 또는 틸팅 과정 중에 이송모터(154)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회전수로 구동시키고, 이로 인해 이송스크루(153)를 회전시켜서 간식저장공간(151)에 저장된 간식이 배출구(15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애완견이 간식에 의한 배변 훈련을 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틸팅구동부(130)를 동작시킴으로써 배변플레이트(120)가 수평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배변 처리와 애완견 훈련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og
또한 축지지스프링(190)에 의해 배변플레이트(120)를 본체(110)로부터 쉽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변플레이트(120)의 세척 등을 비롯한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 본체 111,112 : 경사부
113 : 간식보관공간 114,115 : 개폐커버
116 : 개구 117 : 상부플레이트
118 : 하부플레이트 119 : 장착홀
120 : 배변플레이트 121 : 회전축
123 : 다공플레이트 124 : 소변수집플레이트
125 : 돌출핀 130 : 틸팅구동부
131 : 틸팅구동모터 131a : 기어박스
132 : 구동기어 132a : 이탈방지돌기
133 : 반원기어 134,135,136 : 종동기어
133a,134a,135a,136a : 기어축 134b : 감속기어
137 : 지지대 140 : 배변수거용기
150 : 간식배출부 151 : 간식저장공간
152 : 배출구 153 : 이송스크루
154 : 이송모터 155 : 배출커버
156 : 고정부 160 : 중량센서
161 : 센서브라켓 162 : 센서수평프레임
163 : 고정핀 170 : 제어부
171 : 스위치 172 : 보조기판
180 : 스프링장착부 181 : 안착부
182 : 고정돌기 183 : 체결홈
184 : 이탈방지돌기 190 : 축지지스프링
191 : 고정부 191a : 연결부
192 : 체결홀 193 : 걸림홈
194 : 탄성지지부 195 : 고정볼트110:
113: snack storage space 114,115: opening / closing cover
116: opening 117: upper plate
118: lower plate 119: mounting hole
120: bowel movement plate 121: rotation axis
123: porous plate 124: small variable collection plate
125: protruding pin 130: tilting drive
131: tilting
132:
133: semi-circle gear 134,135,136: driven gear
133a, 134a, 135a, 136a:
137: support 140: variable variable container
150: snack discharge unit 151: snack storage space
152: outlet 153: feed screw
154: transfer motor 155: discharge cover
156: fixed part 160: weight sensor
161: sensor bracket 162: horizontal sensor frame
163: fixing pin 170: control unit
171: switch 172: sub-board
180: spring mounting portion 181: seating portion
182: fixing protrusion 183: fastening groove
184: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190: shaft support spring
191: fixing
192: fastening hole 193: locking groove
194: elastic support 195: fixing bolt
Claims (6)
설치면에 놓여지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수평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승하여 회전하도록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애완견이 올라와서 대변을 보는 장소를 제공하는 배변플레이트;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회전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통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축지지스프링;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되거나 수평으로 복귀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틸팅구동부;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시 상기 배변플레이트 상의 대변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수거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배변수거용기;
상기 본체 내에 애완견의 간식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간식배출부;
상기 배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중량센서; 및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배변플레이트 상에 애완견이 떠나고 대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틸팅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대변이 상기 대변수거용기에 수거되도록 하고, 상기 간식배출부를 제어하여 간식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In the dog training machine,
A body placed on a mounting surface;
A bowel movement plate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tilted so that one end is raised and rotated, the bowel plate providing a place where a pet dog comes up to view a stool;
An axial support spring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bowel movement plate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through the rotational axis to allow the rotational axis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 tilting driv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for the bowel movement plate to be tilted or returned horizontally;
A variable variable contain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stool on the defecation plate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collected when the defecation plate is tilted;
A snack discharg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discharge snacks of the dog to the outside;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body for sensing a weight applied to the defecation plat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weight sensor and the dog is left on the bowel pl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ol is present, by controlling the tilting drive so that the stool is collected in the large variable tank, the snack discharge unit by controlling Dog training dog training,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ischarging a snack.
상기 본체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배변수거용기와 상기 간식배출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회전축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배변수거용기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간식배출부가 애완견의 간식을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간식배출부와 일렬로 애완견의 간식을 보관하기 위한 간식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 상기 간식배출부와 상기 간식보관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커버가 각각 마련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It is formed in a plate-like form, each end is inclined downward inclined toward the outside is formed, respectively, the variable variable container and the snack discharge portion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wel pl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bowel plate Combined with the sliding variable in the direction, the snack discharge unit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snack of the dog, snack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nack of the dog in line with the snack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he inclined portion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nack discharge portion and the snack storage space, respectively, the dog training dog training.
상기 배변플레이트는,
상부에 홀이 다수로 형성되는 다공플레이트; 및
상기 다공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애완견의 소변을 수집하여 틸팅시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변수집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wel plate,
A porous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rous plate, a dog collection defecation training learner comprising a small variable collection plate to collect the urine of the dog to be discharged downward when tilting.
상기 축지지스프링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 부근에 마련된 스프링장착부에 고정되고, 끝단에 연결부가 상기 배변플레이트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장착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되게 절곡되어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 끝단에 대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플레이트 타측의 회전축이 상기 본체의 장착홀로부터 빠지지 못하도록 상기 배변플레이트 일측의 회전축이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support spring,
A fixing part fixed to a spring mounting part provided near the rotation shaft of one side of the bowel movement plate in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to extend toward the bowel movement plate side;
A locking groove formed to lock the spring mounting portion to the fixing portion; And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that is bent vertical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be opposite to the end of the rotation axis of the bowel plate,
Pet dog bowel training learner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one side of the bowel movement plate is limited by the elastic support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other side of the bowel movement plate does not fall out from the mounting hole of the main body.
상기 틸팅구동부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틸팅구동모터;
상기 틸팅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하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반원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반원기어를 기어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시키는 종동기어; 및
상기 반원기어에 마련되고, 상기 반원기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변프레이트가 틸팅되도록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lting drive unit,
A tilting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drive gear rotated by the tilting drive motor;
Semi-circle gear is installed to rotate on the lower side of the bowel plate;
A driven gear that connects the drive gear and the semi-circle gear to each other by gear coupling; And
And a support provided in the semi-circular gear and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bowel movement plate to tilt the bowel movement plate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mi-circular gear.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시, 상기 틸팅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변플레이트가 틸팅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수평되게 복귀되도록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과정에서 상기 중량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배변플레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대변의 존재를 판단하도록 하는, 애완견 배변 훈련 학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tilting control unit is controlled to rotate the bowel movement plate to be tilted and then rotate to return horizontally, and in this process the weight of the bowel movement plate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Pet dog bowel training learner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feces as a refere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6901A KR101329982B1 (en) | 2013-09-06 | 2013-09-06 |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6901A KR101329982B1 (en) | 2013-09-06 | 2013-09-06 |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9982B1 true KR101329982B1 (en) | 2013-11-15 |
Family
ID=4985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6901A KR101329982B1 (en) | 2013-09-06 | 2013-09-06 |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9982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7509Y1 (en) * | 2014-10-07 | 2015-06-17 | 김길호 | Pooping plate for pets |
KR20160065568A (en) | 2014-12-01 | 2016-06-09 | 김재원 | Toilet training device for pet dog |
WO2016108608A1 (en) * | 2014-12-31 | 2016-07-07 | 박현석알버트 | Sanitary toilet bowl for pet |
WO2016117901A1 (en) * | 2015-01-19 | 2016-07-28 | 박현석알버트 | Sanitary pet toilet |
CN107960337A (en) * | 2017-12-27 | 2018-04-27 | 无锡金铭祥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pet activity platform with deodorizing sterilizing |
KR20190025160A (en) | 2017-08-31 | 2019-03-11 | 로봇기술(주) | Smart Training System for Dog of Defecation and Urination and Activity Measurement |
KR20220063995A (en) | 2020-11-11 | 2022-05-18 | 방승연 | Method and appratus for potty training of puppy |
CN115067226A (en) * | 2018-09-19 | 2022-09-20 | Lg电子株式会社 | Liquid dispens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01868B1 (en) | 2002-10-30 | 2004-03-09 | John V. Shepherd | Automated, self-cleaning cat litter box apparatus |
KR101039199B1 (en) | 2011-02-21 | 2011-06-03 | 김용진 | Toilet training for pet dog |
US20110315084A1 (en) | 2010-05-27 | 2011-12-29 | Miller Matthew J | Cat litter box system |
KR101305387B1 (en) | 2012-10-09 | 2013-09-06 | 이원용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of pet |
-
2013
- 2013-09-06 KR KR1020130106901A patent/KR1013299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01868B1 (en) | 2002-10-30 | 2004-03-09 | John V. Shepherd | Automated, self-cleaning cat litter box apparatus |
US20110315084A1 (en) | 2010-05-27 | 2011-12-29 | Miller Matthew J | Cat litter box system |
KR101039199B1 (en) | 2011-02-21 | 2011-06-03 | 김용진 | Toilet training for pet dog |
KR101305387B1 (en) | 2012-10-09 | 2013-09-06 | 이원용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of pet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7509Y1 (en) * | 2014-10-07 | 2015-06-17 | 김길호 | Pooping plate for pets |
KR20160065568A (en) | 2014-12-01 | 2016-06-09 | 김재원 | Toilet training device for pet dog |
WO2016108608A1 (en) * | 2014-12-31 | 2016-07-07 | 박현석알버트 | Sanitary toilet bowl for pet |
WO2016117901A1 (en) * | 2015-01-19 | 2016-07-28 | 박현석알버트 | Sanitary pet toilet |
KR20190025160A (en) | 2017-08-31 | 2019-03-11 | 로봇기술(주) | Smart Training System for Dog of Defecation and Urination and Activity Measurement |
CN107960337A (en) * | 2017-12-27 | 2018-04-27 | 无锡金铭祥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pet activity platform with deodorizing sterilizing |
CN115067226A (en) * | 2018-09-19 | 2022-09-20 | Lg电子株式会社 | Liquid dispenser |
CN115067226B (en) * | 2018-09-19 | 2024-05-14 | Lg电子株式会社 | Liquid dispenser |
KR20220063995A (en) | 2020-11-11 | 2022-05-18 | 방승연 | Method and appratus for potty training of pupp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9982B1 (en) | Learning machine for toilet training of pet dog | |
KR20140102824A (en) | Toilet training for pet dog | |
KR101039199B1 (en) | Toilet training for pet dog | |
US5107797A (en) | Litterbox for domestic animals | |
KR100310743B1 (en) | Appararus to feed automatically fodder | |
US5592900A (en) |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 |
US8464662B1 (en) | Automatic housebreaking pad disposal apparatus | |
KR101368051B1 (en) | Fodder auto supplier for pet | |
KR102046886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eating prop of pet | |
ZA931034B (en) | Open sanitary device for dogs and cats. | |
US6857391B1 (en) | Animal toilet enclosure | |
CN211091241U (en) |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nimals | |
TWI686134B (en) | Pet toilet | |
JP2607917B2 (en) | Domestic animal waste box | |
WO2011155849A1 (en) | Automated bulking agent dispenser for a toilet | |
EP0292946A1 (en) | Toilet sea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a seat covering paper on a toilet seat | |
KR20170016662A (en) | Dog automatic toilet | |
KR20160148420A (en) | Toilet for pets | |
WO2021169153A1 (en) | Pet sanitary system | |
KR101855966B1 (en) |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 |
US20080245309A1 (en) | Dog toilet | |
US3621817A (en) | Animal dumping litter box | |
US20220240480A1 (en) | Pet litter box | |
KR102473718B1 (en) | Apparatus for pet toilet training | |
KR102018837B1 (en) | Device for toilet trai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 |